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북도는 11일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서 순국선열들의 고귀한 애국정신을 기리고,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민족자존의 의식 확립을 위한「제104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을 거행했다.▲ 제104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사진=경북도)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 3.1운동 직후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되찾고 자주독립을 이루고자 중국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을 개원해 일제에 조직적으로 항거했으며, 근대적인 헌법 체제를 갖춘 민주공화제 정부의 탄생으로서 의미가 크다.경북도에서는 3.1운동 정신을 계승해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되찾고 나라의 자주독립을 이루고자 선포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역사적 의의를 기리고, 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해 도민들의 나라사랑정신으로 발전시키고자 광복회 경북도지부 주관으로 매년 기념식을 개최해오고 있다. ▲ 제104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사진=경북도) 이날 기념식은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김태형 경북도교육청 부교육감, 권기창 안동시장, 지역 도의원(김대일, 김대진, 권광택) 등 도내 주요인사, 기관단체장과 보훈단체장, 유가족,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독립한 민주국의 자유민이라” 라는 주제로 거행됐다.△추모벽 참배 △식전공연 △약사보고 △환영사 △기념사 △축사 △기념공연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가 제창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된 기념식은 선열들의 독립을 위한 희생과 공헌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운동 이후 스스로의 힘으로 민족의 운명을 결정하고자 한 위대한 역사이며, 오늘의 우리를 있게 한 뿌리”라며, “경북도에서는 불굴의 독립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의 도약과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어나갈 것이며, 앞으로도 국가유공자와 가족들에 대한 보훈과 예우에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북소방본부는 지난달 30일 칠곡소방서에 신규 이동안전체험차량을 배치했다고 밝혔다.▲ 이동안전체험차(사진=경북도) 재난의 다양화와 사고발생 예측 불가능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들의 재난대비 역량강화, 안전의식,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메타버스(가상) 플랫폼을 활용한 안전체험시설을 갖춘 이동안전체험차량을 도입하게 됐다.기존 운영하던 칠곡소방서 이동안전체험차량은 2013년 1월 처음 도입되어 올해 2월까지 1759개소 13만2320명에 대해 안전교육을 실시했고, 내용연수 8년이 경과돼 지난해 신규 이동안전체험차량 1대를 제작해 왔다.신규 도입된 이동안전체험차량은 김천시, 구미시,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소재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직접 방문해 실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안전체험교육을 연중 실시할 계획이다. 체험시설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화재대피 등 간접체험시설이 새로 도입됐고, 지진?승강기?연기탈출?완강기?에어슬라이드 체험 등 신체를 활용한 안전체험을 할 수 있다.한편, 경북도 이동안전체험차량은 4개 소방서(포항북부?영천?칠곡?예천)에 배치돼 권역별로 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 2021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지난 5년간(18년~22년) 도내 1874개소에서 12만743명이 체험교육에 참여했다. 지난해는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547개소 3만4326명이 안전체험교육을 실시해 도내 어린이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이동안전체험차량 교육신청은 경북소방본부 홈페이지(http://gb119.go.kr/)를 통해 회원 가입 후 반기별로 신청*할 수 있다. * 4개 권역으로 나눠 신청 중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들은 학사 일정에 맞춰 체험할 수 있으며, 방학기간에는 주요 피서지로 직접 찾아가 도민들에게 안전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5월 2~3일에는 울릉도 학생 및 주민을 대상으로 안전체험, 버블마술 등 다양한 안전체험과 놀이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해 울릉도 안전체험한마당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더 안전한 경북을 만들고 도민들의 안전의식 향상을 위해 더 많은 도민과 어린이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도내 구석구석을 부지런히 찾아가 체험교육을 확대·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지난 7일 도청 동락관 세미나홀에서 도와 시군이 함께 모여 「2023년 경상북도 지방세입 제도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경상북도 지방세입 제도개선 토론회(사진=경북도) 이번 토론회는 지방세 법령 개정을 통해 납세자의 권익을 신장시키고 신세원 발굴 등을 위해 열렸으며, 경북도 주관 제도개선 자체 토론회는 최초로 개최됐다.이날 토론회에서는 개최 취지에 맞게 납세자 권익신장 및 신세원 발굴 과제가 다수 제출돼 눈길을 끌었다.토론회에 앞서 제출된 제도개선 과제는 △지방세기본법 5건 △지방세징수법 1건 △지방세법 17건 △지방세특례제한법 6건 △지방행정제재부과금법 1건 등 지난해에 비해 25% 증가한 총 30건의 과제가 제출돼 제도개선에 대한 열의를 느낄 수 있었다.특히, 논의된 여러 과제 중 농업인들을 위한 과제인 농업용 감면대상 시설의 확대, 농업법인 감면요건 개선을 주제로 한 과제가 토론자들의 공감을 얻었다.연대납세의무자 납부확인서 발급 개선, 상속 취득세 관련 제도개선, 자동이체 세액공제 확대 등 경북도의 지방세 정책 기조가 과세관청 중심에서 납세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과제들도 다수 있었다.또, 의료혜택은 받지 못하고 의료폐기물의 처리 부담만 지고 있는 부조리한 현실을 꼬집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과제도 논의됐다.경북도 관계자는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제도개선 과제를 보완하고, 제출한 과제가 행정안전부 제도개선 토론회에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향후 경북도가 제출한 제도개선 과제가 행정안전부에서 채택될 경우 지방세 관계법의 정부안으로 제출되고 국회 의결을 통해 법제화된다.심영재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변화와 혁신의 시대에 높아진 도민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세금정책도 변해야 한다”며, “지방시대에 도민 중심의 지방세정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361(+202)1,417,5461,584(-61)1,413,866(+422)2,096(-) * 국내 361, 국외 0 * 치명률(4. 10. 0시 기준) - 경북 0.15%(2,096명), 전국 0.11%(34,332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13016확진자464011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4.5.(수) 4.6.(목) 4.7.(금) 4.8.(토) 4.9.(일) 4.10.(월) 4.11.(화) 누계(주)평균(주)검 사9,4966,6464,0683,0232,0831,19987627,3913,913.0확진자567(0)439(0)371(0)346(0)347(1)159(0)361(0)2,590(1)370.0(0.1)* 직전주 월요일(4.4) 현황 : 검사 568건, 확진자 422명(▼ 14.5%)(단위 : 명, %)구 분4.5.4.6.4.7.4.8.4.9.4.10.4.1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5674393713463461593612,589369.9연령별60세↑확진자수(%)139(24.5)133(30.3)119(32.1)139(40.2)125(36.1)67(42.1)116(32.1)838(32.4)119.718세↓확진자수(%)109(19.2)71(16.2)72(19.4)55(15.9)49(14.2)19(11.9)41(11.4)416(16.1)59.4외 국 인2(0.4)5(1.1)1(0.3)4(1.2)8(2.3)2(1.3)1(0.3)23(0.9)3.3 □ 시·군별 발생(국내 1,413,488, 유입 4,05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17,546명291,147124,27875,15187,768253,87857,64149,82544,51337,751162,4608,736(+361)(+82)(+42)(+27)(+17)(+38)(+13)(+11)(+12)(+14)(+69)(+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24111,0606,34716,45718,00312,42016,08456,72629,98711,99221,8982,183(+3)(-)(-)(-)(+1)(+1)(+5)(+7)(+15)(-)(+1)(-)
경북도는 10일 도청 충무시설 종합보고장에서 2023년 화랑훈련 관련 적의 동해안 반잠수정 침투와 선박 이용 밀입국 침투를 훈련 상황으로 상정해 통합방위사태 선포를 위한 통합방위협의회를 개최했다. ▲ 적 침투·도발상황 대비 통합방위협의회(사진=경북도) 통합방위협의회는 1996년 북한의 강릉 무장공비 침투 후 국가방위요소의 효율적 운용과 지역통합방위태세 확립을 위해 이듬해 1월 제정된 “통합방위법”에 근거해 운영되고 있다. 경북도지사는 지역통합방위협의회 의장 자격으로 지역 내 적의 소규모 침투가 발생되면 50사단장, 경북경찰청장의 건의에 따라 통합방위위원을 소집하여 통합방위사태를 선포한다. 2023년 화랑훈련과 연계해 실시한 이번 통합방위협의회에서는 2가지 복합 침투상황을 가정하여 통합방위사태 선포를 위한 절차를 숙달하고, 사태 선포 후에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기관별 통합방위지원본부 운영, 주민대피, 위험구역 출입 통제 등을 실시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방시대 본격 선언 이후 재난과 안보 상황에 대한 책임과 역할이 커져감에 따라 현장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말했다.또 “실제 전시를 대비해 훈련에 참여한 각자의 역할을 숙지하고 특히 민간에서 참석한 기관단체에서는 해야 할 역할을 제대로 숙지해 실전처럼 훈련에 임할 것”을 강조했다.아울러 통합방위법에 근거한 선포 절차, 국민의 기본권 제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유언비어에 따른 주민 불안 해소 등 이번 훈련을 통해 다양한 분야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달라고 주문했다.이철우 도지사는 조선시대 징비록에서 일본의 침투를 제대로 보고했음에도 거짓말한다며 보고자를 처벌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로 일본군이 코앞까지 쳐들어와 조선의 장군까지 모두 도망간 사례를 들었다.그러면서,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징비록의 유비무환 정신을 교훈삼아 각 기관에서는 전쟁을 임하는 준비태세를 철저히 해 솔선수범해 훈련에 매진하고, 소기의 성과를 거둬 달라”고 당부했다.
경북도는 부부가 함께 육아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2023년 5기 경북 100인의 아빠단」을 모집한다.▲ 경북 100인의 아빠단 모집 포스터 2019년 시작해 올해로 5년째 추진 중인 ‘경북 100인의 아빠단’은 초보 아빠들에게 육아 정보 및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해 체계적인 아빠 육아 교육을 지원하는 사업이다.올해는 네이버 카페 ‘100인의 아빠단 공식 커뮤니티’ 등 온라인을 통해 3~7세(21년생~17년생) 자녀를 둔 아빠 100명을 이달 19일까지 선착순 모집 중이다.아빠단 선정결과는 오는 21일 공식 커뮤니티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며, 선정된 아빠단은 12월까지 보건복지부가 제공하는 5개 분야(놀이, 일상, 건강, 교육, 관계)의 온라인 주간 미션을 수행하고 경북도와 인구보건복지협회 대구경북지회가 추진하는 오프라인 행사에도 참여할 수 있다.또 경북 100인의 아빠단에 참여하는 아빠들에게는 보건복지부에서 별도로 선정한 30여명의 멘토 아빠단이 초보 아빠들의 수월한 미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사진 및 영상자료 등을 통해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매월 ‘이달의 우수 아빠’를 선정해 활동 우수사례를 소개하는 등 아빠 육아의 확산을 위해 앞장서 나갈 방침이다.지난해 4기 경북 100인의 아빠단에 참여한 김모 씨는 “아이와 함께 다양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어서 좋았고, 매번 새로운 체험을 준비하며 아이가 즐거워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빠로서 스스로 성장하는 느낌이 들어 아빠단이 되길 잘했다고 생각한다”며 참여 소감을 밝혔다.박성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많은 초보 아빠들이 100인의 아빠단 활동에 참여해 전문 멘토의 도움으로 유아기 자녀와 더 잘 교감하고 소중한 추억을 쌓는 기회를 갖길 바란다”며, “특히 젊은 아빠들이 적극적으로 육아 전면에 나서서 아이의 행복을 키우는 아버지 효과를 확산해 나감으로써 가족친화적인 경상북도로 거듭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북소방본부에서는 대형재난 사고를 대비한 긴급구조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지난 7일 오후 구미시민운동장에서 경상북도 주관 도 단위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긴급구조훈련(사진=경북도) 특히, 이번 긴급구조종합훈련은 오는 27일부터 구미에서 개최되는 전국생활체육대축전 행사의 안전한 개최를 위해 개막식 행사장인 구미시민운동장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훈련은 지진과 대형화재가 발생한 복합 재난 현장에서 신속한 인명구조 활동과 다수사상자 발생을 가정한 체계적인 구급대응 역량 강화 등에 목적을 두고 시행됐다.훈련에는 경북소방본부, 중앙119구조본부, 구미소방서, 구미시청, 구미경찰서, 육군 50사단 등 총 21개 기관·단체 455여명의 인원과 장비 57대가 동원됐다.이날 훈련은 구미 동남쪽 4km 지점에서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해 전국 생활체육대축전 개막식 행사가 진행되고 있던 구미시민운동장에 대형화재와 관람석 붕괴로 인한 다수의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단계별 긴급구조 대처 방안을 숙달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1단계에서는 지진 발생 및 상황전파 등 초기대응, 2단계에서는 건물 붕괴 및 화재 대응, 3단계에서는 다수사상사 구조구급 대응 훈련, 마지막 4단계에서는 각 지원기관의 협력을 통한 재난수습·복구 활동을 전개하며 훈련을 마쳤다.경북소방본부는 이번 훈련을 통해 재난 상황 발생 시 긴급구조통제단에 의한 현장 관리 및 초기 대응능력 강화와 각 긴급구조지원기관과 협력을 통한 유기적인 공조 체계를 정립하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이번 훈련으로 다수사상자가 발생한 복합 재난 상황에 대한 긴급구조 대응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긴급구조지원기관 간 협력을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4월 12일은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제1회 도서관의 날이다. ▲ 경북도서관 전경(사진=경북도) 경북도서관에서는 도서관의 날을 시작으로 오는 18일까지 제59회 도서관주간을 맞아 특강, 체험프로그램, 독서이벤트 등 다양한 문화 행사를 운영한다.1964년부터 시작된 도서관주간은 독서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지역주민들의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매년 4월 12일부터 18일까지를 지정해 운영하는 기념행사다. 올해 공식주제인 “경계 없이 비추는 문화의 빛, 도서관”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경북도서관에서는 도서관의 날, 도서관 주간을 맞아 이용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강연, 체험, 독서 이벤트 등 책을 기반으로 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가족단위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마술과 샌드아트」공연 △책 표지와 제목을 가리고 제한된 정보만으로 도서를 대출하게 해 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이벤트인 「블라인드 북」 △연체도서 반납 시 대출정지 기간을 풀어주는 「연체 지우개」 △도서대출 권수를 두 배로 늘려주는 「대출권수 플러스」이벤트도 함께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환경을 주제로 한 북큐레이션과 체험프로그램인 만들기 교실을 운영해 이용자들의 흥미와 참여를 이끌 계획이다. 12일에는 경북도서관 대표 인문학 아카데미인 “2023년 북가락 문화아카데미”의 도서관 첫 강연으로 「내 집 마련 가계부」의 저자인 김유라 작가의 “아들 셋 엄마의 돈 되는 독서”라는 주제로 특강이 열린다.권경수 경북도서관장은 “도서관에 대한 도민의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도서관의 날과 도서관 주간을 맞아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라며 “이용자들이 참여를 통해 도서관을 좀 더 친숙한 공간으로 인식하길 바란다”고 말했다.또 “책을 통해 다른 세상, 위대한 사람들을 만나는 독서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북도서관 홈페이지(https://lib.gb.go.kr/) 공지사항을 참조하거나, 경북도서관(054-650-3922)으로 문의하면 된다.
경북도는 2023년 다문화 정책 방향을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으로 정하고 이주여성의 사회진출 확대를 위한 체계적 지원과 다문화자녀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습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이중언어대회(사진=경북도) 경북의 다문화 가구는 1만8058세대 5만7102명으로 전국대비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문화 자녀는 1만7432명으로 이중 40%인 6957명이초등학생으로 나타났으며 국가별로는 베트남, 중국, 필리핀 순으로 많다. 2006년 다문화 정책이 처음 실시될 당시 높은 증가율을 보이던 통계는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연 3% 초반의 안정적 증가세를 보이는 등 다문화 정책의 대외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변화된 다문화가족 환경에 발맞춰 경북도에서도 기존 한글교육 중심의 정착 지원사업에서 지역 인재 육성사업으로 사업을 다양화하고 있다.먼저,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언어 능력과 글로벌 환경을 활용해 전문 경영인으로 육성하고자 전국 최초로 “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을 추진했다.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은 도내 우수한 이주여성을 모집해 회계, 무역, 통역 등 전문교육을 연간 243시간 4년에 걸쳐 교육하여 전문 경영인으로 양성시키는 사업이다. 지난해 제1기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베트남 출신인 칠곡 황수빈 씨는 신한무역대표로 식품?화장품 등을 베트남에 수출해 창업 1년 만에 매출 8억원을 달성했다.중국 출신인 포항 전태옥 씨는 결혼이민여성 6명과 「글로벌 레이디 협동조합」을 설립해 네이버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지역 농특산물을 팔아 농민과 다문화 가정을 도와주는 등 경북에서 지금까지 받은 도움을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한국과 모국의 문화를 연결하는 민간 외교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또, 경북도에서는 다문화 자녀를 미래 대한민국 경제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이중언어대회, 자녀학습지원, 글로벌 인재 육성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는 다문화자녀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어머니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며 진학 및 진로결정에 중요한 자산인 이중언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로 10회를 맞이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경북도가 유일하게 추진하고 있다.다문화 자녀가 가장 어려워하는 학교교육 지원을 위해 학년별 학습 영상콘텐츠를 제작·배포하고 지역대학생을 멘토로 1:1 매칭해 맞춤형 학습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 미래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역 인구 소멸과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으로 다문화가족이 지역주민과 융화될 수 있도록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고 장기 정착지원과 결혼이민자 사회참여 확대, 다문화 자녀의 안정적 성장지원 등을 추진함으로써 건강한 다문화가족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박성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국제결혼이 급속히 증가한 후 안정화되고 있는 시점에 결혼이민여성이 양국의 문화와 언어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인으로 자립하면서 초기 외국인주민 정착을 위한 브릿지 역할을 할 것”이라며 “다문화 자녀들을 위해 민?관?학?지역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 미래 인재를 육성해 다문화 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59(-188)1,417,1851,645(-24)1,413,444(+181)2,096(+2) * 국내 159, 국외 0 * 치명률(4. 8. 0시 기준) - 경북 0.15%(2,094명), 전국 0.11%(34,322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30015확진자1850012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4.4.(화) 4.5.(수) 4.6.(목) 4.7.(금) 4.8.(토) 4.9.(일) 4.10.(월) 누계(주)평균(주)검 사5689,4966,6464,0683,0232,0831,19927,0833,869.0확진자422(0)567(0)439(0)371(0)346(0)347(1)159(0)2,651(1)378.7(0.1)* 직전주 월요일(4.3) 현황 : 검사 924건, 확진자 181명(▼ 12.2%)(단위 : 명, %)구 분4.4.4.5.4.6.4.7.4.8.4.9.4.10.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4225674393713463461592,650378.6연령별60세↑확진자수(%)91(21.6)139(24.5)133(30.3)119(32.1)139(40.2)125(36.1)67(42.1)813(30.7)116.118세↓확진자수(%)92(21.8)109(19.2)71(16.2)72(19.4)55(15.9)49(14.2)19(11.9)467(17.6)66.7외 국 인4(0.9)2(0.4)5(1.1)1(0.3)4(1.2)8(2.3)2(1.3)26(1.0)3.7 □ 시·군별 발생(국내 1,413,127, 유입 4,05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17,185명291,065124,23675,12487,751253,84057,62849,81444,50137,737162,3918,733(+159)(+21)(+32)(+4)(+6)(+29)(+10)(+4)(+3)(+2)(+17)(-)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23811,0606,34716,45718,00212,41916,07956,71929,97211,99221,8972,183(+1)(+1)(-)(-)(+1)(-)(+1)(+4)(+21)(+1)(+1)(-)
경북도는 9일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의 마지막 구간으로 삽골재에서 도산서원까지 마지막 걷기 여정을 마무리하고 폐막식을 개최했다. ▲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사진=경북도)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는 45명으로 구성된 재현단이 퇴계선생의 발자취를 따라 지난달 27일 서울 경복궁을 출발해 이달 9일 안동 도산서원까지 5개 시도, 17개 시군구를 거쳐 걸어오며 퇴계선생의 참뜻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구간별 주요 일정으로는 △2일차 봉은사에서 원명스님(주지스님)의 차담회와 「퇴계가 도산으로 간 까닭」을 주제로 배병삼(영산대학교) 교수의 강연 △4일차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남양주시 구간 걷기 △8일차 충청감영(충주관아공원)에서 시 창수(퇴계와 송당의 증별 시)와 해설 강의 △9일차 청풍관아(청풍문화재단지) 한벽루에서 시 창수(퇴계와 서애의 한벽루 시)와 해설 강의 △12일차 영주 이산서원에서 「영주와 퇴계선생」, 「이산서원과 퇴계문인들」 강연 △14일차 마지막 날에는 도산서원에서 고유제와 폐막식을 개최하고, 13박 14일간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특히 폐막식에는 귀향길 재현을 경험한 재현단을 대상으로 소감문을 평가해 대상 1명(도지사상), 금상 2명(안동시장상), 은상 및 동상 7명(도산서원장상)을 시상하고 270㎞를 끝까지 걸어온 참여자에게는 안동지역 관광 숙박권을 제공했다. 경북도에서 이 행사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는 지방시대의 성공모델을 퇴계정신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사진=경북도) 당시 퇴계선생의 귀향은 16세기 서원운동으로 발전했고, 이는 국가의 자원과 인재를 지방으로 되돌려 놓고 지방시대 혁명으로 이끈 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16세기 서원운동> - 조선에 서원 제도가 도입되던 시기는 16세기 중엽이다. 1543년(중종 38) 주세붕(周世鵬)이 풍기에 설립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시초로 하고 있지만, 조선 서원의 체제를 정비한 인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다. 이황은 1550년(명종 5) 백운동서원의 사액(賜額)을 실현시켰고, 초기 서원의 체제를 정비하였다. - 퇴계선생의 서원운동은 지방의 교육혁신, 지역 인재양성 및 인구증가, 일자리 창출, 관광·교육 등을 통한 관계 인구 확대, 종가 문화를 통한 안채 교육(격대보육, 효와 예절 등 담당)과 사랑채 교육(권학담당) 등 한양을 능가하는 지방 생활문화 창조에 기여하였다. 경북도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서울 쏠림과 지방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려는 노력으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 선정, 지역산업기반 인재양성체계를 구축하는 등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한 지역교육혁명 및 일자리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또 지역 특화형 비자 및 광역 비자 제도를 통한 지방주도형 외국인 정책, 사회통합을 통한 외국인 공동체 구현 등 지방시대 대전환 정책을 누구보다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방이 잘 살아야 나라가 잘 산다”라며 “특히 서원을 통한 지방 인재 양성, 지역공동체 형성, 지방인구 유입 등 지방시대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퇴계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겨,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제2의 퇴계혁명의 정신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북소방본부는 지난 3일부터 4일까지 양일간 안동 씨엠파크호텔에서 24개팀 1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12회 경상북도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심폐소생술 경연대회(사진=경북도) 이번 대회는 일반인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초 목격자에 의한 응급처치로 생명존중문화 확산 및 심폐소생술 시행률 향상을 위해 추진됐다. 도내 심폐소생술 시행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일반부 13개팀 72명, 학생 등 청소년부 11개팀 78명이 참여했으며, 심정지 발생 상황 및 짧은 촌극을 무대에서 표현하고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경연하는 것으로 진행됐다. 이날 무대에는 실감나는 각종 소품과 이색적인 캐릭터를 등장시켜 심폐소생술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과 열정이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줬다.대학생·일반부 대회에서는 ‘베트남에서 시집온 며느리가 갑자기 쓰러진 시어머니를 심폐소생술로 소생시킨다’라는 주제로 경연을 펼친 청도 다문화 이웃으로 구성된 ‘CPR 다문화 고부열전’팀이 대상을 차지했다. 학생·청소년부 대회는 소싸움 관람 중 심정지가 온 상황을 촌극으로 준비한 청도 이서고등학교 ‘청심환’팀이 심사위원으로부터 무대 표현의 완성도와 독창성, 심폐소생술 시행 등 합산점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대상을 수상했다.대상을 수상한 ‘CPR 다문화 고부열전팀’과 ‘청심환’팀은 오는 6월 22일 세종에서 열리는 제12회 전국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대회에 경북 대표로 참가하게 된다.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이번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은 코로나 이후 처음 개최된 행사로 참가팀의 열정과 공감이 넘치는 성공적인 대회였다”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심폐소생술 시행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홍보를 펼치고, 일반인이 참여하는 교육과 경연대회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자치경찰위원회는 지난 7일 구미에서 도민의 목소리를 듣고 치안전문가들과 함께 범죄예방 클린&안심 경북 만들기 캠페인을 펼쳤다고 밝혔다.▲ 자치경찰 치안솔루션팀 가동(사진=경북도) 경북자치경찰위원회는 김창혁 경북도의원, 치안행정길라잡이 정책연구단, 구미경찰서, 자율방범대, 상인회 등 관계자 60여명과 함께 구미 진평동 음식특화거리 밀집 상가와 원룸촌 주변에 대해 범죄예방진단과 환경정화를 마치고, 치안전문가로 구성된 ‘치안솔루션(Solution)팀’과 범죄예방 대책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치안솔루션팀은 생활안전분야 치안행정 정책연구단을 포함해 관련분야 전문가, 교수, 경찰서 CPO(범죄안전진단팀) 등으로 구성돼 있다.Pre-CAS(범죄위험도예측분석시스템)과, Geo-pros(지리적 프로파일링) 등 과학적 분석과 빅데이터 기반 범죄예방진단, 지역주민 여론, 전문가 제언을 통해 CPTED(범죄예방환경설계)대책을 제시해 지속적인 관리를 한다.이날 경북자치경찰위원회는 대상지역에 중점 정화구역을 설정한 뒤 범죄예방 시설물 설치, 범죄취약지 등을 구석구석 점검했다. 또 대책회의를 통해 범죄예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지역 대기업과 협업해 사회공헌기금을 확보하여 CPTED(범죄환경설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보안등·솔라바닥등 설치로 거리 주변 조도 향상, CCTV·패턴구조물 설치로 범죄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행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기로 했다. 한편, 경북자치경찰위원회는 행사에 앞서 진평파출소를 방문해 도민과 가장 밀접한 거리에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현장경찰관들에게 표창을 수여하고, 다가올 자치경찰제의 핵심은 현장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밤낮없이 지역치안을 위해 일하는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이날 행사를 이끈 이순동 경북자치경찰위원장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치안전문가들과 함께하는 치안솔루션팀을 활성화시켜 안전한 경북만들기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하며, “앞으로도 대상지역 과학적 범죄분석과 빅데이터 기반 범죄예방대책으로 미래치안시대를 선도하는 경북자치경찰로 거듭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경북도는 지난 7일 포항문화예술회관에서 제51회 보건의 날 기념행사를 열어 코로나19 대응에 힘쓴 보건의료인을 격려하고 도민과 함께 건강한 일상을 되찾아가는 계기를 마련했다. ▲ 제51회 보건의 날 기념식(사진=경북도) 기념식에는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박용선 경북도의회 부의장, 시·도의원, 보건의료 단체장, 시군 보건소와 보건의료기관 종사자, 지역주민 등 1000여명이 참석했다. 보건의 날은 세계보건기구(WHO) 창립기념일(1948. 4. 7.)을 세계보건의 날로 제정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1973년부터 매년 4월 7일을 보건의 날로 지정·운영하고 있다.올해 보건의 날 슬로건은 세계보건기구의 ‘HEALTH FOR ALL’을 바탕으로 ‘모두가 건강한 나라, 행복한 대한민국’으로 정했으며, 국민 모두의 건강한 삶을 기원하며 ‘5천보 걷기 챌린지’를 진행하는데,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누리집을 통해 참여 가능하다. 이날 행사에는 ‘누가 뭐래도 우리는 참 잘 살고 있습니다’라는 정신건강을 주제로 한 기웅아재의 특강을 비롯해 야외광장에서는 행복한 임신?출산 상담, 마음건강 상담, 맨발걷기 등 체험부스를 운영해 행사장을 찾은 지역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또 도민 건강증진에 기여한 보건기관 8개소에 도지사상이 수여됐고, 개인표창으로 국무총리상 1명, 보건복지부장관상 8명, 도지사상 66명등 총 75명에게 표창이 수여됐다. 이제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혼란에 덮여 있던 도민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재정립의 시기로, 보건의료분야에서도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경북도에서는 보건의료분야에 4차 디지털 산업인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을 도입해 AI·IoT 기반 건강관리, 원격진료 등으로 100세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 맞춤 자립형 건강마을 조성(31개 읍면동), 저출산 극복을 위한 공공 난임센터 운영, 전국 최초 소득불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대화기부 운동을 통한 K-외로움 극복사업 등 건강격차 해소를 위해 경북도만의 특화된 보건의료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지난 3년 남짓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최일선에서 도민의 건강을 위해 헌신하신 보건의료인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지방시대, 자치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로 「모두가 건강한, 행복한 경북」을 만드는 데 하나 된 힘으로 최선을 다하자”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최근 트렌드로 자리 잡은 ‘인생사진’을 찍을 수 있는 관광지를 알리고 즐기는 방법을 공유하기 위해 ‘2023 경북여행 숏폼 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경북여행 숏폼 영상 공모전 이번 공모전은 오는 21일부터 5월 22일까지 진행되며,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지역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공모 부문은 ‘경상북도 테마 여행’과 ‘경상북도 자유 여행’으로, 두 부문 중 1개를 채택해 60초 내외의 영상을 자유롭게 촬영·제작해 인스타그램 릴스에 해시태그와 함께 올린 후 지원서와 영상을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심사는 주제의 적합성, 창의성, 완성도 등을 기준으로 내부 심사를 거쳐 6월 중 수상작을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시상으로 부문별 대상 500만원, 금상 200만원, 은상 50만원을 비롯해 기프티콘 등 총 276팀에게 상금과 상장, 경품을 증정한다. 수상작은 경북도와 경북문화관광공사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업로드하고 경북도 관광 홍보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경북도의 새로운 관광 홍보로 활용되길 바라며, 새롭게 시도하는 숏폼 영상 공모전에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한다”고 밝혔다.자세한 내용은 경북나드리 홈페이지와 경북나드리 SNS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북도는 해양수산부 주관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감도(사진=경북도)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 혁명기술을 수산물 가공부문에 적용해 스마트 관련 기반시설과 기술개발(R&D), 창업 및 비즈니스 지원센터 등을 한 곳에 모은 일종의 산업단지다. 올해부터 2026년까지 4년간 총사업비 380억원(국비 266억원, 도비 114억원)을 투입해 영덕 강구면 금호리에 위치한 로하스농공단지 일대에 스마트기술(IoT, AI 등)이 적용된 공유기반 수산물 가공시설과 콜드체인 자동물류시스템, 빅데이터센터, 디자인통합지원센터 등을 주요시설로 하는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사업을 통해 경북 동해안 전략품종(붉은 대게, 오징어, 가자미)에 대한 스마트 가공 인프라를 구축하고,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수산가공식품 업체뿐만 아니라, 양식업자, 어업인, 지자체 및 기업지원기관과 정보를 공유해 예측 가능한 수산가공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 구축 운영 중인 수산식품거점단지(포항, 영덕, 울진) 내 자동화 생산시설의 스마트화를 지원해 스마트 생산기반 고부가가치 상품을 통한 수출경쟁력 강화와 청장년창업지원을 통해 지역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경북도는 민선 8기 해양수산분야 역점 프로젝트인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 경주 블루푸드 플라자 건립, 마린보이 프로젝트, 수산부산물 업사이클링 상용화센터 구축, 어촌신활력증진사업 확대 등 산·학·민·연의 전문가와 협업해 ‘어업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현재 추진 중인 스마트양식클러스터 조성사업은 포항에 연어 스마트양식 기반 시험시설 및 대규모 양식장 가공처리시설, 배후단지 조성을 위해 총사업비 400억원을 투입해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도비 10억원을 반영해 어촌 청년유입을 위한 마린보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사업(14억원), 어촌신활력증진사업(96억원)을 통해 대규모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2024년도 국비사업 건의를 위해 블루푸드테크 R&BD 개발, 수산부산물 업사이클링 상용화센터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등 빠르게 변화하는 해양수산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김중권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스마트 기술을 수산가공식품산업에 접목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스마트 해양수산산업으로 대전환을 위해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