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5월말 중앙부처별로 국가예산안 제출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방문해 지역현안에 대해 건의했다.▲ 이달희 경제부지사 과기부 방문(사진=경북도) 먼저 과기부 1차관실을 비롯해 경북도 사업 관련 담당국장실과 부서를 방문해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해 경북도가 선정된 사업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아울러 올해 경북도에서 기획하고 있는 국책사업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지역의 우수한 인프라와 인적자원을 활용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경북도는 국가 과학기술분야 육성이 지역적 차원의 한계가 있음에도, 지난해부터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 구축사업(구미, 200억원) △나노기술기반 신소재 허브 구축사업(포항, 301억원) △메타버스 플랫폼개발 지원사업(경주, 안동, 의성, 99억원) △공학 및 기초의과분야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도내 대학교, 257억원) 등 총 10여건의 과기부 주관 국책사업을 따내는 성과를 냈다. 이번 과기부 방문에서 경북도는 문경 구(舊)쌍용부지 레거시 공간을 활용한 초실감 가상 제작방식의 △「메타버스 디지털미디어 혁신허브 구축」(국비 21억원), 디지털경제의 핵심인 △「메타버스 데이터센터 건립」, 정보보안 침해에 대응하는 △「지역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사업」 △지역 소프트웨어산업 진흥 및 로봇,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추진을 건의했다.또, 최근 대통령 미국 국빈 방문 시 MIT석학들과 디지털바이오 혁신논의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해 첨단기술을 융합해 신약을 개발하는 △「대형장비 통합활용 신약디자인 플랫폼 구축」사업을 건의했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경북도가 지방시대 선도를 위해 지역의 다양한 미래 신산업을 기획하고 새로운 사업들을 발굴해 나가고 있다”면서 정부의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실현’에 경북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경북도청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임정규)은 1일 도청 새마을광장에서 이철우 도지사, 배한철 도의회 의장을 비롯한 역대 노동조합위원장들과 1천5백여명의 직원들이 함께한 가운데 ‘2023년 직원 한마당 어울림 행사’를 가졌다.▲ 직원 한마당 어울림 행사(사진=경북도)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개최된 이번 행사는 일과 삶의 균형과 새로운 직장문화의 변화에 따라 직원들이 일과 후 틈틈이 익힌 취미생활을 선후배 및 동료들과 함께 나누며, 활기찬 직장분위기 조성을 위해 각 클럽마다 그동안 준비해온 특기와 우수 활동 사례 등을 소개하고 소통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청 내 취미클럽은 음악, 체육, 레저, 문학, 봉사활동 등 64개 클럽이 등록돼 있고 2천여명이 활동하고 있다. 아마추어 동아리인 이들은 소통과 화합을 기반으로 각종 행사의 노력봉사 지원, 도내 불우시설과 오지 등을 찾아 지역현장 상황에 맞는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경북도청의 유일한 음악밴드 동아리인‘사운드G#’은 1998년‘우리노래 보급회’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현재까지 경로당 위문 공연, 지역축제 공연 등 다양한 행사에 두루 참여하며 도민에 대한 봉사와 도정홍보에 힘쓰고 있다.도배봉사 동아리인‘행바사(행복을 바르는 사람들)’는 동아리 회원들이 개인적으로 학원을 다녀 도배 기술을 배우고 2013년부터 주거환경이 열악한 가정을 방문해 도배봉사를 해오고 있으며, 자원봉사 동아리인 ‘빛나사’와 ‘이미용봉사회’는 양로원, 고아원, 요양병원 등을 찾아 목욕 봉사와 말벗, 연탄배달, 이미용 기술을 재능 기부하고 있다.이날 행사는 공연 9팀, 전시?체험 18팀 등 27개 팀들이 클럽별 활동과 특성을 소개하고 홍보하는 한편 스트릿댄스 퍼포먼스팀 마싸크루의 비보이 댄싱 공연, 국가대표 마술사 지혜준 마술쇼, JTBC 히든싱어7 출연자 가수 김희석의 특별공연이 펼쳐졌다.임정규 경북도청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활기찬 직장분위기를 조성하고 소통하고 화합하는 조직문화를 위해 앞으로 취미클럽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조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바쁜 도정 업무에 매진하며 틈틈이 시간을 내 취미생활을 하고, 발표회를 통해 성과를 공유하고 우수사례를 전하는 데 대해 고마움을 전하며, “취미활동을 통한 자기계발은 직장생활의 오아시스 같은 것이며 이를 통해 개인과 가정, 그리고 직장에 활력과 열정이 넘쳐나 도민의 행복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북도 약사회(회장 고영일)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1일 도내 60만명 어르신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고자 2천만원 상당의 비타민D 영양제를 경북도에 기탁했다. ▲ ‘어르신 영양제’기탁(사진=경북도)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고령인구 증가로, 지난해 말 기준 경북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1만명에 이르고 있다. 비타민D는 칼슘 대사를 조절해 체내 칼슘 농도의 항상성과 뼈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로써 어르신들에게는 꼭 필요한 영양제다.1954년에 설립되어 도내 약국, 의료기관 등 1천7백명의 회원이 있는 경북도 약사회는 울진 산불 발생 시 피해지역에 이동약국을 운영하고, 1억2천만원 상당의 구호의약품을 지원하는 등 재난 극복에 헌신적으로 동참하며 지역사회와 함께 해왔다. 또 공공심야약국 운영 등 아플 때 손 내밀 수 있는 지역사회의 가장 가까운 ‘약손’으로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봄철 어르신들의 각종 활동이 많아져 체력 보충이 필요한 시기에 가정의 달을 맞아 경북도 약사회에서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영양제를 기탁해 의미가 깊다”면서 “기증받은 영양제는 어르신의 건강을 위해 유용하게 쓰겠다”라고 밝혔다.
종합건축자재 전문기업 에스와이와 그래핀 소재 분야 연구개발 및 기술컨설팅 전문 기업인 그래핀월드가 손을 맞잡고 그래핀을 활용한 불연 신소재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 상용화 제품 생산을 위한 제조시설 투자에 나선다. *그래핀(Graphene) : 탄소원자가 벌집모양의 육각형의 결정을 가진 탄소의 2차원적 동소체▲ 에스와이ㆍ그래핀월드 투자양해각서 체결(사진=경북도) 경북도와 경산시는 1일 경북도청 K-창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조현일 경산시장, 김옥주 에스와이 부회장, 이길영 그래핀월드 회장, 도의원 및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그래핀 소재 건축용 패널 개발 및 제조시설 신설에 관한 내용으로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이번 협약을 토대로 그래핀월드는 그래핀을 활용해 불연성이 뛰어난 신소재를 개발ㆍ공급하고, 에스와이는 이를 단열재에 접목해 불연 건축자재 상용화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에스와이는 2026년까지 국내복귀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경산4일반산업단지 내 3만3천㎡ 부지에 250억원을 신규 투자해 6천6백㎡ 규모의 제조시설을 건립하고, 60여명의 인력을 추가 고용할 예정이다.한편, 에스와이는 2000년 회사 설립 이래 건식 건축자재 전문 생산기업으로 건축기자재 및 제조 분야에 100여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국내 건축 외장용 패널 분야에서 업계 1위로 국내를 넘어 세계 최고의 건축자재 전문기업으로 발돋움하고자 해외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이날 협약식에서 김옥주 에스와이 부회장은 “경북도 및 경산시의 지원과 그래핀월드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에스와이 주식회사는 기술혁신을 주도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또, 이길영 그래핀월드 회장은 “그래핀 소재는 불연소재이며, 특히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해 다양한 산업영역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스와이와 협업으로 불연 및 준불연 건축소재를 개발해 건축시장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이라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 미래먹거리 소재인 그래핀 관련 사업장을 지역에 투자 결정한 기업 관계자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2023년 CES 최고 혁신상을 받은 기업*도 이미 포항으로 본사를 이전한 바 있어, 이번 투자 협약을 통해 경북이 그래핀 산업으로 더욱 활성화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래핀스퀘어(주), 2020년 10월 경기 수원에서 포항으로 이전
경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주관한 「2023년 식량작물 공동경영체 육성사업」추가 공모사업에 3개 경영체가 선정돼 국비 24억원(총사업비 59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경주천북 논콩(사진=경북도) 이번 추가 공모사업에는 전국 5개도에서 27개 경영체가 신청해 농림축산식품부의 1차 서면평가, 2차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23개 경영체가 선정됐으며, 이중 경북도가 신청한 3개 경영체가 모두 선정돼 최다 국비를 확보했다.선정된 경영체는 경주에 소재하고 있는 지초영농조합법인, 케이디디영농조합법인과 안동에 소재한 안동농협이다.* 교육컨설팅 : 지초영농조합법인·케이디디영농조합법인(경주), 사업비 각 30백만원* 시설장비지원 : 지초영농조합법인(경주) 430백만원, ·케이디디영농조합법인(경주) 415백만원* 사업다각화 : 안동농협(안동), 5,000백만원식량작물 공동경영체 육성사업은 쌀 적정생산을 유도하고 식량작물 전반에 걸친 생산유통여건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농업법인, 농협, 협동조합 등을 대상으로 50ha이상 집단화된 들녘을 공동·생산 관리하도록 교육컨설팅 후 시설·장비 지원을 거쳐 최종 단계로 가공·체험·관광 등 사업다각화를 통해 농가소득을 견인하기 위한 사업이다.사업비는 교육컨설팅 3천만원, 시설장비지원 5억원, 사업다각화는 50억원까지 지원한다.이번 사업에 선정된 경주 외동읍에 소재한 지초영농조합법인은 15호의 농가가 참여해 외동읍 일대 52ha의 농지에서 밀·보리+콩·벼 등 이모작 체계로 공동 영농해 소득을 올리고 있는 법인으로 사업추진에 대한 의지와 결속력이 높고, 발전 가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시설·장비 지원 사업자로 선정됐다.경주 케이디디 영농조합법인은 강동면 일대의 농지 77ha에 벼를 위주로 밀, 조사료 등을 재배해 농가소득을 창출하고 있는 법인으로 이번 사업 지원을 통해 벼재배 면적을 감축해 논콩 재배를 확대하고 밀, 조사료 등과 연계해 이모작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시설·장비구입 등 사업비를 지원 받게 됐다. 사업다각화 사업 대상자로 선정된 안동농협은 2008년 안동생명콩을 브랜드화한 두부가공시설을 설립 운영해 지난해 11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안동 콩 재배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해 왔다. 이번 사업신청은 시설이 노후하고 공장가동률이 180%에 이르는 등 판매 주문량을 감당하지 못해 가공시설을 신규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업이 선정됨에 따라 오는 2025년에는 150억원의 매출액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아울러, 경북도에서는 올해 농식품부 공모사업으로 기 선정된 13개 경영체(17개 사업, 18억4천1백만원)도 식량작물(콩, 밀) 재배면적의 확대뿐만 아니라 유통·가공 등 연계지원을 통해 농가소득이 향상될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지난해 러·우 전쟁 등의 영향으로 세계 각국이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쌀값 하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며, “벼 중심의 식량생산에서 벗어나 쌀은 고급화하고 벼 이외 밀, 콩의 생산을 늘리기 위한 식량공동경영체육성 사업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일 경찰청의 「마약예방 온라인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해 SNS(페북?인스타 등)에 인증샷을 게재하고 홍보에 나섰다.▲ 마약예방 온라인 릴레이 캠페인(사진=경북도) 경찰청 주관으로 지난달 26일부터 연말까지 유관기관 합동으로 진행하는 릴레이 캠페인은 마약사건이 최근 초·중·고등학생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함에 따라, 전 국민에게 마약중독의 위험성 환기와 경각심을 고취해 마약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철우 도지사는 2호 주자로 최주원 경북경찰청장의 지목을 받아 참여했으며, 캠페인 문구가 든 패널을 들고 “마약, 왜 하려고 하십니까? 절대 쳐다도 보지 말고, 생각도 하지 마십시오!”라고 강하게 외치며 마약을 근절하자는 염원을 영상에 담았다. 참여 인증사진에 활용되는 캠페인 이미지는 중독성이 강해 단 한 번만 투약해도 헤어 나오기 어려운 마약의 특성을 「출구 없는 미로」라는 표어와 이미지로 형상화한 것이다.이철우 도지사는 마약 예방 캠페인 공감대 확산을 위해 다음 주자로 미래세대의 주역인 초·중·고등학생들과 270만 도민의 안전과 안녕을 수호하자는 상징적 의미로써 임종식 경북도교육감과 배한철 경북도의회 의장을 지목했다.경북도는 마약근절을 위해 △유관기관 합동 불법 마약류 퇴치 캠페인 △청소년 등 약물 오?남용 폐해 예방 교육 △학교?학원가 주변 의약품 등 허위?과대광고 집중 감시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근 SNS, 다크웹, 가상화폐를 이용해 마약류를 쉽게 접하게 되면서 관련 범죄도 증가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경각심 환기는 물론 경북만큼은 ‘마약 청정지역’이 될 수 있도록 마약 근절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지난 4월 27일부터 경북도에서 개최된 전국 생활체육동호인들의 최대 축제인 「2023 전국생활체육대축전」이 30일 구미복합스포츠센터에서 열린 폐회식을 끝으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전국생활체육대축전(사진=경북도)이번 2023 전국생활체육대축전은 전국 17개 시도 선수단 2만여명이 참가했고, 도내 11개 시군 54개 경기장에서 열린 43개 종목에 출전해 열전을 펼쳤다.28일 개회식에는 조용만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기홍 대한체육회장 등이 참석해 참가 선수들에게 아낌없는 응원을 보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개회식에서 “전국생활체육대축전이 시·도간 순위보다 화합과 참여의 의미가 큰 행사인 만큼 참가 선수단과 경기장을 찾아주신 관람객들께서는 맘껏 즐기시고 좋은 추억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며 “이번 대축전을 통해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경북도에도 많은 응원과 힘을 보태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경북도는 이번 개회식에서 ‘경북이 주도하는 확실한 지방시대’라는 주제 아래, 참가 선수단이 생활체육을 통해 우정과 화합의 시간을 만드는데 중점을 두고 180분간 관객들에게 감동의 무대를 선보였다.▲ 전국생활체육대축전(사진=경북도) 대축전 주 개최지인 구미를 대표하는 무을농악단, 세계 속에 K-치어리딩을 널리 알리고 있는 구미대학교 천무응원단, 농악의 대중화와 전통놀이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한두레마당예술단의 공연으로 축제의 시작을 알렸다.이어 공식행사는 개식통고, 대한민국 최초 반도체 전자공업도시인 구미를 상징하는 K-반도체를 형상화한 피켓을 든 선수단 입장, 대축전 개최를 축하하고 참가 선수단을 격려하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환영사, 생활체육을 통해 소통하고 정정당당한 경기를 약속하는 동호인 다짐 및 주제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특히, 주제공연에서는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경상북도의 저력과 ‘경북이 만들어가는 지방시대’의 비전을 담은 구미시립무용단의 공연, 경북의 4대 정신 미디어 퍼포먼스를 선보인 K-타이거즈의 화려한 무대와 레이저·조명·불꽃놀이 등으로 구성된 복합멀티미디어쇼가 진행돼 축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켰다.또 송가인, 김희재, 조명섭 등 인기가수들의 화려한 축하 공연이 이어져 경기장을 찾은 관객들의 즐거움을 더했다.아울러 주경기장 입구 부대 행사장에는 경상북도 농수산물 판매장과 청년기업 제품 판매, 중소기업 공동브랜드인 실라리안 홍보관, 관광 안내 부스 등을 운영했고, 스포츠 안전체험, 소방 안전체험, 키즈존(kids-zone) 등 체험 행사를 통해 활기차고 즐거운 경기장 분위기를 조성했다.30일 폐회식은 축하공연, 성적발표, 종합시상, 차기 개최지인 울산광역시에 대회기 전달 등의 순서로 진행돼 이로써 4일 간의 대장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한편, 2021년 전국체전과 2022년 전국소년체전에 이어 2023 전국생활체육대축전을 개최함으로써 경북도에서 3년간의 전국단위 체육대회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지난 2년간 체전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다져진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진행된 이번 대축전은 다양한 문화와 즐길 거리가 가득한 축전으로 호평 받았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7%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56(-288)1,425,3962,233(-325)1,421.063(+481)2,100(-) * 국내 155, 국외 1 * 치명률(4. 29. 0시 기준) - 경북 0.15%(2,100명), 전국 0.11%(34,474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31016확진자1510310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4.25.(화) 4.26.(수) 4.27.(목) 4.28.(금) 4.29.(토) 4.30.(일) 5.1.(월) 누계(주)평균(주)검 사7348,9948,3844,2714,4451,6551,08929,5724,224.6확진자391(0)592(1)479(2)452(1)434(3)444(2)156(1)2,948(10)421.1(1.4)* 직전주 월요일(4.24) 현황 : 검사 3,601건, 확진자 198명(▼ 21.2%)(단위 : 명, %)구 분4.25.4.26.4.27.4.28.4.29.4.30.5.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3915914774514314421552,938419.7연령별60세↑확진자수(%)123(31.5)214(36.2)190(39.8)170(37.7)157(36.4)156(35.3)51(32.9)1,061(36.1)151.618세↓확진자수(%)54(13.8)76(12.9)60(12.6)51(11.3)55(12.8)59(13.3)20(12.9)375(12.8)53.6외 국 인3(0.8)10(1.7)2(0.4)2(0.4)2(0.5)4(0.9)1(0.6)24(0.8)3.4 □ 시·군별 발생(국내 1,421,309, 유입 4,087)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25,396명292,737125,08275,87288,262255,00858,01350,05044,81738,003163,3348,784(+156)(+20)(+28)(+14)(+8)(+36)(+1)(+12)(+6)(-)(+2)(+1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30811,1046,37016,57918,05012,47416,20057,02130,11712,04921,9772,185(+1)(+3)(+1)(+4)(+1)(-)(+1)(+2)(+2)(-)(+2)(-)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지난 27일 전라남도 순천오천그린광장을 비롯한 전남 일원에서 경북?전남의용소방대 연합회장 및 다문화 의용소방대원 등 100여명이 참석해 상생발전 화합행사를 가졌다.▲ 영호남 의용소방대연합회 상호교류 협약(사진=경북도) 이번 교류행사는 영?호남 의용소방대 상호교류를 통한 지방시대 안전문화를 선도하고, 의용소방대 상호협력을 통한 재난대응 및 피해복구 공조체계를 구축하고자 추진하게 됐다.주요 내용으로는 △상호교류 협약 체결 △감사패 증정 △정원박람회 및 상생장터 관람 등 소통행사 △상생협력 화합대축전 개막식 참석 등의 내용으로 진행됐다.이번 행사에는 경북의 다문화 의용소방대원 10여명이 함께 참여해 전남의용소방대 연합회장들과 함께 교감하며 동서 화합을 다지고 다문화 의용소방대원과 함께 안전한 지역공동체를 만드는 상생비전을 제시하는 뜻깊은 기회가 됐다.한편, 전라남도 의용소방대연합회 회원 100여명은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내습 시 포항 구룡포시장을 방문해 피해복구 활동을 펼친 바 있다.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상호교류를 통해 영?호남 이해의 폭을 넓히고 협력 증진, 지역의 안전문화 이해와 문화적 통합으로 의용소방대가 지방시대 안전문화를 선도하는 단체가 될 수 있도록 교류행사를 더욱 확대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경북도와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이하 공사)는 지난 27일 ‘2023 경북 국외 전담여행사 상생협력 간담회’를 개최해 외국인 관광객 경북 유치를 위한 소통 행보에 나섰다.▲ 국외 전담여행사 상생협력 간담회(사진=경북도) 이번 간담회에서는 전국 공모로 선정된 2023 경북 국외 전담여행사 10개사(아리랑투어써비스, 여행공방, 유에스여행, 이투어리즘, 인터코리아팔공신휴, 정호여행사, 프리미엄패스인터내셔널, 플러스플래너, 화은국제여행사, TK트래블) 대표와 경북도 및 공사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경북 관광 활성화 방안 논의와 지정서 수여식을 가졌다.경북도에서는 ‘2023 한국 방문의 해’를 맞아 본격적으로 외국인 경북 유치 및 경북 특화형 관광 마케팅 활동을 실시한다. 이번에 선정된 여행사를 대상으로 △경상북도 신규콘텐츠 개발 팸투어 지원 △경상북도 관광상품 온·오프라인 홍보비 지원 △온라인 여행플랫폼(OTA) 내 경상북도 관광 상품 등록 인센티브 지원 △해외 오프라인 공동마케팅 활동 지원 △경상북도 외국인 관광객 유치 지원 △단체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추가 지원 등과 같은 전반적인 마케팅 활동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전담여행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해외관광객들을 경북으로 유치하기 위한 실질적인 의견을 적극 공유하는 등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면서, “국제관광 회복이 가속화되는 시점에 경북 국외전담여행사들을 필두로 선제적인 홍보마케팅을 펼칠 수 있도록 총력을 다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28일 “2023년 햇살에너지농사 지원사업” 지원대상자 127개 농가를 선정해 137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밝히고, 포기자 발생에 대비해 예비후보 20개소를 추가로 발표했다.▲ 태양광발전시설설치사례(축사지붕)(사진=경북도) 지난 3월 20일부터 4월 14일까지 2023년 햇살에너지농사 지원 신청을 접수한 결과, 평균 2.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324개 농어가가 신청한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도내 거주기간, 농어업 종사기간 등 서류평가와 햇살에너지농사 추진단 심의를 거쳐 127개 농가를 최종 선정했다.햇살에너지농사 지원사업은 신재생에너지 확대보급을 위해 전국 자치단체 중 경북도가 최초로 추진하고 있는 역점사업으로, 2016년부터 매년 에너지사업육성기금을 조성해 추진해 왔으며 올해까지 총 530억원을 조성했다.이 사업은 농촌 유휴부지, 축사 등에 태양광을 설치해 전기 생산·판매를 통해 일정한 농외소득을 창출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보급 정책에 부응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어 해마다 신청이 증가하는 추세다.지원대상은 도내 주소를 둔 농어업인 및 농어업인 단체로, 개인은 태양광발전 시설용량 100㎾ 이하 기준 1억4천만원까지, 단체는 태양광발전 시설용량 500㎾ 이하 기준 7억원까지 지원되며, 6개월 거치 11년 6개월 분할상환으로 연리 1%로 융자지원하게 된다.다만, 식량안보 및 농지훼손 우려 등을 감안해 논·밭·과수원 등 농작물 경작지로 이용되는 농지, 건축물대장 미등록 및 준공검사가 완료되지 않은 건축물 등에 대해서는 지원하지 않는다.이번에 선정된 지원대상자는 경상북도 누리집(http://www.gb.go.kr)“도정소식-알림마당/고시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태양광발전소를 준공한 후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사용전 검사를 완료하고, 추천서류와 설치완료보고서 등을 준비해 지역 농?축협에 융자지원을 신청하면 된다.장상길 경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농어업인 대상 햇살에너지농사 지원사업에 대한 도민들의 뜨거운 관심과 호응에 감사드리며 앞으로 더 많은 농어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에너지사업육성기금을 확대 조성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경북도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각양각색의 지역축제와 다양한 체험거리, 가족단위로 방문할 관광지를 소개하고 여행객 맞이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경북 지역축제 5월에는 따스한 봄볕 아래 풍성하고 다채로운 축제가 준비돼 있다.지난 주말 시작된 문경찻사발축제를 시작으로 4일 안동민속축제와 예천 활축제, 5일에는 경상북도 지정축제인 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가 열린다. 안동시는 올해 50회를 맞는 안동민속축제를 ‘차전장군 노국공주축제’로 탈바꿈해 안동의 대표민속놀이인 차전놀이와 놋다리밟기를 통해 타 지역과 차별화된 전통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11일부터는 도 지정축제인 영양 산나물축제가, 18일에는 성주 참외&생명문화축제가 개최될 예정이다. 또 26일에는 문체부 지정 문화관광축제인 포항 국제불빛축제가 시작되고 27일에는 영주 소백산철쭉제가 기다리고 있다. 특히 경북도는 영주 소백산 철쭉제와 연계, 열기구 체험 이벤트를 운영하는데, 축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5.27~28, 양일간 영주 서천둔치에서 특별한 열기구 체험을 할 수 있다.한편, 경북을 방문하면 가족, 친구들과 다양한 볼거리, 체험거리를 즐길 수도 있다. 아이들과 가기 좋은 전시?학습 여행지와 명상체험, 액티비티 등 놀이체험은 세대를 아우르는 관광코스로 손색이 없다.특별한 장소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이 사회관계소통망(SNS)을 통해 퍼져나가면서 핫플레이스가 되고 이는 곧 ‘관광 트렌드’가 된다. △포항 스페이스워크 △청도 루지체험 △김천 부항댐 짚와이어 △안동 문보트 △영주 방탈출게임 △문경 사격체험?산악바이크 △상주 승마체험 △울진 요트타기 등 경북에 오면 특별한 액티비티 체험을 즐길 수 있다. 5월은 캠핑을 즐기기에도 제격이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캠핑인구는 700만명 이상으로 코로나19 이후 비대면의 일상화에 따라 캠핑관광 수요는 급격히 늘어났다. 경북 관내 야영장 수는 415개소로 주말이면 핫한 캠핑장은 예약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경북은 강?산?해를 모두 보유한 천혜의 자연환경을 벗 삼아 불멍, 숲멍, 물멍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경북의 대표적인 캠핑명소로 오류해변 솔밭을 품에 안은 경주 오류캠핑장과 20리에 이르는 기다란 백사장과 바다 뷰가 으뜸인 영덕 고래불국민야영장을 추천한다. 그 외에도 낙동강 수상 레포츠를 즐기며 ‘물멍 때리기’ 좋은 상주보 오토캠핑장, 숲 속에서 숲멍을 즐기기 좋은 봉화 청옥산 캠핑장도 캠퍼들에게 인기가 높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올해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관광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게 피부로 느껴진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 친구들과 ‘멋?맛?재미’가 있는 경북으로 여행 오셔서 평생 기억에 남을 좋은 추억거리를 많이 담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경북도에서는 다양한 관광콘텐츠 발굴과 여행 편의를 지원해 경북 관광을 즐기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한편, 경북도는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본격적인 관광업계 회복을 기대하고 있는 가운데, 올 3월말 기준 관광객 수(주요관광지점 342개소 기준)는 861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으며, 도내 내국인 관광 지출액(BC?신한카드 빅데이터)은 2천9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7%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444(+10)1,425,2402,558(+231)1,420,582(+213)2,100(-) * 국내 442, 국외 2 * 치명률(4. 29. 0시 기준) - 경북 0.15%(2,100명), 전국 0.11%(34,474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23008확진자533001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4.24.(월) 4.25.(화) 4.26.(수) 4.27.(목) 4.28.(금) 4.29.(토) 4.30.(일) 누계(주)평균(주)검 사3,6017348,9948,3844,2714,4451,65532,0844,583.4확진자198(1)391(0)592(1)479(2)452(1)434(3)444(2)2,990(10)427.1(1.4)* 직전주 일요일(4.23) 현황 : 검사 1,799건, 확진자 404명(▲ 9.9%)(단위 : 명, %)구 분4.24.4.25.4.26.4.27.4.28.4.29.4.30.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973915914774514314422,980425.7연령별60세↑확진자수(%)71(36.0)123(31.5)214(36.2)190(39.8)170(37.7)157(36.4)156(35.3)1,081(36.3)154.418세↓확진자수(%)16(8.1)54(13.8)76(12.9)60(12.6)51(11.3)55(12.8)59(13.3)371(12.4)53.0외 국 인2(1.0)3(0.8)10(1.7)2(0.4)2(0.4)2(0.5)4(0.9)25(0.8)3.6 □ 시·군별 발생(국내 1,421,154, 유입 4,086)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25,240명292,717125,05475,85888,254254,97158,00150,04444,81738,001163,3228,784(+444)(+93)(+1)(+58)(+33)(+37)(+52)(+10)(+12)(+8)(+16)(+63)(+1)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30711,1016,36916,57518,04912,47416,19957,01930,11512,04921,9752,185(+3)(+4)(+1)(+2)(+7)(+1)(+4)(+8)(+19)(+5)(+4)(+2)(-)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7%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434(-18)1,424,7962,327(+76)1,420,369(+358)2,100(-) * 국내 431, 국외 3 * 치명률(4. 28. 0시 기준) - 경북 0.15%(2,100명), 전국 0.11%(34,471명) * 오신고 누계 정정 :안동 ?1명(′23.4.20)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560115확진자81080733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4.23.(일) 4.24.(월) 4.25.(화) 4.26.(수) 4.27.(목) 4.28.(금) 4.29.(토) 누계(주)평균(주)검 사1,7993,6017348,9948,3844,2714,44532,2284,604.0확진자404(1)198(1)391(0)592(1)479(2)452(1)434(3)2,950(9)421.4(1.3)* 직전주 토요일(4.22) 현황 : 검사 3,509건, 확진자 449명(▼ 3.3%)(단위 : 명, %)구 분4.23.4.24.4.25.4.26.4.27.4.28.4.29.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4031973915914774514312,941420.1연령별60세↑확진자수(%)92(22.8)71(36.0)123(31.5)214(36.2)190(39.8)170(37.7)157(36.4)1,017(34.6)145.318세↓확진자수(%)19(4.7)16(8.1)54(13.8)76(12.9)60(12.6)51(11.3)55(12.8)331(11.3)47.3외 국 인2(0.5)2(1.0)3(0.8)10(1.7)2(0.4)2(0.4)2(0.5)23(0.8)3.3 □ 시·군별 발생(국내 1,420,712, 유입 4,08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24,796명292,623124,99675,82588,217254,91957,99150,03244,80937,985163,2598,783(+434)(+101)(+46)(+27)(+31)(+38)(+23)(+1)(+19)(+17)(+1)(+14)(+61)(+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30411,0966,36716,56818,04812,47016,19157,00030,11012,04521,9732,185(+2)(+2)(+1)(+2)(+4)(+2)(+4)(+3)(+17)(+6)(+2)(+7)(-)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28일 경북 샤인머스켓의 품질관리와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관계자 및 전문가 20여명이 모인 가운데「경북 샤인머스켓 Fresh Start 협의회」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샤인머스켓 새 출발‘Fresh Start’협의회(사진=경북도) 샤인머스켓은 우리나라에서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된 포도 품종으로, 지난해는 점유율 1위를 차지하던 캠벨얼리를 제치고, 전체 생산되는 포도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샤인머스켓 비중 : 전국 포도면적 14,655ha 중 6,067ha(41%)그러나 생산농가에서 많은 소득을 올리기 위해 점차 많은 포도송이를 착과시키고, 미숙과를 조기 출하해 지난해 소비자들은 품질이 낮은 샤인머스켓을 맛보게 됐다. 그 결과 소비자의 재구매율은 떨어지고, 가격은 40% 가량(2022. 10월 기준) 하락하게 됐다.이에 농업기술원은 김천, 영천, 상주, 경산 등 주산시군 농업인 대표 및 지도공무원, 각계 전문가와 함께 올해 샤인머스켓 품질관리를 도모하고자 협의체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가졌다.* 주산시군(김천,영천,상주,경산) 비중 : 전국 샤인머스켓 면적의 79.5%협의회에서는 올해 샤인머스켓 유통 전망과 재배현장 실태를 공유하고, 경북 샤인머스켓의 명성을 회복할 수 있는 분야별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나눴으며, 고품질 샤인머스켓 생산에 대한 다짐과 지역사회 분위기 조성을 결의하는 장이 됐다.조영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올해는 경북 샤인머스켓이 새출발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고품질 샤인머스켓 생산에 대한 지속적인 농가 독려와 분위기 확산으로 소비자들이 믿고 찾는 경북의 샤인머스켓을 만들겠다”고 전했다.
경북도는 28일 안동에서 청렴도민감사관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렴도민감사관 역량강화 및 민ㆍ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2023년 청렴도민감사관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 청렴도민감사관 역량강화 워크숍(사진=경북도) 이번 워크숍은 도민의 도정 참여 기회확대 및 반부패 청렴정책과 방향 공유, 전문가 특강ㆍ청렴콘서트 등을 통한 청렴도민감사관 역량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이날 워크숍은 정성현 경북도 감사관의 청렴도민감사관 제도 운영 등 추진경과 보고와 청렴도민감사관 제도 개선 및 건의사항에 대한 토론, 노남경 구미 시민감사관의 우수사례 발표, 이진석 영남사이버대학 교수의 청렴 국악공연, 정승호 더더교육 대표의 도민감사관의 역할과 청렴도 제고 특강 순으로 진행됐다.경북도가 운영하고 있는 청렴도민감사관 제도는 1996년 명예감사관 제도로 시작해 2014년 ‘청렴도민감사관’으로 개칭했다.현재 제7기 경상북도 청렴도민감사관 174명이 위촉돼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년의 임기동안 포항 등 23개 시군에서 청렴파수꾼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현재 경북도에서는 지역별 순회 간담회 개최 등으로 다양한 지역 현안을 공유ㆍ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민원ㆍ건축ㆍ공사현장 등 전문적인 감사분야에 청렴도민감사관을 참여시키고 있으며, 앞으로도 도민과 함께하는 도민감사관 제도 운영을 위해 도민감사관의 역할범위 확대 등 다양한 시책을 개발ㆍ추진해 나갈 예정이다.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도민감사관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더욱 청렴한 경북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
[유용한 정보] 폐암 초기 증상 기침 조심하세요
[좋은글] ♤ 아름답게 살아가는 사람 ♤
[뉴스] 군위군 직장공장새마을協, 산성면 어르신 대상 족욕봉사 및 닭백숙 나눔 행사
[뉴스] 군위농협 협동조직장 회의 개최
[뉴스] 대구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개최
[뉴스] 군위군 부계면, 경로당에 따뜻한 손길 이어져
[뉴스] 군위군, 정신건강복지센터 통해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위기대응 강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