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북도는 미래세대주역인 경북의 유아들이 숲교육?체험을 통해 친자연적 정서와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고, 건강한 신체발달로 전인적 성장을 위한 『유아산림교육활성화사업』을 연중 추진한다고 밝혔다. ▲ 유아숲체험(사진=경북도) 유아산림교육은 유아들에게 △타인에 대한 배려를 길러주는 사회성 발달 △창의성, 집중력, 탐구능력을 증진시켜주는 학습능력 향상 △자연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키워주는 환경 감수성 향상 △면역력 증진 △자아개념 형성 등 긍정적인 효과가 알려져 국민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기 조성된 공립 유아숲체험원 22개소에 유아숲지도사 51명을 배치해 아이들이 숲속에서 마음껏 뛰어다니며 오감을 통해 자연을 만끽하고,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가져다주기 위한 다양한 자연친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아울러, 신규로 유아숲체험원 3개소를 조성하고 있으며 향후 지역유아인구와 국민수요 등을 감안해 지속적으로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하고 유아산림교육 인프라를 확대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해는 도내 공립 유아숲체험원에서 20여만명의 유아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았으며, 정부의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 발령 및 방역조치 전환으로 더 많은 유아들이 숲체험원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경북에서 자체 발굴한 전국 유일의 「찾아가는 유아숲프로그램 지원사업」을 포항 등 7개 시군의 유아보육기관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찾아가는 유아숲프로그램 지원사업은 유아숲지도사가 보육기관과 숲에 직접 방문해 △유아의숲 △교사의숲 △부모의숲 △가족의숲 4가지 프로그램을 진행해 유아를 비롯한 보육교사, 부모, 가족이 교육?체험에 참여하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지속적인 유아산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누리과정 교육정책과 연계해 경북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협업하고, 필요시 관련 조례정비와 신규 사업 발굴에도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경북의 많은 유아들이 숲속에서 자연과 교감을 통해 건강한 신체와 인성 발달로 훌륭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산림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유아산림교육 인프라 구축 등 다방면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지난 11~12일 이틀간 경주 힐튼호텔에서 ‘산업전환에 따른 지역 일자리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지역 일자리 활성화 포럼(사진=경북도) 이번 포럼은 전국 지자체의 일자리 정책 성과와 상호 정보를 교류하는 장으로 ‘지역 고용정책의 성과와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로 한국지역고용학회가 주관하는 춘계학술대회와 연계해 추진했다. 지난해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방소멸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지역의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지자체가 스스로 일자리에 대해 진단하고, 정부 일자리 사업 구조 혁신과 더불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 주도의 일자리 창출 기반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경북도는 정부 발표에 앞서 산업과 노동 전환 시대에 대비해 지역 경쟁력과 고용 성과를 높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지역과 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일자리 전략인 “생활경제권 중심 일자리 전략”을 구상했다.지역 위기 극복, 청년 유출 방지 등 지역의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해 지난해부터 지역 주력산업과 미래 전략산업을 연계한 현장 중심의 일자리 사업을 정부 일자리 공모사업과 자체 사업을 연계해 종합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이에 따라 지난해 경북 취업자 수 증가율이 146만2천명으로 전년 대비 5만2천명(3.7%) 증가, 고용률은 62.9%로 1.9%p 상승하는 등 수도권을 제외하고 역대 가장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면서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정책이 뚜렷한 고용 창출로 이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첫째 날은 경북, 강원, 대구, 대전, 충북, 경기, 부산, 전남, 전북 등 각 시도에서 추진하고 지역 일자리 현황과 개선과제에 대한 발표의 시간을 가졌다. 산업 전환기 지역 고용정책의 쟁점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지역 일자리 전문가들은 정부에 시도 자율성과 일자리 예산 지원 확대 건의를 촉구하고, 지방시대를 맞이해 지역 일자리 활성화 정책 방안을 공유하는 등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둘째 날은 지역 고용정책 연구 발표 및 경북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산업과 노동 전환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역 일자리 모델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방향 토론회가 함께 개최됐다. 세계적인 추세로 미래차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차산업의 재편과 함께 수도권 과밀화, 청년인구의 지속적인 유출 등 인구감소 심화에 따라 지역의 미래 산업 대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국에서 3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부품산업 단지를 보유하고 있는 경북은 경주?영천?경산을 중심으로 미래차 부품 산업벨트를 조성하고, 노동 전환에 따른 일자리 유지와 인력양성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올해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공모를 앞두고 있다.이 프로젝트는 우선 광역과 기초를 넘어선 협력 거버넌스를 조성하고 기업 간, 노사 간 협력과 상생을 통해 동반성장을 지향하는 산업대전환 수퍼 클러스터 구축을 핵심으로 한다. 특히, 산업 전환 위기에 지역기업 공동 협력을 위해 원·하청 기술지원과 상생 협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날 참석한 경북도 자동차 부품 기업 관계자들은 발제 내용과 경북에서 추진하는 미래차 전환 프로젝트에 공감하며, 산업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영석 경북도 경제산업국장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이끌어갈 원동력은 지역 일자리 활성화가 답”이라면서 “오늘을 계기로 시-도간 경계를 넘어선 연대와 협력을 통해 지역 일자리 정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경북도가 적극 힘을 보태겠다”라고 밝혔다.
경북도와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이하 공사)는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싱가포르 대형 쇼핑몰(OTH)에서 열린 “싱가포르 2023 K-관광 로드쇼”에 참가해 현지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K-관광 로드쇼(사진=경북도) 국내외 여행업계 58개사가 참가한 이번 행사에서 경북도는 ‘Real Korea in Korea, Gyeongsangbuk-do(한국 속의 진짜 한국, 경상북도)’라는 테마로 한국관광홍보관 내 경상북도 홍보관을 운영했다. 경북도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과 웰니스, 미식, 액티비티 등 테마별 관광콘텐츠를 소개하고, K-드라마 인기에 힘입은 도내 한류 촬영지를 홍보함으로써 현지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약 100여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경북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새겨진 다양한 기념품 증정과 함께 하회탈 목걸이 만들기 등 경북의 특색이 살아있는 체험 이벤트 운영으로 경북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켰다.또 경북의 주요관광지를 소개하는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통해 싱가포르 현지에 경북관광의 매력을 톡톡히 각인시켰다.이외에도 B2B 교류 행사에 참가해 현지 여행업계와 긴밀한 협조체계를 강화했으며, 5월 말 여행사 및 미디어 20여개사를 초청해 경북 가족여행 상품 개발 및 출시를 위한 팸투어를 운영할 예정이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지난해 경북도는 싱가포르여행사협회와 우호교류 협력 협약을 맺고, 이번 싱가포르 한국관광 로드쇼에 참가하면서 싱가포르 관광객 유치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라며 “싱가포르 `Public School Holidays` 기간에 가족 단위의 많은 관광객들이 경북을 방문할 수 있도록 싱가포르 여행업계 초청 팸투어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630(+34)1,432,6863,649(+444)1,426,931(+186)2,106(-) * 국내 630, 국외 0 * 치명률(5. 13. 0시 기준) - 경북 0.15%(2,106명), 전국 0.11%(34,597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351111확진자137211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5.8.(월) 5.9.(화) 5.10.(수) 5.11.(목) 5.12.(금) 5.13.(토) 5.14.(일) 누계(주)평균(주)검 사1,38397210,7917,7844,9373,4982,70432,0694,581.3확진자281(1)565(0)818(1)667(0)604(1)596(1)630(0)4,161(4)594.4(0.6)* 직전주 일요일(5.7.) 현황 : 검사 1,019건, 확진자 397명(▲ 58.7%)(단위 : 명, %)구 분5.8.5.9.5.10.5.11.5.12.5.13.5.14.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805658176676035956304,157593.9연령별60세↑확진자수(%)71(25.4)175(31.0)287(35.1)193(28.9)176(29.2)179(30.1)218(34.6)1,299(31.2)185.618세↓확진자수(%)39(13.9)104(18.4)123(15.1)100(15.0)91(15.1)100(16.8)89(14.1)646(15.5)92.3외 국 인2(0.7)0(0.0)8(1.0)8(1.2)9(1.5)3(0.5)2(0.3)32(0.8)4.6 □ 시·군별 발생(국내 1,428,592, 유입 4,09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32,686명294,142125,75576,29188,946256,17658,28750,29145,06338,231164,2808,818(+630)(+118)(+57)(+33)(+56)(+114)(+17)(+19)(+11)(+20)(+107)(+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37011,1666,40416,69218,11912,51916,27957,29630,22712,08222,0652,187(+10)(+1)(+2)(+9)(+9)(+5)(+4)(+23)(+7)(+2)(+4)(-)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96(-8)1,432,0563,205(+51)1,426,745(+544)2,106(+1) * 국내 595, 국외 1 * 치명률(5. 12. 0시 기준) - 경북 0.15%(2,105명), 전국 0.11%(34,591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481016확진자6710202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5.7.(일) 5.8.(월) 5.9.(화) 5.10.(수) 5.11.(목) 5.12.(금) 5.13.(토) 누계(주)평균(주)검 사1,0191,38397210,7917,7844,9373,49830,3844,340.6확진자397(0)281(1)565(0)818(1)667(0)604(1)596(1)3,928(4)561.1(0.6)* 직전주 토요일(5.6.) 현황 : 검사 4,280건, 확진자 466명(▼ 27.9%)(단위 : 명, %)구 분5.7.5.8.5.9.5.10.5.11.5.12.5.13.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3972805658176676035953,924560.6연령별60세↑확진자수(%)156(39.3)71(25.4)175(31.0)287(35.1)193(28.9)176(29.2)179(30.1)1,237(31.5)176.718세↓확진자수(%)43(10.8)39(13.9)104(18.4)123(15.1)100(15.0)91(15.1)100(16.8)600(15.3)85.7외 국 인4(1.0)2(0.7)0(0.0)8(1.0)8(1.2)9(1.5)3(0.5)34(0.9)4.9 □ 시·군별 발생(국내 1,427,962 유입 4,09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32,056명294,024125,69876,25888,890256,06258,27050,27245,05238,211164,1738,816(+596)(+109)(+1)(+50)(+43)(+54)(+109)(+23)(+22)(+15)(+10)(+76)(+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36011,1656,40216,68318,11012,51416,27557,27330,22012,08022,0612,187(+5)(-)(+2)(+5)(+8)(+5)(+8)(+31)(+7)(+4)(+7)(-)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 토속어류산업화센터(이하 센터)는 내수면 생태계 보존 및 자원회복을 위해 12일부터 18일까지 도내 주요 저수지 및 낙동강 수계 지류 하천 등에 어린고기 총 6만 마리(잉어 2만, 붕어 2만, 동자개 2만) 방류한다고 밝혔다.▲ 잉어류·동자개 어린고기 방류(사진=경북도) 이번에 방류하는 잉어류와 동자개는 지난해 센터 내 야외 사육지에서 관리해온 건강한 어미로부터 생산해 약 1년간의 사육을 통해 영양 강화시킨 종자로 상주, 의성, 영양 등 도내 3개 시군 4개소에 방류할 계획이다.잉어·붕어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토속어류로 고단백 저지방 육질로 이뤄져있어 자양식품 또는 찜, 매운탕 등 다양한 요리의 식재료로서 활용성이 높다. 특히 붕어는 민물낚시꾼들이 가장 선호하는 어종이며, 센터에서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 834만 마리의 잉어류 어린고기를 지속적으로 방류해왔다.또 동자개는 유속이 완만한 하천 중·하류의 모래와 진흙이 많은 곳에 서식하는 야행성 어류이며 산란시기 어미는 kg당 4만~6만원까지 판매되는 경제성 어종으로, 이번 방류를 통해 자원조성 효과와 더불어 지역 어업인의 어업소득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문성준 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장은 “올해도 잉어, 붕어, 동자개, 미꾸리 등 어업인이 선호하는 내수면 어종 240만 마리를 종자 생산해 방류하고, 낙동강 수계의 방류효과 및 어류생태계 조사를 병행해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어자원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2일 도청 동락관에서 전국 주민자치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국주민자치의 날 선포식」에서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이철우 도지사) 표창을 전달하고 지방시대를 주제로 강의했다.▲ 주민자치의 날 선포식(사진=경북도)이날 안동시 송하동 주민자치회장 김효훈 씨(49세)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 표창을 받았고, 한국주민자치학회가 선정한 15명은 주민자치 분야별 대상을 각각 수상했다.사단법인 한국주민자치중앙회(회장 전상직) 주최?주관으로 개최한 이번 행사는 전국의 주민자치 기반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헌신한 이들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민자치의 날 선포식(사진=경북도) 이어 이 지사는 행사참석자들과 함께 천년숲 황토길을 맨발로 걸으며 지방시대와 주민자치의 지향점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대를 넓혔다.한편, 경북도는 지난달 주민자치 활성화 공모사업 심의위원회를 열고 74개 주민자치센터(주민자치회)를 선정해 총사업비 4억원을 지원했다. 일상회복이 본격화되는 만큼 내년도 사업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방정부가 더 많은 자율성을 갖고 주민과 함께 정책을 논의할 수 있을 때 진정한 주민자치가 이뤄진다”며, “이번 만남을 통해 주민자치 발전과 지방시대 대전환을 위한 지혜와 힘을 모으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12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2022년도 도정추진성과에 대한 우수부서 및 우수 시군에 대한 시상식을 가졌다.▲ 2022년 도정시책 성과 우수 부서·시군 시상(사진=경북도) 이날 시상식에서 경북도는 지난해 주요 국?도정 시책 추진실적 전반을 평가해 우수한 성적을 거둔 도청 8개 부서와 8개 시군에 경북도지사상과 상사업비 등 8억6천200만원(포상금 1억700만원, 상사업비 7억 5천500만원)을 수여했다.부서평가는 경북도 소속 101개 전 부서를 대상으로 도정 주요시책, 공약?지시사항 등 추진실적을 평가해 △최우수상 도로철도과 △우수상 과학기술과, 투자유치실, 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장려상 산림자원과, 친환경농업과, 구조구급과, 동물위생시험소가 각각 선정됐다.최우수 부서인 도로철도과는 경북 철도정책 추진의 최대 숙원사업인 중부선 미연결 구간 ‘문경~상주~김천 연결철도’건설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및 ‘성주~대구 간 고속도로’, ‘대구1호선 하양~영천(금호) 연장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 등 사통발달 도로?철도 연결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및 미래 신성장 동력 기반 마련에 크게 기여했다.우수상을 받은 과학기술과는 반도체와 로봇의 지방시대를 선도하며 산단대개조(동남권)사업 및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공모선정 등 지방혁신의 기회를 마련했다. 투자유치실은 민선7기 투자유치 31조9천428억원(2022년 8조8천228억원)달성 및 SK실트론, LG이노텍 등 고용유발효과가 큰 대규모 기업 유치에 기여했다.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은 수출용딸기 신품종 및 복숭아빵을 개발하고 고품질 다솜쌀 보급을 확대했다.장려상은 울진산불 진화 및 피해복구에 총력을 기울인 산림자원과,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대전환을 추진 중인 친환경농업과, 119 아이행복 돌봄터 전 시군 확대 운영 및 재난현장 긴급구조지휘체계를 확립한 구조구급과, 인수공통 및 악성 가축전염병 조기 색출 및 건강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을 추진한 동물위생시험소가 각각 선정됐다. 한편, 시군평가는 도내 23개 시군을 대상으로 주요 국정과제로 구성된 정부합동평가 추진실적과 일자리 창출, 투자유치 등 도정 역점시책 추진실적을 합산해 평가한다. 최우수상에 경산시와 의성군, 우수상에 구미시, 김천시, 청도군, 성주군, 예천군, 도약상에는 고령군이 각각 선정됐다. 최우수 시로 선정된 경산시는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등 사회복지분야와 공공취업지원 서비스 달성률 등 지역경제분야에서 최상위 성적을 거뒀고, 전국 최초 산불피해복구 지원을 위한 시민참여형 생활원예 자원봉사(도토Re:숲으로), 청년주도형 서상길 문화마을 도시재생, 보조금 지원 조례 확대 제정 등의 사업을 추진했다.최우수 군으로 선정된 의성군은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인증 농가 확대 등 지역개발분야와 지속가능한 산림자원육성 달성률 등 환경산림 분야에서 최상위 성적을 거뒀다. 또 청년마을 만들기, 민?관?학이 협력해 지역교육생태계를 구축하는 미래교육지구사업, 방치된 쓰레기산의 폐기물 처리와 생태숲 복원 예산절감 사례 등이 우수사례로 평가받았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해는 울진 산불, 태풍 힌남노 등 각종 재난 속에서도 역대 최대 국가투자예산 확보, 종합청렴도 평가 최고등급 달성, 정부합동평가(정성평가) 우수 등 도정 전반에 풍성한 성과를 이뤘다”면서, “앞으로도 경북의 정책이 대한민국 표준 본보기가 되도록 창의적으로 연구하고, 끊임없이 도전해 지방시대를 주도해 줄 것”을 당부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11일 의성군 봉양면(의성군농업기술센터 시험포장)에서 농촌진흥청 및 각 도 농업기술원 담당관계관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육성 마늘·양파 신품종 현장 평가회를 개최했다.▲ 마늘·양파 신품종 현장평가회(사진=경북도) 이번 평가회는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추진 중인 ‘신품종 우량계통 지역적응 및 이용촉진사업’을 통해 국내 육성 마늘·양파의 지역적응성을 검토하고, 신품종 보급 확대를 위해 마련됐다.평가회에서는 경북 한지형 마늘 주산단지인 의성군(농업기술센터)에서 국내 육성 마늘 4계통, 양파 17계통을 대상으로 생육, 수량성 및 병충해 발생 정도 등 품질에 대해 다각적으로 평가했다.이들 계통 중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한 마늘 ‘원교57041호’는 기존 마늘에 비해 키가 10cm 이상 크고, 엽초 직경이 20% 가량 굵어 지상부 생육이 우수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경북도는 전국 3위의 마늘·양파 주산지로 재배면적은 각각 21%, 17%를 차지하고, 연간 평균 생산량은 6만4천톤, 25만8천톤이다.조영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마늘과 양파는 국내 시장 1조원 이상의 중요한 채소 작물로서 품종의 지역 적응성과 농가 반응을 지속적으로 평가해 우량 품종의 조기 보급으로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집단 식중독 등 감염병이 발생하기 쉬운 계절을 맞아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원인 규명과 확산 방지를 위해 10~12일까지 사흘간 시군 보건소 감염병 검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2023년도 감염병 검사 실무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감염병 유행 대비 진단검사 역량 강화(사진=경북도) 이번 실무교육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활발해진 사회활동으로 증가된 집단 감염병에 대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진행되는 전문교육과정이다. 도내 보건소 감염병 검사담당 공무원 21명이 참석해 감염병 검사 이론 및 실습교육, 역학조사 사례분석 등을 집중 교육받았다.세부 교육내용은 △식중독 및 역학조사 사례 △수인성?식품매개 질환 개요 △생물테러대응 실험실 네트워크 운영 △장내세균 분리동정 실습 △잠복결핵, CRE, 레지오넬라균 진단 △먹는물 검사 이론 및 실습 △항혈청 검사 실습 등이다.이번 교육에는 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최신 검사 장비를 이용해 교육생들에게 검체 채취 방법부터 원인 병원체 확인을 위한 다양한 검사 기법들을 직접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 시군 보건소의 감염병 진단 능력을 높여 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에 대한 대응능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손창규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연구원에서는 보건소 검사담당자의 직무교육뿐만 아니라 감염병 검사 숙련도 평가, 보건소 현장 기술지도 등을 실시하고 있다. 감염병의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시군 보건소와 더욱 긴밀한 협조 체제를 유지해 도민 건강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경북도는 11~12일까지 2일간 도청 세미나실에서 도 및 시군 법제업무 담당 공무원 60여명을 대상으로 「2023년 상반기 순회 법제교육」을 실시한다.▲ 자치입법 역량 강화 교육(사진=경북도) 경북도와 법제처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번 교육은 코로나19 영향으로 4년 만에 대면 교육으로 실시되며, 최근 자치입법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조례와 규칙의 위임이 늘어나면서 일선 시군 공무원들에게 법제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치입법의 적법성을 확보해 도민들에게 질 높은 법무행정을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주요 교육내용은 자치법규 입안 원칙 및 실무,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실습 등으로 법제처 전문 강사진의 다양한 경험과 구체적 사례를 바탕으로 진행된다. 김경섭 경북도 법무혁신담당관은 “이번 교육을 통해 법령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자치법규 입안·운용 실무능력을 함양해 자치법규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지자체의 정책내용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적극적으로 대비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604(-63)1,431,4603,154(+245)1,426,201(+358)2,105(+1) * 국내 603, 국외 1 * 치명률(5. 11. 0시 기준) - 경북 0.15%(2,104명), 전국 0.11%(34,583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5340012확진자10612002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5.6.(토) 5.7.(일) 5.8.(월) 5.9.(화) 5.10.(수) 5.11.(목) 5.12.(금) 누계(주)평균(주)검 사4,2801,0191,38397210,7917,7844,93731,1664,452.3확진자466(2)397(0)281(1)565(0)818(1)667(0)604(1)3,798(5)542.6(0.7)* 직전주 금요일(5.5.) 현황 : 검사 5,515건, 확진자 614명(▼ 1.62%)(단위 : 명, %)구 분5.6.5.7.5.8.5.9.5.10.5.11.5.12.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4643972805658176676033,793541.9연령별60세↑확진자수(%)157(33.8)156(39.3)71(25.4)175(31.0)287(35.1)193(28.9)176(29.2)1,215(32.0)173.618세↓확진자수(%)67(14.4)43(10.8)39(13.9)104(18.4)123(15.1)100(15.0)91(15.1)567(14.9)81.0외 국 인4(0.9)4(1.0)2(0.7)0(0.0)8(1.0)8(1.2)9(1.5)35(0.9)5.0 □ 시·군별 발생(국내 1,427,367 유입 4,093)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31,460명293,914125,64876,21588,836255,95358,24750,25045,03738,201164,0978,814(+604)(+117)(+53)(+40)(+1)(+54)(+94)(+20)(+24)(+27)(+18)(+60)(-)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35511,1656,40016,67818,10212,50916,26757,24230,21312,07622,0542,187(+5)(+4)(+3)(+6)(+9)(+6)(+13)(+22)(+16)(+3)(+9)(-)
경북도는 11일 물산업 선도기업인 복주가 태국 N.P. Grobar Trading Co., LTD사와 120만불 규모의 SPEP* 복합패널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스테인레스(stainless)와 폴리에틸렌(poly ethyelne)을 고온용융 압착시켜 만든 물탱크 방수자재▲ 물산업 선도기업 수출계약(사진=경북도) 이번 수출 계약은 2016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경북도의 물기업 해외마케팅 지원정책의 도움이 컸다. 경북도는 2016년부터 물산업 시장의 가치와 성장가능성을 보고 다양한 물기업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신뢰도를 높여 주기 위해 성장 잠재력이 있는 우수한 물기업을 ‘경상북도 물산업 선도기업’으로 지정하고 있다. 그동안 베트남 및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 시장에 물산업 시장개척단 파견, 국제 물산업 전시회(Viet water, Asia water 등)에 참여하는 등 경북 물기업의 우수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해왔다.물산업 유망시장의 국제 전시회에 참여해 제품 홍보, 바이어 발굴 지원, 진성 바이어를 국내에 초청해 후속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해외 인증취득, 시제품 제작, 연구개발 컨설팅 지원, 각종 홍보물 제작 등 기업 맞춤형 지원사업도 하고 있다. 또 ‘물산업 지식연구회’를 분기별로 개최해 물산업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최신 물산업 정보를 공유하는 한편, 연구기관과 함께 물기업의 제품개발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해 기업 경쟁력 강화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이번에 복주가 수출하는 SPEP 복합패널은 상수도 콘크리트 배수지 내부 방수용 자재이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연구개발과제로 선정돼 개발에 성공한 방수용 소재다. 스테인레스 스틸의 장점과 폴리에틸렌의 장점만을 결합한 제품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으로도 선정됐다.우수발명품, 조달청 우수제품, K-water New Tech*(한국수자원공사 신기술등록),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도 지정되는 등 뛰어난 내구성과 방수효과가 입증된 제품으로 각종 수출상담회와 전시회 등에서 해외바이어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시설에서 2년이상 운영되어 기술적 우수성과 신규성, 혁신성이 확인된 기술(제품)에게 발급하는 제도 올 3월에는 방콕 수도청(MWA) 기술자 등 100여명을 대상으로 현지 제품 설명회를 개최해 방콕 수도청의 방콕 수완나폼 국제공항 배수지 리모델링 사업에 SPEP 복합패널이 방수자재로 선정돼 후속협상이 진행 중이며 300만불의 추가 수출이 기대된다.한편, 이번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NPGT사는 태국 방콕에 위치하고 있으며, 물탱크 시공 및 유지보수, 물 관련 기계제작 업체로서 복주의 SPEP 복합패널을 자사 제품에 적용할 예정이다.Mr. 키티 NPGT 대표는 “복주의 SPEP 복합패널의 내구성과 방수효과 등 품질의 우수성과 가격경쟁력을 보고 계약을 추진하게 됐다. 수완나폼 국제공항 배수지 리모델링 등에 SPEP 복합패널 적용을 위해 수입을 확대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조태영 복주 대표는 “국내 상하수 인프라는 이미 거의 갖춰져 있어 시장 규모가 정체되고 있는 시기에 경북도의 해외 시장개척 지원 사업은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된다”라며 경북도의 지원정책으로 이번 수출이 성사된 것에 감사를 표했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세계 물시장은 2020년 기준 약996조 규모로 추정되며, 2024년까지 매년 연평균 3.4%의 높은 성장이 전망되는 유망시장이다. 경북도의 물기업이 보다 많은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점유할 수 있도록 특화된 물기업 지원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경북도는 지역인재 채용 확대를 위해 11일 영남대 천마아트센터에서 ?2023년 대구·경북 지역인재 합동채용설명회?를 개최한다.▲ 대구·경북 지역인재 합동채용설명회(사진=경북도) 이번 채용설명회는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대면으로 진행되며 이전공공기관 채용정보, 지역인재 의무채용 안내, 오픈캠퍼스 소개 및 다양한 이벤트 등으로 구성됐다.또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전략, 자기소개서 컨설팅, 진로적성검사 등 다양한 취업 지원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어 취업준비생, 일반 구직자, 학생 등 지역 젊은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경상북도 참여 지역인재 채용대상 공공기관으로는 7개 기관으로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한국전력기술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다.경북지역 7개 기관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총 917명의 지역 인재를 채용했으며, 올해는 212명을 채용 목표로 추진한다.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은 2022년까지 매년 목표율을 3%씩 높여 지역인재 채용목표율이 30%까지 상향됐다. * 지역인재채용목표: 18%(’18년)→ 21%(’19년)→ 24%(’20년)→ 27%(’21년)→ 30%(’22년)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합동채용설명회를 통해 경북의 우수한 인재들에게 양질의 취업정보가 제공되어 지역인재들이 이전공공기관에 보다 많이 채용되길 바라며, 앞으로 경북도에서도 대구·경북지역 이전공공기관의 성공적인 정착과 지역인재 채용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북도는 청년 등 스마트팜 농업인의 역량 강화를 위해 11~12일까지 2일간 세계원예센터 한국사무소(경북대 상주캠퍼스 위치)에서 스마트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스마트팜 교육(사진=경북도) 세계원예센터 한국사무소는 올 1월 문을 연 네덜란드 월드호티센터(World Horti Center)의 한국 플랫폼으로, 경북도-경북대-네덜란드 월드호티센터-렌티즈 교육그룹이 협력해 설립했다.이번 교육에는 청년 등 농업인 30여명이 참가해 스마트팜에 적용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의 모의체험과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 등 스마트팜 운영에 필요한 교육을 받았다.특히, 네덜란드 스마트 농업 교육기관인 렌티즈 교육그룹의 전문가가 온라인(Zoom)을 통해 실시간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농업 선진국의 노하우를 전수받는 시간을 가졌다.교육에 참가한 농업인은 “네덜란드에 직접 가지 않고도 해외 농업동향과 기술을 배울 수 있어 좋았다”라며 앞으로 영농활동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스마트농업이 확산되고 있지만 정보통신기술을 현장에 접목해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많은 학습과 경험을 필요로 한다”라며 “스마트팜 경영 농업인들이 네덜란드의 노하우를 전수받고 재배 기술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고령 지산동고분군이 포함된 「가야고분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가 확실시된다고 밝혔다.▲ 고령 지산동고분군(사진=경북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심사?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한국이 세계유산으로 신청한 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 등재기준을 충족한다고 평가하고, 가야고분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할 것을 세계유산위원회에 권고했다.권고에 따른 가야고분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오는 9월 열리는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9.10.~9.25.)에서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가야고분군은 1~6세기에 걸쳐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가야’의 7개 고분군으로, 경북 고령 지산동고분군(사적 제79호), 경남 김해 대성동고분군(사적 제341호), 함안 말이산고분군(사적 제515호), 합천 옥전고분군(사적 제326호), 고성 송학동고분군(사적 제119호),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사적 제514호), 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고분군(사적 제542호)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신청유산인 가야고분군은 가야연맹의 각 권역을 대표하는 고분군으로 신라, 백제 등 주변의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와 병존하면서도 연맹이라는 독특한 정치체계를 유지했던 가야문명을 실증하는 독보적인 증거로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특히, 고령 지산동고분군은 5~6세기 가야 북부지역을 통합하면서 성장한 대가야를 대표하는 고분군이다. 가시성이 뛰어난 구릉지 위에 고분군이 밀집해 장관을 이루고 있어 연맹의 중심세력으로서 대가야의 위상과 함께 가야연맹의 최전성기를 보여준다.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다면 「한국의서원(19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16번째, 경북도에서는 6번째로 등재되는 세계유산이 된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가야고분군은 7개 고분군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으로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관계기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했다”고 강조하면서, “오는 9월 개최되는 세계유산위원회 등재 결정시까지 문화재청 및 관계 지방자치단체 등과 긴밀히 협력해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포함한 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으로 반드시 등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동영상뉴스] 군위군, 후계농업경영인 / 가족수련 한마음대회 개최
[동영상뉴스] 다시 돌아온 제16회 삼국유사 퀴즈대회 인 군위 ... 군위, 삼국유사교육문화회관
[동영상뉴스] 제18회 주민자치센터 경연대회 / 군위군, 2관왕 쾌거
[포토뉴스] 화본축제 낭만 플랫폼
[대구·경북 보도자료] 경북도, 경북공항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워킹그룹 첫 회의 개최
[뉴스] 대한한돈협회 군위지부, 추석 맞아 어려운 이웃에 돈육 기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