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북도는 5월 23일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위원장 유제철 환경부 차관)에서‘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팔공산 전경(사진=경북도) 이번 팔공산국립공원 승격은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환경부가 지난 2년 동안 협력하고 지역주민과 충분히 소통해 이뤄낸 성과다.이로써 팔공산은 2016년 태백산국립공원 지정 이후 7년, 도립공원 지정(1980년 5월)으로부터는 43년 만에, 우리나라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다.팔공산 국립공원 구역은 경북 영천시 29.9㎢, 경산시 9.4㎢, 군위군 21.9㎢, 칠곡군 30.2㎢, 대구 동구 34.7㎢ 등 총 126.058㎢ 이며, 기존 도립공원면적보다 0.826㎢가 늘어났다. 보전가치가 떨어지는 공원경계부 농경지 등 훼손지를 해제하고, 보전가치가 우수한 공원경계부 공유림과 영천 은해사 소유의 사유림이 편입됐다.한편, 우수한 자연생태자원과 함께 국보 2점과 보물 28점 등 총 92점의 지정문화재를 가져 역사?문화의 보고로도 불리는 팔공산은 총 5,296종의 생물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22개 국립공원과 비교하면 야생생물 서식 현황은 8위, 자연경관자원은 7위, 문화자원은 2위 수준으로 자연?경관?문화적 측면에서도 보전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지난 2012년 대구?경북에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시도했으나, 충분한 지역공감대 형성 부족과 강한 주민 반대로 무산됐다. 2018년 대구와 경북도가 ‘팔공산 도립공원 보전관리 방안 마련 연구용역’추진에 합의하면서 국립공원 승격이 다시 시작됐다.대구·경북은 지난 실패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 주민설명회 17회 개최, 10회에 달하는 현장방문을 통해 국립공원 승격 당위성을 설명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그 결과, 지난 2021년 5월에 팔공산국립공원 승격을 환경부로 건의할 수 있었다.이후 환경부는 2년여에 걸친 타당성 조사와 지역의견수렴을 통해 최종 국립공원 지정안을 마련했다.지난해 12월에 주민공청회를 원활히 잘 마쳤고 이후 지역주민과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거쳐 관할 시·도지사, 시장·군수 의견청취, 중앙부처 협의를 마친 뒤, 이번 국립공원위원회 심의·의결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이 최종 결정됐다.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 팔공산의 우수한 자연·문화 자원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탐방객들에게는 높은 수준의 탐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지난 2013년 무등산국립공원 지정으로 인한 광주·전남지역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2,754억 원에 달하고, 1,687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 바 있어 팔공산도 탐방객 증가, 지역관광산업활성화 등 대구·경북 지역경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이미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5월 2일부터 팔공산국립공원 관리준비단을 출범했으며 올 하반기에는 대구시·경북도와 공원관리 업무 인수·인계를 마무리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국립공원 승격 기념식도 개최할 계획이다.또, 팔공산국립공원의 관리 방향성을 설정하고 지역사회 상생발전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자 ‘팔공산국립공원 관리·운영 마스터플랜’을 마련할 계획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팔공산은 대구·경북의 혼과 정신을 품은 명산으로 도민의 염원을 담아 이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립공원으로 당당히 자리매김하게 됐다”라며, “국립공원 승격으로 높아진 브랜드 가치는 관광객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져 대구·경북의 또 하나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환경부와 협력해 ‘팔공산국립공원 관리운영 마스터플랜’을 잘 수립해 국립공원 승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어업기술원은 23일 귀어인의 성공적인 어촌정착을 돕고, 청년어업인 및 해녀 육성 등 어촌 활성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이웃어촌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이웃어촌지원센터 개소식(사진=경북도) 이날 개소식에는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권순욱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 박용선 경상북도의회 부의장, 서석영, 최덕규, 연규식 도의원과 김남일 포항부시장, 김성호 수산업경영인 중앙연합회장, 도내 수협조합장과 어촌계장 등 80여명이 참석했다.이웃어촌지원센터는 경북 최대 어업 전진기지인 포항 구룡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약 9,917㎡의 부지에 지상 2층 규모의 건물로 교육장, 요리?가공 실습실, 귀어인과 어업인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웃어촌지원센터에서는 귀어학교와 귀어귀촌지원센터를 함께 운영하며 △귀어인과 귀어희망자를 위한 교육 및 지원 △청년어업인 및 해녀 육성 △어촌 6차산업화 창업교육 △수산업경영인, 자율관리어업 등 어업인단체 육성 △어촌에서 살아보기(귀어인 임시숙소) 등을 지원한다.한편, 어업기술원에서는 귀어학교, 청년창업교육, 수산업경영인 및 어촌지도자 교육 등을 통해 매년 1,200여명의 교육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웃어촌지원센터에서 추진하던 기존 업무와 더불어 어업인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지원업무를 확대 추진한다.경북도는 이웃어촌지원센터의 본격 운영으로 귀어인과 어업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을 제공해 안정적인 어촌정착을 돕고, 어촌의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어업인과 경북 해녀 육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또 어촌 6차산업화 창업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단순 고기를 잡는 마을에서 관광을 포함한 서비스업과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활력 넘치는 어촌마을을 만들어 가고자 한다.권기수 경북도 어업기술원장은 “이웃어촌지원센터가 귀어인 및 청년유입으로 어촌마을의 소멸위기 극복과 고령화 및 일자리 문제 해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경북도에서는 활기차고 행복한 어촌마을을 만들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원장 문성준)에서는 수산자원 회복과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일명 ‘독도새우’로 널리 알려진 도화새우 20만마리를 울릉?독도해역에 23일 방류했다. ▲ 도화새우 30만마리 방류(사진=경북도)앞서 지난 16일에는 울진 왕돌초 해역에서 도화새우 10만마리를 방류한 바 있다. 이번에 방류한 도화새우는 지난해 12월 포란된 어미로부터 부화해 약 6개월간 사육한 전장 약 1.5~3cm의 건강한 개체다. 또 자연 적응 및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선상에서 수심 약 50m 이하의 암초지대에 방류하는 방법을 사용해 방류했으며, 이후 성장 단계에 따라 서식에 적합한 해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화새우 30만마리 방류(사진=경북도) 도화새우는 독도새우류(도화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 가시배새우) 3종 중 가장 대형종으로 최근 수요가 급증하면서 자원 감소 등으로 어획량이 적어 kg당 20~30만원의 고가에 거래되는 동해안 명품 새우류다.체색은 황적색으로 머리 부분에 흰 반점이 있으며, 살이 단단하고 단맛과 감칠맛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그간 경북수산자원연구원에서는 고부가가치 품종의 수산자원을 회복하고 건강한 해양 생태환경을 조성하고자 국내 최초로 2013년 물렁가시붉은새우를 시작으로, 2018년에는 도화새우 대량 종자생산 연구?개발에 성공해 지금까지 총 182만마리를 울릉도, 독도 및 왕돌초 해역에 방류했다.김중권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해양생태계 변화 및 수산자원 감소에 대응해 고부가 특화품종의 자원 회복과 R&D 연구개발을 통해 어업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우리 민족의 섬 독도에 지속적인 방류를 통해 독도(도화)새우의 상징성을 부각시켜 우리나라 영토의 실효적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22일 인도 우타르 프라데시(UP)주에서 요기 아디티아나트(Yogi Adityanath) 총리와 만나 환담하고 상호교류 협약을 체결했다. ▲ 인도 우타르프라데시(UP)주 MOU체결(사진=경북도)UP주는 인구 2억3천만명으로 인도의 28개 주 가운데 인구 1위인 지역이며, 면적은 4위로 한반도의 크기와 비슷하다. 또 인도 최대 규모의 철도 네트워크와 7개의 공항, 풍부한 노동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 전자제품 클러스터 등에도 강점이 있어 경북과 협력할 경우 시너지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상호교류 협약은 경북도와 UP주가 △우수 대학생들의 경북 내 대학으로 유학지원 △우수 인력들의 경북 내 취업 지원 △한국어 교육 지원을 규정하고 있다. ▲ 인도 우타르프라데시(UP)주 MOU체결(사진=경북도) 또, UP주 최대의 산업지역인 노이다(Noida)시에서 경북기업 및 물품을 홍보하는 2년 주기의 △경북페어(GB-Fair) 개최도 협약에 담았다.한편 델리와 인접한 UP주의 노이다시는 인도 정부가 계획적인 도시화와 산업지구 개발을 위해 생겨난 도시로 삼성, LG전자 공장이 있는 대표적인 공업지역의 하나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UP주와의 협약이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에 경북이 진출하고, 인도의 우수한 학생과 인적자원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649(+372)1,438,2953,254(-199)1,432,932(+848)2,109(-) * 국내 648, 국외 1 * 치명률(5. 22. 0시 기준) - 경북 0.15%(2,109명), 전국 0.11%(34,687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42--7확진자154--10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5.17.(수) 5.18.(목) 5.19.(금) 5.20.(토) 5.21.(일) 5.22.(월) 5.23.(화) 누계(주)평균(주)검 사10,0298,2185,3404,0632,8031,4461,16733,0664,723.7확진자1,040(2)830(2)732(0)598(1)576(0)277(0)649(1)4,702(6)671.7(0.9)* 직전주 화요일(5.16.) 현황 : 검사 823건, 확진자 657명(▼ 1.2%)(단위 : 명, %)구 분5.17.5.18.5.19.5.20.5.21.5.22.5.23.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0388287325975762776484,696670.9연령별60세↑확진자수(%)316(30.4)269(32.5)223(30.5)202(33.8)190(33.0)78(28..2)162(25.0)1,440(30.7)205.718세↓확진자수(%)213(20.5)158(19.1)140(19.1)94(15.7)100(17.4)52(18.8)173(26.7)930(19.8)132.9외 국 인15(1.4)5(0.6)7(1.0)8(1.3)3(0.5)1(0.4)2(0.3)41(0.9)5.9 □ 시·군별 발생(국내 1,434,194, 유입 4,101)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38,295명295,149126,19176,51389,388257,07058,65050,51045,24838,397165,1048,835(+649)(+140)(+1)(+17)(+30)(+39)(+99)(+56)(+14)(+49)(+14)(+10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44411,1846,43416,78518,18612,56216,33957,56530,31712,12422,1042,196(+7)(+4)(+10)(-)(+7)(+7)(+2)(+23)(+15)(+6)(+4)(+2)
경북도와 경주시는 22일 경주시청에서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이경련 피엠씨코리아(PMC코리아) 대표 및 임직원, 도의원, 시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피엠씨그룹과 투자금액 6천만불(800억원 규모), 50명의 신규 일자리창출을 내용으로 하는 공장 이전 및 증설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피엠씨그룹과 투자양해각서 체결(사진=경북도) 피엠씨그룹은 미국 뉴저지주에 본사를 둔 글로벌 화학회사로 그룹 내 총 8개의 사업부문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 미국, 프랑스, 인도 등 글로벌 6개 국가에 생산 시설을 운영 중이다. 2014년 경주에 피엠씨코리아(유)를 설립한 이후 플라스틱 첨가제를 생산 중이며, 현재 생산 공장은 1990년에 최초 설립되어 약 33년간 경주 황성동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미국계 글로벌 기업이다.주요 생산품목으로는 팜유 및 유채유를 주원료로 하는 지방산을 이용해 생산하는 지방산 아마이드며, 이는 제품포장 PE, PP film, 일반 플라스틱(의료기기, 일상용품) 및 여러 산업의 소재부품 재료 등에 활용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석유화학회사들이 주요 고객으로 모든 플라스틱 원재료 생산 시 필요한 필수 플라스틱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다.피엠씨코리아는 경주 안강 검단일반산업단지 내 33,010㎡부지에 2027년까지 성장성이 높은 지방산아마이드 및 PVC 안정제 생산 공장의 단계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며, 경주공장 이전 및 증설이 완성되는 2027년에는 매출액이 1천8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피엠씨코리아 이경련 대표는 산업계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플라스틱 첨가제 시장에서 완벽한 품질로 경쟁력을 갖춰 기업과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이 되기 위해 R&D와 생산 공정 등 전 분야에서 직원의 역량 계발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며, 향후 신설되는 공장에는 경주시민을 우선 채용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을 만들 예정임을 강조했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글로벌 기업인 피엠씨코리아가 생산 시설 기반을 확장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라면서, “이번 투자로 경주의 새로운 생산 동력이 되고 고용 창출에도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반드시 성공적인 투자가 될 수 있도록 경북도와 경주시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주낙영 경주시장은“이번 투자를 결정해 주신 미국 피엠씨그룹과 피엠씨코리아의 이경련 대표이사와 임직원 여러분들께 감사하며 향후 안강 검단산업단지를 소재·부품, 이차전지 등 전문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업지원 사업과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언급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농촌교육농장 운영에 필요한 기초소양 및 농장주 역량강화를 위해 「농촌교육농장 교사양성 기초과정」교육을 5. 22~24일까지 3일간 경북농업인회관에서 실시한다.▲ 농촌교육농장 경영주 역량 강화 및 창농을 위한 교육(사진=경북도) 이번 교육은 농촌교육농장 및 농촌체험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농장주 50여명을 대상으로 농촌교육농장의 개념, 아동 발달의 이해 등 전문 강의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실습 등 농촌교육농장 운영에 기본적인 요소들을 교육하게 된다.농촌교육농장은 농업활동이 이뤄지는 농촌의 모든 자원을 바탕으로 단순한 농촌체험이 아닌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이고,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현장학교다. 경북농업기술원은 2007년부터 농촌교육농장을 육성하고 있으며, 현재 도내 100여개 농장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조영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농촌교육농장은 농업?농촌 자원을 교육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아이들의 인성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농촌가치를 인식시키는 교육의 장이다”라며, “앞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농촌교육농장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도내 우수 농촌자원을 융?복합한 ‘경북형 농촌체험 관광산업’을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북 119산불특수대응단은 22일 산불대응단장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상반기 활동 성과를 점검하고, 산불 소강 기간인 6월부터 10월까지 대원의 역량 강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23년 상반기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상반기 성과보고회(사진=경북도) 이날 성과보고회는 상반기 활동 성과 분석 및 하반기 산불 소강 기간 동안 대원 역량 강화를 위한 3단계 프로젝트 추진 과제를 발표, 산불현장 활동 우수대원 6명에 대한 유공 표창 순으로 진행됐다. 119산불특수대응단이 신설된 1월 1일부터 봄철 산불조심기간이 끝난 5월 15일까지 총 108건의 산불현장에 출동했으며, 장비 742대, 인력 2723명이 투입됐다. 상반기 산불 발생을 분석한 결과 1~3월에 총 89건이 발생해 전체의 82%를 차지해 대부분의 산불이 집중됐고, 출동이 가장 많은 시간대는 오후 1시부터 6시까지가 63%를 차지했다. 올 상반기 경북에서 발생한 모든 산불을 24시간 이내 주불 진화에 성공했으며, 헬기가 활동할 수 없는 야간에도 진화 활동을 펼치며 24시간 신속대응체계 구축으로 전국 최초 소방 산불대응 전담조직의 모델을 제시했다.향후 119산불대응단은 산불 소강기간(6~10월 말까지) 동안 대원들의 산불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3스텝 프로젝트 15개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1단계(결속)는 대원결속과 직무역량 강화를 통한 질 높은 소방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역량 강화 워크숍, 산불 선진국 연수 등을 추진하고,2단계(대응)는 특별교육과 맞춤식 훈련을 통해 대응능력을 향상을 위한 산불전문가 초청 특별교육, 드론 교육, 산악·풍수해 대비, 전술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마지막 3단계(전문)는 복합 재난인 산불에 전문적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을 목표로 산불대응 매뉴얼 개발, 산불자문단 결성, 지휘 시스템 고도화, 장비개발 T/F팀 운영 등을 추진한다.119산불특수대응단장(소방정 김병각)은 이 자리에서 “전국 최초 소방 산불대응 전담 조직으로써 경북형 산불대응체계 확립과 더불어 260만 도민이 산림화재로부터 안전하고 평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방파제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경북도는 대구시와 함께 확실한 지방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운영 중인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의 2023년 정기총회를 22일 안동에서 개최했다.▲ 대구경북 한뿌리상생위원회 정기총회(사진=경북도) 대구경북의 각 기관장, 교수, 전문가 등 31명으로 구성된 대구경북한뿌리생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지난해 12월 대구시 주관으로 코로나19 이후 3년여 만에 대면으로 개최했고 올해는 경북도 주관으로 열렸다.이번 총회에서는 상생위원 31명(당연직6명, 위촉직25명) 중 25명의 위원이 위촉장을 받고 2년간(‘23.5.22. ~‘25.5.21) 위원회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위원회는 환경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조직을 정비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기존 40명의 위원을 31명으로 줄이고, 5개 분과위원회를 3개 분과위원회로 유사 기능을 통합하는 한편, 상생과제도 대구경북 핵심 현안인 대구경북통합신공항 특별법 통과에 따른 후속절차 관련 과제를 발굴하고, 민선 8기 주요 역점사업인 도심항공교통(UAM)사업, 반도체, 로봇 등 신산업과 교통, 물, 환경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내용 위주로 협력과제를 재편할 계획이다.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성공적인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과 군위군의 차질 없는 대구시 편입 등을 위해 대구경북의 상생협력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만큼 한뿌리상생위원회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한다”면서 “지역이 주도하는 확실한 지방시대, 지방주도 경제성장을 실현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대구경북이 함께 힘 모으자”고 강조했다.한편 2014년 11월 출범한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는 그동안 상생 협력과제 발굴을 통해 △대구공항 통합 이전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팔공산 둘레길 조성 △2023년 웰니스·의료관광 융복합 클러스터사업에 대구경북이 공동으로 선정돼 총사업비 30억원을 확보하는 등 많은 성과를 거둔 바 있다.앞으로 위원회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 대구권 광역철도망 구축, 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등 협력과제에 대한 추진상황 점검과 평가 등을 통해 대구경북 상생협력의 추진동력을 높여 갈 방침이다
경북도는 22일 영천 화산농공단지에 위치한 거평그린에서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 장필호 한국수력원자력 그린사업본부장, 박병춘 한국에너지공단 부이사장, 경북도의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기관이 투자하는 『경북형 친환경에너지 산단 태양광』착공식을 가졌다.▲ 산업단지 태양광 프로젝트(사진=경북도) 이번 행사는 지난 2월 14일 도청 K창에서 지역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및 한국에너지공단과 함께 ‘경북형 친환경에너지 산업단지 조성’투자·지원 협약 체결 후 열린 첫 착공식이다.이번 사업은 경북 산업단지 산업시설면적(8,215ha)중 30%에 해당하는 유휴 공간(지붕 등)에 2.5GW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산단 기업주에게 새로운 소득과 기후변화 규제(RE-100*)에 대응한 글로벌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공관리는 지역기업의 100% 참여로 추진해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 RE-100 :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기로 사용하는 글로벌 캠페인 영천, 구미, 경산 3개소에서 1,380kw정도를 동시에 착공하는 산단 지붕태양광 프로젝트는 경북도와 함께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시군 투자유치부서 설명회 등을 통해 산업단지 태양광 프로젝트를 홍보한 성과인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제1호 산단 태양광 프로젝트 기업은 영천 화산농공단지에 소재한 인조잔디 제조?시공업체인 거평그린으로 공장지붕(6,745㎡)에 712.8KW를 설치한다. 한수원으로부터 20년 동안 연간 2천8백만원 정도의 임대료*를 받을 예정이며 최초 10년간 선금** 2억8천만원 정도를 미리 지급 받는다. * 임대료 : 1,000KW 당 연간 4천만원 기준 ** 1~3호 기업 동일 10년간 선금 지급(①2.8억원, ②1.5억원, ③1.1억원정도)제2호 기업은 1972년 창사한 구미 장수기업으로 공단동에 소재한 자동차 범퍼, 플라스틱 제조사인 대명산업사로 태양광 391KW를, 마지막 제3호는 경산 진량읍에 소재한 문구·완구 도소매업체인 팔팔온유어완트로 태양광 276KW를 설치할 예정이다.산업단지 태양광 프로젝트 동시 착공에 참여한 각 기업주들은 경북도에서 추진하는 에너지대전환 정책에 함께 참여할 수 있어 매우 뜻깊다고 전했다.경북도는 향후에도 협약한 공기업 등과 함께 전담조직(원스톱지원단)을 운영해 사업 인허가에 대한 신속한 지원과 참여기업 에너지 진단 및 절약, 근로자 복지 등 지역상생을 위한 추가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입주기업 참여 확대를 통한 산업단지 태양광 프로젝트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경북형 산업단지 태양광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경상북도가 주도하는 에너지 대전환의 지방시대를 열어가겠다”라며, “산업단지 입주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다시 한 번 부탁드리며, 경북도에서도 적극 지원해 경북형 친환경에너지 산업단지를 신속히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행정안전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 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 중소형 양식어가 맞춤형 스마트양식시스템(사진=경북도) 포항공대 경북씨그랜트(센터장 유선철 교수)와 협업하는 이번 사업은 ‘중소형 양식어가 맞춤형 스마트 양식 시스템 및 인력 절감을 위한 원격관리 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 과학기술 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 사업은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협업해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자 지역주민 및 지자체가 직접 소통해 문제 해결방안을 찾는 주민참여형 공모사업이다.지난해 전국 15개 지자체에서 총 20개 사업을 공모 신청했으며 연구자와 주민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직접 소통하는 리빙랩* 사업으로 올해 5월 최종 10개 사업을 선정했다. * 리빙랩 :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문제 해결하는 방법론경북도는 공모 선정으로 2023~2024년까지 총 6억원(국비 4억5천만원, 지방비 1억5천만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이동형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양식장 감시 및 사료 운반용 로봇시스템 개발이다. 이동형 스마트 양식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수카메라와 수온·용존 산소 측정 센서를 막대기에 부착해 수조를 옮겨 다니면서 수온측정과 어류의 상태 데이터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축적된 데이터는 스마트폰앱(App)을 통해 중소형 양식어가에 제공되며 양식장별로 맞춤형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양식장 감시 및 사료 운반용 로봇 시스템은 차량형으로 설계되며 사료운반 카트를 연결해 중소형 양식장의 환경 감시와 사료 급이 등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이번 사업을 추진하는 경북씨그랜트는 2009년부터 해양수산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해양수산부 씨그랜트 사업을 14년째 수행하고 있으며, 해양수산 분야 첨단 IT기술 활용을 통한 차별화된 현장 중심형 연구개발로 지역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경북씨그랜트는 전국 8개 센터 중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사업실적 1위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대표 보유 기술로는 해녀 안전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 호미 디지털 시스템, 스마트 양식 카메라 시스템 등이 있다.경북도는 전국 양식어가의 5%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10년 사이 어업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 인력이 부족하고 시설 환경이 점점 노후화되고 있어 중소형 양식 산업의 경쟁력이 악화되고 있다.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형 맞춤형 스마트 양식 시스템이 개발되면 경북도 어업기술원을 중심으로 도내 어가에 시범사업으로 시스템을 적극 보급할 계획이다.김중권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고령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촌에 첨단 IT기술을 접목해 노동력 감소 대응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한 소득을 증대하고, 경상북도 귀어학교를 통한 청장년층의 어촌 유입을 적극 추진해 지역 어촌 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77(-299)1,437,6463,453(-621)1,432,084(+358)2,109(-) * 국내 277, 국외 0 * 치명률(5. 20. 0시 기준) - 경북 0.15%(2,109명), 전국 0.11%(34,670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10004확진자62000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5.16.(화) 5.17.(수) 5.18.(목) 5.19.(금) 5.20.(토) 5.21.(일) 5.22.(월) 누계(주)평균(주)검 사82310,0298,2185,3404,0632,8031,44632,7224,674.6확진자657(1)1,040(2)830(2)732(0)598(1)576(0)277(0)4,710(6)672.9(0.9)* 직전주 월요일(5.15.) 현황 : 검사 1,789건, 확진자 250명(▲ 10.8%)(단위 : 명, %)구 분5.16.5.17.5.18.5.19.5.20.5.21.5.22.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6561,0388287325975762774,704672.0연령별60세↑확진자수(%)177(27.0)316(30.4)269(32.5)223(30.5)202(33.8)190(33.0)78(28..2)1,455(30.9)207.918세↓확진자수(%)120(18.3)213(20.5)158(19.1)140(19.1)94(15.7)100(17.4)52(18.8)877(18.6)125.3외 국 인5(0.8)15(1.4)5(0.6)7(1.0)8(1.3)3(0.5)1(0.4)44(0.9)6.3 □ 시·군별 발생(국내 1,433,546, 유입 4,100)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37,646명295,008126,17476,48389,349256,97158,59450,49645,19938,383165,0018,835(+277)(+38)(+33)(+6)(+11)(+71)(+25)(+8)(+5)(+6)(+26)(-)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43711,1806,42416,78518,17912,55516,33757,54230,30212,11822,1002,194(+7)(+1)(+1)(+9)(+2)(-)(+7)(+12)(+5)(+2)(+2)(-)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지난 18일 도청 K창에서 지난해 태풍‘힌남노’피해 현장에서 긴급 복구활동을 펼친 포항남부소방서 오천의용소방대원 20여명을 초청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자리를 가졌다.▲ 오천의용소방대 격려(사진=경북도) 이날 참석한 포항 오천 의용소방대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유례없는 큰 피해를 입었을 때 △침수주택 가재도구 세척 △도로 토사제거 △이재민 급식지원 △농작물 복구 △실종자 수색 등 인명구조와 긴급 복구 활동을 적극 지원했다.오천의용소방대는 총 66명(남 37, 여 29)의 대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평소 투철한 사명감과 봉사정신으로 현장 최일선에서 안전경북을 선도하고 안전지킴이로서 지역 소통과 화합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이달희 경제부지사는 “지역 안전을 위해 열정적으로 활동해 준 그간의 노고와 각종 재난현장에서 도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라는 사명을 지키기 위해 즉각 지원활동에 나선 의용소방대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의용소방대가 안전경북 행복경북 견인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경북도는 5월 15일부터 28일까지 14일간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전시관 1층 로비에서 「동국대 민화전공 뉴웨이브 채색연구회 - 각자의 시선 3人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민화 전시회 포스터 이번 전시는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에서 민화를 전공하는 서정연, 김기영, 고요 등 3명의 작가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독창적 민화 작품 20여 점을 전시한다.해학적이고 자유분방한 매력을 가진 우리나라 민화를 연구해 온 ‘민화채색연구회’는 어떠한 형식도 갖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구도와 소재로 늘 새로움을 더하는 민화에 매료된 회원들이 꾸준히 전시회를 가지며 민화의 세계를 소개해 왔다.작가들은 “뉴웨이브 민화는 현대적이면서 민화적으로 해석한 작품들로, 보는 이로 하여금 작품 해석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새로운 느낌이 결합된 그림들을 신선하게 바라봐주길 바란다”라며 “많은 사람들이 전시장에서 민화를 감상하며 옛 그림의 정취에 취해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의 주요 전시·공연 공간인 전시관 1층 로비와 기획전시실, 다목적홀 등에서는 올해 5월 현재까지 50여건 이상의 다양한 전시와 공연·체험의 장으로 운영했으며, 이미 연말까지 전시 일정이 계획돼 있고 주말마다 1천 명 정도가 찾는 문화예술체험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김호기 경북도 새마을봉사과장은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에 많은 도민들이 찾아와 세계기록유산인 새마을운동 기록 자료에 관한 전시관도 관람하고, 다채롭고 풍성한 전시·공연 행사 등을 통해 문화예술 감성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이 되도록 운영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경북소방본부는 19일 의성소방서 군위119안전센터에서 대구소방안전본부와 군위군의 대구 편입에 따른 군위군 지역 재난현장 공동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 소방본부 군위재난공동대응 업무협약(사진=경북도) 2023. 7. 1.일자로 대구시로 편입되는 군위 지역이 대구 강북소방서와 원거리에 위치함에 따라 군위군을 재난현장 공동대응 구역으로 설정하고, 초기 대응 강화를 위해 경북 소방력 등을 적극 지원해 대구 편입 이후에도 군위의 빈틈없는 재난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재난현장 공동대응 협약식에는 군위군 대구시 편입에 따른 소방력 승계를 위한 인계ㆍ인수와 편입 이후 효율적인 광역출동체계 강화 등을 협약해 오는 7월 1일까지 완벽한 소방력 승계와 함께 경북소방본부와 대구소방안전본부의 재난 협력체계 강화를 추진하기로 했다.협약의 주요 내용은 △공동대응구역 재난 초기 합동 대응 △산불·대형화재 시 소방헬기 등 소방력 적극 지원 △응급환자 이송 시 병상정보 공유 및 상황관리 지원 △소방장비 수리 지원 협력 등이다. 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더라도 경북소방은 군위군 재난 발생 시 의성?칠곡?구미 등 군위군 인접 소방력을 적극 지원해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군위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대형재난 발생 시 상호 소방력을 지원해 안전한 경북-대구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19~20일 양일 간 경상북도청소년수련원(김천시 소재)에서 경북안전기동대원과 관계공무원 등 1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상반기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경북안전기동대 워크숍(사진=경북도) 이번 워크숍은 올해 초부터 산불 대응 출동태세를 갖춰왔던 상반기를 되돌아보고 동시에 응급처치·심폐소생술 집중 교육으로 인명구조 및 재난대처 능력을 갈고 닦는 시간이 됐다. 이틀에 걸친 응급처치·심폐소생술 이론 및 실습 교육 시간에는 대한심폐소생술협회 전문 강사의 강의 아래 자격증 기존 소지자는 보수 교육을, 일부 미소지자는 신규 취득교육을 실시해 대원 전원의 응급처치 역량을 강화했다. 기동대 활성화 방안 토의시간에는 기동대원 전원이 경북안전기동대 소속으로서 의무감과 봉사정신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고, 하반기 활동계획을 점검하며 호우에 대비한 안전캠페인과 피해 발생 시 긴급 출동 및 복구활동으로 도민의 안전을 지키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유재용 경북안전기동대장은 기동대를 대표해 “하반기에도 기동대원 전체가 막중한 책임감으로 도민이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 가장 먼저 달려가 재해 예방과 대응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편, 경북안전기동대는 2011년 6월 조직되어 전 대원 167명이 응급구조 자격증 및 중장비 자격증 등 재난안전 관련 자격증을 1종 이상 소지하고 있는 전문적인 재난대응 민간단체로서, 평상시에도 재난대응력 강화를 위해 훈련 및 워크숍으로 역량을 갈고 닦고 있다. 김병삼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재난발생 때마다 재난현장으로 한걸음에 달려와 가장 험한 곳에 기꺼이 투입되는 경북안전기동대 대원들은 경북의 안전 마스코트”라며 “앞으로도 기동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워크숍과 교육을 충분히 진행해 도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유용한 정보] 폐암 초기 증상 기침 조심하세요
[좋은글] ♤ 아름답게 살아가는 사람 ♤
[뉴스] 군위군 직장공장새마을協, 산성면 어르신 대상 족욕봉사 및 닭백숙 나눔 행사
[뉴스] 군위농협 협동조직장 회의 개최
[뉴스] 대구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개최
[뉴스] 군위군 부계면, 경로당에 따뜻한 손길 이어져
[뉴스] 군위군, 정신건강복지센터 통해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위기대응 강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