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확진자 현황 : 총 7,232명(완치 6,534, 입원 609, 사망 89) * 도 발생 비율 2.8% 합계‘21.7.1. 이전‘21. 7. 1. 이후소계외국인풋 살음악학원포항1사업장포항2사업장경주사업장경주3사업장경주식당구미PC방의성요양병원김천교회김천학교구미목욕탕해외유입기타7,232명4,9492,283354019433241183235162171991,781(+46) (+1) (+1) (+3)(+1)(+40) * 치명률 ? 경북(9.3. 기준) 1.23%(89명), 전국(9.2. 기준) 0.90%(2,303명)□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8.20.(金)8.21.(土)8.22.(日)8.23.(月)8.24.(火)8.25.(水)8.26.(木)8.27.(金)8.28.(土)8.29.(日)8.30.(月)8.31.(火)9.1.(水)9.2.(木)검 사10,28414,68512,87714,45610,82413,89611,76214,64213,01011,1748,4798,10813,17611,961확진자111(2)50(2)35(1)31(3)71(2)6467(3)47(1)54(2)41(2)274442(1)46(1)확진율*1.10.30.30.20.70.50.60.30.40.40.30.50.30.4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294명 1일평균 42.0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710명 1일평균 50.7명 □ 시·군별 발생(국내 6,883, 해외유입 349)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의성7,232명 (+46)1,144(+7)882(+11)479(+3)3231,095(+17)(+1)138(+1)146166(+1)661,67224192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 631047208(+1)79(+1)46(+2)225947651(+1)6 □ 병상운영 : 총 1,246(사용 591, 여유 655, 가동률 47.4%)구 분총 계(A+B)전담병원( 85.8% )생활치료센터(21.7%)소계(A)포 항의료원김 천의료원안 동의료원동 국 대경주병원영 주 적십자소계(B)구미농협교육원경 북소방학교문경STX리조트총 병상1,2465001652014330142746146100500사 용 중59142910816139281381621001646가용병상655715744245844684454 * 타시도 환자 → 경북입원 : 62명(대구 10, 수도권 48, 타시도 4) ** 경북환자 → 타시도 입원 : 76명(대구 48, 경남권 16, 충청권 2, 수도권 10)
경북농업기술원 봉화약용작물연구소에서는 지난 1일 안동시 와룡면 농가포장에서 지황 재배농가와 농업기술센터,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지황 공정육묘 생산기술 개발’현장 평가회를 가졌다.▲ 지황 재배 포장(사진=경북도) 봉화약용작물연구소는 지황 미세근을 활용한 육묘기술 개발과 생산성 구명하고, 이상기상에 대응할 수 있는 육묘이식 재배법 개발을 위해 안동시농업기술센터와 현지 농업인과 공동으로 현장실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이번 연구는 종근 굵기(3mm 이상∼6mm 미만, 6mm 이상∼9mm미만)와 육묘일수(30일, 40일)에 따른 지황의 생육특성 등을 검토했다. 그 결과, 트레이 육묘에서 발아율은 종근 굵기에 관계없이 90% 이상 우수했으며, 이식일 초장은 종근 굵기와 육묘일수에 관계없이 6cm 이상이었다. 중간생육 조사 결과, 종근을 정식한 지황의 주당 생근중은 84g, 육묘이식한 지황은 93~104g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이는 지황 미세근을 활용한 육묘이식 재배는 기종의 종근을 이용한 재배법을 대체할 수 있고, 본포에서의 재배기간을 줄여 농지 이용성 증대와 이상기상 환경에 노출되는 기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는 재배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지황은 일반적으로 4월 중순에 종근(뿌리)을 본포에 심어 11월까지 재배하는데, 저온 등의 이상기상 발생 시 출아율이 낮아 보식작업에 따른 추가 노동력이 필요하다. 또한, 출아된 지황은 집중호우 등의 불량한 조건에 노출되면 뿌리 등이 쉽게 썩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상기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환경조건에서는 외부에 노출되는 기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 출아: 파종한 종자(종근)가 지표면 위로 싹이 나오는 현상한편, 경북은 지황의 최대 주산지로 전국 재배면적의 47.8%, 생산량의 3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안동이 주요 생산지이다. 안동시농업기술센터는 농가보급을 위한 우량 지황 종근 생산을 위해 조직 배양묘를 활용하고 있지만, 이 때 5mm 이하의 세근이 다수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신용습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지황 재배농가와 유관기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서 육묘이식재배 기술을 보강하고 신속한 보급체계를 구축해 지황의 안정생산과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경상북도는 지난 2013년 전기차 민간보급을 시작한 지 8년 만인 올해 9월 중순 경 지역에 등록 전기차 누적 대수가 1만대를 돌파할 전망이라고 2일 밝혔다. ▲ 경북도 전기자동차 등록대수 추이 카드뉴스(사진=경북도) 경북의 전기차 보급 추이를 보면 2017년까지는 756대에 불과했으나, 2018년부터 가파르게 증가해 최근 4년 동안 8000여대 이상을 보급한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전기자동차 2270대를 보급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 증가(1295대)한 것으로 연말까지 총 4183대의 전기자동차를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전기차 보급실적은 반도체 수급난, 코로나19 상황 등 전반적으로 보급여건이 쉽지 않은 상황임에도 각종 세제 혜택과 차종의 다양화, 충전여건 향상 등에 힘입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경북도는 전기차 구입 시 차종에 따라 승용차는 최대 1400만원, 화물차는 2200만원, 버스는 96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한편, 전기차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보다 많은 주민이 전기차를 구매하도록 충전 여건도 개선했다. 금년 8월말 기준 지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총 4902기로 지난 해 같은 기간(1751기)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내년에도 충전 인프라 확대 및 충전 서비스 개선, 신차 출시 등의 영향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기술향상과 충전인프라 확충, 환경에 대한 주민의 관심도 증가로 무공해차 대중화 시대는 빠르게 도래할 것”이라며,“지속해서 무공해차 보급 확대를 통해 2050 탄소중립 달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보조금 신청방법은 시군 홈페이지 및 저공해차통합누리집(www.ev.or.kr) 공고문을 참고해 구매를 희망하는 차종의 자동차 대리점(제조사)을 방문해 차량 계약 후 계약서와 신청서 및 구비서류를 해당 시군 환경부서에 제출하면 된다.
한글로 만들어진 최초의 음식 백과서이자, 최고의 조리서인 음식디미방이 글로벌 셰프를 꿈꾸는 학생들의 손을 거쳐 코로나 극복의 희망 도시락으로 재현됐다. ▲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제작 종가음식 도시락 제공(사진=경북도) 경상북도는 2일 도청에서 영주 소재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학생 30명이 직접 조리한 전통 종가음식 도시락을 전달하는‘희망나눔 도시락 전달식’을 가졌다. 이날 전달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조귀분 석계종택 종부, 학생 등이 참석했다.전달 받은 도시락 50개는 생활치료센터로 운영되고 있는 경북소방학교에 근무하는 의료진과 방역관계자들에게 전달된다. 이들은 지난달 30일에도 종가음식 도시락 300개를 만들어 코로나19 거점병원인 영주 적십자병원에서 근무하는 방역관계자들에게 전달했다. 학생들은 도시락을 만들기 위해 영양의 장계향 문화 체험 교육원에서 2박 3일간 머물면서 전통 종가의 음식문화를 체험하고 146가지의 조리법이 담긴 음식디미방을 배웠다. 도시락에는 가제육과 연계찜, 디미방잡채, 나박김치, 잡과편, 오미자편 등 정성을 다해 만든 음식디미방의 대표음식들을 담았다. 특히 석계 종택의 13대 종부이며 음식디미방 전수자로 활동하고 있는 조귀분 강사는 3일간의 모든 교육을 직접 주관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학생들이 350년 전통의 반가음식을 배우고 체험한 좋은 기회가 됐으리라 생각한다”라며,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의료진과 생활치료센터 관계자들에게 도시락을 전달할 수 있어 매우 뜻깊다”라며 감사를 표했다.
경상북도 토속어류산업화센터(이하 센터)는 내수면 어업인을 위해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가능한 비대면 교육시스템을 구축했다고 31일 밝혔다.▲ 교육화면 캡처(사진=경북도) 이번에 구축한 교육시스템은 코르나 19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새로운 내수면 어업 교육 시스템으로 개선하고자 올해 7월부터 도비 3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제작했다.교육영상을 제작하고 다양한 형태의 강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한 보다 충실한 비대면 교육시스템주요 콘텐츠는 ▷(월별 교육일정) ▷(온라인 교육신청) ▷(온라인교육신청확인) ▷(교육확인서 발급) ▷(교육동영상) ▷(알림 게시판) 등으로 구성됐으며, 내수면 어업인의 접근성과 편의성에 중점을 뒀다.센터는 내달 내수면 귀어?귀촌, 내수면 양어가 및 창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현장 및 이론교육을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문성준 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장은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해 비대면 으로 최신의 어업 기술과 정보 보급에 노력하겠다. 어업인이 만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
경북소방본부(본부장 김종근)는 지난달 31일 영덕소방서 대회의실에서 도내 19개 소방서 화재조사관 등 관계자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두 번째 권역별 화재사례 발표회를 가졌다고 2일 밝혔다.▲ 화재사례발표회(사진=경북도) 소방본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도내 소방관서 상호 간 최신 감식기법의 전파와 공유로 화재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자 매월 권역별 화재사례 발표회를 개최하고 있다.이번 발표회에서는 ▷노래연습장 화재사례(포항북부소방서) ▷주택용 태양광 설비 화재사례(포항남부소방서) ▷폐건전지 화재사례(경주소방서) ▷선박 화재사례(영덕소방서)등 동부권 4개 소방서 화재조사관의 화재현장 원인 조사 연구사례가 발표됐다.먼저, 포항북부 노래연습장 화재와 관련해서 ▷승강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중 건물 외벽의 불꽃을 보고 최초 화재를 인지 ▷에어컨 실외기에서 주변으로 연소 확대 패턴 ▷에어컨 실외기 전기배선에서 단락흔 식별 등을 들어 발화원인을 전기적 요인으로 분석했다.다음은 포항남부 주택용 태양광 설비 화재로 ▷소유자가 밖에서 고무 타는 냄새로 최초 화재를 인지 ▷화재 발생 전일 포항 일대 장시간 내린 폭우 ▷태양광 접속반의 심한 소손 ▷접속반 내부 PCB기판의 천공 등을 들어 발화 원인을 빗물 유입으로 트래킹에 의한 화재라고 발표했다.경주 폐건전지 화재 조사는 ▷지하 창고에서 연기를 보고 최초 화재를 인지 ▷다량의 3V 리튬 폐건전지를 밀폐된 종이박스에 보관 ▷3V 리튬 폐건전지와 9V 건전지 혼합 보관 등을 들어 발화 원인은 폐건전지 양극 간 접속 불꽃에 의한 화재로 분석했다.끝으로 영덕 선박 화재 조사는 ▷정박 중인 선박에서 연기와 불꽃을 보고 최초 화재를 인지 ▷선박 조타실 바닥에서 심한 소손 ▷선박 정비 시 사용하는 기름걸레에서 산화열에 의한 화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발표회 후 참석자들은 질의응답과 열띤 토론을 통해 최신 화재감식기법을 상호 공유했고, 소방본부는 화재예방대책에 이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김종근 경북소방본부장은 “화재사례 발표회는 화재조사관의 전문성 향상과 감식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며, “화재 원인 규명이 곤란하거나 신재생 에너지 화재 등을 중심으로 유관기관과 정보 공유를 강화해 도민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지역 농업인들의 정보화 능력을 평가하는 ‘2021년 경북 농업인 정보화 경진 대회’수상자를 2일 발표했다.▲ 청송달콤농원(청송 대상 수상)(사진=경북도) 이번 경진대회은 지난달에 ‘농업 경영?마케팅의 선도, 창의적 활용 경진’등 5개 분야에서 경진을 펼쳐 우수사례 20점을 시상했다.청송의 박서우씨(청송달콤농원)는 부모님의 병환으로 사과농사를 물려받기 위해 귀농했다. 공판장을 통한 판매에서 제값을 받지 못하는 것을 알게 되면서 저온저장고 설치 등 시설투자와 새로운 판매 전략을 세우고 SNS를 총 동원해 고객확보와 판매망을 넓혀 갔다. 그 결과, 고객 감동의 실천으로 제값을 받는 마케팅에 성공한 사례로 ‘농업경영?마케팅의 선도, 창의적 활용’ 분야에서 대상을 받았다.또, ‘매우 특별한 홍보 및 스토리텔링 경진대회’에서 백승현씨(김천, 수도산 와이너리)는 학창시절 복서의 꿈을 갖고 도전한 경험을 살려서 산머루농원을 개원하고 유기농 산머루 와인을 만들어 판매해 도전 정신을 실천해 성공하게 된 사례로 대상을 받았다.‘농장 홍보 동영상 제작 경진’에서 김준화씨(안동, 해뜨락농원)는 청계닭과 청년농부를 주제로 젊은 감각의 신나는 홍보 영상을 제작해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홍보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라이브커머스를 활용한 우수 사례로 대상을 받았다.그 밖에도 ‘농업?농촌 사진’, ‘농업인 경영?정보화 단체’ 등 각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올린 정보화농업인들의 우수사례를 시상했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SNS로 소비자와 소통하고 홍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대가 됐다. 변화하는 트렌드에 발맞춰 농업인 스스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정보화 경진대회’가 촉매제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경북도는 2003년부터 정보화농업인을 육성해 현재 도내 23개 시군 125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농업인이 직접 생산한 농산물과 가공품을 쇼핑몰, 홈페이지, SNS 등을 활용해 직거래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2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곤충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경북 통합곤충브랜드‘골드벅스’디자인을 확정해 발표했다.▲ 곤충브랜드 골드벅스(사진=경북도) ‘골드벅스’디자인은 경북 곤충 산업이 젊은 청년들이 뛰어들 수 있는 신산업으로 농가에 황금과 같은 높은 소득을 안겨주며 광산의 금맥을 찾듯 곤충 산업의 황금기를 맞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또한, 원형모양의 심벌은 골드벅스(Gold Bugs)와 경북(Gyeong Buk)의 이니셜인 알파벳 G와 B를 조합해 그 의미를 더했다.특히, 엠블럼 전체 모양을 황금열쇠의 손잡이처럼 표현해 농업의 블루오션인 곤충산업을 경북이 선도적으로 열어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내 곤충시장은 크게 ▷식용 ▷사료용 ▷학습?애완용으로 구분되고, 사육되는 곤충 종류는 흰점박이 꽃무지, 장수풍뎅이, 갈색거저리, 귀뚜라미 등이 있다. 국내 곤충생산 농가수는 2015년 724개소에서 2020년 2873개소로 6년 간 3배로 성장했으며, 곤충 판매액 또한 2배 이상 증가(’15년 162억원 → ’20년 414)했다. 경북의 곤충 사육농가 수는 2020년 기준 476가구로 이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곤충산업 분야 중 경북이 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식용곤충분야이다. 식용곤충은 세 가지 정도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먼저, 식용곤충은 고단백질로 곤충 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소고기에 비해 3배 정도 단백질 함유량이 많고 지방 성분 중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불포화지방산이 높다. 다음은 환경적으로도 우호적이다. 곤충의 대량 사육은 타 가축 사육에 비해 환경오염 요인인 온실가스 및 암모니아 발생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매우 친환경적이다.마지막으로, 경제적 측면에도 비용이 적게 든다. 단백질 1kg을 생산하는데 대가축은 사료 10kg이 필요한데 비해 곤충은 1kg이면 충분할 정도로 생산성이 높고, 사육기간이 짧다.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높아서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 ?가축으로 정하는 기타동물? 고시 개정 및 시행(2019.7.25.) - 갈색거저리, 장수풍뎅이, 흰점박이꽃무지 등 곤충14종이 가축에 포함 *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서는 식용곤충을 ‘작은가축’으로 지정이에, 경북도는 곤충산업의 발전을 위해 올해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인 곤충산업화 지원시설 사업을 유치해 잠사곤충사업장 부지(상주시 함창읍)에 식용곤충 가공공장을 건립하고 있다.또한, 경북도와 에쓰푸드가 공동 개발한 곤충식품(마들렌, 프로틴 바)도 9월 7일 ‘곤충의 날’에 맞춰 정식 출시 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곤충식품의 유통 활성화를 위해 각종 박람회 참가, 온라인 홍보, 유용미생물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개선이 먼저 선행이 돼야 한다. 다양한 홍보사업과 제품개발 등 소비자에게 친숙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경상북도는 지난달 23일자로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제18조의4 규정에 의거 포항 산림조합에서 조성한 ‘숲마을 정원’을 경북도 제6호 민간정원으로 등록했다고 1일 밝혔다.▲ 숲마을 정원(사진=경북도) 숲마을 정원은 포항 산림조합에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포항 북구 흥해읍 대련리 66-5번지 일원에 조성해 운영 중이며 고속도로 인근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지난해 9월 16일 개장해 현재 누적 방문객이 57만 3530명이고 평일에는 평균 500명, 주말 및 공휴일에는 평균 800명이 방문하고 있어 새로운 산림휴양명소로 떠오르고 있다.특히, 야외시설인 어린이 놀이터, 잔디광장을 무료로 이용·대관할 수 있고 실내에 숲 레스토랑, 뷔페 등의 식당과 카페를 조성해 휴게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임산물전시판매장과 전시온실, 로컬푸드 직매장, 나무시장을 상시 운영하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제공하고 있다.한편, 경북도는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2016년부터 총 3개소의 지방정원을 조성 중에 있으며 내년에 경주, 청송 2개소를 개장할 예정이고, 법인·단체 또는 개인이 조성한 아름다운 민간정원을 등록해 더 많은 도민들이 보고 즐길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제4조제2항 규정에 의하면 정원은 조성·운영 주체, 기능 및 주제에 따라 국가정원, 지방정원, 민간정원, 공동체정원, 생활정원, 주제정원으로 구분된다. 이 중 민간정원은 법인·단체 또는 개인이 조성·운영하는 정원으로 경북도에는 이번 ‘숲마을 정원’을 포함 총 6개의 민간정원이 등록돼 운영 중이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아름다운 민간 정원을 최대한 많이 발굴하고, 이와 함께 지방정원을 조성해 지속적으로 정원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1일 구미 선별진료소와 제3생활치료센터(구미 농협연수원), 제4생활치료센터(안동 경북소방학교)를 방문해 방역현장에서 노고를 아끼지 않는 근무자들을 격려했다고 밝혔다.▲ 강성조 행정부지사(사진=경북도) 강성조 행정부지사는“최근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계속됨에 따라 생활치료센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밤낮 없이 휴일도 반납해가며 구슬땀을 흘려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라며 고마움을 전하고, “환자가 안전하게 퇴소할 수 있도록 조금 더 힘을 내어 달라”라고 당부했다. 올해 7월에 개소한 경북 제3생활치료센터는 146병상 규모로 코로나19 무증상, 경증 확진자에 대한 치료관리를 위해 의료진, 군인, 행정인력, 경찰, 소방, 폐기물?방역 전문업체 등 30여 명의 인력이 투입돼 운영되고 있다.또한, 경북도는 지난 7월 제3치료센터를 개소한 이후 제4?5치료센터를 연이어 개소해 안정적인 병상수급은 물론 환자의 안전관리에도 힘을 쏟고 있다.
□ 확진자 현황 : 총 7,186명(완치 6,504, 입원 593, 사망 89) * 도 발생 비율 2.8% 합계‘21.7.1. 이전‘21. 7. 1. 이후소계외국인풋 살음악학원포항1사업장포항2사업장경주사업장경주3사업장경주식당구미PC방의성요양병원김천교회김천학교구미목욕탕해외유입기타7,186명4,9492,237354019433240183135162168981,741(+42) (+2)(+1)(+39)* 치명률 ? 경북(9.2. 기준) 1.24%(89명), 전국(9.1. 기준) 0.90%(2,292명)□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8.19.(木)8.20.(金)8.21.(土)8.22.(日)8.23.(月)8.24.(火)8.25.(水)8.26.(木)8.27.(金)8.28.(土)8.29.(日)8.30.(月)8.31.(火)9.1.(水)검 사13,28710,28414,68512,87714,45610,82413,89611,76214,64213,01011,1748,4798,10813,176확진자67(3)111(2)50(2)35(1)31(3)71(2)6467(3)47(1)54(2)41(2)274442(1)확진율*0.51.10.30.30.20.70.50.60.30.40.40.30.50.3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313명 1일평균 44.7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729명 1일평균 52.1명□ 시·군별 발생(국내 6,838, 해외유입 348)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의성7,186명 (+42)1,137(+10)871(+11)(+1)476(+2)323(+1)1,077(+8)137(+1)146(+1)165661,672(+3)24192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 63(+1)1047207(+1)78(+1)44225(+1)9476506 □ 전담병원 병상 : 총 1,246(사용 585, 여유 661, 가동률 47.0%)구 분총 계(A+B+C)도 지정중수본 지 정 생활치료센터소계(A)포 항의료원김 천의료원안 동의료원동 국 대경주병원영 주 적십자(B)소계(C)구미농협교육원경 북소방학교문경STX리조트총 병상1,2463581652014330142746146100500사 용 중5852841041413828137164972047가용병상661746165255824980453 * 타시도 환자 → 경북입원 : 61명(대구 13, 수도권 44, 타시도 4) ** 경북환자 → 타시도 입원 : 66명(대구 36, 경남권 16, 충청권 2, 수도권 11, 강원권 1)
경북형 SW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 사업 추진을 위해 도와 기업체, 지역대학, 연구기관 등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경북 SW 산학연정 협약식(사진=경북도) 경상북도는 1일 경북테크노파크에서‘경북형 SW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 사업 추진을 위한 산학연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날 협약에는 경일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영남대학교, 경북ICT산업협회, 경북게임콘텐츠산업협회, 다성테크, 경북테크노파크 등 9개 기관이 함께 했다.이번 협약은 경북이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고자 선도적으로 SW인력을 양성해 산업현장의 기술 수요를 충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 산업 현장 간의 창의적 역량을 행정에 융합해 일원화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협력사항은 ▷ SW인력양성과 일자리창출을 위한 공동 사업 추진 협력 ▷ IT, CT 산업분야 네트워크 및 인프라 활용 지원 ▷ 일자리창출과 관련된 전략적 제휴 및 업무 협력 ▷ 각종 세미나, 교육훈련, 인력상호교류 등으로 변화하는 미래를 대비해 상호 협력하고 지원하기로 했다.앞으로의 미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제조업의 융합에 따라 SW는 IT산업만이 아니라, 국방, 항공, 환경 등 실생활에 접할 수 있는 모든 산업분야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요소가 될 것이다. 하지만 경북의 SW산업 현실을 살펴보면 수도권에 비해 고용시장이 협소*해 청년층이 지속적으로 감세**하는 추세다. * 대구경북소재 SW기업 수 1,068개로 전국의 4% 정도(수도권 80% 차지) ** 매년 경북도 청년인구 감소 추세 2018년 75만명 → 2020년 69만명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경북형 SW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 사업은 SW 개발이 필요한 도내 중소기업의 성장을 유도하며, SW일자리창출과 스타트업 등 창업공동구역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 전문인력 양성 ▷ 경북형 오픈뱅크 구축 ▷ 취?창업 지원 등 3년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이 사업은 기업체, 대학, 연구기관에 사업의 필요성과 추진방향에 대해 의견수렴을 거쳐 4차 산업혁명 위주의 SW인재양성과 일자리창출 연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올해 6월 1단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공모를 통해 대학팀 및 일반팀 총 20개팀 66명을 선정했으며, 현재 지역 대학 교수와 기업체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술 교육과 현장실습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경제부지사를 위원장으로 기업, 학계, 연구기관 관계자, 법률 전문가 등 21명이 모여 산학연정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경북형 SW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 사업 전반에 대한 심의? 자문과 경북 미래발전방안 보고서 집필, 산업현장의 수요 반영과 기술기반의 연구를 통해 신규정책 발굴제안 등 민관협력 기반의 경북형 일자리정책 추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앞으로 일자리는 ‘구하는’ 시대에서 ‘만들어가는’시대로 바뀐다. 산학연정이 합심해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 인재를 양성해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1일 제102회 전국체육대회(10월 8~ 14일)와 제4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10월 20~25일)의 안전한 개최를 위해 강성조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민관합동점검반 12명을 편성해 전국체전 주경기장인 구미 시민운동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전국체전 민관합동 안전점검(사진=경북도) 이날 점검에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건축사사무소 등 민간전문가들과 경북도 소방본부·전국체전기획단·사회재난과 등 관련 공무원들이 합동으로 점검에 참여했다.이번 점검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8일까지 1개월 간 도내 취약시설 1704개소에 대한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하는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중에 진행했다.올해 경북도가 실시하는 국가안전대진단의 첫 안전점검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육대회를 찾는 참가 선수단의 안전보장과 감염병 차단을 동시에 대비하고자 진행했다.이번 점검에서 가장 핵심은 처음으로 국가안전대진단에 전문장비인 드론을 도입해,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운 시설물과 구조물까지 주경기장의 곳곳을 상세하고 정밀하게 점검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점검의 신뢰도를 높였다.또한, ▷구조물의 안전성 ▷전기?가스?소방?승강기 등 각종 설비의 안전관리 실태 ▷유사시 대응체계 구축 등 시설물 안전에 대해 전반적으로 점검했다.특히, 국내외에서 찾아오는 참가선수단과 가족들의 코로나19 예방을 위하여 열 체크기 설치, QR코드기 설치, 손소독제 비치,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방역체계도 꼼꼼하게 점검했다.이날 점검결과는 각종 구조물과 설비의 안전실태 및 유사시 대응체계 구축은 전반적으로 양호했으나, 현장에서 도출된 경미한 지적사항에 대하여는 시정 조치하여 즉시 보강해 줄 것을 지시했다.한편, 경상북도는 올해 3월부터 전국체전 경기장 107개소에 대해 관리주체별로 자체점검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 특별점검이 필요한 17개소 경기장에 대해서는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분야별 민관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집중 점검할 방침이다.아울러, 향후에도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시군 및 유관기관과 함께 지속적으로 현장의 안전실태를 살펴 시설물 안전을 확보하고, 도민의 안전의식을 향상시키는데 노력 할 예정이다.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재난을 피할 수 있는 길은 예방만이 최선책이다. 생활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도민들의 자발적인 안전신고와 제안 등 적극적인 참여가 안전한 사회를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경북도(도지사 이철우)는 지난달 31일 영천경마공원 조성 사업이 영천시 건축위원회 건축심의에서 조건부 동의로 심의 의결 돼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영천경마공원 조감도(사진=경북도) 경북도는 세부계획에 대한 추가보완 등 지적사항을 빠른 시일 내에 보완해 이달 중으로 건축허가를 완료할 예정이다.지난 건축심의위원회에서 건축법에 따른‘다중이용건축물 및 특수구조 건축물의 구조안전에 관한 사항’에 대해 건축계획, 에너지, 구조, 교통, 철콘 및 복합구조재료, 시각디자인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토의가 이뤄졌다.영천 경마공원은 2024년 9월 개장을 목표로 현재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며, 국내 최초 잔디 주로를 갖춘 국제 수준의 경마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중앙부처, 지역 국회의원 등과 긴밀히 협력해 공동추진단 구성, 레저세 감면, 인프라 개선 등으로 성공적인 경마공원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가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의 추석 전 지급을 목표로 도민에게 신속하고 차질 없이 지급될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가이드라인(사진=경북도) 경북은 전 도민의 89.8%인 2,363,505명에게 1인당 25만원씩 상생 국민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이다.이번 지원금은 ’21년 6월 건강보험료 기준 가구소득 하위 80%이하인 가구의 구성원이 대상이나,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에는 특례기준*이 적용되며 고액자산가**는 제외된다. * 특례기준 : 1인 가구소득 5,800만원, 맞벌이 가구는 가구원수 + 1명 기준 적용 ** 고액자산가 제외 : 재산세 과세표준 9억원,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지난 국민 재난지원금과 달리 가구당 최대 금액 제한이 없으며, 구성원 1인당 25만원씩 지원된다. 지원신청과 지급 모두 개인별로 진행되고, 미성년자녀는 세대주가 신청·수령할 수 있다.지급대상자 여부 및 금액 등의 안내도 네이버앱·카카오톡·토스, 국민비서 홈페이지를 통해 요청한 사람에 한해 5일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8.30.부터 신청가능), 6일부터는 카드사·건보공단 홈페이지·앱 등에 접속하면 직접 조회할 수 있다.신청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하며, 온라인*은 6일부터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 지역사랑상품권 앱 등으로, 오프라인은 13일부터 읍면동 주민센터, 카드와 연계된 은행창구 등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 온라인 신청 첫 주는 출생년도 끝자리별 요일제 적용(월1,6/화2,7/수3,8/목4,9/금5,0/토일모두)또한 고령자·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도민을 위해‘찾아가는 신청’서비스를 운영한다. 13일부터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전화신청이 가능하며, 방문일정 사전안내 후 대상자를 직접 방문해 신청서를 접수하고, 추후 재방문으로 지원금을 지급한다.지급수단은 신용·체크카드·선불카드·지역사랑상품권 가운데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현금으로는 지급되지 않는다.특히 이번 지원금은 가구소득 하위 89.8%까지 대상이 되는 만큼, 소득기준경계에 있는 도민들의 지원금관련 문의 등을 고려해 전담 콜센터*를 운영해 민원발생 및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 콜센터 번호 1522-0120, 054-880-3811~5지급대상자 선정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은 6일부터 온라인 국민신문고 또는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를 받는다.한편, 경북도는 행정부지사를 중심으로 상생국민지원금 T/F팀을 구성해 가동 중이며, 8월 30일 시군 부단체장 영상회의 개최를 통해 예산편성, 시군전담조직 구성, 지역사랑상품권 확보 등 지원금 준비상황을 꼼꼼히 점검하여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이번 지원금을 최대한 앞당겨 추석 전에 지원해드릴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하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치고 힘든 도민들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청년발전 및 지원을 도모하고 청년문제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제정된‘청년의 날’을 맞아, 이달 1일부터 13일까지 사전 기념이벤트를 진행 한다고 밝혔다.▲ 청년의 날 이벤트(사진=경북도) 이번에 추진하는 기념이벤트로 ‘청년의 날’을 알리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일부터 7일까지‘경북 청년의 핫플레이스를 찾아라’, 8일부터 13일까지‘청년소리함, 나는 경북에 OO을 원한다’를 진행하고, 추첨을 통해 소정의 경품도 제공한다. ※ 사전 기념이벤트 참여방법 - 경북 청년의 핫플레이스를 찾아라! : 2021gbyouth@gmail.com으로 사진 및 설명 송부 - 청년소리함, 나는 경북에 OO을 원한다! : 경상북도청 공식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댓글또한, 14일 오후 2시 도청 다목적홀에서 ‘청년의 날’기념행사(비대면)도 개최해, 청년정책 유공자 시상 및 명사 강연 등을 진행한다.박시균 경북도 청년정책관은 “경북도는 변화와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들이 머물고 싶은 지역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속 2회째 맞는 ‘청년의 날’ 기념 이벤트에 많은 참여 바란다”라고 전했다.
[뉴스] 군위군 의회, 먹거리 우수사례 선진지 견학 추진
[뉴스] 자유총연맹 군위군지회, 충혼탑 일대 환경정화 활동 펼쳐
[뉴스] ‘의흥 어슬렁길 골목축제’성황리에 개최
[뉴스] 어울림청년연합회, 효령면 중구1리서 방충망 교체 봉사활동 실시
[뉴스] 사)대구시각장애인연연합회 군위지회, 2025년 대구장애인생활체육 시각장애인한궁어울림대회 성료-군위지회 1위 쾌거
[뉴스] 효령면 새마을회 부녀회, '청춘대학 안내봉사'로 어르신 맞이
[뉴스] 효령면 새마을회 부녀회, ‘경로당 어르신 중식봉사로 훈훈한 나눔 실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