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는 최근 취약시설의 코로나19 집단감염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경주, 구미의 종교시설 및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12일부터 16일까지 특별합동점검반을 편성해 합동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종교시설 점검(사진=경북도)점검반은 경북도 사회재난과, 문화체육과, 아이세상지원과, 경주시, 구미시로 4개팀 23명으로 편성해, 경주·구미 종교시설 24개소와 어린이집 50개소를 선별해 코로나19 방역수칙 준수 상황 등을 점검했다.이번 합동점검은 시설 내 방역수칙 준수 상황 점검뿐만 아니라 어린이집 영유아 보호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지켜야할 방역수칙 계도와 예방접종을 권고하는 홍보도 병행했다.종교시설은 ▷방역수칙 준수 ▷출입자명부 작성·관리 ▷마스크 착용 ▷이용인원 제한 준수 ▷음식섭취 금지 ▷환기 주기 준수 ▷일 1회 이상 소독 등의 사항을 점검했다.▲ 어린이집 점검(사진=경북도)또한, 어린이집은 ▷비상연락체계 마련 ▷감염관리책임자 지정 ▷감염병예방관리 교육 수행 ▷격리실 운영 ▷환기 주기 준수 ▷일 2회 이상 수시 소독 등을 중점 점검했다.점검 결과, 방역책임자관리자 미지정, 유증상자 격리실 미지정, 출입자명부 관리 소홀, 비상연락체계 미정비 등 일부 수칙위반사항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즉시 시정 조치했다.김중권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과 연쇄감염 등이 발생한 감염취약시설인 종교시설과 어린이집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므로, 앞으로도 방역관리에 만전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 ! 황금연휴를 맞이하여 소규모 가족단위 비대면 관광여행지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즐길거리, 먹거리가 풍성한 경북 농촌체험휴양마을이 핫 플레이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전국민 파워업 농촌관광 지원특히 MZ세대에 촌(村)캉스*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제대로 된 시골감성을 느끼기 위해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인적이 드문 호젓한 곳에서 조용하게 힐링과 체험을 즐기는 것이 유행인 지금, 경북 농촌이 인기가 있는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 촌캉스 : 시골(村)과 바캉스의 합성어로 시골에서 즐기는 바캉스도내에 운영 중인 126개소 농촌체험휴양마을은 테마별ㆍ계절별ㆍ체험별 특징을 살린 농촌관광 여행지로 전통, 웰빙, 캠핑 등 각기 다른 콘텐츠와 다양한 활동이 어우러진 경북의 농촌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그 중에서도 자연경관과 기와집이 어울려 농촌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전통마을로 청송 덕천마을, 고령 개실마을, 예천 금당실마을 등은 고택 숙박체험 및 민속놀이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최신 여행 트렌드인 캠핑 및 카라반, 글램핑 체험을 할 수 있어캠핑족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고령 예마을, 포항 봉좌마을, 봉화 협곡구비마을 등은 화창한 가을을 즐기면서 아름다운 추억을 쌓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아울러 브랜드 커피 대비 저렴한 가격과 좋은 품질로 바리스타가 직접 내려주는 커피를 마시며 감상에 젖어볼 수 있는 곳으로 영주 솔향기 마을, 상주 승곡마을, 고령 가얏고마을 등에서 촌(村)카페의 여유를 느낄 수 있다.한편 경북도는 올해 6월부터 코로나19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12월까지 농촌관광시설의 체험과 숙박비를 50% 할인 지원하고 있으며, 예산소진 시 행사가 조기마감 될 수 있다.농촌관광시설을 방문한 후 ‘경북농촌체험 SNS인증 이벤트’에 참여해 후기를 남기면 경북 농특산품 쇼핑몰 ‘사이소’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1만원 또는 3만원이 발급되는 이벤트를 함께 실시하고 있다.이외에도 농촌체험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시군별 농촌관광 협의체 구축 및 관광 상품 개발과 홍보를 하고 있으며, 기업연계 농촌힐링워크 사업을 통해 기업의 직원 및 가족들을 농촌으로 유도하는 등 도농교류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추석명절 기간 동안 혼잡한 관광지를 피해 비대면 여행지로 안성맞춤인 경북 농촌에서 소중한 가족들과 함께 힐링 하시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 확진자 현황 : 총 7,670명(완치 7,242, 입원 339, 사망 89) * 도 발생 비율 2.8% 합계‘21.7.1. 이전‘21. 7. 1. 이후소계경주사업장경주3사업장경주식당구미PC방의성요양병원김천교회김천학교구미목욕탕구미S교회영주1어린이집영주2어린이집해외유입기타7,670명4,9492,72132421832351621915013111142,246(+38) (+3)(+4)(+2)(+29)* 치명률 ? 경북(9.17. 기준) 1.17%(89명), 전국(9.16. 기준) 0.85%(2,386명)□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9.3.(金)9.4.(土)9.5.(日)9.6.(月)9.7.(火)9.8.(水)9.9.(木)9.10.(金)9.11.(土)9.12.(日)9.13.(月)9.14.(火)9.15.(水)9.16.(木)검 사13,8689,5376,3214,6108,40210,08614,05311,71110,0375,7783,7868,13210,59415,729확진자40(1)42(3)38(1)4525(1)3328(1)34(1)20(1)2515(1)22(1)33(2)38(2)확진율0.30.40.61.00.30.30.20.30.20.40.40.30.30.2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179명 1일평균 25.6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423명 1일평균 30.1명 □ 시·군별 발생(국내 7,306, 해외유입 364)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의성7,670명 (+38)1,208(+3)971(+5)(+1)513(+3)3281,226(+6)165(+7)152(+1)(+1)174(+3)671,693(+4)24202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 6310482108246246(+3)9878(+1)5412 □ 병상운영 : 총 1,146(사용 303, 여유 843, 가동률 26.4%)구 분총 계(A+B)전담병원( 47.2% )생활치료센터(10.4%)소계(A)포 항의료원김 천의료원안 동의료원동 국 대경주병원영 주 적십자소계(B)구미농협교육원문경STX리조트총 병상1,1465001652014330142646146500사 용 중3032364517722676673433가용병상843264120371466579112467 * 타시도 환자 → 경북입원 : 40명(대구 4, 수도권 31, 타시도 5) ** 경북환자 → 타시도 입원 : 68명(대구 58, 경남권 4, 충청권 3, 수도권 3)
국토교통부는 16일 국가도로망 계획을 포함한 도로정책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를 담은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1~’30)」을 최종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21~`30) 확정(사진=경북도) 이번 계획은 「도로법」에 따른 10년 단위의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전문 연구기관(한국교통연구원)의 연구용역과 공청회, 관계기관 협의 등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수립됐다.이번「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1~’30)」은 ‘사람, 사회, 경제 그리고 미래를 이어주는 다(多)연결 도로’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경제 재도약, 포용, 안전, 혁신성장의 네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미래 10년의 과제를 제시했다.금번, 도로 건설의 근간이 되는 국가 간선도로망은 92년 이래로 남북방향의 7개축과 동서방향의 9개축으로 구성된 격자망과 대도시 권역의 6개의 순환망으로 운영(7×9 + 6R) 되었으나, 이번 계획을 통해 30여년 만에 “10×10 + 6R2” 체계로 재정비됐다.전체 국토에 대한 격자망의 경우, 국민들이 전국 어디에서나 간선도로에 더욱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남북방향의 10개축과 동서방향의 10개축으로 재편했다고 밝혔다.‘중부선’과 ‘중부내륙선’ 사이의 큰 이격거리를 보완*하고 남북축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신규로 남북 6축**을 도입했으며, * 중부선과 중부내륙선의 이격거리는 약 73km로 국가간선망 평균(30km)의 2배 상회 ** 남북 6축 : 연천~서울(강일IC)~진천~영동~합천 구간 (※진천~합천 구간 신규도입)또한, 광역 생활권의 교통수요를 감안하여 기존 5대 대도시 권역의 순환형 도로망*에, 주변도시와 중심부를 직결하는 방사축을 도입해 6개의 방사형 순환망(6R2, 6 Radial Ring)으로 발전시켰다. * 수도권(2개), 대전?충주권, 광주?호남권, 대구?경북권, 부산?경남권 등 총 6개 순환망특히, 대구?경북 권역의 성주축은 현재 4차로 일반국도 구간으로, 향후 교통수요 등 여건 변화에 E라 고속망 검토 추진 할 계획이다. 대구?경북권 대도시권 고속망은 기존의 방사형 고속간선망을 보환하여 1개순환축, 8개 방사축으로 순환?방사형고속망이 완성된다. 현재, 일부구간 지방도로 운영중구간이 `21년 순환망이 완성*예정이다. * 대구외곽순환 고속도로 건설중으로 `21년말 개통예정(L=32.5km)방사축은 현재 경부,중앙, 중부내륙,광주대구 등 7개축 고속도로가 운영중이며, 1개축은 일반국도 운영 중이나 향후 교통수요 등 여건변화에 따라 고속망으로 검토추진 한다는 계획이다.경상북도는 “이번 제2차 국가도로망계획 발표로 향후 10년간 도로계획으로 국가계획에 연계되는 지방도로 계획을 수립하여 도민들이 국가간선도로망을 보다 안전하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히며 “향후 수립될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금번 수립된 계획들이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에서는 16일 도청 회의실에서 내년도 예산편성에 앞서 ‘경상북도 인구정책TF’신규시책 보고회를 개최했다. ▲ 경상북도 인구정책 TF신규시책 보고회 개최(사진=경북도) 경북도 인구정책TF는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도청 15개 부서, 경상북도교육청, 대구경북연구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강성조 행정부지사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부서별 상반기 추진설적을 점검하고, 분야별 내년도 신규시책과 추진전략을 논의했다.먼저, 청년일자리 분야 주요 신규시책으로는 청년창업기업의 창업성공률 제고 및 지역 청년일자리 확대를 위해‘경북 청년CEO 스케일업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코로나19로 위축된 관광사업체 활성화와 실업률 해소를 위해‘관광청년 인턴제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또한 청년들의 영농 진입장벽을 낮추고 농촌유입 촉진을 위해‘청년농업인 농지임대료 50%를 지원’할 계획이다.문화·복지·정주여건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가상 예술 공간인‘메타버스 예술플랫폼을 구축’해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대비하고, 지역별 주민의 특성을 고려한‘주거환경 맞춤형 생활SOC 주택지원’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자녀양육 분야에서는 정부의 영아기 집중투자 정책에 따라 2022년 이후 출생아부터‘영아수당 30만원’을 지급한다. 2025년 5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등 양육의 공적책임을 강화하고, 놀이중심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온종일 엄마품 돌봄유치원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끝으로 인구구조변화 대응을 위해 생활(관계)인구 개념을 활용한‘경상북도 사이버도민 운영’과 ‘1시군-1생활(관계)인구 특화프로젝트’운영으로 듀얼라이프 기회를 제공한다.인구정책 기본조례 개정을 통해‘경상북도 인구주간’을 지정·운영하는 등 청년인구 유출 등 지역인구문제에 대한 인식개선 및 해결방안 모색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처음으로 2만 838명이 감소했고, 경북 인구도 2만 6414명이나 감소했다.경북도는 인구절벽 위기감에 연초부터 인구정책TF팀, 민관 전문가 55명으로 구성된 제2기 인구정책위원회, 전국 인구분야 교수, 국책·지방정책연구기관 연구원으로 구성된 경북人포럼 등을 가동하고 있다.이외에도 청춘남녀만남지원, 분만취약지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영유아 무상보육, 마을 돌봄터 및 공동육아나눔터 확대를 통한 촘촘한 돌봄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또한, 초중고 전면 무상급식, 청년근로자 주거비 지원, 청년창업 및 정착지원 등 결혼·임신·보육·청년일자리·주거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인구정책TF 단장인 강성조 행정부지사는“경북 인구감소의 주원인은 청년인구 유출이다. 청년인구 유출을 줄이고 지방소멸위기를 극복하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16일 코로나19로 인한 지역 기업의 경영애로를 타개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역 제조업과 여성 기업계를 이끌고 있는 산동금속공업(대표 배선봉)와 영도벨벳(대표 류병선)를 방문했다.▲ 하대성 경제부지사(사진=경북도) 배선봉 산동금속공업 대표는 경북프라이드기업CEO협회장으로서 경북이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업이 행정과 협력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이에 경북도는 프라이드기업 신청자격을 지식산업, AI, 빅테이터 분야로 확대하기로 했다.한국여성경제인협회 경북지회 회장인 류병선 영도벨벳 대표는 지난 5월 개소한 여성기업지원센터 경북센터의 센터장을 역임하며 느낀, 민관협업의 중요성을 전달했다.경북도 역시 이에 공감하며 민관학이 함께하는 디지털마케팅 대학연계 넷북운영단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마케팅 지원을 약속했다.하대성 경제부지사는 “자구 노력을 보여준 기업에는 분명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하겠다. 또한 기업인들의 선한 영향력이 파급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경북소방본부(본부장 김종근)는 추석 연휴 의료 상담 전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전문 상담인력 3명과 상담 수보대 2대를 추가로(5대에서 7대) 확대 운영하는 등 구급상황관리 체계를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구급상황 관리센터 운영(사진=경북소방본부)추석 연휴 동안 응급상황 발생 시 119에 신고하면 인근 당번 병·의원 ? 약국 안내뿐만 아니라 응급환자에 대한 의료상담, 응급처치방법, 구급차 요청 등 다양한 응급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지난해 추석 연휴 5일 동안 119구급 상담?안내 문의전화는 총 2,698건으로 일평균 540건에 달하며, 평일 대비(약220건) 약 2.45배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병?의원 및 약국 안내가 1,936건(71.8%)으로 가장 많았고 응급처치 지도 410건(15.2%), 질병상담 139건(5.2%), 기타 129건(7.9%) 순으로 나타났다. 김종근 소방본부장은 “추석 연휴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119로 전화하면 병·의원 안내는 물론 적절한 의료 상담과 구급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라며 “도민들이 편안하고 안전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비상근무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전했다.
경상북도는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맞이해 도내에 유통 중인 차례용·선물용식품 등 추석 성수식품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식품 검사(사진=경북도)연구원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0일까지 도 및 시군에서 의뢰한 총 176건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다. 산적, 부추전 등 조리식품 13건 및 한과, 참기름, 건어포류 등 성수관련 가공식품 153건에 대해 산가, 보존료, 일반세균, 벤조피렌, 식중독균 검사를 실시 했다.한편, 안동·포항농산물검사소에서는 조기, 문어 등 수산물 10건에 대해 중금속검사도 실시했다. 검사 결과는 조리, 가공식품과 수산물 등 모든 성수식품이 기준 적합으로 판정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하주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최근 김밥류의 살모넬라 오염에 인한 식중독 등 먹거리를 위협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만큼 명절, 김장철, 개학철 등 필요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안전성검사를 실시해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16일부터 내달 31일까지 본격적인 가을철 임산물 생산 시기를 맞아 산림 내 임산물 불법 굴?채취가 성행할 것으로 판단하고, ‘산림 내 불법행위 특별단속’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임산물 불법채취 금지(사진=경북도)주요 단속 대상은 버섯류(송이, 능이 등)와 수실류(잣, 밤 등), 약초류(산양삼, 당귀 등)를 불법 채취하는 행위이다. 일반 등산객을 대상으로는 주요 등산로 및 임도에서‘불법 임산물 채취금지 캠페인’을 실시하는 등 계도활동도 병행할 방침이다.특히, 전문 채취꾼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특별사법경찰관과 산림보호공무원을 동원해 임산물 도난 취약지역 위주로 집중 단속할 예정이다.이번 단속에 적발 시 경각심 고취와 불법행위 근절을 위해 엄중 처벌하겠다는 방침이다.엄태인 경북도 산림자원과장은“가을철 입산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불법 임산물 채취행위 근절에 도민이 함께 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강조했다.
경상북도는 지난 14~15일 오후 7시부터 김천시립도서관 시청각실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독도인문학교실’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김천시민들과 함께하는 독도 인문학교실(사진=경북도)대구한의대학교 독도&안용복연구소(소장 김병우 교수)가 주관하는 독도인문학교실은 독도 강연과 독도관련 유적지 탐방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이번 독도 인문학교실에는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50여 명이 참석해, 독도의 역사와 일본 정부의 독도 왜곡 내용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14일은 대구한의대 김병우 교수가 ‘한국의 독도와 일본 그리고 안용복’, 15일은 계명대 이성환 교수가 ‘한국의 국경과 독도 그리고 일본’을 주제로 시민 강좌를 개최했다.24일에는 2일 연속 강연에 참석한 사람 가운데 20명을 선정해 부산수강사(守疆祠) 등 안용복관련 유적지를 탐방하게 된다.김병우 대구한의대학교 교수는 “독도 강좌를 통해 독도의 현황뿐만 아니라 독도를 둘러싼 근현대사 등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물론, 안용복의 행적을 통해 독도에 대한 일반인의 마음가짐을 배우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이영석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일본이 독도 역사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왜곡선전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고, 앞으로도 국민이‘경상북도의 독도’라는 인식을 확고히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박판수 경상북도의회 독도수호특별위원장도 시민들과 함께 독도 강좌에 참석하여 일본의 독도 침탈과정과 경북도의 대응과 역할에 대해 질의를 하는 등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경상북도는 추석 연휴기간 동안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지난 15일 원전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한수원 및 원자력환경공단과 함께 원전안전을 대비하여 비상대비태세를 확인했다.▲ 신한울 1, 2호기 전경현재 경북도에는 월성원자력본부·한울원자력본부에 총 11기의 원전이 운영되고 있으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을 관리하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위치하고 있어 원전시설의 안전관리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또한 유사시 원자력 안전과 비상 대응을 위해 중앙부처, 한수원 및 시군, 지역의 군·경 등 11개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태풍 찬투와 추석연휴 기간 동안 원전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원전안전분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따라 비상연락망을 정비하고 기관별 비상대응체계를 상시 유지하고 있다.이경곤 경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이번 추석 연휴기간 원전의 안전한 운영을 통해 도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협력해 비상상황 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지난해에 이어‘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경상북도’를 기본방향으로 방역 친화적 추석 명절 분위기 조성 등 4대 분야를 중점과제로 특별방역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특별방역대책회의(사진=경북도)최근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등 강력한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있으나, 지역 내 무증상 감염자 누적, 휴가철 이동량 증가, 델타 변이 확산 및 방역긴장감 이완으로 유행은 진정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이에 추석연휴 기간 이동량이 급증할 경우 추가 확산 및 새로운 유행을 촉발할 가능성이 높아 코로나19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4대 분야를 중점과제로 특별방역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방역 친화적 추석 명절 분위기 조성을 위해 고향·친지 방문 시 소규모로 안전한 고향 방문을 안내한다.백신 접종완료 또는 진단검사 후 최소인원(소규모)으로 고향 방문, 귀가 후 집에 머물며 증상 관찰 및 적극적 진단검사 받기 등을 중점 홍보하며 지속해서 도민에게 알릴 예정이다.또한, 터미널, 전통시장, 대형마트, 관광지 등 다중이용시설과 납골당, 공원묘지 등 봉안시설에 대해 추석 연휴 전에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방역수칙 준수를 안내에 나서기로 했다.특히 묘지 및 봉안시설은 성묘객 사전 예약, 및 성묘객 간 2m이상 거리두기, 비대면(온라인) 홍보 등을 통해 연휴 동안에도 현장점검을 통해 핵심 방역수칙 준수여부를 점검하기로 하였다.추석연휴에도 경상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빈틈없는 대응을 위해 24시간 종합상황실 및 감염병 비상방역 대책반을 운영해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자가 격리자를 특별 관리하기로 했다. 연휴기간에 혹시 발생할 수 있는 확진자에 대응하고자 선별진료소를 상시 운영하고 응급의료기관 및 당직의료기관 비상진료 체계를 구축해 진단 검사와 치료로 철저한 방역의료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이철우 도지사는 도민들에게 이번 추석에도 “부모님의 건강을 위해가급적 고향 방문을 자제하고, 백신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만 최소인원으로 고향을 방문 해 줄 것”을 당부했다.
드라마나 영화 촬영현장에서 연예인들을 응원하던 ‘커피차’가 영천의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앞마당에 15일 등장했다.▲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 직원 응원‘커피차’지원(사진=경북도)이번 커피차는 백하주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이 직원들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한 이벤트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밤낮 없는 검사로‘번아웃’을 호소하는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해서다.또 경북도 자체청렴도평가에서 내부청렴도가 직속기관이나 사업소 중에서 가장 높게 나온데 대한 동료 이자 선배로서 고마움의 표시이기도 하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1월 24일부터 지금까지 598일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코로나19 검사를 수행해 15일 기준 26만여 건의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했다.특히, 코로나19 신속대응과 효과적 치료를 위한 델타변이 등 우려 변이바이러스 분석도 동시에 진행하여 감염병 방역의 첨병 역활을 하고 있다.백하주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어렵고 힘든 시기에 묵묵히 도민을 위해 최 일선에서 분투하고 있는 연구원 직원들이 자랑스럽다”라며, “이번 커피차 응원이 지친 직원들에게 작은 여유를 선물하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와 경상북도광역푸드뱅크(회장 이상근)에서는 15일 제12호 태풍 “오마이스”로 큰 피해를 입은 포항 죽장면에 긴급 푸드팩 700세트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태풍피해지역 긴급물품지원(사진=경상북도광역푸드뱅크)긴급 푸드팩은 전국 푸드뱅크의 지원을 받아 마련됐으며, 긴급상황에서도 즉시 먹을 수 있는 필수적인 식품과 개인위생용품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긴급 지원된 푸드팩에는 간편하게 조리가 가능한 컵라면 7종과 생수, 즉석찌개, 마스크를 담았다.최미화 경상북도 사회소통실장은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이 한시라도 빠르게 일상생활 회복이 가능해졌으면 좋겠고, 긴급 재난지원 물품이 조금이나마 위로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곳에 먼저 찾아가 사회적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긴급 푸드팩 사업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의 먹거리와 생필품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했으며, 재난·재해 발생 시 해당 지역에 긴급하게 지원한다.
□ 확진자 현황 : 총 7,632명(완치 7,195, 입원 348, 사망 89) * 도 발생 비율 2.8% 합계‘21.7.1. 이전‘21. 7. 1. 이후소계경주사업장경주3사업장경주식당구미PC방의성요양병원김천교회김천학교구미목욕탕구미S교회영주1어린이집영주2어린이집해외유입기타7,632명4,9492,6833242183235162191501071122,217(+33) (+9)(+6)(+2)(+16)* 치명률 ? 경북(9.16. 기준) 1.17%(89명), 전국(9.15. 기준) 0.86%(2,380명)□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9.2.(木)9.3.(金)9.4.(土)9.5.(日)9.6.(月)9.7.(火)9.8.(水)9.9.(木)9.10.(金)9.11.(土)9.12.(日)9.13.(月)9.14.(火)9.15.(水)검 사11,96113,8689,5376,3214,6108,40210,08614,05311,71110,0375,7783,7868,13210,594확진자46(1)40(1)42(3)38(1)4525(1)3328(1)34(1)20(1)2515(1)22(1)33(2)확진율0.40.30.40.61.00.30.30.20.30.20.40.40.30.3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170명 1일평균 24.3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432명 1일평균 30.9명 □ 시·군별 발생(국내 7,270, 해외유입 362)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의성7,632명 (+33)1,205(+1)965(+5)(+2)510(+2)328(+1)1,220(+1)158(+15)150171671,689(+1)24202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 6310482108246243(+3)9877(+1)5412(+1) □ 병상운영 : 총 1,146(사용 314, 여유 832, 가동률 27.4%)구 분총 계(A+B)전담병원( 49.8% )생활치료센터(10.1%)소계(A)포 항의료원김 천의료원안 동의료원동 국 대경주병원영 주 적십자소계(B)구미농협교육원문경STX리조트총 병상1,1465001652014330142646146500사 용 중3142495415712782653728가용병상832251111572360581109472 * 타시도 환자 → 경북입원 : 44명(대구 4, 수도권 38, 타시도 2) ** 경북환자 → 타시도 입원 : 72명(대구 58, 경남권 5, 충청권 3, 수도권 6)
경북도는 15일 대구경북 한 뿌리 상생협력과 도농상생 교류 확대 강화의 일환으로 대구 산격종합시장 내 총 30억 원을 들여 대구경북 도농상생 직매장을 개장했다고 밝혔다.▲ ‘대구경북 1호 상생장터’ 개장(사진=경북도)이번 상생장터는 우수 농산물 산지인 경북과 대규모 소비지인 대구를 연결하는 직거래장터이다.대구경북 도농상생 직매장은 대구 산격종합시장 내 노후 건물 960㎡를 리모델링해 농수축산물 상설판매장 66개 점포, 커뮤니티센터와 대농특산물홍보관 등 현대적 시설을 갖춰 3년 준비 끝에 개장했다.2019년 12월 대구경북 도농상생 직매장 조성 사업계획 방침에 따라 올해 6월 18일 준공을 마쳤다. 안정적인 농산물 납품을 위해 올해 7월 말까지 직매장 참여농가 선정과 상품화전략 등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했다.특히 지난달 27일부터 정식개장 전 농산물 입점, 포장, 가격, 불만상항 등 다양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3주 정도 임시로 직매장을 개장해 소비자들의 농산물 구매 트렌드를 파악했다.시군 291 농가와 농산물 공급을 위한 납품계약을 맺고, 생산한 과실류, 엽채류, 가공품 등 지역을 대표하는 800여개 품목이 대구 소비자를 만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생산농가가 직접 수확한 농산물을 매일 오전 9시까지 매장에 진열하여 직접 가격을 책정해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직거래 방식으로 운영한다.향후 참여 농가를 350농가까지 늘여 다양한 농산물을 선보일 계획이다.또한, 대구경북 홍보관을 만들어 우수상품, 지역 맛 집 연계 시식 코너 마련, 밀키트 사업,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직매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활성화를 위해 대구와 협업해 홍보?마케팅도 추진한다.체계적 직매장 운영을 위해 점장을 포함한 정규인력 4명과 캐셔 등 임시인력 6명을 채용하고 상시 배치할 방침이다.향후 연매출 57억 원을 목표로 6년 차인 2026년에는 시?도의 지원 없이 자생력을 갖춰 직매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이번 직매장의 장점은 △농산물 1일 유통으로 언제나 신선하고 △유통단계를 줄여 농업인이 직접 가격을 정해 저렴하고 △경북도가 보증해 믿을 수 있으며 △이동거리를 줄여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량을 낮춰 환경보호에도 기여한다는 점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번 도농상생 직매장 개설을 계기로 시도민이 다시 화합할 수 있는 변곡점을 마련했다”라며, “시민들은 신선한 농산물을 착한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농가들은 유통단계를 줄여 안정적으로 납품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동영상뉴스] 2025 군위군 을지연습 실제훈련
[동영상뉴스] 정은표 배우와 함께한 / 인생백년 아카데미 성료
[동영상뉴스] 한마음대회 성료 / 한국생활개선군위군연합회
[동영상뉴스] 180홀 파크골프장 착공기념 / 대구시민 파크골프 축제
[뉴스] 군위전통시장 나눔 봉사단, 이웃사랑 실천 앞장
[뉴스] 군위군 보건소,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교육 실시
[뉴스] 기획생산·출하역량 강화, 군위 로컬푸드 안정적 판로 구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