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북농업기술원은 3일 영주시농업기술센터 과수시험장에서 시군 농촌지도공무원 22명을 대상으로 사과 동계전정 현장 실습 교육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사과 전정 전문교육(사진=경북도) 교육은 동계전정의 원칙, 가지의 세력, 절단에 따른 그해 자라는 가지(신초)의 발생, 유인에 따른 신초 발생세력 등에 대한 설명과 전정시범 후 현장에서 직접 전정 작업을 하고 선배지도사의 도움을 받아 교정하는 순으로 밀착 진행됐다.전정 작업은 불필요한 가지를 절단하고 솎아내는 작업으로 과일의 상품성을 높이고 다수확 및 작업 편의성을 확보해 단위면적당 최대 수익을 올리는데 중요한 작업으로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직접 작업을 하는데 기술 수준이 낮아 부담을 느끼는 농가가 많고 작업을 맡길 만한 마땅한 인력 또한 부족해 어려움이 큰 상황이다.최근 농촌지도공무원 인력현황을 보면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로 세대교체가 급격히 일어나 5년 미만의 신규공무원 비율이 38%에 이르고 있어 작목 전문지도사 역량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농업기술원은 농가 지도를 위한 시군 농촌지도공무원 사과 전정교육을 선배 농촌지도공무원 3명의 지도 아래 소규모 그룹으로 현장 교육을 진행했다.교육에 참석한 이용정 농촌지도사(청송)는“사과 동계전정 기술 노하우를 현장에서 직접 배우고 경험해 봄으로써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했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전국 제1위 사과 주산지 경북의 농촌지도공무원들이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농업인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습득해 신속하게 기술을 보급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지역 전통시장 상인연합회 143개소 3000여 명을 대상으로 ‘화재안전리더’를 양성한다고 밝혔다. ▲ 전통시장 소방교육(사진=경북도) 전통시장은 점포들이 밀집해 있고 대량의 상품들이 진열돼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화재로 번지기 쉬워 화재 초기 자체 공동대응과 대피가 중요하다.도내 전통시장은 총 197개소(상인연합회 편성: 143개소)로 전국 1307개소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면적은 2.16km2 이다 경북소방본부는 상인 중심의 화재안전리더 양성을 통해 소방대 도착 전 초기 자율대처 역량을 강화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상인연합회를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을 받은 화재안전리더는 전통시장의 개별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을 통해 화재 등 위기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피, 초기 대응, 소방차 유도 등의 책임자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전통시장은 상인들의 삶의 터전인 만큼 안전과 생존을 위해 상인들의 자율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소방시설 유지관리와 비상구 확보 등 화재예방에 최선을 다하는 화재안전리더가 되어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한편, 경북소방본부는 화재안전리더 양성 외에도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안전하기 좋은날(점포점검)캠페인, 소방안전교육·훈련 등을 지속해서 운영할 계획이다.
경상북도는 지역 출신 정택점(60)씨가 에티오피아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 미망인, 자녀 그리고 손자까지 무상으로 틀니를 지원하며 묵묵히 선행과 봉사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김천 출신 정택점씨(사진=경북도) 정씨는 경북 김천 출신으로 다수의 NGO 단체, 한국라이온즈 충남지부 등의 후원을 받아 2016년부터 에티오피아의 지방도시와 경찰병원, 전기가 없는 시골마을 등을 직접 방문해 틀니를 지원하는 봉사를 하고 있다. 정씨는 “지방은 차로 10시간이 걸리기도 하지만, 한국전쟁 때 대한 민국을 위해 싸워온 참전용사들의 희생에 비하면 멀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에티오피아에 늘 고마움을 전하고 싶고 제 힘이 남아있는 한 봉사활동을 계속 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씨의 묵묵한 선행과 봉사의 귀감은 한-에티오피아 간의 민간 가교 역할뿐만 아니라 선한 사회적 영향력을 확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한편, 에티오피아는 한국전쟁 시 도움의 손길을 보내준 21개 참전국 중 당시 아프리카에서 유일하게 유엔군 일원으로 참전했으며, 1965년 철수할 때까지 총 6037명을 한국에 파병해 120여명의 전사자가 나왔다.또 한국은 2011년 11월 이명박 대통령이 새마을운동 전수를 위해 국빈 방문 이후 양국 관계는 강화됐다. 2016년 5월에는 박근혜 대통령도 국빈 방문한 바 있다.
경상북도는 2일부터 3일간 울릉공항 건설사업의 2025년 순조로운 개항을 위해 울릉도를 방문해 추진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 울릉공항 조감도(사진=경북도) 이번 방문은 울릉공항 추진상황 점검 외에도 울릉도 통합교통·관광서비스(MaaS, Mobility as a Service) 도입과 관련해 울릉군과 사전 협의하고, 개항 후 공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울릉공항은 울릉읍 사동리와 남양리 일원에 50인승 이하 소형항공기가 취항하는 공항으로, 총사업비 6904억 원을 투입해 1200m의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계류장 등이 조성된다.이 사업은 경북도와 울릉군이 울릉도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관광자원 개발 가능성을 강조하며, 1981년부터 정부를 끈질기게 설득해 시작하게 됐다. 이후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 완료, 2017년 기본설계, 2019년 12월 대림산업컨소시엄으로 실시설계적격자 선정 후 실시설계를 거쳐 2020년 7월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2020년 11월 27일 착공식을 가지고 현재 약 1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올해 공정률 30%를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또 한국공항공사가 현재 설계 중인 울릉공항 여객터미널은 울릉도의 멋스러운 지형과 거친 해안선을 닮은 산장 분위기의 특색 있는 공간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울릉도의 외곽선을 따와 공간에 녹여낸 이색적인 1층 로비와 울릉도 지형의 면을 담은 세련되고 아늑한 분위기의 공항 대기실을 구상 중으로 편안함과 설렘 가득한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옥탑에는 활주로부터 시작한 동해바다와 독도까지 보이는 전망대를 배치해 공항 여객터미널 자체만으로도 관광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에 경북도는 울릉공항이 100만 울릉관광시대를 이끌 관관전용 공항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국토부 및 한국공항공사 등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안전한 이착륙과 결항률을 줄이기 위한 최첨단 공항운영시스템을 구축하고, 관광객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해 내국인이 이용 가능한 면세점 설치를 강구하고 있다.또 울릉도 관광에 필요한 숙박과 항공·크루즈·택시·버스 등 연계 교통수단의 예약에서부터 결제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처리할 수 있는 통합교통·관광서비스(MaaS, Mobility as a Service) 구축도 검토하고 있다. 다양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중장기적 과제로는 인근 국가에 소형항공기가 운항 가능한 단거리 국제노선 개설도 추진한다. 이러한 노선들이 안정적인 운영돼 도민에게 보다 높은 항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역항공사 설립 타당성 용역도 올해 시행할 방침이다.박찬우 경북도 통합신공항추진단장은 “울릉공항이 개항되면 서울에서 7~8시간 이상 걸리던 이동시간이 1시간 내로 단축된다. 지역 주민의 교통서비스 향상은 물론 울릉도 관광의 새 지평이 열릴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울릉공항의 성공적인 개항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남들에게 방해받지 않고 가족들만의 오붓한 여유를 즐길 수 있는 도내 캠핑장들의 인기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 영덕 고래불국민야영장(사진=경북도) 경북 동해안에는 공공 7개소, 민간 13개소 등 총 20개소의 캠핑장이 곳곳에 산재해 있는데, 주말은 물론이고 평일에도 예약이 빗발친다. 특히, 영덕 고래불해수욕장의 국민야영장은 2017년 5월 개장한 이래 꾸준한 인기 몰이를 하고 있다. 여기는 17만5000㎡의 넓은 면적에 솔숲텐트 110동, 오토캠핑 13동, 카라반 25동 등 야영장 148동, 조형전망대, 해안루, 해안산책로, 편의시설(샤워장·취사장·화장실)을 갖추고 있다.이런 인기의 비결은 해변과 울창한 소나무 숲 등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다양한 캠핑사이트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사슴, 코끼리 모양의 특제 카라반은 말 그대로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예약이 어려울 정도이다.또 지난달 준공된 경주 감포읍 나정고운모래해변 오토캠핑장은 해변주차장(1만1200㎡)에 이동식 카라반 32면, 오토캠핑 9동을 갖추고 있다. SNS와 각종 커뮤니티에서 이미 차박 명소로 유명세를 떨치던 나정고운모래해변 주차장이 3월부터 오토캠핑장으로 변신해 사전예약을 받는다는 소식에 벌써부터 캠핑족들이 들썩이고 있다.이 외에도 해안이 인접한 포항 국민여가캠핑장, 경주 오류캠핑장, 울진 구산오토캠핑장?염전해변캠핑장, 울릉 국민여가캠핑장 등도 주말에는 미리 예약하지 않으면 이용이 어려울 정도다.한편, 최근 몇 년 사이에 캠핑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전국에 1900여개가 넘는 캠핑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캠핑인구도 60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캠핑산업은 매년 20~30%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 2018년 기준 2조6000억원(17년도 2조원 대비 32% 성장)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캠핑산업이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은 레저수요의 세분화 및 주5일 근무제 확산에 따른 가족관광 증가, 해안길·숲길 걷기 등 체험관광 증가, 정부 및 지자체의 캠핑장 확충정책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캠핑레저관광 시장의 성장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자체 및 민간 사업자의 캠핑레저관광객 유치를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캠핑 열풍 속에 바다를 벗 삼아 힐링할 수 있는 해변 오토캠핑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해변 카라반과 오토캠핑장은 바다 옆에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다는 매력으로 인기를 더해가고 있으며, 예약 경쟁 또한 치열하다.한편, 경북도는 이 같은 트렌드에 발맞춰 캠핑장을 매개로 지역 해수욕장을 특화시켜 휴식과 힐링,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사계절 관광 휴양자원으로 개발하고 있다.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경북 동해안의 천혜의 자연환경을 십분 활용해 캠퍼들을 사로잡기에 충분한 최적의 캠핑 인프라를 구축해 지역을 캠핑산업의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3.1%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치료중퇴 원사 망경북6,533(-436)116,34065,861(+3,715)50,124(+2,812)355(+6) * 국내 6,529, 해외 4, * 치명률 ? 경북(3.3. 기준) 0.31%(355명), 전국(3.2. 기준) 0.24%(8,266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정정(3.2. 0시 기준 문경 +1, 의성 -1)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625219495확진자158535857833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4.(목)2.25.(금)2.26.(토)2.27.(일)2.28.(월)3.1.(화)3.2.(수)누계(주)일평균(주)검 사29,85738,12930,79227,63822,02341,85225,697215,98830,855확진자5,393(6)5,305(4)5,383(6)4,940(5)4,668(3)6,969(8)6,533(4)39,199(36)5,599.9(5.1)확진율18.113.917.517.921.216.725.418.118.1(단위 : 명, %)구 분2.24.2.25.2.26.2.27.2.28.3.1.3.2.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5,3875,3015,3774,9354,6656,9616,52939,1635,594.7연령별60세↑확진자수(%)1,042(19.3)1,065(20.1)1,056(19.6)1,011(20.5)876(18.8)1,196(17.2)1,275(19.5)7,522(19.2)1,074.618세↓확진자수(%)1,336(24.8)1,314(24.8)1,375(25.6)1,285(26.0)1,275(27.3)1,721(24.7)1,657(25.4)9,967(25.5)1,423.9외 국 인129(2.4)134(2.5)130(2.4)100(2.0)69(1.5)180(2.6)145(2.2)887(2.3)126.7 □ 시·군별 발생(국내 115,520, 해외유입 820)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16,340명 (+6,533)21,383(+1,506)11,622(+817)6,387(+323)(+2)6,519(+341)20,898(+1,039)6,151(+290)3,874(+237)2,670(+106)2,628(+125)15,444(+732)(+1)881(+37)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433(+81)676(+21)364(+18)1,067(+64)1,623(+95)1,973(+79)1,312(+91)4,942(+226)(+1)2,041(+108)815(+78)1,538(+104)99(+11)
경상북도는 2일 도청 회의실에서 경북행복재단, 자문단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형 신복지 모델 개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경북형 신복지 모델 개발 연구용역 착수(사진=경북도) 이날 착수보고회는 코로나19 위기와 삶의 격차 심화 극복, 중앙 획일적 복지모델에서 새로운 복지 혁신 모델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내가 중심이 되는 복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 복지 이용자의 자기결정권을 강화시키는 방안이 논의됐다.이번 연구용역은 경북의 신복지 모델‘내가 중심이 되는 복지’개발을 위한 것으로 ▷내가 중심이 되는 복지 실현 ▷부모님으로 모시는 어르신 복지 ▷마음까지 챙기는 장애인 복지 ▷심리적 최저계층을 챙기는 외로움 대책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경북형 신복지 모델은 이날 논의된 의견들을 수렴해 연구용역에 반영하고, 최종 결과는 7월 중 완료보고회를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이번 용역을 통해 향후 중앙부처의 정책 및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방향을 모색하고, 내년도 신규시책으로 반영해 도민 복지에 최선을 다 할 방침이다. 박성수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중앙의 획일적 복지 시스템에서 벗어나 수요자 맞춤형 복지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가고, 촘촘한 복지망으로 사각지대 제로(zero)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일 엑스코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권영진 대구시장 및 섬유기관단체장과 기업인 등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년 대구국제섬유박람회 개막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구국제섬유박람회(사진=경북도) 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 Preview In Daegu)는 경북도와 대구시가 공동 개최하는 아태지역 대표 섬유박람회로써 20주년을 맞는 동안 대구?경북 섬유산업의 우수성을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해 왔다.이번 박람회는‘지속성장을 위한 섬유산업 대전환’이란 주제로 209개사 483부스 규모로 원사, 직물, 첨단기능성소재, 친환경소재, 보건안전소재 등을 소개하는 전시행사와 세미나, 패션쇼, 화상상담회 등의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또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해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에게 맞춤형 수출상담도 진행된다.특히,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에 발맞춰 생분해섬유, 리사이클?업사이클 소재제품관을 운영해 첨단섬유소재기술을 선보이며 K섬유가 지향해야 할 가치와 방향을 보여줄 계획이다.아울러, 박람회 기간 도른비른 GFC*의 아시아컨퍼런스인 제2회 GFC-ASIA 2022가 동시에 열려 혁신섬유기술/기능성섬유, 산업용섬유/순환경제를 주제로 11개 강연도 진행된다. * 도른비른 GFC : 오스트리아 렌징(Lenzing AG)과 유럽화학섬유연맹을 중심으로 화학섬유산업 육성을 위해 만든 세계에서 가장 큰 국제섬유 컨퍼런스한편, 경북도는 첨단?친환경 섬유소재산업 육성을 위해 탄소섬유소재, 안동마와 바이오매스 기반의 친환경섬유소재 생산을 위한 기반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또 섬유소재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플랫폼 기반의 섬유메타버스를 구축해 소재개발부터 디지털생산과 디지털마케팅까지 섬유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20주년을 맞은 대구국제섬유박람회가 K섬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해 왔다”며, “최근 국내에서 오미크론이 확산되고 있지만 세계 각국은 대문의 빗장을 풀고 있다. 이번 박람회가 코로나로 무너진 해외 비즈니스와 글로벌 공급망을 회복하는 좋은 기회가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공무원연금공단(이사장 황서종) 대구지부는 2일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경대사대부설초등학교를 찾아 스쿨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 ▲ 스쿨존 교통안전 캠페인(사진=공무원연금공단) 이날 캠페인에는 공단 관계자와 대구지역 은퇴공무원으로 구성된 대경상록자원봉사단(총단장 하종성) 회원 1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경대사대부설초등학교(교장 서정하)에 어린이 안전호루라기와 옐로카드 등 안전물품 100개를 전달하고 인근 스쿨존에서 △ 주?정차 금지 △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 등 교통안전 캠페인 활동을 펼쳤다.캠페인에 참여한 공단 관계자는 “안전한 등?하굣길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보행자와 운전자의 교통법규 준수에 대한 인식 개선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공단은 안심하고 통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통안전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대경상록자원봉사단은 2016년도부터 대구광역시에서 추진하는 ‘교통사고 사망자 30% 줄이기’ 범시민 캠페인에 적극 동참하는 등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봄철 입맛을 돋우는 도내 농가맛집을 엄선해 추천한다고 밝혔다.▲ 구미 보리각시(사진=경북도)지난해 코로나 장기화로 움츠려있기만 했던 농가맛집에 활성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지역 식재료를 담은 특화밥상 23종과 간편 조리세트(밀키트) 및 도시락 49종도 함께 개발했다. 주로 제철 농산물로 밥상을 차려내는 농가맛집 중에서 특히 봄철 식재료가 눈에 띄는 곳으로는 부추를 이용한 포항의 하옥산장식당, 새싹보리와 보리를 활용한 구미의 보리각시, 뽕잎을 이용한 상주의 두락,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다던 어수리를 활용하고 있는 영양의 남이포식당, 산수유 꽃이 아름다운 봉화의 산수유길사이로, 해방풍을 활용한 울진의 동치골허브야생화마을, 다양한 산채를 담아낸 울릉의 산마을식당 등을 들 수 있다.▲ 상주 두락 뽕잎밥(사진=경북도) 농가맛집은 마당에 들어서는 순간 중장년에게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MZ세대에게는 한적하고 고즈넉한 시골 감성을 자극해줘 일상에서 벗어나 소소하지만 깊은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한국관광공사(빅데이터를 활용한 혼행*인식변화 및 행태분석)에 따르면 코로나백신 접종 이후 혼자 하는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혼행 : 혼자 하는 여행관광 부분 전체 소비액(BC카드) 중 1인 세대의 소비비중은 지난해14.58%로 전년대비 5.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현재 관광시장은 2인 이상의 가족단위를 기본으로 서비스 및 인프라가 구축돼 있어 향후 개인화·다변화하는 관광 수요 맞춤형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1인 또는 가족 경영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농가맛집도 현재는 예약을 통한 2인 이상의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관광트렌드에 맞춰 혼행을 위한 1인 밥상제공 등 서비스도 확대하고 있다.농가맛집은 농가형 외식문화공간으로 농촌진흥청과 경북농업기술원이 육성·지원해 도내 30여 곳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대부분 직접 생산한 농산물로 조리하거나 지역에서 생산된 식재료를 활용함으로써 건강한 상차림을 사철 맛볼 수 있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봄철 식재료를 활용한 농가맛집에서 농촌의 건강한 봄맛을 한껏 누려보고 코로나19로 지친 몸과 마음도 봄처럼 산뜻해 지기를 바란다”며, “농가맛집도 관광트렌드에 맞는 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올해 567억원을 투입해 맞춤형 행복일자리 제공, 자산형성지원, 지역 특화형 사업개발, 착한생산품 판매 활성화, 전문기업 연계사업 확대, 자활지원 체계 역량강화 등 6개 분야 22개 자활사업을 추진해 9300여명의 근로 취약계층에 대한 자립촉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프랜차이즈 큐브릭커피 사업장(사진=경북도) 경북도는 경북광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20개 지역자활센터와 지역의 3개 대학과 자활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일자리 제공과 취·창업을 지원한다.맞춤형 행복일자리 제공사업은 저소득층이 취?창업을 통해 자립할 수 있는 기초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참여자의 자활능력과 사업유형에 따라 ①근로유지형 ②사회서비스형 ③인턴?도우미형 ④시장진입형으로 구분해 맞춤형으로 제공되며 3357명에 대해 421억6800만원이 지원된다. 자산형성지원사업은 일하는 수급자 및 차상위자의 자활에 필요한 자산형성을 지원하며 ①희망저축계좌(기초) ②희망저축계좌(차상위) ③청년내일저축계좌(차상위이하) ④청년내일저축계좌(차상위초과) 등 9개 사업 7845명에 대해 67억900만원이 지원된다.특히,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청년내일저축계좌(차상위초과) 사업은 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층(19~34세 이하)을 대상으로 본인 저축금 10만원에 정부의 근로소득장려금 10만원을 추가 지원하며 지원대상이 대폭 확대됐다. 지역특화형 사업개발은 청년 자활근로사업단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프랜차이즈사업인 큐브릭 커피(QBRIC COFFEE) 6개소와 외식업체 아시안푸드 청림 2개소를 운영을 시작으로 앞으로 경북 전 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쓰레기로 매립하는 커피박(커피찌꺼기)을 재자원화 해 축사 악취저감 등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경북형 커피박 재자원화 상생협력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이 사업은 커피박과 유용미생물(EM)을 섞어 축·돈사의 바닥재로 보급?활용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영천자활센터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올해는 4개소로 확대할 방침이다. 착한생산품 판매활성화 사업은 지역 자활생산품에 대한 판로확대를 위해 한국라이스텍과 코레일 유통 대구경북본부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홈플러스(인천 간석점)와 도내 코레일 역사에 전문매장 입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문기업 연계 사업 확대는 고령지역자활센터와 프랜차이즈 전문기업 MIB KOREA와 협업해 식품제조 시설을 설치하고 OEM방식으로 소스를 생산?납품하고, 식재료는 인근의 지역자활센터로부터 공급받음으로써 판매처가 확보된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한다. 지역 특화형 사업개발, 착한생산품 판매 활성화, 전문기업 연계사업 확대는 경상북도 사회복지기금(자활계정) 3억6000만원을 투입하게 된다. 자활지원 체계 역량강화는 전달체계인 광역자활센터 1개소와 지역자활센터 20개소 운영에 총 74억 6200만원을 지원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자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종사자들과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자활역량 강화를 위해 카톨릭상지대학교 링크플러스사업단,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경일대학교 미래융합대학 등 지역의 대학들과 협력해 전문적이고 다양한 교육을 공동 개발함으로써 자활핵심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박성수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자활사업도 단순 반복적인 일자리 사업에서 벗어나 지역특색을 살린 경쟁력 있는 사업 개발과 지속 가능한 행복 일자리를 창출해 취약계층이 희망을 찾고 자립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 지원 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바라보는 산에서 돈이 되는 산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산주, 임업인과 함께 도약하는 2022년 한 해를 만들어 가고 있다.▲ 경북도청 천년숲(사진=경북도)경북은 자연과 사람, 문화가 공존하고 낙동강, 희망의 산줄기 ‘백두대간, 낙동정맥', 동해안 천리 바다 등 강(江), 산(山), 해(海)를 품고 있다. 산림면적은 133만ha로 지역 전체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공사유림은 강원도의 두 배와 맞먹는 106만ha로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도는 2018년에 제6차(2018~2037년) 지역산림계획을 수립하고 임산물생산 2조원, 임가소득 5000만원,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중장기적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산림여건 변화에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가고 있다. ▲ 구미 인동도시숲(사진=경북도)이를 위해 5대 전략과제를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첫째, 산림을 규모화 집중화하고 조림, 숲가꾸기, 벌채, 목재이용의 선 순환체계를 확대하여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림분야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보전 가치가 높은 산림은 원형대로 보호하되, 벌채를 목적으로 한 경제림은 지속해서 관리이용하고 탄소배출이 주로 이뤄지고 있는 도시지역에는 도시숲과 가로수를 확대 조성해 탄소흡수기능은 늘리고 미세먼지는 줄여 나갈 방침이다.올해는 1301억원의 예산으로 ▷나무심기 2173ha1) ▷숲가꾸기 2만4380ha2) ▷선도 산림경영단지 조성 2개소(의성, 포항) ▷탄소중립 도시숲조성 35개소3) ▷산림휴양녹색공간조성 등 28개소4)등을 추진한다. 1) 경제림 990, 산불피해복구 573, 미세먼지 190, 지역특화 등 420 2) 경제림 2000, 산불예방 2400, 미세먼지 5200, 조림지 등 1만4780 3) 생활밀착형숲8, 미세먼지차단숲 19, 도시바람길숲 2, 자녀안심 그린숲 6 4) 도시숲 22, 치유의 숲 2, 복지시설나눔숲 4특히,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실적만큼 인증 받는 산림분야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으로 올해 1월에 도청 새천년 기념숲이 238t(2015~2020)의 탄소배출권을 전국 최초로 획득했다. 이는 연간 자동차 100대 가량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갖고 있으며, 포항 해도 도시숲 조성사업이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으로 등록하는 등 대내외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 유의미한 결실을 거뒀다.둘째, 임업은 장기ㆍ저수익성, 생산규모 영세 등으로 인해 타 분야에 비해 임가소득*이 낮은 실정으로 안정적 소득창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임가소득('20) : 3700만원 / 농가소득의 82%(4500만원), 어가소득의 70%(5300만원)이에 생산기반의 규모화·현대화와 임업인 수준별 지원체계 개선 및 사후관리를 강화를 위해 각종 지원제도 안내,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재배요령·사례 등 교육을 성장단계별*로 실시하고 공모사업 및 경영컨설팅 지원이 필요한 개인이나 단체에는 시군. 산림조합, 지역소재 임업교육기관이 함께 나선다. *기반조성 → 역량강화 → 지속성장이를 위해 올해 214억원의 예산으로 산림복합경영단지(12개소), 산림작물생산단지, 임산물유통기반조성(635개소), 임산물유통센터(2개소), 임산물 수출 특화사업, FTA대비 지역특화사업, 산림소득 활성화 교육, 단기소득 임산물생산지도사업 등을 지원한다.또 산림청 주관 공모사업인 임산물 물류터미널, 산지종합유통센터, 산림작물생산단지, 산림복합경영단지, 양묘시설 현대화, 산림조합특화사업 등에도 적극적으로 응모해 임업인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산불진화헬기(사진=경북도) 셋째, 올해 10월부터는 임업인의 오랜 염원이었던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제를 시행한다. 소득안정과 산림 공익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임산물 생산업과 육림업에 종사하는 임업인에게 일정한 기준에 따라 지급하는 임업직불제의 시행은 임가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를 위한 전제조건은 임야대상 농업경영체로 등록해야 가능한 만큼 홍보 부족으로 수혜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군, 임업단체, 산림조합 등 홍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지난해 말 도내에는 2만여 임가 중 조건을 갖춘 1500여 가구가 신청을 마쳤으며, 올해 9월 30일까지 등록을 마쳐야 혜택을 볼 수 있다.또 올해는 경북 농어민 수당 시행 원년을 맞았다. 지급대상은 202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경북에 주소를 두고, 1년 이상 계속해서 임업에 종사한 자로 올해는 1005가구가 연간 60만원의 혜택을 받게 됐다. 넷째, 도의 임목 축적량은 2억3000만㎥이고 ha당 축적을 보면 171㎥로 전국 평균 165㎥를 상회하고 있어 목재자원의 가치가 매우 크다. 지속가능한 목재의 이용을 통한 목재 가공 산업 활성화를 위해 산림의 생태 경관적 기능을 유지하는 환경친화적 벌채와 열식 간벌 숲가꾸기 확대 시행으로 저비용 고효율을 통한 활용도를 높이고 고성능 임업기계장비 보급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확대와 수요처를 늘여갈 계획이다.이를 위해 올해 목재산업 경쟁력 강화사업으로 36억을 확보해 목재산업 시설현대화(2개소), 목재체험장 조성(1개소), 목재펠릿보일러 보급(147대), 목재제품질관리(561개소), 목재수확점검관리(1426ha), 임업기계장비(32대) 등을 지원한다.또 공모사업인 미이용 산림자원화 센터, 목재친화도시, 친환경 목조전망대, 국산재 활용 촉진 등에도 적극적으로 응모할 방침이다.다섯째, 산불·산사태 등 산림재해 관리에 최선을 다해 소중한 생명과 산림자원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 2년간 안동, 예천과 최근 영덕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다. 점차 대형화되는 산불에 대응해 ICT, 내화수림대 등 예방기반을 구축하고,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진화 임차헬기 등을 확충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초동진화로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산사태 재해에 대해서도 현장예방단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예측시스템의 고도화를 통한 취약지역의 집중관리로 재해의 사각지대를 없애 나갈 방침이다.또 산림재해방지를 위해 921억 확보해 헬기임차 등 산불방지대책(37종)과 산지사방, 계류보전 등 사방사업(11종)도 추진한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건강한 숲을 갖게 됐다는 만족에 앞서 숲으로 나아지는 살림살이가 중요하다”며, “경북이 전국에서 가장 넓은 공·사유림 면적을 가진 강점을 최대한 살려 바라보는 산이 아닌 돈 되는 산으로 가꿔 임업인이 잘사는 시대를 열어 가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3.1%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치료중퇴 원사 망경북6,969(+2,301)109,80762,146(+3,994)47,312(+2,967)349(+8) * 국내 6,961, 해외 8, * 치명률 ? 경북(3.2. 기준) 0.32%(349명), 전국(3.1. 기준) 0.25%(8,170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930144087확진자13910723270296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3.(수)2.24.(목)2.25.(금)2.26.(토)2.27.(일)2.28.(월)3.1.(화)누계(주)일평균(주)검 사36,53129,85738,12930,79227,63822,02341,852226,82232,403확진자5,204(5)5,393(6)5,305(4)5,383(6)4,940(5)4,668(3)6,969(8)37,862(37)5,408.9(5.3)확진율14.218.113.917.517.921.216.716.716.7(단위 : 명, %)구 분2.23.2.24.2.25.2.26.2.27.2.28.3.1.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5,1995,3875,3015,3774,9354,6656,96137,8255,404.7연령별60세↑확진자수(%)916(17.6)1,042(19.3)1,065(20.1)1,056(19.6)1,011(20.5)876(18.8)1,196(17.2)7,162(18.9)1,023.318세↓확진자수(%)1,402(27.0)1,336(24.8)1,314(24.8)1,375(25.6)1,285(26.0)1,275(27.3)1,721(24.7)9,708(25.7)1,387.4외 국 인159(3.1)129(2.4)134(2.5)130(2.4)100(2.0)69(1.5)180(2.6)801(2.1)128.7 □ 시·군별 발생(국내 108,991, 해외유입 816)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09,807명 (+6,969)19,877(+1,421)(+2)10,805(+556)6,062(+374)6,178(+325)(+1)19,859(+1,277)5,861(+408)3,637(+208)2,564(+139)2,502(+155)14,711(+922)(+3)844(+50)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353(+116)655(+50)346(+32)1,003(+94)1,528(+110)1,894(+117)1,221(+63)(+1)4,715(+291)(+1)1,933(+155)737(+33)1,434(+57)88(+8)
경상북도는 시군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독특하고 차별화된 관광자원을 발굴하기 위해 ‘2022년도 시군 대표?야간관광상품 지원사업’에 전문가 심사를 거쳐 8개 사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 신청 17개 사업(대표 8, 야간 9) / 선정 8개 사업(대표 4, 야간 4) ▲ 구미 라면캠핑페스티벌(사진=경북도) 이 사업은 매년 시군 공모를 통해 추진했으나, 테마의 독창성 빈약과 신청 시군을 감안한 예산의 균형적 배분으로 사업취지가 퇴색되는 등 아쉬움이 있어 왔다.이에 올해는 시군 상호간 경쟁을 통한 다양한 테마 및 지역의 문화?예술이 반영된 관광상품이 발굴될 수 있도록 기준을 강화해 선정했다. 먼저, 시군별 대표 관광상품에는 ▷구미의 라면을 테마로 마시구라, 재미구라 산업투어 ▷고령은 지산동 고분군 등을 활용한 왕의 길, 현의 노래(王道絃歌) ▷문경은 드라마 세트 활용한 드라마IP 활용 관광 상품 ▷성주는 세종대왕자태실을 테마로 생명이 깃드는 태실, 희망충전 성주여행 등 4개 사업이 선정됐다.다음 야간 관광상품에는 ▷경주의 수많은 문화재를 활용한 경주 별을 품은 달 ▷청도는 야간 액티비티 체험의 Contact 힐링 청도 ▷영주는 소백산예술촌에서의 문화예술 체험의 힐링과 낭만이 가득한 선비고을 야간여행 ▷안동은 월영교 야경과 문화예술 공연을 접목한 달빛투어 달그락(樂) 등 4개 사업이 선정돼 4월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모든 시군을 통틀어 최고점을 받은 구미의‘마시구라, 재미구라’는 산업시설을 관광의 영역으로 새롭게 끌어들였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또 대중적인 식품인 라면을 매개로 재미와 흥미를 동시에 불러일으킬 수 있는 캠핑 페스티벌을 테마로 삼아 심사위원들에게 호평도 받았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에 엄선된 시군별 대표?야간관광상품을 집중 육성해 경북을 넘어 대한민국의 낮밤을 책임지는 관광상품이 되도록 지원하겠다”며, “내년에는 다양한 테마 발굴을 위해 선정기준을 재정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번 선정된 8개 사업에 대해서는 각각 도비 1800만원이 지원되며, 실행계획 수립 시 전문가 컨설팅, 현장평가 등 지속해서 관리하고, 향후 경북 대표 관광상품 가이드북을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일 고령 쌍림면 합가리 산101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현장을 찾아 산불 진화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지휘에 나섰다.▲ 고령산불 진화현장(사진=경북도)이날 오전 이철우 지사는 산불현장 통합지휘본부를 찾아 산불현황을 보고 받고 “무엇보다 도민의 생명과 안전이 우선이다. 모든 재원과 장비를 투입해 산불을 진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날 오전 참석하기로 한 3.1절 기념식은 자신을 대신해 강성조 행정부지사로 하여금 진행토록 했다. ▲ 고령산불 진화현장(사진=경북도) 그러면서, 이 지사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삼일절 아침입니다. 먼저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 그리고 유공자와 후손 가족 여러분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립니다”라며, “저는 지금 고령 산불 현장에서 소방이 투입 가능한 아침부터 잔불진화를 지휘하고 있습니다. 소방본부 및 산림분야 담당자들과 함께 도민 안전을 최우선시하며 조속히 산불을 진화하도록 하겠다”며 기념사를 대신한 메시지를 남겼다.▲ 고령산불 진화현장(사진=경북도)한편, 이날 고령 합가리 산101번지 일원에 발생한 산불은 지난달 28일 14시경 경남 합천 율곡면 노양리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15시 24분경 고령으로 옮겨 붙어 확대됐다.이에 경북도는 산림청과 공조해 1일 오전 산불진화 완료를 목표로 산불헬기 27대, 진화차량 147대, 진화인력 2483명 등을 투입해 총력대응에 나서고 있다.
경북도청 공무원 봉사동아리 ‘행복을 바르는 사람들(회장 권대수)’은 1일 안동 일원에서 삼일절 공휴일을 반납하고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을 찾아 주택도배 및 전기배선교체, 집안청소 등의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행바사 도배봉사(사진=경북도)행복을 바르는 사람들은도배봉사에 관심이 있는 도청 직원 40명으로 2011년 구성된 이래 회원 전원이 자발적으로 도배기술 교육과정을 수료해 매년 경북 곳곳 주거개선이 필요한 곳을 찾아 도배봉사를 실천하고 있다.이날 도배 봉사는 안동 풍천면 가곡리 일원 기초생활수급 독거노인 권오억(87세)씨의 집을 찾아 도배와 노후전기시설보수, LED등 교체, 집안 대청소 등의 봉사를 하고 할머니와 정담을 나눴다.권대수 건축디자인과장은 “작은 봉사지만 소외되고 외롭게 생활하시는 독거노인들에게 작은 희망이 될 수 있는 나눔 문화가 계속 확산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