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껌 가격 : 오○○社 더자일리톨(122g)1봉지=2980원 / 80kg = 1,954,098원<GS Fresh Mall 거래 상품>이철우 경북도지사(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는 쌀값이 최대 하락폭을 기록하면서 전국 쌀 주산지 8개 광역자치단체 도지사들과 함께 쌀값 안정대책 마련에 정부가 적극 나서 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쌀값 안정대책 촉구 도지사 성명서 발표(사진=경북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산지 쌀값은 세 차례 시장격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0월 5일 22만 7,212원/80kg을 기록한 이후 지속해서 하락했다.지난달 말에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17만 원 선이 무너지면서 지난 9월 5일 기준 16만 4,740원/80kg을 기록했다. 비료와 농자재 가격은 연일 오르고 있으나 쌀값은 연일 폭락하고 있어 농업인들은 망연자실하고 있다.이에 쌀주산지 8개도(경북, 경기, 강원, 충남·북, 전남·북, 경남)를 대표해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15일 국회에서‘쌀값 안정 대책 마련 촉구’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공동성명서를 통해 “생산비 상승과 쌀값 폭락으로 농업인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쌀농사가 흔들리면 농업인들의 삶은 물론 대한민국이 흔들릴 수밖에 없는 중차대한 문제로 즉각 쌀값 안정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이어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해외원조를 확대하기 위해 수입쌀 포함 80만 톤인 공공비축 물량을 순수 국내산 쌀 100만 톤으로 확대하고 2022년산 신곡 출하 전 2021년산 벼 재고 물량을 전량 매입할 것으로 요구했다. 또 2022년산 공급과잉 예측 시 선제적 시장격리와 논 타작물 재배사업 국고지원 부활 등 쌀 적정 생산 및 소득보전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이철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은 “쌀은 우리 농업의 중심이자 근간으로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쌀값 안정대책을 마련하기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가 적극 나서서 대책을 세워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한편, 경북도는 민선8기 출범과 함께 농업대전환 추진위원회를 출범하고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식량주권 확보와 농가경영안정성 강화’와 연계 식량안보 위기대응 지원시책을 추진하고 있다.또 벼 재배농가의 소득보전과 경영안정을 위한 특별지원과 논 타작물 전환 등 쌀 적정생산을 위한 시책 추진과 함께 쌀 소비 촉진을 위해서도 쌀가공 산업 육성, 초중고생 아침밥 먹기, 우수브랜드 쌀 홍보·캠페인 등 다양한 시책도 추진 중에 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지난 13일 요안너 도르너바르트(62세, 여) 주한 네덜란드대사가 풍기인삼연구소를 찾았다고 밝혔다. ▲ 주한 네덜란드대사 풍기인삼연구소 방문(사진=경북도) 요안너 도르너바르트 네덜란드대사는 이번 방문을 통해 풍기지역 농가의 인삼 재배포 견학과 연구소에서 연구하고 있는 인삼 스마트팜 시설과 다양한 인삼 가공품 등을 돌아봤다.이번 방문은 요안너 도르너바르트 대사가 평소 자주 먹고 있는 인삼에 많은 관심을 보여 이번 경북 방문 일정에 특별히 인삼 재배지와 풍기인삼연구소의 견학을 직접 요청해 이뤄졌다.대사는 와게닝겐대학교에서 농업기술 및 자연관리를 전공해 스마트팜 등 전문지식을 요하는 설명과 연구진들과 깊이 있는 대화에서도 농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전문성을 보여줬다.네덜란드는 인삼을 직접 재배하지는 않지만 최근에 인삼을 수입하고 있는 국가로 매년 인삼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원예작물 등의 재배에 있어 선진국인 네덜란드의 농업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이번 방문을 통해 풍기인삼연구소가 인삼재배에 있어 선진기술을 접목해 한층 고품질 및 고소득 작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더욱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경북소방본부는 태풍 힌남노 이후 차량 화재가 증가하고 있다며 차량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점을 알렸다. ▲ 침수 피해 차량 화재(사진=경북도)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번 태풍 힌남노 이후 10일간(5~14일) 포항남구와 경주 지역에서 총 화재 22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이 중 자동차 화재는 총 8건으로 3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자동차 화재 8건 중 태풍에 의한 침수가 원인인 경우는 4건으로 50%를 차지했고, 미상 2건, 전기적 요인 1건 등 태풍영향의 직·간접적인 요인의 화재가 대부분이었다.차량 소유주 등 진술에 따른 조사 결과에서는 침수로 인한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차량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6건으로 전부 침수된 차량을 운행 또는 주차 후 약 1~2시간 이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침수 피해 이후 발생하는 차량 화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며 “차량 침수가 확인될 시 운행은 자제해야 하며, 침수된 차량이 건조됐다 하더라도 염분 등이 섞여 있을 수 있으므로 꼭 차량을 정비한 후에 운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은 15일 영덕 대진리 연안바다목장 조성 해역에 동해안에서 사라져가는 고부가가치 품종인 개볼락과 탁자볼락 어린 고기 8만 마리(개볼락 2만, 탁자볼락 6만)를 생산해 방류했다고 밝혔다. ▲ 개볼락·탁자볼락 시험·방류(사진=경북도) 연구원은 동해안 특화자원인 볼락류 종(種) 보존 및 시험·연구를 위해 지난 2016년부터 동해 연안의 볼락류 어미를 확보해 인공종자 생산연구를 시도했다. 개볼락의 경우, 성숙에 따른 산출(産出) 유도에 관한 생태학적인 연구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올해 3월말 동해안에서는 처음으로 인공종자생산에 성공함으로써 연구역량 및 대량생산의 기반을 마련했다.특히, 탁자볼락은 지난해 국내 최초로 인공종자생산에 성공해 자원화한 바 있으며, 올해도 2년차 연구개발을 통해 6만 마리를 생산해 자원회복 조기실현에 청신호를 밝혔다. 개볼락은 ‘돌우럭’, 탁자볼락은 ‘검정열기’라고도 불리며 회와 매운탕이 일품이라는 평이 있지만 점차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어 일반인에게는 보기 드문 어종이다. 이처럼 희소성이 있는 ‘아는 사람은 다 아는 명품’어종은 연안정착성이 강한 품종으로써 자원조성효과가 크며 사라져가는 자원의 생태적 가치 및 어업소득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충분한 가치가 있다.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탁자볼락과 개볼락 종자생산·방류는 고급 볼락류 종(種) 보존 및 시험·연구의 성과이다”며 “동해안 고급 어종의 종 복원을 통한 생물다양성 확보와 대량생산 체제 확립을 통해 식량 안보 등을 위한 시험·연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지난 14일 상주농업기술센터 대강당에서 한국생활개선경상북도연합회 회원 120여 명을 대상으로 ‘2022 여성농업인 소득화자원 교육’을 추진했다. ▲ 여성농업인 소득화 자원 교육(사진=경북도) 이날 교육은 급변하는 농촌환경 속에서 섬세한 농촌여성의 리더십을 발휘하고 조화와 균형의 인간관계를 통해 전문 경영인으로 성장하는 여성 리더에 대한 특강으로 진행됐다. 또 오배자를 활용한 천연염색 스카프 만들기를 통해 다양한 천연 자원을 활용해 소득화 하는 실습 시간도 가졌다. 농업기술원은 최근 여성농업인의 농가경영 참여와 역할이 증가하고 있어 농촌자원을 활용해 소득 향상을 이끌어 갈 농촌 여성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여성농업인은 가정일은 물론 농가경영에도 많은 시간을 참여하고 있어 농업소득 향상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제는 보조적 역할이 아니라 전문 경영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전문교육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16일 오후 도청 경화문 앞 광장에서 청년의 날을 맞아 기념행사를 개최하는 등 9월 한 달 간 다채로운 청년행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청년의날 홍보 포스터 청년의 날은 매년 9월 셋 째 주 토요일로 청년 발전과 청년지원을 도모하고, 청년문제에 관심을 높이기 위해 2020년 8월 5일 시행 된 청년기본법과 시행령에 따라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올해 기념행사는‘청년의 빛으로! 영롱(Young-Long)한 경상북도!’란 주제로, 이철우 도지사, 박영서 도의회 부의장, 박채아·손희권 청년 도의원, 도내 주요 청년단체 대표 및 청년공동체, 청년마을, 유입청년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다. ※ 청년이라는 희망으로 영롱하게 빛나는 경상북도, 청년의 힘으로 청년이 오래 머무는 경상북도라는 중의적 의미이날 행사는 지역청년으로 구성된 문화예술팀의 공연을 시작으로 청년정책 홍보영상 상영, 청년정책 유공자 표창, ‘메타버스 경북맵 공모전’시상식, 청년들의 경북정착기 발표 및 도지사와의 대화 순으로 진행된다.이는 경북 지역 청년 및 유입 청년이 한자리에 모여 교류의 시간을 가지는데 의미를 뒀다.또 코로나19로 현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청년·도민을 위해 유튜브 보이소TV 실시간 중계 및 시청인증 이벤트를 실시해,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청년의 날 기념행사 실시간 시청인증 이벤트 - 참여일시 : 2022. 9.16.(금) 16:40 ~ 18:20 - 참여방법 : 행사시청 화면캡처→캡쳐화면과 연락처 2022gbyouth@gmail.com로 송부한편, 청년의 날을 맞아 기념행사뿐만 아니라, 청년의 날 붐 조성을 위해 다채로운 청년행사도 함께 열린다. 기념행사에 앞서 13일부터 ‘NFT활용 청년문화예술 작품전시회’가 도청 안민관 1층 서편 전시공간에서 진행됐다. 16일에는 청년의 날 기념식에 이어 청년들이 자유로이 교류할 수 있는 ‘청년의 밤’행사로 진행된다.특히, 30일에는 ‘대구경북 대학생 e스포츠 대회 결승전’이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유명 유튜버 감스트·클템의 해설을 통해 개최되며, 유튜브 보이소TV에 실시간 중계 할 예정이다. 또 경북 청년의 모든 것을 담을 ‘경북 청년 홈페이지’의 오픈(10월 예정)을 앞두고 SNS 홍보, 청년 아빠·엄마 + 아기사진 공모전, 대학교 주변 대형 QR코드 설치 및 인증 등 다양한 홍보도 펼친다.이밖에 경주시는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5일간 청년주간 및 청년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또 상주시는 16일부터 17일까지 양일간 청년 취업특강 및 청년 운동회를 열고, 23일에는 영천시에서 청춘 특강 등 청년의 날 기념행사를 갖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올해 청년의 날 기념행사를 비롯 청년관련 행사는 좀 더 자유롭고 풍성하게 준비했다”며 “비록 청년의 현실은 여전히 쉽지 않지만, 청년이 지방소멸 위기 타개의 열쇠인 만큼 청년의 아이디어와 정책참여를 통해 경북을 이들이 머물고 싶은 지역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경상북도는 14일부터 경북 고향장터 사이소를 통해 태풍 힌남노 피해 농가 돕기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힌남노 피해 농가돕기 온라인 특별기획전(사진=경북도) 이번 특별기획전은 태풍 힌남노 피해로 전국 각계각층에서 온정의 손길을 전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농가와 기업체에서 생산한 제품의 판로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했다.기획전은 사이소 입점농가 중 14개 피해농가(업체)에서 생산된 과일류, 가공품 등의 제품에 대해 최대 50% 할인판매를 지원하며 피해 농가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기획전에 참여토록 할 예정이다.이와 함께 태풍 피해농가 응원댓글 이벤트를 통해 응원 댓글을 작성한 회원에게는 기획전 5000원 할인쿠폰을 지급해 농가돕기에 동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사이소 입점농가 대상 기부금품 자율 모금과 피해농가 제품 오프라인 판매도 진행할 예정이다.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태풍피해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농어업인들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2022 국제문화재산업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2국제문화재산업전 개최(사진=경북도) 행사 첫날인 15일 오후에는 하이코 3층 전시실에서 최응천 문화재청장,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식을 열었다.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산업은 문화유산에 대한 산업적 가치를 창출하고 국내 우수한 문화재 산업기술을 알리는 국내 유일의 문화재산업 전문전시회이다.문화재청, 경북도, 경주시가 공동 주최하고 국립문화재연구원, 경주화백컨벤션센터가 공동 주관하고 있다.‘모두의 문화재, 세계속의 K-Heritage!’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문화재 산업관, 문화재 활용관으로 구성돼 다양한 문화재 관련 업체가 참여한다.일반 관람객에게는 문화재 기술과 산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문화재 산업관에서는 문화재 보존, 방재, 수리?복원, 디지털 헤리티지 사업 등 문화재 산업분야 47여개 업체가 기술 및 제품을 전시한다.문화재 활용관에서는 문화재 활용 관련 기관들의 정책 홍보뿐만 아니라 국내 문화재 분야 유일의 채용박람회인 문화재 잡페어 및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체험행사를 진행한다.경북도는 이번 전시회에 맞춰 ‘경북의 문화유산 세계로 나아가다’라는 주제로 경북의 오한(五韓), 경북의 문화재행정, 디지털 헤리티지 인 경북 등 3가지 콘텐츠로 홍보부스를 운영해 지역 문화재 정책의 흐름을 짚어주고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특히, 경북의 五韓-한글·한복·한지·한옥·한식 콘텐츠를 전시해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한글 OCR데이터사업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산업에 활용하는 사례를 소개하며 세계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경북도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 도는 문화재보존 관련 최신정보 공유로 보수사업 품질향상 및 문화유산 전승·보전에 기여하기 위해 문화재보존 담당자 워크숍도 16일 개최한다. 이를 통해 시군 담당자의 업무능력 향상과 문화재 보존행정 효율성을 제고할 방침이다.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5건을 보유하고 있는 대한민국 문화유산의 보고(寶庫)인 경북에서 이처럼 뜻깊은 행사가 펼쳐져 기쁘게 생각한다”며 “경북이 한국의 문화유산을 대표한다는 자부심으로 문화재 산업발전을 위한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태풍 피해로 많은 이재민이 발생하면서 재해, 실직, 질병, 화재, 등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처한 어려운 가구에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긴급복지지원 대상자를 9월 중에 집중 발굴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긴급복지 홍보안 긴급복지지원 제도는 기준중위소득 75%이하에(1인 145만9천원, 4인 384만1천원) 해당되는 대상자로, 생계비(4인가구 기준 154만원), 의료비(연 300만원 이내), 주거비(64만3천원, 최대12회), 교육비(초 12만4천원, 중 17만4천원, 고 20만7천원 최대4회)를 지원받을 수 있다.다만, 생계급여 수급자, 실업급여 등의 타 지원을 받는 경우에는 지원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재민 발생 지역에 재해구호법 등 적용 시 긴급복지지원금을 제외한 차액을 지원받게 된다.이에 도는 시군에 긴급 복지지원 상담소 설치?운영, 이재민 대피소 등 피해가구 밀집장소에 긴급복지 전문상담사 2~3명을 배치해 상담소를 설치했다. 또 피해지역 내 현수막 게시 등 긴급 지원 홍보를 강화함으로 위기 기구 발굴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긴급복지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했다.올해 경북도의 긴급복지예산은 총218억원으로 8월까지 1.6만가구, 124억원을 집행했으며 이번 태풍 피해지역에 추가로 소요될 예산은 보건복지부에서 추가로 지원받을 계획이다.박세은 사회복지과장은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통해 위기발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태풍 피해 현장 등 긴급복지지원이 필요한 현장 위주 홍보에도 적극 대응하겠다”며 “특히 이번 태풍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에게 빠르게 지원될 수 있도록 적극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0%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4,774(+445)1,094,15223,984(+915)1,068,561(+3,857)1,607(+2) * 국내 4,762, 국외 12 * 치명률(9. 14. 0시 기준) - 경북 0.15%(1,605명), 전국 0.11%(27,593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 : -2명{구미 ?1(22. 9. 13. 0시 기준), 상주 ?1(22. 9. 13. 0시 기준)}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28281910287확진자834721162169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9.9.(금)9.10.(토)9.11.(일)9.12.(월)9.13.(화)9.14.(수)9.15.(목)누계(주)평균(주)검 사10,3517,8413,2492,8823,5444,72316,95049,5407,077확진자3,857(23)2,939(19)1,628(9)1,878(8)2,806(20)4,329(23)4,774(12)22,211(114)3,173.0(16.3)* 직전주 목요일(9.8.) 현황 : 검사 6,714건, 확진자 3,937명(▲ 21.3%)(단위 : 명, %)구 분9.9.9.10.9.11.9.12.9.13.9.14.9.15.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3,8342,9201,6191,8702,7864,3064,76222,0973,156.7연령별60세↑확진자수(%)1,289(33.6)933(32.0)524(32.4)570(30.5)750(26.9)1,088(25.3)1,356(28.5)6,510(29.5)930.018세↓확진자수(%)777(20.3)513(17.6)312(19.3)343(18.3)570(20.5)839(19.5)866(18.2)4,220(19.1)602.9외 국 인44(1.1)37(1.3)10(0.6)9(0.5)33(1.2)65(1.5)76(1.6)274(1.2)39.1 □ 시·군별 발생(국내 1,090,741, 해외유입 3,411)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094,152228,19095,85257,43265,823198,01644,83337,76133,74528,297124,2586,794(+4,774)(+757)(+4)(+437)(+259)(+273)(+1,144)(+148)(+3)(+154)(+3)(+152)(+100)(+1)(+554)(+30)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5,6208,5864,80512,74313,9779,74613,22243,39623,0688,91917,1881,881(+56)(+17)(+18)(+74)(+1)(+65)(+38)(+72)(+264)(+76)(+32)(+38)(+4)
경상북도는 14일 포항 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회의실에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주재로‘포항철강공단 정상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했다.▲ 포항철강공단 정상화 비상경제대책회의(사진=경북도) 회의에는 이철우 도지사, 김병욱?김정재 국회의원, 이강덕 포항시장, 경북도의회 박용선 부의장 등 포항출신 도의원, 포스코 천시열 전무, DK동신 임동규 대표이사, 현대종합금속 운영선 상무, 전익현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이사장, 주시경 대구본부세관장, 전창록 경제진흥원장 등 40여명이 참석했다.이날 회의는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인해 막대한 침수 피해를 입은 포스코 등 철강공단 내 기업들의 피해 상황 및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그에 따른 해결을 마련과 빠른 복구 지원으로 철강공단 기업들의 운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마련됐다.도는 조속한 조업 정상화를 위해 추석 연휴도 반납하고 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내에 포스코지원반과 중소기업지원반, 산업단지복구지원반을 꾸려 피해 기업들의 요청 사항을 현장에서 바로 접수해 관련기관의 협조를 얻어 신속히 조치하고 있다. 현장 지원반을 통해 지금까지 살수차 19대, 노면청소차, 대형펌프 29대, 준설차(버큠카) 19대 등 장비 1076대, 소방인력 6076명을 동원해 포스코 침수공장을 위주로 배치·복구활동을 펼치고 있다.또 지난 13일(오후 5시 기준) 배수진행율 94%(188만톤)을 보여 제철소 재가동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특히, 침수된 포스코와 철강공단 기업들이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는 후문이다. 이를 통해 제선·제강부분은 고로 대부분이 정상 가동하고 있는 만큼 재고 활용, 광양제철소 생산 확대, 연관 기업들과 협업해서 제품 생산 일정조율로 국내외 수요에 상당부분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이날 회의에서 기업들의 요구사항이 이어졌다. 대규모 사업장은 모터, 기계 등 장비·설비 침수피해가 많아 장비 세척, 정비 전문 인력 지원을 요청했다.또 중소규모 기업들은 진흙제거, 폐기물 처리, 청소 등 자원봉사 인력지원과 사업장 폐기물처리 시 톤당 18만원 비용이 소요돼 처리비용 지원 및 호동 매립장 반입도 요청했다. 특히, A사는 셰일가스 파이프생산 시설 침수로 정상 가동까지 상당시일이 걸리고, 수출 납기와 품질이 문제인데 기 생산 제품의 불량도 염려된다며 이번 침수는 냉천이 아닌 저지대 침수로 포항의 저지대 침수관련 대응책을 요구했다.또 B사는 공장 2/3정도 침수로 사무실이 완전 침수돼 전산과 전기 공급이 안 돼 복구까지 3개월 정도 걸릴 예정으로 제품의 50%이상을 수출을 하고 있는데 복구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아울러, 이날 회의에서 여러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태풍, 집중 호우시 냉천의 범람을 막을 수 있도록 차수벽 설치와 항사댐 건설, 방재·배수 시스템 보강 등 항구적인 재발방지 대책도 요구했다.도는 철강공단의 정상화를 위해 포항시와 공조해 산업부에 건의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 채택되도록 노력하는 한편, 신속한 피해복구를 위해 주 52시간 근로시간 특별연장근로 신청 시 고용노동청에서 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또 기업들의 요구사항을 유관기관과 협조해 조기 복구를 통한 운영 정상화를 위해 인력과 장비 등 최대한 지원을 약속했다.앞으로 철강공단기업들은 포스코의 정상가동이 철강공단의 정상화의 시작인만큼 포스코에 힘을 보태고 공동으로 철강제품의 공정을 조율해서 제품의 수급문제를 최소화하도록 협동해 지혜를 모아나가기로 했다.한편, 포스코는 내달 2일까지 주 64시간으로 근로시간이 연장됐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오늘 논의된 사항을 적극적으로 조치해 포항철강공단 정상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민관합동으로 복구에 총력을 다해 철강생산에 문제가 없도록 극세척도*의 정신으로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克世拓道, 어려움 이겨내면 새로운 길이 열림
경상북도-관세청-한국면세점협회는 14일 명동 신세계백화점 본점에서 전국 최초로 메타버스 면세점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메타버스 면세점 지원 협약식(사진=경북도)이날 업무협약에는 윤태식 관세청장, 강성조 행정부지사, 김태호 한국면세점협회장 및 국내 12개 면세점 대표*들이 참석했다.*롯데, 신라, 신세계, 현대백화점, HDC신라, 동화, 경복궁, 그랜드, 시티, 앙코르, 듀프리토마스, 부산참석한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 내 면세점의 영업활동과 관련된 제반사항 ?메타버스 플랫폼 홍보 관련 사항 ?그 밖에 상호협조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내 면세점 입점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다양화 하고, 면세점 판매 채널을 확대하기 위해 추진됐다.또 지난 7월 선정된 과기부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지원 공모사업인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지원사업 ?독도 메타버스 실감형 콘텐츠 구축사업에도 면세점 참여와 홍보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관세청은 면세점 산업 활성화를 위해 보세판매장 운영에 관한 고시를 개정해 가상공간(메타버스)ㆍ오픈마켓 등 모든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활용한 면세품 판매를 허용하고,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면세점들도 공동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해 온라인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할 예정이다.이러한 성과는 경북도의‘메타버스 수도 경북’을 향한 진심에 있다.▲ 메타버스 면세점 지원 협약식(사진=경북도) 경북도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은 2025년까지 3단계로 나눠 개방성과 통합성, 경제흐름을 반영한 웹과 앱으로 통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플랫폼을 구축해 가상융합경제의 지역형 선도 모델을 만들어 갈 예정이다.올해 1단계 사업은 예산 10억원을 투입해 대구ㆍ경북 통합 신공항(META+PORT)을 메인 플랫폼으로 신공항 체험, 면세점, 지역특산물 마켓, 컨퍼런스 공간, 관광지 투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메타버스 수도 경북에서 면세산업과 메타버스 융합을 통한 새로운 메타버스 서비스 창출로 지역경제활성화 및 국가발전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며 메타버스 면세점 서비스를 통한 지역발전 의지를 다졌다. 한편, 면세업계 관계자들은 메타버스 면세점 업무 협약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경북도가 추진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면세점 홍보 강화 및 매출 확대 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이날 관세청에서는 면세점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는 ?면세점 이용 국민편의 제고 ?면세점 수익기반 확충 ?규제혁신을 통한 면세점 부담 완화 등 3개 분야 15대 과제가 담겼다. 윤태식 관세청장은 “경북도가 추진하는 메타버스 사업이 성공적으로 발전하기를 바란다”며, “경상북도 메타버스에 진출하는 면세점의 매출 활성화로 이어져 경북도와 면세업계 모두 윈윈하는 결과를 기대한다”며 관세청 차원의 메타버스 면세점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경상북도는 14일 오후 2시 도청 화백당에서 ‘경북 문화도시 포럼’을 개최했다.▲ 경북 문화도시 포럼(사진=경북도) 이날 도 문화관광체육국장, 안동시장, 칠곡부군수와 23개 시군의 문화도시 관련 공무원, 재단 관계관, 시민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이번 포럼은 법정 문화도시 지정과 관련해 지방자치단체 서로가 더 이상 경쟁 상대자가 아닌 동반자로서 연계?협업해 경북 전체를 문화도시로 만들어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경북도와 제1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포항시(포항문화재단), 제4차 문화도시 선정을 위해 준비 중인 안동시(한국정신문화재단), 칠곡군(칠곡군문화도시지원센터)이 공동으로 주최했다.이날 포럼은 먼저, 차재근 지역문화진흥원장의 ‘문화도시 2.0과 문화분권’, 양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의 ‘경북형 문화도시 사업의 철학과 방향’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펼쳐졌다. 이어 포항시?안동시?칠곡군에서 현재까지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하면서 얻은 사례별 성과를 발표했다.시민참여 및 거버넌스 구축, 문화공간 구축, 예술?지역산업?생태환경과의 결합, 문화다양성의 반영, 도시브랜드 구현, 연대와 협력 등 문화도시 사업 추진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부딪치는 각종 이슈들에 대해 보다 발전된 방안을 공유?논의하고 모색하는 원탁토론(마카다 토론회) 시간도 가졌다.공식 행사 외에도 홍보부스를 운영해 포항시, 안동시, 칠곡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도시 조성 관련 사업의 내용과 정보를 공유하고, 참가자들과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했다.한편, 법정 문화도시 조성사업은 지역 고유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해 새로운 도시 브랜드 및 문화거점 공간 창조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2019년부터 시행됐다.이는 예비도시로 선정된 시군을 대상으로 1년간의 예비도시 문화사업 추진 성과를 평가해 문화도시로 지정하고, 5년간 국비 최대 100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경북도는 2019년에 포항이 문화도시 선정돼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된 안동시와 칠곡군은 문화도시 선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제11호 태풍 힌남노 피해복구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이철우 도지사는 행사에 앞서“독목불성립이라는 말처럼, 이번 포럼을 기점으로 도내 23개 시군이 서로 협력해 경북 전체가‘마카다 문화도시’라는 숲이 될 수 있도록 도가 선두에 서겠다”고 강조했다. *독목불성림(獨木不成林)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함
경상북도는 14일 오전 도청 다목적홀에서 천안함 최원일 함장 및 생존 장병을 초청해 ‘9월 직원 만남의 날’을 개최했다.▲ 경북아카데미 천안함 생존자 특강(사진=경북도) 이날 행사는 울진 산불피해 복구를 위한 뚜벅이앱 연계 10억 걸음 3만 그루 기부캠페인 홍보영상을 시작으로 문화 공연, 최원일 제16대 천안함 함장과 전준영 천안함 생존자 전우회 사무총장의 안보교육 등으로 진행됐다.최원일 함장과 전준영 사무총장은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발생배경과 피격?구조상황, 합동조사 결과 등을 상세하게 설명해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특히, 천안함 피격사건에 대해 최원일 함장과 생존장병들은 “살아와 줘서 고맙다는 말이 가장 듣고 싶은 말이다. 국가를 위해 군복무를 하며 희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억측으로 북한의 천안함 폭침에 대해 다르게 알고계신 분들이 많아 아쉽다”며“그래도 이렇게 천안한 피격 사건을 기억해주고 응원해주시는 분들이 많아 더 많은 용기를 내고 있다. 직원 만남의 날에 초청해주신 경북도에 감사하다”고 전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천안함 폭침에도 생존한 최원일 함장님과 생존 장병께서 경북을 찾아줘 오늘은 매우 뜻깊은 날이다”며“46명의 천안함 장병들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기에 오늘의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 있고, 우리나라 호국 선봉에 있었던 경북이 국가 수호의 정신을 계승?발전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앞장서겠다”고 언급했다.또“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이 가장 숭고한 일이다”며 “공무원 또한 다양한 곳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국가와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공무원의 사명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이철우 도지사는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이후 국회에서 북한의 천안함 폭침에 목소리를 높여왔으며 2019년 천안함 배지를 만들어 배부할 당시 가장 먼저 직접 천안함 배지를 구입해 달고 천안함 희생자를 위한 SNS릴레이에 참여하는 등 희생자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천암함 피격사건은 지난 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22분 백령도 서남방 2.5㎞ 해상에서 경계 임무 중이던 해군 제2함대사 소속 천안함(PPC-772)이 북한 잠수정의 기습 어뢰공격으로 침몰해 승조원 104명 중 46명이 전사하고 58명이 구조된 사건이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본격적인 가을 여행시즌을 앞두고 농가맛집의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운영자 교육을 실시한다.▲ 농가맛집 운영자 교육(사진=경북도) 이달 14일부터 내달 7일까지 지역의 대표 농가맛집 운영자 20명을 대상으로 집합교육(4회)과 일대일 맞춤형 교육(6회)을 진행한다.첫날 교육에서는 소비자 요구 변화에 따른 음식관광의 진화, 메뉴를 돋보이게 하는 푸드스타일링과 음식촬영노하우를 소개한다. 둘째 날은 온라인 마케팅 분야 교육을 진행하며, 셋째 날은 농가맛집 메뉴를 상품화해 판매하고 있는 고두반(경주)에서 밀키트(간편조리세트)와 로컬푸드를 활용한 메뉴개발 실습을 진행한다.마지막 날에는 전통주와 어울리는 한식 메뉴와 전통주와 한식의 조합에 대해 소개하는 한식메뉴와 전통주 *페어링에 대해 교육이 진행될 예정이다. *페어링(pairing) : 짝을 맞춘다는 의미로 마실 것과 음식의 조합(궁합)이후에는 경북지역 농가맛집 6개소에 박찬일 셰프를 초청해 농가맛집 운영을 위한 일대일 맞춤 교육을 10월 6~7일 양일간 현장에서 진행한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이번교육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며 “농촌여행의 필수코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농가맛집에서 우리의 맛과 멋을 느껴 볼 수 있는 행복한 농촌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농가맛집은 지역농산물을 활용하고 향토음식을 계승하기 위해 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하고 있는 농가형 외식문화공간이다. 직접 생산한 제철농산물로 조리하거나 지역에서 생산된 식재료를 활용함으로써 사계절 건강한 상차림을 맛볼 수 있다. 현재 경북에는 27곳이 운영하고 있으며 농가맛집 정보는 경북농업기술원 홈페이지(www.gba.go.kr) 생활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상북도는 14일 오후 도청을 찾은 제주 영남도민회와 이철우 도지사가 환담을 나눴다고 밝혔다.▲ 제주영남도민회(사진=경북도) 이번 방문은 경북의 정신 바로알기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제주영남도민회에서 지역의 전통문화 체험 연수 기회를 통해 경북의 정신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경북의 가치를 인식하고 유서 깊은 역사와 문화를 되돌아보는 자리를 갖고자 마련됐다.주요 일정으로는 14일부터 16일까지 2박 3일간 도청과 하회마을, 한국국학진흥원, 도산서원, 임청각 ,이육사 문학관, 박정희대통령 생가 등을 방문해 과거부터 지금의 우리나라를 이끌어 온 진취적인 경북의 정신을 학습하고 체험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윤수 영남도민회 회장은 “제주 영남도민회가 타 단체보다 원활한 활동을 하는 것은 우리에게도 영남인이라는 자긍심과 결속력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며“경북은 한국 속의 한국이라 불릴 정도로 대한민국의 전통과 문화를 온전히 보존한 지역이다. 이번 교육을 통해서 제주에서도 경북 정신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보겠다”고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화랑, 선비, 호국, 새마을 정신이 대한민국의 역사 발전을 이끌며 과거에는 경북이 대한민국의 중심이었다. 코로나19와 태풍 힌남노 등으로 지역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경북의 정신으로 잘 이겨 나가고 있다”며 “나라를 잘 살게 한 지역의 위상을 되찾고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의 도약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제주도에 계시는 8만 영남인께서도 힘을 모아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