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 토속어류산업화센터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일까지 3일간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2년 경북 식품박람회」에 참가했다.▲ 내수면 수산식품 전시회(사진=경북도) 행사 기간 올해 새롭게 개발한 송어스테이크, 송어그라브락스, 토속어 소스(메기), 펫간식(베스ㆍ블루길) 등 내수면 수산식품 4종을 전시·홍보해 관람객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먼저, 송어 스테이크는 어린이, 청소년 등 누구나 기호에 맞게 손질 없이 바로 데우기만 하면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했다.또 송어 그라브락스는 유럽의 연어 숙성 기술을 송어에 접목해 소스와 함께 개발해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를 누구나 기호에 맞게 섭취할 수 있도록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최근 시장 소비 가격 하락으로 소비가 어려운‘메기’와 각종 한방 약초를 재료로 해 감칠맛 나는 천연 건강식 맛소스인 토속어 소스 제품도 개발해 전시했다.아울러, 함께 전시된 펫간식은 외래 유해어종인 베스, 블루길을 활용해 타우린, 비타민E, 오메가-3 등 뛰어난 영양성분으로 반려동물에게 건강하고 안전한 영양식이다.특히, 외래 유해어종인 베스, 블루길을 활용한 펫간식 개발로 유해어종 퇴치에 기여하고 개발업체에는 재료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또 내수면 수산식품 개발에 참여한 업체에 대해 개발된 제품의 생산과 소비확대를 위해 민간기술 이전과 국내 유명 쇼핑몰 입점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올해 3개 업체를 경북‘사이소’몰에 입점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한편, 토속어류산업화센터는 연간 1000톤 이상의 내수면 수산물의 소비층 다양화를 위해 내수면 수산물을 활용한 식품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지난해에는 ‘송어구이 레토르트’, 펫간식 ‘멍멍야미’ 2종을 개발해 현재 시장 수요조사를 추진하고 있다.또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총 사업비 70억원(국비 35억원)을 투자해 「내수면 수산물 식품개발센터」건립도 국내 최초로 추진하고 있다. 문성준 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장은 “이번 식품박람회를 통해 내수면 수산식품의 상품성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됐다”며“향후 새로운 내수면 식품을 개발해 지역 내수면 양어가의 소득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 지원과 투자를 아끼기 않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지역의 우수기업을 홍보해 이들 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고 지역 청년인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 채용 박람회 도는 지난 3년간 이어진 코로나19 상황 속에 급속히 확산된 고용 분야에서의 비대면 문화에 발맞춰 중소 구인 기업 및 청년 구직자간 매칭을 지원할 수 있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병행된 하이브리드 방식의 채용박람회를 추진한다. 특히, 경북과 경제생활, 일자리 등을 공유하는 인접 광역시도(대구, 울산)까지 확장해 도내뿐만 아니라 타 지역 구직자들이 지역의 우수기업에 정착하는 탈공간적 고용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먼저, 온라인 채용 박람회는 이달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북 비대면 채용 박람회 웹사이트(www.greatjob.kr)에서, 국내 유명 온라인 채용 플랫폼인 사람인(www.saramin.co.kr)에 특별 개설된 경상북도 전문 채용관에서는 7일부터 내달 30일까지 상시 진행한다.『2022 경상북도 채용박람회』라는 이름으로 치러지는 현장박람회는 7일 경산 영남대 천마아트센터을 시작으로, 11일 울산 롯데호텔, 17일 포항 포스텍, 19일 대구 엑스코에서 총 4회 진행할 예정이다. 오프라인 행사는 코로나19 방역상황을 감안해 다소 소규모로 진행했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는 완화된 방역지침에 따라 행사 참여인원과 참여기업(15개사 이상)의 수를 대폭 늘렸다.또 지리적 제약으로 참석이 어려운 구직자를 고려해 매 박람회마다 오후 2시부터 Youtube 생중계(‘경상북도 채용박람회’검색)로 기업 채용설명회를 실시간으로 송출할 방침이다.구체적으로 행사 내용을 살펴보면, 경북 온라인 채용 박람회를 위해 개설된 전용 웹사이트(www.greatjob.kr)는 구인 희망 기업 및 구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채용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난해 보다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구직자의 취업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AI면접, 메타버스, 취업역량강화 등의 서비스를 개설했고, 가상기업관을 운영, 구직자가 직접 경북내 우수기업의 현황 및 채용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도에서 시행중인 ▷지역혁신프로젝트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경북 미래차 노사상생형 일자리 프로젝트 ▷경북 신중년 일자리 지원사업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등의 정책 소개와 공모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구직자 맞춤형 온라인 특강 등을 추가로 탑재했다. 현장박람회는 기업 인사담당자가 직접 참여하는 대면 부스 및 화상회의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부스를 포함해 총 10개의 기업 채용 부스를 운영해 채용할 직무에 대한 소개와 현장면접을 통해 입사지원을 돕는다. MBTI관1), 퍼스널컬러관2), 취업타로관3) 등의 이벤트관 및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비대면 취업컨설팅관, 비대면 모의면접 체험관을 운영하여 구직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1)성격 유형 검사를 통해 구직자에게 맞는 일자리 및 업무스타일 파악2)면접에서 신뢰감 주는 메이크업이나 색조톤 조언3)타로점을 통해 본 구직운 및 일자리 성향 분석Youtube 채널(경상북도 채용박람회)을 활용한 기업 채용 설명회 생중계는 전문MC의 진행으로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출연해 회사의 현황과 비전, 중점 추진 사업, 채용프로세스 등을 소개하고 실시간 질의응답을 진행한다.또 참석자 호응을 높이기 위해 문제·정답 기프티콘 이벤트도 마련했다.아울러, 청년층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어줄 ‘제이콥(AND Feat. 인싸담당자)’,‘김도윤 작가(김작가 TV)’등 주요 유명인사의 강연을 준비해 행사의 분위기는 한껏 달아오를 전망이다.17일 취업박람회가 열리는 포스텍 국제관에서는‘다시 뛰자! 신중년 토크콘서트’를 동일 시간대에 개최한다. 이번 토크콘서트는 경북 동부권 철강산업의 위기로 인한 노동환경 변화 및 경기침체의 장기화에 따라 고용 위기를 겪고 있는 신중년층에게 취?창업 의지를 북돋우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개그콘서트 PD를 지낸 서수민 PD를 비롯한 다양한 강사진으로 꾸려 강연을 펼쳐진다.박람회 관련 추가정보나 문의사항은 경북도 비대면 채용박람회 운영사무국(☎053-657-0520)이나 카카오톡 채널*로 확인할 수 있다. * (https://pf.kakao.com/_xdxbJWs, 채널명: 경상북도채용박람회, 검색용 ID: greatjob)이영석 경북도 일자리경제실장은 “지역의 우수기업이 제대로 된 홍보 기회 부족과 지역적 편견 등으로 청년인재 채용에 불이익을 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채용박람회를 통해 지역의 우수기업과 청년인재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소중한 장이 되도록 내실 있게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604(+695)1,127,40811,135(-433)1,114,596(+2,036)1,677(+1) * 국내 1,598, 국외 6 * 치명률(10. 4. 0시 기준) - 경북 0.15%(1,676명), 전국 0.11%(28,528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51680029확진자123190052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9.29.(목)9.30.(금)10.1.(토)10.2.(일)10.3.(월)10.4.(화)10.5.(수)누계(주)평균(주)검 사8,6164,9314,1073,1521,8651,5442,51426,7293,818확진자1,532(9)1,452(9)1,299(18)1,253(14)721(4)909(8)1,604(6)8,770(68)1,252.9(9.7)* 직전주 수요일(9.28.) 현황 : 검사 10,467건, 확진자 2,036명(▼ 21.2%)(단위 : 명, %)구 분9.29.9.30.10.1.10.2.10.3.10.4.10.5.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5231,4431,2811,2397179011,5988,7021,243.1연령별60세↑확진자수(%)434(28.5)443(30.7)422(32.9)390(31.5)204(28.5)261(29.0)450(28.2)2,604(29.9)372.018세↓확진자수(%)301(19.8)260(18.0)240(18.7)213(17.2)143(19.9)182(20.2)272(17.0)1,611(18.5)230.1외 국 인19(1.2)18(1.2)16(1.2)11(0.9)5(0.7)12(1.3)16(1.0)97(1.1)13.9 □ 시·군별 발생(국내 1,123,692, 해외유입 3,716)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127,408명234,52798,65759,17967,964204,19846,14838,93634,99629,252128,1107,081(+1,604)(+334)(+5)(+130)(+78)(+116)(+273)(+1)(+49)(+70)(+74)(+84)(+166)(+1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6,1668,8134,94713,08914,3119,98913,62345,13923,6409,16517,5741,904(+27)(+12)(-)(+8)(+11)(+14)(+21)(+59)(+27)(+17)(+14)(-)
경상북도는 4일 도청에서 대한전문건설협회 경북도회(이정철 회장)은 장학금 1000만원을 기탁했다고 밝혔다. ▲ 장학금 1천만원 기탁(사진=경북도) 이 장학금은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경북인재평생교육원에 전달돼 저소득층 자녀지원을 비롯한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사업에 쓰인다.1985년 설립된 대한건설협회 경상북도회는 도내 3610개 전문건설사업자를 회원사로 두고 있으며 건설업 진흥, 경영합리화, 제도개선, 회원 복리증진 등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또 매년 저소득 소외계층 지원사업은 물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성금 4000만원, 울진산불 피해 주민을 위한 성금 9500만원 지원 등 다양한 지역 사회공헌 활동을 펼쳐 지역사회의 귀감이 되고 있다.이정철 대한전문건설협회 경북도회장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꿈과 희망을 갖고 학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지역 전문건설인들이 힘을 모아 청소년들에게 작은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 전문건설인들이 도내 학생들을 위해 장학금을 기부해준 것에 감사드리며 기부된 장학금은 지역 인재들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소중하게 사용하겠다”고 답했다.
경상북도는 4~5일 양 일간 경주에서 경북-전남 여성단체협의회 간 교류행사를 개최했다.▲ 경북-전남 여성단체협의회 교류행사(사진=경북도) 행사에는 김경애 경북여성단체협의회장과 윤미숙 전남여성단체협의회장, 경북·전남·경주시 관계자와 회원 60여명이 참석했다.올해 일곱 번째로 개최되는 교류행사는 2016년 경북여성단체협의회의 제안으로 안동에서 처음 개최됐다. 매년 번갈아가며 양 지역을 방문해 농특산물 판매협약, 관광활성화 협약 등 여러 방면으로 교류 협력을 도모해 왔다.행사 첫날인 4일에는 불국사, 황룡사 역사문화관, 동궁과 월지, 월정교 등 경주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들을 탐방하는 일정으로 시작했다.이날 저녁에 경북-전남 상호교류 활동을 더 구체화하고 양 지역에 실질적인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지역 간 이해의 폭을 넓히는 소통의 시간을 가지고 여성단체의 공동발전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김호섭 경북도 아이여성행복국장은“경북-전남 여성단체협의회는 7년째 우정을 돈독히 쌓아오고 있다”며, “상호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다양한 교류 사업을 통해 양 지역이 상생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10월 경로의 달을 맞아 어르신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 공경의식을 높이고, 전통 경로효친 사상을 앙양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마련했다.▲ 노인의 날 기념식(사진=경북도) 먼저, 4일 김천문화예술회관에서 제26회 노인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박영서 도의회 부의장, 김충섭 김천시장, 양재경 대한노인회 경북연합회장 등 지역기관·단체장과 수상자를 포함해 어르신 8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노인강령 낭독, 유공자 포상, 기념사 순 등으로 진행됐다.정부포상으로 대한노인회 이부화 김천지회장과 영천 이육만 노인대학장에게 노인복지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전수했다.또 도는 매년 ‘노인의 날’에 어른을 공경하고 노인복지 증진에 기여한 공로가 큰 모범노인, 노인복지기여자 등을 발굴해 경북도지사 표창을 수여하고 있다. 올해 모범노인 부문에서는 상주 함창읍 증촌2리 이규태 경로회장, 공무원 부문에는 김천시청 김선협 주무관, 노인복지기여단체 부문에는 대한노인회 포항지회가 각각 선정됐다.한편, 도는 10월 경로의 날을 맞아 부모님과 고마운 어르신들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부모님께 하고픈 말’ SNS 댓글달기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해 부모님을 되새기는 시간을 진행하고 있다.이벤트 참여방법은 경북도 페이스북 홈페이지를 방문해 ‘좋아요’를 누른 후 감사의 마음을 댓글로 달면 된다. 참여기간은 이달 7일까지 진행되며, 우수 댓글을 선정해 커피교환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노인학대를 예방하고자 경북에 소재한 4개의 노인보호전문기관과 경북경찰청 등과 연계해 ‘노인학대예방 집중 홍보 기간’을 동시에 운영한다.이를 통해 노인학대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신고의 중요성을 널리 전파하는 등 노인인권보호와 노인 학대 예방활동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할 방침이다.이외에도 도내 노인보호전문기관과 워크숍을 개최해 우수상담사례를 공유하고 그간의 노인 학대 예방활동 성과점검과 앞으로의 활동방향에 대서도 논의할 예정이다.현재 경북의 노인인구는 61.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3.4%에 달해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며 어르신복지 수요는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도는 어르신 60여만명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경북형 경로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먼저, 대표사업으로 마을 단위 경로당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통합복지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는 전국 최초 경로당행복도우미 사업 추진으로 좋은 성과를 거둬 전국의 대표 노인복지 사례로 꼽히고 있다.23개 시군 경로당에 행복도우미 550명을 배치해 건강?여가 선용 프로그램을 제공, 단순 시간보내기 식의‘정적인 경로당’이 어르신의 건강관리·운동·학습 등의 ‘사회참여활동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경로당 이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일대일 방문 상담을 통해 외로움을 방지하고, 새로운 활력을 도모해 현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내년에는 경로당행복도우미 인원을 증원해 좀 더 많은 어르신들께 양질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또 지난 4월부터 혼자 식사하시는 어르신들을 위ㅙ 경로당에서 밑반찬을 지원해 어르신들이 함께 모여서 식사를 할 수 있는 행복경로당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군별로 노인관련 단체와 연계해 말벗 및 상담을 동시 추진해 향후 경북형 행복경로당 운영 모델로 안착을 시키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외에도 노인일자리 확대?운영, 노인복지시설 기능보강사업, 맞춤형 돌봄서비스, 기초연금 등 사업추진으로 노인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어르신들이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의 어르신들은 많은 위기를 넘기면서 땀과 희생으로 오늘의 경북을 만드셨다”며 “어르신들의 노년이 행복해야 대한민국의 미래가 행복하다. 도는 고령화시대에 어르신들을 위한 다양한 시책 추진과 노인복지사업에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정부에서 지정한 ‘노인의 날’은 웃어른을 공경하는 경로효친 사상을 확산시키고, 어르신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제정된 법정기념일로 매년 10월 2일이다.
한국-인도 전통의학의 특별한 만남 속, 웰니스 관광의 매력에 푹 빠져 보세요 경상북도는 한의학과 더불어 세계 자연의학의 또 다른 한 축인 인도 아유르베다의 만남을 주제로 웰니스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인 ‘경북·영덕 국제 Hi-Wellness* 체험 페스타 2022’를 영덕 인문힐링센터 여명에서 8~9일 양일간 개최한다. ▲ 하이웰니스 포스터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K-Wellness 세계화 관광 거점으로의 도약을 꿈꾸는 경북도와 영덕군이 새롭게 내놓은 콘텐츠이다. 한국인에게는 다소 생소한 인도의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마사지요법 등 라이프 스타일을 조절해 건강을 회복하는 방식의 대체의학으로 체질 유형에 따라 처방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한의학과 유사하다. 도는 웰니스 관광산업이 성장하면서 대표적 콘텐츠로 각광받고 있는 양국 전통의학의 유사성에 주목해 한의학과 아유르베다의 상호 교류 협력을 통해 웰니스 관광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서로 비교하며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해 관광객들이 웰니스 관광의 색다른 매력과 진면목을 느껴볼 수 있도록 했다.축제 진행에 앞서 사전 붐 조성을 위해 도내 웰니스 관광 거점시설과 연계한 웰니스 프리미엄 캠프를 7월·9월 2차례 진행했으며, 국내외 웰니스 전문가 대상 워크숍도 개최했다. 축제 기간 총 67개의 부스를 설치, 유·무료 체험 프로그램 및 공연·마켓 등을 운영한다. 먼저, 한의학 체험 존은 대한의사협회 소속 명의들이 맥진뇌파, 침·뜸, 한방경락마사지, 한방기공 등을 선보이며, 아유르베다 체험 존은 인도 수바르띠 대학(인도 아유르베다 전문대학)의 전문가 20여명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아유르베다 요법을 시연한다. 또 자세교정·요가 테라피·소리명상 등 건강을 위한 요가·명상 체험존, 사찰음식의 대가 정관 스님의 사찰 음식 시연을 비롯한 한방약선음식·아유르베다음식 등 다양한 웰니스 음식을 소개하는 푸드존, 인도의 전통 음악 공연·웰니스 미디어영상을 상영하는 문화공연체험 존 등 다채로운 건강먹거리와 볼거리도 준비했다. 한편, 이번 페스티벌이 개최되는 영덕 인문힐링센터 여명은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거점 시설 중 하나이다.맑은 공기와 천혜의 자연 환경 속에 위치한 한옥시설로 명상과 기체조 및 건강 음식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 현대인들의 힐링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에 새롭게 시도되는 Hi-Wellness 체험 페스타가 지역의 대표적인 웰니스 관광 콘텐츠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며 “앞으로도 지역 내 우수한 관광자원과 연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로 웰니스 관광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지난달 30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지역 44개사 중소기업과 몽골, 베트남, 러시아, 인도, 일본 등 14개국 23명의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대면?비대면 수출상담회를 열었다.▲ 바이어초청 수출상담회(사진=경북도) 이날 160건의 상담과 함께 총 876만 달러 규모(125억원 상당)의 수출계약 및 상담성과를 거뒀다. 이번 수출상담회는 전쟁, 봉쇄, 세계경기 위축 등 각종 대외 악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수출 유망 중소기업 우수제품을 중심으로 대면과 비대면 방식을 병행해 운영했다. 몽골, 중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베트남, 미국 등 16명의 해외구매자와는 현장에서 일대일 대면상담을, 인도, 케냐,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7명의 바이어와는 별도의 화상 상담장을 구축해 온라인 상담을 진행했다.특히, 러시아에서 참가한 현지 식품유통 바이어 O社는 도내 문경미소(문경, 콜라겐 젤리스틱)와 상담장에서 1.7만 달러 규모의 현장 수출계약을 체결했다.또 프랑스에서 참가한 식품 바이어 R社는 도내 경성표고버섯(성주)은 초도물량 5천 달러를 직수입하기로 하는 등 총 5개 업체가 현장에서 2.9만 달러의 판매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간 경북도는 중소기업의 해외판로 직접 개척을 돕기 위해 올해 9월까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무역협회, 경북경제진흥원 등과 협력해 총 25회에 걸쳐 온?오프라인 형태로 수출상담회 개최, 무역사절단 파견, 해외전시회 참가 등을 진행했다.올 10월부터 연말까지는 13회에 걸쳐 해외구매자를 국내외 현장에서 만날 수 있도록 전시무역사절단 파견과 수출상담회를 지속해서 개최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도는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총수출 317억 달러를 달성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3.7% 증가한 바 있다. 특히, 10대 수출품목 중 휴대폰카메라와 평판디스플레이, 철강 등 8개 품목이 증가했고, 10대 수출국가 중 중국, 베트남, 일본, 인도 등 9개 시장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보호 무역주의 확산, 원자재 가격 상승, 고환율, 글로벌 경기침체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비해 기업은 제품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달라”며 “도는 수출비용 경감과 신규 바이어 발굴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마련해 수출영토 확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헴프(HEMP) : 향정신성 물질인 THC(Tetrahydrocannabinol) 0.3%미만의 대마식물로 환각성이 있는 마리화나와 구별되어 비환각성 산업용 소재로 이용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안동의 헴프 재배단지와 헴프를 활용한 CBD* 추출·정제 시설, 통합관제센터를 방문하고 특구 참여 기업·기관과 간담회를 개최해 애로 사항을 청취 및 향후 특구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했다.* CBD(Cannabidiol, 칸니비디올) : 헴프의 주성분으로 신경안정, 항염, 진통 등의 효과가 있음▲ 헴프 추출물 수출 허용 요건 완화(사진=경북도) 간담회에 참여한 특구 참여 기업들은 CBD 및 CBD를 활용한 제품의 해외수출 원활화, 특구 사업자간 헴프 거래, 향후 특구 사업자 중심의 규제 완화, 안전관리 실증의 어려움 등을 전달하고 관련부처와의 협의 및 행·재정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날 이중복 교촌 F&B 연구원장은 “특구에서 헴프를 활용한 시제품 개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천연물 추출·정제 기술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헴프를 활용한 의료목적제품, 화장품, 식품의 품질 경쟁력은 자신 있다”며“조속한 규제 완화가 이뤄져 그간의 성과를 활용해 기업의 성장을 이루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건의했다.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경북도와 함께 식약처 관계기관 회의를 통해 그간의 실증사업 추진 결과를 공유하고 특구 사업 원활화를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며 “향후 법령개정을 위해 국민보건 등의 안전성 입증을 통한 관계기관 및 사회적 합의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9월 식약처와의 관계기관 회의에서 헴프에서 추출한 CBD의 원료의약품 수출에 대해 아직 기준이 없는 국내 GMP 인증과 해외의 GMP 인증 조건을 제외한 수출 허용 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또 철저한 안전관리를 위해 그간 폐기했던 줄기, 뿌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협의했다. 헴프 특구의 스마트팜 내 통제된 조건 속에서 재배된 헴프의 줄기, 뿌리는 연구 활용 가치가 높다.이를 통해 항당뇨연구, 아토피 치료, 항생물막 억제 후보물질 등의 연구를 고도화 할 수 있고, 현재 헴프씨드와 씨드오일에 한정돼 있던 식품 원료 등재에 줄기, 뿌리의 추가 등재도 탄력을 받게 됐다. 또 특구내 사업자간 헴프 거래 허용으로 재정지원사업 이후 특구 내 재배·제조·시제품 개발 분야의 생태계를 활성화 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특구 면적 확대 필요성에 대한 건의로 산업화를 대비한 대규모 헴프 스마트팜 재배단지 구축도 준비할 수 있게 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앞으로 규제 완화와 헴프 산업화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농림축산식품부, 식약처 등 관계 부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안전한 헴프 관리를 통해 우선 해외에 헴프 활용 제품 판매가 허용돼 기업의 투자가 확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상북도는 어렵고 복잡한 세금해결을 위해 구미 고아농공단지와 칠곡 기산농공단지에서「찾아가는 세무 상담실」을 운영한다. ▲ 고아농공단지(사진=경북도) 이달 12일 구미 고아농공단지, 19일 칠곡 기산농공단지 각 관리사무소 내 회의실에서 근로자의 점심시간을 이용한 상담을 위해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영한다. 이번 찾아가는 세무상담실 운영은 마을세무사의 재능기부를 통해 근로자 개인 및 사업주의 사업체 운영에 필요한 국세 및 지방세 분야에 대해 무료로 상담해 준다. 황명석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본업으로 바쁜 와중에도 무료상담을 해주신 마을세무사에게 감사드린다”며 “도민을 위한 세무서비스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환동해 시대를 선도하는 해양수산산업의 미래를 대비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22 대한민국 해양수산엑스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해양수산엑스포 이번 대한민국 해양수산엑스포는 경북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것으로 지역 연안 5개 시군의 홍보관에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전시장에는 ▷수산식품 및 가공식품관 ▷수산 기자재관 ▷해양레저 특별관 ▷해양수산 특별관 등 다양한 홍보관을 만날 수 있다.특히, 메인 공간인 주제관에는 첨단 LED 디스플레이뒤 벽면을 활용해 경북의 바다를 표현함으로써 참관객들은 전시장 내에서 마치 파도가 치는 동해안 한가운데에 서있는 듯한 색다른 경험을 맛볼 수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NFT기반 경북 수산물 공동브랜드,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후포 마리나항만 개발·감포 해양레저복합단지 조성의 경북의 주요 해양수산산업을 만날 수 있다. 첫날 6일에는‘경북 스마트 수산가공 산업 활성화 정책포럼’을 통해 경북 수산물 공동브랜드 개발과 활용, 스마트시대 NFT기술의 수산가공산업 활용, 경북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구축 계획 등에 대해 논의한다.또 수산기업을 위한 해외바이어 대상 비대면 수출상담회 및 구매상담회도 진행될 예정이다.아울러, 일반 참관객들을 위한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된다. 수산물 판매장터에서는 안전한 수산물을 할인된 가격에 만나 볼 수 있고, 수산물 시식행사에서는 명품 붉은대게와 한 컵 물회를 제공한다. 이번 행사를 위해 경북붉은대게통발협회에서는 박람회 기간 매일 1000마리의 명품 붉은대게를 선착순 무료로 제공하며 산호‘초’만들기, 실내 플로깅, 해파랑 플리마켓 등 다양한 체험 행사도 준비돼 있다. 대한민국 해양수산엑스포는 이달 5일까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참여 신청을 할 수 있다. *(www.k-oceans.co.kr)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경북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대한민국해양수산엑스포를 통해 해양수산관계자와 도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며 “환동해 해양수산산업의 발전과 미래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4일 도청에서 강성조 제35대 행정부지사의 퇴임식을 개최했다.▲ 강성조 행정부지사(사진=경북도) 이날 퇴임식 행사는 약력 및 공적소개를 시작으로, 재임기간 중 활동을 담은 영상물 상영과 배한철 도의장, 임정규 도 노조위원장, 박기완 도청예천향우회장의 공로패 전달과 도지사의 재직기념패 전달로 진행됐다.강성조 행정부지사는 2020년 1월 1일 취임해 2년 9개월 간 이철우 도지사와 발을 맞추며 ▷10조 국비시대 개막 ▷통합신공항 유치 ▷지방 소멸 위기 대응 ▷디지털·청년농업 대전환 ▷전국 최고 수준의 청렴도 달성 등 수많은 성과를 거뒀다.이를 통해 경북이 다시 대한민국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또 강 부지사는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에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며 각종 방역활동을 전개해 대규모 확진을 극복했으며, 태풍ㆍ 산불 같은 대형 재난 위기 때는 늘 먼저 뛰어가 밤낮없이 현장을 살피는 등 누구보다 앞장서 위기 극복을 위해 헌신했다.강성조 행정부지사는 퇴임식에서 “고향인 경북에서 공직을 마무리하게 돼 영광이다. 도청에서 공직자들과 함께 고생했던 지난날들이 잊히지 않을 것 같다”며 “경북이 지방시대를 열어갈 수 있도록 퇴임 후에도 응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강성조 행정부지사는 어려운 고비마다 함께한 동반자로 전문성과 훌륭한 인품, 열정을 겸비했다. 도지사가 마음 놓고 도정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은 강 부지사 덕분이었다”며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에 중책을 맡아 헌신해준 강성조 부지사에게 감사드린다. 앞날에 무궁한 영광과 행복이 함께하길 빌며, 떠나서도 경북인임을 잊지 말아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909(+188)1,125,80411,568(-741)1,112,560(+1,648)1,676(+2) * 국내 901, 국외 8 * 치명률(10. 3. 0시 기준) - 경북 0.15%(1,674명), 전국 0.11%(28,509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1051221확진자12296445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9.28.(수)9.29.(목)9.30.(금)10.1.(토)10.2.(일)10.3.(월)10.4.(화)누계(주)평균(주)검 사10,4678,6164,9314,1073,1521,8651,54434,6824,955확진자2,036(27)1,532(9)1,452(9)1,299(18)1,253(14)721(4)909(8)9,202(89)1,314.6(12.7)* 직전주 화요일(9.27.) 현황 : 검사 1,882건, 확진자 1,648명(▼ 44.8%)(단위 : 명, %)구 분9.28.9.29.9.30.10.1.10.2.10.3.10.4.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0091,5231,4431,2811,2397179019,1131,301.9연령별60세↑확진자수(%)622(31.0)434(28.5)443(30.7)422(32.9)390(31.5)204(28.5)261(29.0)2,776(30.5)396.618세↓확진자수(%)383(19.1)301(19.8)260(18.0)240(18.7)213(17.2)143(19.9)182(20.2)1,722(18.9)246.0외 국 인23(1.1)19(1.2)18(1.2)16(1.2)11(0.9)5(0.7)12(1.3)104(1.1)14.9 □ 시·군별 발생(국내 1,122,094, 해외유입 3,710)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125,804명234,18898,52759,10167,848203,92446,09938,86634,92229,168127,9447,067(+909)(+221)(+3)(+70)(+3)(+41)(+66)(+122)(+41)(+39)(+37)(+16)(+118)(+1)(+1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6,1398,8014,94713,08114,3009,97513,60245,08023,6139,14817,5601,904(+15)(+4)(+1)(+5)(+11)(-)(+4)(+57)(+9)(+5)(+7)(+1)(-)
경북소방본부는 ‘제35회 전국소방기술경연대회 구급분야’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경북소방‘구급분야’1위 차지(사진=경북도) 전국소방기술경연대회는 지난 9월 27일부터 29일까지 충남 소재 중앙소방학교에서 진행됐다. 대회에는 전국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원 등 2800여명이 참여해 화재진압분야, 구조분야, 구급분야, 최강소방관, 화재조사 등 7개 분야에서 기량을 겨뤘다.지난 6월 개최된 자체 대회에서 선발된 대표선수들은 경북의 명예를 걸고 전국 소방관들과 경연을 펼쳤다.구급분야 선수단으로 나선 포항북부소방서 소속 소방장 백준원, 소방장 장성웅, 소방교 김동현, 소방사 이상교 등 4명이 전국 1위를 차지해 특별승진의 영예를 안게 됐다.심정지 환자에 대한 전문심폐소생술 실시와 대형사고로 인해 많은 수의 환자 발생 시 중증도 분류 및 응급처치 능력을 평가하는 구급분야 전국 1위는 그간 도민에게 제공하는 구급서비스 우수함을 증명해 그 의미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경북소방의 명예를 드높인 출전 선수들의 노고에 감사하다”며 “그간 습득한 기술과 체력을 바탕으로 도민의 생명보호와 안전을 위해 노력해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와 경북문화재단(대표이사 이희범)은 통합문화 이용권(문화누리카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2년 문화누리카드 전액소진 이벤트를 11월 30일까지 진행한다.▲ 전액소진 이벤트 2022년 문화누리카드 전액소진 이벤트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문화누리카드 가맹점의 불황위기를 극복하고 문화누리카드 이용 촉진을 위해 마련됐다.경북 문화누리카드 발급자 중 올해 문화누리카드 지원금(11만원)을 모두 소진하고 내역을 인증한 선착순 300명을 대상으로 2만원 상당의 경품을 제공한다. 참여방법은 경북문화누리 카카오톡 일대일 채팅으로 전액소진 인증(문자 또는 홈페이지 캡쳐), 구입물품사진, 성명, 주소, 연락처, 개인정보 이용동의를 제출하면 된다. 이벤트 결과는 12월 7일 경북문화재단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에서 확인 가능하며, 당첨자에게는 개별 문자로 안내한다.문화누리카드(통합문화이용권)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영화, 공연, 전시, 숙박, 여행, 체육활동 분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이다. 올해는 1인당 연간 11만원을 지원하며, 11월 30일까지 카드 발급이 가능하다. 카드 사용은 12월 31일까지 가능하며 미사용 금액은 전액 소멸된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이벤트는 소중한 재원으로 지원된 문화누리카드가 전액 사용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기회 확대를 위해 기획했다”며“앞으로 도민이 보다 편리하게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자세한 사항은 경북문화재단 문예진흥팀(☎054-650-2952)으로 문의하면 된다.
경상북도가 축제의 계절 가을을 맞아 기차타고 경북으로 여행 오는 관광객들에게 여행지원금을 화끈하게 쏜다. ▲ 경상북도 친환경 기차여행 포스터 도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협업해 이달 4일부터 내달 30일까지‘경북으로 떠나는 친환경 기차여행-가을편’을 추진한다.지난해 KTX-이음(청량리역-안동역) 개통을 계기로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당일여행도 가능한 경북 관광’ 홍보를 위해 여행경비를 지원해 지역 관광과 경기 활성화 효과를 꾀한다.KTX-이음(중앙선)과 KTX(경부선) 열차*를 이용해 경북의 7개역*에 도착해 여행을 즐기고 나서 관광지 입장료?숙박료?1만원 이상 식음료 등 결제 영수증을 증빙한 여행객들에게 전 노선 성인 기준 2만원(초등학생 이하 어린이는 1만원)의 여행지원금이 충전된 레일플러스카드를 지급한다. *(안동역, 영주역, 풍기역, 김천구미역, 신경주역, 포항역, 동대구역<경유>)특히, 이벤트 기간 중 ‘2022 영주 세계풍기인삼엑스포(10.23일까지)’또는 ‘영주 선비세상’입장권 소지자에게는 레일플러스카드 1만원 권을 추가 지급, 최대 3만원까지 여행지원금을 지급한다.또 이 상품을 이용해 열차표를 예매한 고객에게는 코레일에서 철도운임 10%도 특별할인 해준다.기차여행 지원금을 받으려면 이달 4일부터 예매가 개시되는 코레일 홈페이지 또는 코레일톡 앱에서 경북관광 탭을 클릭 후 이벤트 상품을 통해 열차표를 예매하면 된다. * 출발역(8개역) : 서울, 광명, 청량리, 천안아산, 오송, 수원, 대전, 부산 * 도착역(7개역) : 안동, 영주, 풍기, 김천구미, 포항, 신경주, 동대구이벤트는 11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예산 소진 시에는 조기종료 될 수 있어 경북 여행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서둘러 예매하는 것이 좋다.지난 6월부터 추진한 상반기 이벤트는 여름휴가 특수 등에 힘입어 관광객 1.3만여 명이 기차여행을 통해 경북을 방문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기차여행과 연계해 공유차량 서비스를 통해 도내 관광을 편하게 즐길 수도 있다. 도는 쏘카와 협업으로 공유차량 서비스 지원사업을 통해 공유차량 임차료의 80%를 할인해 준다. 지난달 26일부터 기존 4개역(안동?영주?풍기?김천구미역)에서 11개 역으로 확대(상주?점촌?경산?구미?포항?신경주?영덕역)해 10개 시군, 130개 쏘카존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공유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지역 관광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왔으며, 올해 8월말 기준 관광객 통계에 따르면 2485만 명(주요관광지점 329개소 입장객 기준)의 관광객이 경북을 방문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5% 증가했다. 이 추세라면 올 연말에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관광객 수의 상당 수준까지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여름휴가철인 지난 8월에는 전년 대비 관광객 수가 51%나 증가해 고무적이며 점차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는 듯해 다행이라 생각한다”며 “강?산?해를 보유한 대한민국의 보고(寶庫) 경북을 많이 찾아주시길 바란다. 도에서도 여행상품 파격할인 등 경북관광 그랜드세일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유용한 정보] 폐암 초기 증상 기침 조심하세요
[좋은글] ♤ 아름답게 살아가는 사람 ♤
[뉴스] 군위군 직장공장새마을協, 산성면 어르신 대상 족욕봉사 및 닭백숙 나눔 행사
[뉴스] 군위농협 협동조직장 회의 개최
[뉴스] 대구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개최
[뉴스] 군위군 부계면, 경로당에 따뜻한 손길 이어져
[뉴스] 군위군, 정신건강복지센터 통해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위기대응 강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