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5%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615(+213)1,151,22812,786(+280)1,136,735(+1,334)1,707(+1) * 국내 1,612, 국외 3 * 치명률(10. 22. 0시 기준) - 경북 0.15%(1,706명), 전국 0.11%(28,974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714112135확진자342927291120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0.17.(월)10.18.(화)10.19.(수)10.20.(목)10.21.(금)10.22.(토)10.23.(일)누계(주)평균(주)검 사2,0733,23411,0588,1905,4384,3833,72638,1025,443확진자646(4)1,504(0)1,827(3)1,551(3)1,372(1)1,402(0)1,615(3)9,917(14)1,416.7(2.0)* 직전주 일요일(10.16.) 현황 : 검사 2,504건, 확진자 1,334명(▲ 21.1%)(단위 : 명, %)구 분10.17.10.18.10.19.10.20.10.21.10.22.10.23.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6421,5041,8241,5481,3711,4021,6129,9031,414.7연령별60세↑확진자수(%)190(29.6)434(28.9)629(34.5)566(36.6)494(36.0)512(36.5)581(36.0)3,406(34.4)486.618세↓확진자수(%)139(21.7)287(19.1)312(17.1)253(16.3)222(16.2)232(16.5)248(15.4)1,693(17.1)241.9외 국 인1(0.2)16(1.1)23(1.3)17(1.1)8(0.6)20(1.4)18(1.1)103(1.0)14.7 □ 시·군별 발생(국내 1,147,462, 해외유입 3,766)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151,228239,502100,81860,46569,821208,33247,25339,73235,72630,069130,6547,242(+1,615)(+323)(+1)(+126)(+114)(+142)(+287)(+1)(+90)(+75)(+25)(+42)(+187)(+1)(+8)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6,4978,9325,01513,32514,46610,20013,79546,03124,1439,37317,9251,912(+15)(+6)(+3)(+14)(+8)(+10)(+10)(+55)(+38)(+12)(+22)(-)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5%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402(+30)1,149,61312,506(+76)1,135,401(+1,324)1,706(+2) * 국내 1,402, 국외 0 * 치명률(10. 21. 0시 기준) - 경북 0.15%(1,704명), 전국 0.11%(28,952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1137-132확진자352511-47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0.16.(일)10.17.(월)10.18.(화)10.19.(수)10.20.(목)10.21.(금)10.22.(토)누계(주)평균(주)검 사2,5042,0733,23411,0588,1905,4384,38336,8805,269확진자1,334(4)646(4)1,504(0)1,827(3)1,551(3)1,372(1)1,402(0)9,636(15)1,376.6(2.1)* 직전주 토요일(10.15.) 현황 : 검사 4,113건, 확진자 1,324명(▲ 5.9%)(단위 : 명, %)구 분10.16.10.17.10.18.10.19.10.20.10.21.10.22.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3306421,5041,8241,5481,3711,4029,6211,374.4연령별60세↑확진자수(%)460(34.6)190(29.6)434(28.9)629(34.5)566(36.6)494(36.0)512(36.5)3,285(34.1)469.318세↓확진자수(%)235(17.7)139(21.7)287(19.1)312(17.1)253(16.3)222(16.2)232(16.5)1,680(17.5)240.0외 국 인11(0.8)1(0.2)16(1.1)23(1.3)17(1.1)8(0.6)20(1.4)96(1.0)13.7 □ 시·군별 발생(국내 1,145,850, 해외유입 3,763)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149,613명239,178100,69260,35169,679208,04447,16339,65735,70130,027130,4667,234(+1,402)(+284)(+50)(+104)(+140)(+265)(+56)(+50)(+43)(+47)(+168)(+9)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6,4828,9265,01213,31114,45810,19013,78545,97624,1059,36117,9031,912(+16)(+6)(+5)(+12)(+7)(+12)(+13)(+49)(+45)(+9)(+11)(+1)
경상북도는 21일 안동 그랜드호텔에서 김재수 전 농식품부장관(공동위원장)을 비롯한 경북 농업 대전환 추진위원과 유관기관 관계자 등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 농업 대전환 추진위원회 워크숍」을 개최했다.▲ 농업 대전화 추진위 워크숍(사진=경북도) 이번 자리는 국내외 혁신사례와 기 발굴된 대전환 시책들을 검토하고 각 분야의 시책 아이디어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8월 17일 대전환 추진위원회 출범식에 이은 이번 워크숍까지 농업 대전환과 지방시대를 열고자 하는 경북도의 의지가 엿보인다.일정은 오전 국내외 혁신사례 등에 대한 초청특강, 오후 분과별 토론순으로 진행됐으며, 종합토론을 끝으로 마무리 됐다. 특히, 초빙 강사로 나선 정혁훈 매일경제 부국장은 <4차산업혁명시대 농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수직농장, 데이터농업 등 국내외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농업과 4차산업 기술과 융복합을 통한 농업혁명 방향을 제시했다. 또 유재상 경북도 스마트농업육성팀장은 지난 9월 경북도가 추진한 <경북 농업 대전환 네덜란드 농업연수> 결과를 발표하고 네덜란드 농업현장, 방문성과 및 정책 도입 가능성에 대해 보고했다.이어 스마트농업, 식량?축산, 농촌?6차 3개 분과로 나눠 진행된 오후 분과별 토론시간에는 현재 경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대전환 시책에 대한 자문과 위원들이 제안한 정책 아이디어에 대한 공유와 상호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분임토론에서 김인한 해밀농원 대표는 야생딸기 배배양을 통한 유색 딸기 클러스트단지 조성을 제안했다.또 홍의식 한국쌀전업농경북연합회장은 청년농을 중심으로 마을전체가 집적?규모화된 공동영농 형태로 전환하고 고령농가를 위한 복지공간 조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스마트 유통, 식량안보 및 기후변화 등에 대한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이날 참석한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는 “청년 중심의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을 위해 집적?규모화된 공동영농과 첨단화로 생산시스템을 바꾸고 문화?복지?정주여건 개선 등 농촌을 힐링공간으로 재창출해야 한다”면서 “이번 워크숍에서 공유된 정보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경북도가 대한민국 농업변화를 선도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에코프로그룹이 에코프로이엠을 앞세워 포항에서 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에코프로EM CAM7 전경(사진=경북도)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 이동채 에코프로 회장,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이장식 포항시 부시장, 도의원 및 주민대표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에코프로EM*은 포항 영일만4 일반산단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에서 지난해 10월 착공한 CAM7 공장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 에코프로EM : 에코프로비엠과 삼성SDI가 60대 40으로 출자해 설립한 합작법인 **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 : 에코프로그룹이 영일만4산업단지에 조성중인 배터리 복합단지영일만4 일반산단내 6만1,020㎡ 부지에 준공된 CAM7 공장은 하이니켈계 양극재를 연간 5.4만톤(전기차 60만대분)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지난해 10월에 완공돼 연간 3.6만톤(전기차 40만대분)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CAM6 공장과 더하면 전기차 100만대에 필요한 양극재 9만톤을 에코프로EM에서 생산하게 된다.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하이니켈 양극재(니켈 함량 80% 이상)는 일반적인 양극재(니켈함량 50%)에 비해 높은 니켈함량을 가지고 있다. 양극재의 니켈 비중을 늘리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올라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최근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코발트의 비중을 줄여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에코프로는 2018년부터 포항에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해 주력계열사인 에코프로BM(양극재)을 중심으로 에코프로이노베이션(수산화리튬), 에코프로AP(산소, 질소), 에코프로머티리얼즈(전구체), 에코프로EM(양극재), 에코프로CnG(배터리 리사이클링)까지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소재 추출부터 이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 생산까지 한곳에서 가능하도록 배터리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한편, 경북도는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가 전국 29개 특구 가운데 처음으로 3년 연속 우수특구로 선정되고, 에코프로그룹을 비롯해 포스코케미칼(양극재, 음극재), GS건설(리사이클링), LG BCM(구미, 양극재)등의 대규모 프로젝트 유치를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 특구 유치에 도전한다.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의 성과를 기반으로 리사이클링 국제 표준 기술을 선점해 세계시장 선도를 목표로 하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글로벌 혁신 특구 사업’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돼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사업으로 이르면 내년에 지정될 예정이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이 포항에서 완성된 것은 에코프로의 과감한 투자결정과 지방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합쳐진 결과이다”며 “도는 포항이 세계 이차전지 소재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리사이클링 분야의 국제 표준 선점을 통해 글로벌 사용후 배터리 시장을 이끌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5%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372(-179)1,148,21112,430(-89)1,134,077(+1,461)1,704(-) * 국내 1,371, 국외 1 * 치명률(10. 20. 0시 기준) - 경북 0.15%(1,704명), 전국 0.11%(28,922명) * 오신고 누계 정정(-1) : 경산 -1(9.12.)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21662137확진자2233122170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0.15.(토)10.16.(일)10.17.(월)10.18.(화)10.19.(수)10.20.(목)10.21.(금)누계(주)평균(주)검 사4,1132,5042,0733,23411,0588,1905,43836,6105,230확진자1,324(0)1,334(4)646(4)1,504(0)1,827(3)1,551(3)1,372(1)9,558(15)1,365.4(2.1)* 직전주 금요일(10.14.) 현황 : 검사 5,721건, 확진자 1,461명(▼ 6.1%)(단위 : 명, %)구 분10.15.10.16.10.17.10.18.10.19.10.20.10.2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3241,3306421,5041,8241,5481,3719,5431,363.3연령별60세↑확진자수(%)472(35.6)460(34.6)190(29.6)434(28.9)629(34.5)566(36.6)494(36.0)3,245(34.0)463.618세↓확진자수(%)224(16.9)235(17.7)139(21.7)287(19.1)312(17.1)253(16.3)222(16.2)1,672(17.5)238.9외 국 인18(1.4)11(0.8)1(0.2)16(1.1)23(1.3)17(1.1)8(0.6)94(1.0)13.4 □ 시·군별 발생(국내 1,144,448, 해외유입 3,763)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148,211명238,894100,64260,24769,539207,77947,10739,60735,65829,980130,2987,225(+1,372)(+243)(+168)(+82)(+119)(+281)(+63)(+46)(+1)(+31)(+32)(+128)(+7)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6,4668,9205,00713,29914,45110,17813,77245,92724,0609,35217,8921,911(+17)(+11)(+5)(+15)(+8)(+11)(+7)(+44)(+32)(+7)(+14)(-)
경상북도는 이달 20일부터 21일까지 포항 체인지업 그라운드(포항공대 내)에서 「2022 경북 스타트업 투자 매칭데이」를 개최했다. ▲ 지역 스타트업 기업 투자 설명회(사진=경북도) 이날 벤처케피탈(VC),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 벤처협회,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R&D연구기관, 도내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 등이 참여했다.올해로 4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Dream UP!, Start UP!, Grow UP!’이라는 슬로건으로 지역 우수 벤처기업의 제품전시와 투자 상담의 기회를 제공했다.또 오디션IR을 통해 수도권의 유명 벤처캐피탈(VC)에게 직접 홍보하는 등 벤처기업들의 네트워킹의 장과 투자를 지원했다. 주요 내용으로 ▷벤처기업 투자 설명회(60개사) ▷창업·벤처기업의 우수제품 및 아이디어 상품 홍보· 전시(25개사) ▷IR오디션(21개사)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행사는 사전 선정평가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총 60개 기업을 선정, 2회에 걸친 사전교육을 통해 투자 상담 및 투자유치를 위한 맞춤형 코칭을 진행했다.이를 통해 행사 당일 총 23개사, 32명의 수도권 유명 투자사(VC, AC) 들에게 선을 보였다. 특히, 60개 기업 중 IR오디션에 참가한 21개 기업들은 행사 전 IR(기업활동)데이에 참여해 투자사들 앞에서 실전과 같은 IR 피칭을 진행했고, 이 자리에서 부족한 점에 대해 조언도 받았다.그밖에 바이오앱(포항) 손은주 대표의「어쩌다 사장」이라는 제목으로 10년 동안 벤처기업을 운영하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조연설과「스타트업 창업과 기업가 정신」에 대해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최성진 대표의 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진행됐다. 행사 이튿날인 21일에는 시군 스타트업·벤처지원 담당자, 연구기관, 대학창업 보육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스타트업·벤처 투자 전문 교육*을 실시한다. <전문교육> ①「스타트업 IR을 드라마로 만드는법」실리콘패스쳐스 최재원 대표 ②「스타트업 투자전략 및 성공사례」스마일게이트 강정훈 상무 ③「스타트업을 위한 슬기로운 투자 유치」더인벤션랩 박유진 이사 ④「내가 투자하고 싶은 스타트업의 3가지 공통점」포스텍홀딩스 고병철 부사장특히, 이번 행사의 폐막식에서는 투자사와 지역 및 외부 투자를 받은 유망 기업들이 모인 가운데 도내 벤처기업의 성장 의지를 보여주는 ‘경북 스타트업 펀드 투자확정 세리머니’를 펼진다. 세리머니 참여기업으로는 망고슬래브(포항), 에이엔폴리(포항), 프레쉬벨(경산), 영각유전(경주), 엘앤피(경산), 옴니아메드(포항)로 총 6개 기업이며, 총 52.5억원의 지역펀드와 외부투자도 266억원을 받았다. 이날 세미머니에 참석한 이달희 경제부지사는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벤처기업이 중심이 돼 우대받는 환경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앞으로도 도내 스타트업·벤처기업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그간 경북도는 스타트업 기업 발굴 육성지원 근거 마련을 위해 「경상북도 창업·벤처기업 육성지원 조례」를 제정했다.또 연간 60억을 투입해 GB벤처 유니콘 육성 프로젝트 계획에 따라 혁신벤처액셀러레이팅, 벤처기업집적시설입주역량강화, 산학연연계 벤처기술사업화 등 다각적이고 다양한 도내·벤처스타트업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아울러,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기존 961억원의 펀드와 함께 올해 7월 결성한 295억원의 경북형 지역 뉴딜 벤처펀드 등 총 1256억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초기부터 성장까지 단계별 투자 환경을 마련해지역 벤처기업 육성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개막식에 참석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 벤처·스타트업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투자로 이어져 글로벌 진출과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며“지역 예비 창업자들이 창업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인프라 구축 등 창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20일 2023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를 위해 국회를 직접 방문했다.▲ 내년도 국비 확보 위한 협조·지원 요청(사진=경북도) 이번 국회 방문에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김영식(국민의힘, 구미을) 위원 등 지역 국회의원과 만나 지역의 현안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국비 확보에 대한 협력과 지원을 적극 요청했다.특히,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차세대 모빌리티 반도체 클러스터, 한류메타버스 전당 조성사업, 국립 세계문화유산센터 건립, 신라왕경 역사가로길 정비, 해양바이오메디컬 실증연구센터 건립 등 지역의 미래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한 사업의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 국회의원의 협조를 부탁했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정부에서 지역균형발전을 통한 지방시대의 개막을 천명한 가운데 인구소멸 등 절박한 지방의 현실을 공감하고, 경북이 대한민국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한편, 경북도는 정부예산안 국회 심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회 예결위원으로 선임된 김영식(국민의힘, 구미을) 의원실에 <경상북도 국비 지원캠프>를 설치하고, 지역 정치권과의 공동 대응을 통해 국비 확보에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함께 20일 한국국학진흥원에서「2022 종가포럼」행사를 개최했다.▲ 2022 종가포럼(사진=경북도) 종가포럼은 ‘지역 종가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한 종가문화 명품화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행사로 2020년도 코로나 확산으로 개최하지 못한 것을 제외하고 올해 14회째를 맞았다.<K-종가문화, 세계속으로>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종가포럼은 도내 종손·종부는 물론, 유림단체, 학계 등 300여명이 함께 참여한 가운데, 세계 속 한국 종가문화의 가치를 재확인 하는 계기가 됐다.이번 종가포럼은 지난해부터 종가문화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하고자 하는 큰 방향성을 가지고, 세계 속의 한국 종가문화의 독창성과 가치 그리고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의 종가문화도 비교하며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학술행사는 문옥표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가‘세계 속의 한국 종가문화’라는 주제로 한 기조강연을, 박성용 영남대학교 명예교수가 ‘한국 종가문화의 특징과 성격’이란 주제로 첫 번째 발표를 했다.이어 손승희 중앙대학교 교수가 ‘중국 가족?종족의 구성 원리와 재산상속’,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이 ‘일본의 이에(家)와 도조쿠(同族)’, 마지막으로 홍용진 고려대학교 부교수가 ‘중세~근대 초 유럽 왕가의 왕위 계승’이라는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한국 종가문화의 독창성 및 가치를 뒷받침해 줬다.전시행사는 <K-종가문화, 대중 속으로>라는 주제로 조선시대 선비들이 즐겨 먹던 간식을 전시해 종가문화에 낯선 이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다.한편, 이번 행사에 함께 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행사 영상 및 사진 등을 한국국학진흥원 누리집(www.koreastudy.or.kr)에 탑재할 예정이다.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급격한 사회적 변화로 전통문화를 지키기에는 어려운 시기였음에도 종가문화와 가치를 면면히 지켜온 종손·종부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종가문화의 가치와 정신을 발굴하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찾아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한발 더 내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자치경찰위원회는 20일 포항 라한호텔에서 자치경찰사무 담당 경찰공무원의 역량강화를 위해 지역 동부권* 경찰공무원 40여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다.*(포항남·북부,경주,영천,영덕,울릉) ▲ 경찰공무원 역량강화 교육(사진=경북도) 이번 교육은 위원회가 올해 세 번째로 개최하는 것으로 자치경찰 사무 담당 경찰공무원의 업무 이해도 제고 및 자치경찰위원회와 경찰서 간 소통과 교류를 위해 마련됐다.이날 교육은 먼저, 제77주년 경찰의 날(10.21)을 맞아 업무 유공자에 표창 수여와 도로교통공단 교수를 초빙해 ?개정된 도로교통법 및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도로교통법?을 주제로 한 강의를 진행했다. 또 스포츠의학 전문가에게 배우는 셀프-스트레칭 등 스포츠재활 프로그램과 대구대 경찰학부 교수의 특강이 이어졌다. 특히, 사례 위주의 맞춤형 강의를 통해 담당공무원의 이해력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뒀다.이순동 경북도자치경찰위원장은“이번 교육을 통해 격무에 지친 일상에서 잠시나마 벗어나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다”며 “경북자치경찰이 도민을 위한 안전하고 따뜻한 자치경찰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 주시길 부탁한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지난 19~20일 강원 홍천군 소노벨비발디파크에서 개최된 제8회 전국의용소방대 강의경연대회에서 생활안전분야 최우수상과 심폐소생술분야 우수상을 각각 수상했다.▲ 경북 의용소방대 전국강의경연대회에서 최우수, 우수 수상(사진=경북도) 이번 경연대회는 전국 19개팀 57명의 의용소방대 안전강사가 참가한 가운데 2개 분야(생활안전분야·심폐소생술분야)에 대해서 실시됐다.의용소방대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대회는 분야별 발표자가 10분간 강의를 통해 열띤 경연을 펼쳤다.생활안전 분야에는 안동소방서 옥동남성의용소방대 마철호 대원이 <말벌에 대한 오해와 진실>이라는 주제로 발표해 최우수상을 차지했다.또 심폐소생술 분야는 김천소방서 율곡남성의용소방대 박지수, 김근배 대원이 <두 손으로 할 수 있는 일>이라는 주제로 출전해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경북도 대표로 출전해 우수한 성적을 거둔 안동 옥동남성대 마철호 대원과 김천 율곡남성대 박지수, 김근배 대원에게 축하를 드린다”며 “앞으로 의용소방대 전문강사를 적극 양성해 도민의 안전의식을 향상토록 소방안전교육을 매년 확대하고 의용소방대 활동 영역을 넓혀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민물고기연구센터는 20일 먼 길을 돌아 고향인 울진 왕피천에 도착한 어미연어 7마리(수컷 4, 암컷 3)를 포획했다고 밝혔다. ▲ 첫 연어 포획(사진=경북도) 이번에 첫 포획된 어미연어는 수컷 4마리, 암컷 3마리로 몸길이 평균 68.8㎝, 체중 평균 3.3㎏ 크기로, 지난해 10월 26일 회귀한 초어(初漁)에 비해 7일 일찍 포획됐다. 이는 3~4년 전 울진 왕피천에 방류한 몸길이 5~7㎝의 어린 연어가 북태평양과 베링해까지 약 2만㎞를 회유해 성장한 뒤 고향인 왕피천으로 돌아온 것이다.올해 어미연어 포획은 이달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약 2개월간 추진할 예정으로 포획허가 마리수는 750마리로 채란 및 수정을 통해 5~7㎝ 까지 치어 100만 마리를 내년 3월 울진 왕피천 등에 방류할 계획이다. 연어는 WHO가 발표한 세계 10대 슈퍼 푸드 중 유일한 동물성 식품으로서 최근 글로벌 시장과 식문화를 주도하고 있다.우리나라 연어 수입량은19년(3.8만톤/4,114억원), 20년(4.3만톤/4,207억원), 21년(5.7만톤/5,044억원)으로 연도별 최대 25%까지 증가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러한 소비추세에 발맞춰 올해를 ‘스마트 수산의 원년'으로 삼고‘K-연어(북태평양연어, 대서양연어, 왕연어) 스마트 아쿠아 팜 연구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경쟁을 주도할 방침이다. 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고부가가치 어종인 K-연어의 양식 기술개발과 더불어 연어 인공부화 방류사업을 통한 자원회복으로 양식어민과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지난 19일 대구 엑스코에서 물산업 선도기업 대표들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물산업 유관기관 관계자 30여명이 함께 한 가운데 「물산업 지식연구회」를 개최했다.▲ 물산업 지식연구회(사진=경북도) 물산업 지식연구회는 대표적인 산·관·연 협력 정보 공유의 장으로써 2017년 9월 발대식을 한 이후 지금까지 물기업체에 41건의 연구개발과제, 기술지원 및 정보제공 등 경북 물산업 기업들의 연구개발을 뒷받침하는 기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이번 지식연구회에서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이치우 처장은 물기업 기술개발지원 및 물기업 해외 세일즈 전략 등을 소개했다.또 경북 IT융합산업기술원 김용훈 박사는 ICT와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물산업의 미래전략에 대해 공유하면서 유관기관간 물산업 최신 정보공유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자리가 됐다. 박기완 경북도 맑은물정책과장은 “물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 커뮤니티 운영과 연구개발 기술지원 등으로 지역 물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0일 오전 도청에서‘2022 도-시군 청렴 동반상승협의회’를 개최했다.▲ 시군 청렴 동반상승협의회(사진=경북도) 이날 영상으로 열린 회의에서는 김학홍 행정부지사와 정성현 감사관, 23개 시군 감사담당관이 참석해 청렴 파트너십 강화를 통한 청렴경북 달성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협의내용은 ▷기관별 우수 청렴시책 추진사례 발표 ▷2022 도-시군 청렴 멘토링 & 컨설팅 추진결과 공유 ▷청렴 동반상승협의회 협력의제 발굴 및 확대 운영 방안 등이었다.특히, 2022년 국민권익위원회의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제도 전면 개편에 따른 기관별 반부패·청렴 종합계획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부패취약분야 발굴 및 효과적인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도와 각 시군이 청렴경북 달성을 위한 동반자적 협력체계를 구축해 청렴한 공직사회에 대한 도민의 높은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0일 경북 안동 전통리조트 구름에 일대에서 지역 최초로 ‘글로벌 K-스토리 프리 페스티벌’(이하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글로벌 K-스토리 프리 페스티벌(사진=경북도) 이번 페스티벌은 전 세계가 K-콘텐츠에 열광하고 있는 이 시대에 경북을 스토리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마련했다.이날 행사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형동 국회의원, 정의화 전 국회의장, 김대일 도의회 문화환경위원장, 이상학 안동부시장 등이 참석했다.또‘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문열 작가를 비롯해 ‘뽀로로’의 최종일 대표, ‘그해 우리는’의 이나은 작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윤용필 ENA채널 대표 등 콘텐츠산업을 이끌고 있는 리더급 연사들이 함께했다.이날 개회식은 식전공연과 주요 내외빈 인사말씀, 제20회 영상콘텐츠시나리오 공모전 시상식 등으로 진행됐다.영상콘텐츠 시나리오 공모전 시상에서 경산을 배경으로‘사또 오횡목’이란 작품을 출품한 고도원씨가 대상(경북도지사)을 차지했다.‘사또 오횡목’이란 작품은 경산 자인 현감을 지낸 실존인물 사도 오횡목의 캐릭터와 조선시대 김소사 살인사건을 소재로 한 이야기로 심사에서 완성도와 영상화 가능성 등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또 차민철씨는 경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명 ‘도필’로, 이경임씨는 영천 치산계곡을 배경으로 작품명 ‘청개구리 심뽀’로 각각 최우수상(경북도지사)과 우수상(콘텐츠진흥원장)을 수상했다.개회식은 시상에 이어 기념촬영과 주요 내외빈의 전시관 관람을 끝으로 마무리 됐다.이어 본행사인 K-작가 토크쇼, 축하공연, 북 콘서트<그해 우리는>, K-스토리 컨퍼런스, 스토리 비즈매칭데이, 기성작가-예비작가 만남 등이 진행됐다.먼저,‘K-이야기꾼,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정서를 이야기하다’라는 주제로 진행된 토크쇼에서는 독립영화계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은‘찬실이는 복도 많지’의 김초희 영화감독의 영화제작 이야기가 진행됐다. 또 대표 한류 애니메이션 ‘뽀로로’, ‘꼬마버스 타요’를 제작한 아이코닉스 최종일 대표의 캐릭터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토크 형태로 담아냈다. 이어 북콘서트에서는 2021년과 2022년 월화드라마 1위를 차지했던 모든 세대가 첫사랑의 기억을 공유한 드라마‘그해 우리는’ 이나은 작가가 창작 과정을 담은 이야기도 들려줬다.기성작가-예비작가와의 만남에서는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 대상을 수상한 허재호(‘귀시’)와 <신진스토리작가 지원 육성사업> 선정작가 조아라(‘범인들의 인쇄소’)가 참여해 예비 작가들과 자유롭게 대화하며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간도 가졌다.한편, 스토리 피칭데이, 스토리IP 일대일 상담회에서는 지난 20년간 개최해 온 <경북 영상콘텐츠 시나리오 공모전> 수상작가들의 우수 작품을 제작사에게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산업화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제작사로는 문앤썬엔터테인먼트 최용기 대표,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노블사업부 전대진 부장, 기억속의 매미 박미정 총괄프로듀서, 블라드 스튜디오 오정환 프로듀서 등이 참여했다.향후에도 지속해서 네트워크를 구축해 창작자들을 위한 더 많은 기회를 확보할 예정이다.끝으로, K-스토리 컨퍼런스는 KBS 김인규 전 사장의‘한류 성공비밀과 드라마 발전 전략’이라는 특별강연으로 시작했다. 또 방송학회 소속 정윤식 교수(강원대)의 ‘글로벌 OTT 트렌드와 드라마 미래’, 김공숙 교수(안동대)의 ‘경북 콘텐츠 드라마 극본 방안’을 주제로 세션이 이어졌다. 안동MBC 사생결담으로 진행된‘경북 스토리 세계화 전략’포럼에서는 패널들간 열띤 토론을 벌이며 컨퍼런스는 마무리됐다.이외에도 백미경 작가의 작품 대본집(‘품위있는 그녀’,‘마인’등)과 공모전 수상작품의 영상을 담은 전시전을 관람하고 한류 드라마·영화 OST 공연을 즐기는 등 본 축제를 통해 K-컬처를 향유하는 시간을 가졌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구촌 시대에 콘텐츠 하나만 잘 만들어도 성공할 수 있다”며, “이번 K-스토리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경북에서 캐낸 보석 같은 스토리들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무대에서 빛이 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공무원연금공단(이사장 황서종)은 청렴·투명한 윤리경영의 일환으로 ISO 37001(부패방지 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했다고 20일 밝혔다. ▲ 공무원연금공단 ISO 37001 인증 취득(사진=공무원연금공단) ISO 37001은 국제표준 요구사항에 따라 조직 활동에서 발생하는 부패 위험에 대해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정책, 절차, 통제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공단은 ISO 37001 인증 취득을 위해 업무 분야별 부패 리스크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패방지 목표를 수립하였으며, 청렴·인권 중심 조직기강 쇄신방안을 마련하고 청렴 선포식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청렴 활동을 전개하였다. ISO 37001 인증 취득으로 조직 내 부패리스크가 감소하고, 대외적으로도 신뢰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무원연금공단 황서종 이사장은 ‘공단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윤리경영으로 조직 내 청렴문화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지난 19일 과수에 큰 피해를 주는 화상병 감염 예방을 위해 개발한 전정가위의 휴대용 소독구를 농자재 전문 생산기업인 이지에 통상실시 계약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휴대용 소독구 특허제품 통상실시 체결(사진=경북도) 과수 화상병은 국가 금지급 검역병해충으로 사과, 배 등 과수에 한번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고 확산속도가 매우 빨라 방제가 어렵다.세계적으로 주요 국가에서 검역병해충으로 관리하고 있는 과수 세균병으로 지난해에는 도내 5.9ha 발생해 큰 피해를 주고 있다.이에 농업기술원은 검역 병해충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결과 과수 화상병을 예방할 수 있는 전정가위 소독구를 개발해 특허를 신청하였다.기술 이전하는 제품인 전정가위 휴대용 소독구는 양쪽허리에 착용ㅙ 가위에 뭍은 병원균을 사멸시켜 원천적으로 감염을 예방하는 제품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실용성이 높아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이번에 기술을 이전받는 업체인 이지(대표 권순목)는 농자재 전문 생산업체로서 이전 받은 기술로 제품을 생산하고 활용할 계획이다.개발된 제품은 산업체 기술이전뿐만 아니라 농가에도 적극 활용 할 수 있도록 홍보, 교육 등을 할 예정으로 농가에 작물 생산성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이번에 개발된 특허제품이 산업체 기술이전을 통해 확대 보급이 된다면 농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문제 병해충에 대한 방제기술을 적극 개발해 농가가 안심하고 작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전했다.
[유용한 정보] 폐암 초기 증상 기침 조심하세요
[좋은글] ♤ 아름답게 살아가는 사람 ♤
[뉴스] 군위군 직장공장새마을協, 산성면 어르신 대상 족욕봉사 및 닭백숙 나눔 행사
[뉴스] 군위농협 협동조직장 회의 개최
[뉴스] 대구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개최
[뉴스] 군위군 부계면, 경로당에 따뜻한 손길 이어져
[뉴스] 군위군, 정신건강복지센터 통해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위기대응 강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