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북도는 27일 상주시 육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의사환축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 조류인플루엔자(AI) 의사환축 발생(사진=경북도) 이번 동절기(′22.10.1~현재)에 도내 5번째 발생으로 칠곡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한 이후 66일째 만이다. * 도내 발생 : (1차) 예천 종오리 10.17일, (2차) 예천 종계 10.21일, (3차) 성주 산란계 12.21일, (4차) 칠곡 산란계 12.23일해당 농장은 육계 80,800여수를 사육하는 농가로 27일 농장주가 폐사 증가로 신고를 하였고, 동물위생시험소 정밀검사 결과 H5형 항원이 검출됐다.경북도에서는 즉시 가축위생방역본부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출동시켜 사람, 차량 등 출입을 전면 통제하며, 해당농장 살처분, 역학조사 등 선제적인 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있다.또한,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서 도 자체적으로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발령했다. * 일시이동중지명령 ? 적용기간 : 2월 27일(월) 22시부터 2월 28일(화) 22시까지 24시간 동안 ? 적용지역 : ① 경상북도 소재 육계 농장 및 관련 축산시설(사료공장·도축장 등)·축산차량, ② ㈜올품(발생농장 계열사) 계열 농장 및 관련 축산시설(사료공장·도축장 등)·축산차량고병원성 여부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확인검사가 진행되며, 최종 판정까지는 1~2일 정도 소요된다. 고병원성으로 확진될 경우 500m 이내 가금 농장에 대해서도 살처분 할 계획이다.2.27일 기준 전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은 가금농장에서는 68건*, 야생조류에서는 166건**이며, 도내 발생은 가금농장에서 4건(예천 2, 성주, 칠곡), 야생조류에서 10건(경주 1, 안동 1, 구미 8)이다. * 농장 68건 : 경북 4, 충북9, 전북7, 충남4 강원1, 경기12, 전남26, 울산1, 경남3, 부산1** 야생조류 166건 : 경북 10, 강원 33, 경기 31, 전남 26, 경남 17, 충북 15, 충남 13, 전북 9, 제주 3, 부산 2, 대구 2,, 울산 2, 세종 1, 인천 1, 서울 1철새의 본격적인 북상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2월 철새 개체수가 많고, 북상에 따른 활동범위가 확대되어 가금농가에 고병원성 AI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가금 사육농장과 축산시설에서는 집중 소독과 차단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폐사 증가, 산란율 저하, 사료섭취 감소 등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을 확인하는 경우 즉시 방역당국으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27일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2개 부처를 방문해 지역현안사업 해결을 위한 전 방위 활동을 전개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및 해양수산부 방문(사진=경북도) 먼저 산업통상자원부 실?국을 방문해 지역현안사업의 필요성과 추진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사업들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금년도 및 내년도 국비지원을 건의했다. 이어서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을 방문해 해양수산 분야 국비 지원과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공모사업에 경북도가 선정될 수 있도록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적극 건의했다.오후에는 13개 시도 경제부단체장과 함께 제1차 지역경제위원회에 참석해 2023년도 지역별 주력산업 개편안, 지역사업추진계획(안)에 대해 논의하고 지역혁신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추진현황 및 계획, 산업단지 관리제도 혁신방향 및 지역 투자프로젝트 지원 현황에 대해 산업통상부와 중소벤처기업부의 설명을 듣고 토의했다.이날 회의에서 경북은 배터리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지역투자 촉진을 위한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확대 등을 건의했다. 이달희 경제부지사는 ‘경북 배터리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건의에 대해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사용 후 배터리 시장 선점이 필요하므로 경북 포항이 최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현재 경북은 이차전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추진 등 배터리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또 현재 발전소 주변지역은 대표적 낙후지역으로 인구 감소와 투자부족으로 지역 활력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고, 이에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을 지역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전기요금 지원 범위를 현행 5km이내에서 해당 시군 전 지역 확대 등 지역투자 촉진을 위한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확대를 건의했다.회의에서 이달희 부지사는 “지방은 급격한 인구감소와 청년유출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를 해결할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필요하다”라며 “지방 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및 중소벤처기업부 등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요청을 드린다”고 말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39(+312) 1,398,1976,588(+4)1,389,537(+534)2,072(+1) * 국내 539, 국외 0 *치명률(2. 27. 0시 기준) - 경북 0.15%(2,071명), 전국 0.11%(33,961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812012확진자2131201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2.(수)2.23.(목)2.24.(금)2.25.(토)2.26.(일)2.27.(월)2.28.(화) 누계(주)평균(주)검 사9,0526,1523,4573,4772,9621,3221,65228,0734,010.4확진자869(0)666(2)629(0)636(2)568(0)227(0)539(0)4,134(4)590.6(0.6)* 직전주 화요일(2.21) 현황 : 검사 718건, 확진자 534명(▲ 0.9%)(단위 : 명, %)구 분2.22.2.23.2.24.2.25.2.26.2.27.2.28.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8696646296345682275394,130590.0연령별60세↑확진자수(%)321(36.9)235(35.4)200(31.8)231(36.4)191(33.6)77(33.9)163(30.2)1,418(34.3)202.618세↓확진자수(%)123(14.2)94(14.2)89(14.1)72(11.4)66(11.6)33(14.5)66(12.2)543(13.1)77.6외 국 인11(1.3)3(0.5)9(1.4)4(0.6)11(1.9)5(2.2)2(0.4)45(1.1)6.4 □ 시·군별 발생(국내 1,394,159, 유입 4,03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98,197명286,481122,61174,11186,524251,10856,63049,22243,78537,113160,2068,669(+539)(+190)(+20)(+14)(+43)(+85)(+16)(+17)(+27)(+11)(+35)(+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97410,9826,25616,31217,83112,27715,95956,02429,47011,77421,6992,179(+9)(+2)(+2)(+2)(+7)(+2)(+4)(+25)(+18)(+7)(-)(-)
경북도는 대구시와 공동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23년 웰니스?의료관광 융복합 클러스터」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3년간 국비 15억원(지방비 15억원 포함 총사업비 30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웰니스?의료관광 융복합 클러스터(사진=경북도) 이번 공모는 코로나19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목받고 있는 웰니스 관광과 선진의료기술로 외국인관광객 유치에 앞장서고 있는 의료관광의 융?복합을 통해 정체돼 있는 국내관광산업 분야에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추진됐다.이번 공모 선정으로 경북도는 2021년, 2022년에 걸쳐 웰니스 관광 기반을 마련했으며, 그간 약점으로 지적됐던 광역접근성과 외국인 관광수요 문제를 대구시 의료관광 인프라 분야와 연계협력을 통해 보완할 수 있게 됐다.경북도와 대구시는 3년간 웰니스?의료관광을 연계한 관광상품 개발과 사업총괄 및 서비스 통합운영을 위한 전담조직 공동운영, 대구-대만노선 전세기 활용?KTX 연계상품 개발?교통플랫폼 제휴형 셔틀버스 운행을 통한 접근성 개선, 웰니스?의료관광 통합브랜드 개발 및 마케팅 활용 등 관광 전?중?후 모든 과정에 걸친 융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공모에는 총 9개 광역지자체가 참여했으며 사업계획의 실현가능성과 지속성, 융?복합수준, 지자체 협력체계 및 사업추진 의지 등을 평가해 대구?경북, 부산, 인천, 강원, 전북, 충북 6개 지자체가 최종 선정됐다.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공모선정을 계기로 경북과 대구는 글로벌 관광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는 웰니스?의료관광의 거점도시로 성장할 것이며, 앞으로도 초광역 협력을 통해 지방위기 극복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경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유기농산업복합서비스지원단지」(이하 유기농복합단지) 공모사업에 울진군(왕피천 공원 인근)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유기농복합단지 사업배치도(사진=경북도) 유기농복합단지 조성사업은 친환경 농업과 연계한 교육?체험?소비?유통 복합공간을 조성해 친환경 농업의 가치를 확산하고 소비확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지원하는 사업이다.사업대상지로 선정된 울진군 근남면 왕피천 공원 일대에는 84,341㎡ 규모로 4년간 총사업비 180억원(국비 90억원, 지방비 90억원)을 투입해 유기농복합문화센터를 신축하게 된다. 유기농복합단지에는 청년유기농사관학교, 친환경 김치제조공장, 미래농업전시관, 친환경농업 관련 각종 체험 교육장을 조성해 운영할 계획이다.사업 첫해인 올해는 각종 시설물 설치를 위한 행정절차 이행 등 사업 구체화를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내년에 공사 설계와 관리운영 방식이 포함된 시행계획 확정 후 2024년 단지조성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행해 2025년 사업을 마무리 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공되면 울진군 일원의 각종 관광명소와 연계해 연 50만명 이상의 방문객이 왕피천 공원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또 도내 각급 학교와 연계한 체험학습을 통해 친환경 농업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이해 증진과 건강한 식습관 형성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미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친환경농업의 가치를 소비자에게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말하고 “더 나아가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소비가 생산을 견인하는 선순환체계를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27일부터 28일까지 양일 간 시군 예산관련부서 담당공무원과 함께 구미 호텔금오산에서 ‘2023년 재정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 재정역량강화 워크숍(사진=경북도) 이번 워크숍은 대외여건 악화로 올해 상반기 민생 경제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방재정이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재도약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도·시군 예산담당공무원 역량강화, 업무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해 마련됐다.오종현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재정지출분석센터장의 ‘지방재정 신속집행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특강을 시작으로 행정안전부 회계제도과의 ‘2023년 신속집행 추진방향 및 활용지침’ 설명과 시군 신속집행 컨설팅, 재정현안사항 전달 및 토론 등으로 진행했다.경북도는 어려운 경제여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예산의 65%를 특히 상반기 집중 투입할 것으로 목표를 세우고, 속도감 있는 재정집행을 통한 경기부양을 위해 시군의 협조를 당부했다.이를 위해 순세계잉여금 등 여유자금을 최대한 활용해 집행가능성 및 정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예산편성과 긴급입찰, 선급 지급상한 확대 등 신속집행 관련 제도의 적극적인 활용 등을 시군에 주문하며 지방재정 신속집행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강조했다.신동보 경북도 예산담당관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예산담당공무원들의 업무능력 강화는 물론 도·시군 간 유기적인 협조로 적극적인 지방재정 편성 및 집행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력이 되살아 날 수 있도록 많은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국제소방안전교류협회와 함께 지난 24일 경상북도소방본부 소방장비관리센터에서 ‘내용연수 경과 산불진화차 20대 무상양여 행사’를 진행했다. ▲ 산불진화차 20대 무상양여(사진=경북도) 이번 산불진화차 무상양여는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영향으로 산불이 점차 대형화, 장기화되는 추세에 따라 산불대응을 위한 몽골, 온두라스 대사관의 지원요청으로 이뤄지게 됐다. 이날 행사에는 경상북도 소방본부, 주한 몽골 대사관 관계자, 국제소방안전교류협회 황드보라 회장 및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경상북도 소방본부는 내용연수 경과 산불진화차 20대를 국제소방안전교류협회와 함께 몽골과 온두라스에 각각 10대를 지원했다.주한 몽골 대사관 관계자는 “경상북도 소방본부에서 지원하는 10대의 산불진화차가 몽골에 발생하는 대형산불 피해방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이영팔 경상북도 소방본부장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몽골과 온두라스의 소방발전을 위해 더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나아가 산불대응 및 방지를 통해 전 세계적인 산림보호가 이뤄지길 바란다”라고 전했다.한편 경북소방본부는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에 걸맞게 몽골, 온두라스,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소방차량 무상양여, 소방안전교육 등 경북의 선진 소방기술을 전파하며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경상북도소방본부는 지난 24일 한국화재감식학회·한국화재폭발조사협회 주관으로 열린 ‘2023 국제 화재감식 콘퍼런스 화재감식 학술대회’에 참가해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국제감식수상(사진=경북도) 한국, 미국, 중국, 카자흐스탄 4개국 100여명이 참가한 국제 화재감식 콘퍼런스는 과학적 화재감식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국가 간 화재조사 교류 활성화를 위해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이번 학술대회 평가심사는 전국 시도에서 제출한 화재조사 논문의 학술적 가치, 독창성 등 5개 항목을 1차 서면 심사하고, 우수 논문에 대해 2차 연구노력도 등 현장 발표로 우열을 가렸다.이번 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이도건 영천소방서 화재조사관은 ‘빅 데이터와 메타버스를 활용한 화재조사시스템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발표해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았다.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화재 발생 패턴이 날로 복잡·다양해지고 있어 화재조사의 접근 방식도 빅 데이터와 메타버스 등 4차 산업기반을 접목, 활용해야 과학적이고 신뢰도 높은 화재 원인 분석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화재 감식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안전하고 즐겁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관할 시군과 경찰 및 소방, 전기, 가스 등 유관기관과 함께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합동점검을 연중 실시한다.▲ 지역축제 안전관리 합동점검(사진=경북도) 점검은 축제별로 수립된 안전관리계획*을 참고해 주요 안전점검 사항을 현장에서 확인하고 최근 발생한 사고 사례를 바탕으로 점검하여 만에 하나 발생할지도 모르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방향으로 이뤄진다.* ①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대규모 축제 ② 축제 장소가 산 또는 수면 ③ 불 ? 폭죽 등 화기를 사용하는 고위험 축제는 심의를 통해 안전관리계획을 수립< 주요 점검내용 > · (시설물) 시설물 구조 안정성(전도 방지, 안전 공간 확보 등) · (전기) 누전차단기, 전선노출 및 접지여부 등 전기관리 상태 · (가스) 가스배관, 가스 경보기, 차단기 등 가스이용 상태 · (소방) 화기 관리상태, 소화기 배치 등 화재예방 조치지난해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분기부터 지역 축제가 본격 활성화돼 총 82개의 축제가 개최됐다. 특히 김천포도축제, 영주세계풍기인삼엑스포, 경산자인단오제 등 대규모 축제에서 철저한 사전 점검을 수행해 안전사고 없이 무사히 축제를 마칠 수 있었다.올해는 코로나19 방역수칙이 완화되는 분위기 속에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낙동강세계평화문화대축전, 문경찻사발축제 등 100여개의 다양한 지역축제가 개최될 예정이다.기존에 중점을 둔 불꽃 ? 화기 등 위험요소 점검 및 구조 ? 구급 장비 비치 외에도 인파 운집 안전관리 및 대책 수립을 통해 참가자 인명과 재산을 보호해 안전하게 축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김병삼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취소됐던 지역 축제가 대부분 정상적으로 개최되고 경북을 찾는 방문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안전하고 즐겁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사전 안전점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27(-341) 1,397,6586,584(-16)1,389,003(+241)2,071(+2) * 국내 , 국외 *치명률(2. 25. 0시 기준) - 경북 0.15%(2,069명), 전국 0.11%(33,940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4231010확진자51131020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1.(화)2.22.(수)2.23.(목)2.24.(금)2.25.(토)2.26.(일)2.27.(월)누계(주)평균(주)검 사7189,0526,1523,4573,4772,9621,32227,1393,877.0확진자534(2)869(0)666(2)629(0)636(2)568(0)227(0)4,129(6)589.9(0.9)* 직전주 월요일(2.20) 현황 : 검사 1,318건, 확진자 241명(▼ 5.8%)(단위 : 명, %)구 분2.21.2.22.2.23.2.24.2.25.2.26.2.27.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5328696646296345682274,123589.0연령별60세↑확진자수(%)143(26.9)321(36.9)235(35.4)200(31.8)231(36.4)191(33.6)77(33.9)1,398(33.9)199.718세↓확진자수(%)53(10.0)123(14.2)94(14.2)89(14.1)72(11.4)66(11.6)33(14.5)530(12.9)75.7외 국 인2(0.4)11(1.3)3(0.5)9(1.4)4(0.6)11(1.9)5(2.2)45(1.1)6.4 □ 시·군별 발생(국내 1,393,620, 유입 4,03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97,658명286,291122,59174,09786,481251,02356,61449,20543,75837,102160,1718,666(+227)(+34)(+43)(+5)(+6)(+40)(+22)(+5)(+2)(+9)(+17)(-)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96510,9806,25416,31017,82412,27515,95555,99929,45211,76721,6992,179(+10)(-)(+1)(+3)(+1)(+1)(+3)(+13)(+6)(+2)(+4)(-)
경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에서 육성한 관상수용 품종 ‘미향’이 재배심사를 거쳐 이달 최종적으로 품종보호 등록됐다.▲ 미향 도감용(사진=경북도) 이번에 등록된 ‘미향’은 과일 성숙기가 10월 중하순이고 124g 정도의 중소과이며 총생(여러 개의 과실이 무더기로 붙어있는 모양)하여 착과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초겨울 서리가 내린 뒤까지 잎이 싱싱하게 유지돼 관상기간이 길어 공원 조경이나 가정 정원수로써 활용이 기대된다. 품종명은 과실과 감나무의 전경이 아름답고 풍산성(꽃눈이 잘 생기고 많이 피며 열매가 많이 맺힘)으로 관상할 때 고향의 풍요로운 전경을 떠올리게 한다는 의미로 지어졌다.‘미향’은 지난 1998년부터 전국에서 일반 감나무 229본을 수집해 생육을 정밀 검정하고 관상수용으로 우수한 계통을 2009년 1차 선발해 2010년까지 접목·증식했다.이어 2012년 관상가치가 가장 우수한 개체를 2차 선발해 2016년까지 증식묘에 대한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을 조사한 뒤 2017년 최종 품종보호 출원했다.조영숙 경북도농업기술원장은 “상주감연구소는 국내 유일의 떫은 감 연구기관으로 343종의 가장 많은 감 유전자원을 보존하고 있고, 2008년부터 ‘국가 감 농업생명자원관리기관’으로 지정돼 떫은 감 유전자원 확보와 보존·육성에 주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우량 유전자원의 품종화는 물론 교배 육종, 배수체 육종 등을 통해 경쟁력 있는 신품종 육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상주감연구소는 곶감용 4품종 개발과 동시에 정원수용으로 우수한 품종인 ‘미려’, ‘홍아람’ 2품종을 개발해 소비자에 보급하고 있다.
경북도는 27일 경상북도사회복지협의회장에 이상근 회장이 취임한다고 밝혔다. ▲ 제14대 이상근 회장(사진=경북도) 이상근 회장은 경북도 제13대 회장에 이어 지난 1월30일 경주 화랑마을에서 개최된 정기총회에서 참석회원 만장일치 추대로 제14대 협의회장으로 당선됐다.이상근 회장은 사회복지인들의 숙원사업인 경상북도사회복지회관 건립 추진을 비롯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푸드뱅크사업 활성화, 자원봉사자 육성 등 사회복지사업 추진을 위한 적임자로서 제14대 경상북도사회복지협의회장의 새로운 3년 임기를 시작하게 됐다.특히 2020년 2월부터 3년간 13대 회장으로 역임하며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코호트 격리 시행 등 어려움을 겪은 사회복지 민간 기구를 대표하는 수장으로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경북도 관계자는 이상근 회장의 취임으로 연속성 있게 사회복지 관련 시설과 기관·단체 간 협력이 강화되고, 소외계층과 민간사회복지자원이 더욱 원활히 연계·협력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이상근 회장은 “앞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에 책임감을 갖고 사회복지기관장 및 단체장들과 소통·협력으로 따뜻한 동행을 실현하며 사회복지발전에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한편, 경상북도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해 설립된 사회복지단체로 297명의 회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사회복지시설 임직원의 업무관련 교육과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자원봉사 및 나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는 법정단체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68(-68) 1,397,4316,600(-59)1,388,762(+627)2,069(-) * 국내 , 국외 *치명률(2. 25. 0시 기준) - 경북 0.15%(2,069명), 전국 0.11%(33,940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6521115확진자201461142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0.(월)2.21.(화)2.22.(수)2.23.(목)2.24.(금)2.25.(토)2.26.(일)누계(주)평균(주)검 사1,3187189,0526,1523,4573,4772,96227,1353,876.4확진자241(2)534(2)869(0)666(2)629(0)636(2)568(0)4,143(8)591.9(1.1)* 직전주 일요일(2.19.) 현황 : 검사 2,495건, 확진자 627명(▼ 9.4%)(단위 : 명, %)구 분2.20.2.21.2.22.2.23.2.24.2.25.2.26.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395328696646296345684,135590.7연령별60세↑확진자수(%)72(30.1)143(26.9)321(36.9)235(35.4)200(31.8)231(36.4)191(33.6)1,393(33.7)199.018세↓확진자수(%)43(18.0)53(10.0)123(14.2)94(14.2)89(14.1)72(11.4)66(11.6)540(13.1)77.1외 국 인3(1.3)2(0.4)11(1.3)3(0.5)9(1.4)4(0.6)11(1.9)43(1.0)6.1 □ 시·군별 발생(국내 1,393,393, 유입 4,03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97,431명286,257122,54874,09286,475250,98356,59249,20043,75637,093160,1548,666(+568)(+127)(+62)(+23)(+40)(+102)(+17)(+19)(+20)(+12)(+52)(+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95510,9806,25316,30717,82312,27415,95255,98629,44611,76521,6952,179(+11)(+3)(+6)(+3)(+5)(+3)(+4)(+30)(+9)(+6)(+10)(-)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636(-37) 1,396,8636,659(-11)1,388,135(+646)2,069(+1) * 국내 634, 국외 2 *치명률(2. 24. 0시 기준) - 경북 0.15%(2,068명), 전국 0.11%(33,929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8863227확진자1237112138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19.(일)2.20.(월)2.21.(화)2.22.(수)2.23.(목)2.24.(금)2.25.(토)누계(주)평균(주)검 사2,4951,3187189,0526,1523,4573,47726,6683,809.7확진자627(0)241(2)534(2)869(0)666(2)629(0)636(2)4,202(8)600.3(1.1)* 직전주 토요일(2.18.) 현황 : 검사 3,094건, 확진자 646명(▼ 1.5%)(단위 : 명, %)구 분2.19.2.20.2.21.2.22.2.23.2.24.2.25.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6272395328696646296344,194599.1연령별60세↑확진자수(%)200(31.9)72(30.1)143(26.9)321(36.9)235(35.4)200(31.8)231(36.4)1,402(33.4)200.318세↓확진자수(%)70(11.2)43(18.0)53(10.0)123(14.2)94(14.2)89(14.1)72(11.4)554(13.0)77.7외 국 인2(0.3)3(1.3)2(0.4)11(1.3)3(0.5)9(1.4)4(0.6)34(0.8)4.9 □ 시·군별 발생(국내 1,392,825, 유입 4,03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96,863명286,130122,48674,06986,435250,88156,57549,18143,73637,081160,1028,662(+636)(+165)(+79)(+21)(+31)(+94)(+38)(+12)(+14)(+12)(+51)(+2)(+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94410,9776,24716,30417,81812,27115,94855,95629,43711,75921,6852,179(+8)(+7)(+6)(+2)(+7)(+8)(-)(+41)(+16)(+16)(+3)(+1)
경북도가 도청 신도시를 홍보할 ‘신도시를 보여줘! 제1기 SNS기자단’을 운영한다. ▲ 신도시 sns기자단 발대식(사진=경북도) 올해 처음 모집을 통해 선발된 SNS기자단은 경북도청 신도시에 거주하는 주민 10명으로 구성되며 24일 도청 사림실에서 발대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기자단은 올 한 해 신도시 주요명소와 상가 소개 및 신도시와 관련한 다양한 소식들을 취재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취재 후 작성한 내용은 텍스트, 동영상, 카드뉴스 등 다양한 콘텐츠로 제작해 개인 운영 SNS채널에 매달 게시하며 개성 넘치고 짜임새 있는 콘텐츠는 신도시 홍보에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기자단은 연령대가 20대부터 60대까지로 구성돼 다양한 세대의 관심사를 아우르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활동할 것으로 기대된다.김종수 경북도 자치행정국장은 발대식에서 “주민들 스스로가 신도시에 애정을 갖고 홍보하는 만큼 진정성 있고 지역을 조금씩 변화시키는 영향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자단 활동에 긍지와 사명감을 갖고 인정 넘치는 명품 스마트 도시 만들기에 앞장 서 주시길 부탁드린다”며 격려했다. 기자단은 “이번 활동으로 경북도청 신도시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하며 신도시를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활동에 임하는 각오를 밝혔다. 한편, 1단계 행정타운 조성이 마무리 된 경북도청 신도시는 도시 활성화를 위한 2단계 개발계획이 원활하게 진행 중이다. 물놀이 시설과 캠핑장 등을 포함한 주민 여가시설이 종합적으로 갖춰진 패밀리파크가 7월에 개장을 앞두고 있으며, 2026년 하반기에는 3200여 세대의 아파트가 들어설 계획이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23일 농업인회관에서 경북포도연합회 임원 및 회원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경상북도 포도연합회 교육’을 실시했다.▲ 포도교육 단체사진(사진=경북도) 도내 포도 재배 농업인으로 구성된 경상북도포도연합회는 1998년 결성된 역사 깊은 포도 학습조직체이자 지역 포도산업의 발전 방안을 연구하는 단체다.이날 교육은 골드스위트, 루비스위트 등을 육성한 경북농업기술원 권민경 연구사의 ‘포도 신품종 소개’와 한국포도수출연합 황의창 대표의 ‘포도 수출과 농가의식 개선교육’으로 진행됐다.교육을 통해 회원들은 지난해 품질과 가격이 하락한 샤인머스켓에 대해 고품질의 샤인머스캣을 생산하겠다는 결의를 다지는 계기가 됐으며, 적절한 송이 수와 수확 시기를 지켜 규격품을 생산함으로써 소비자 신뢰를 다시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조영숙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경북은 포도 최대주산지(전국 대비 57%)인만큼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개발과 신품종 육성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특히 지난 해 다소 주춤했던 샤인머스켓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다시 회복할 수 있도록 재배농가와 함께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대구·경북 보도자료] 2025년 하나되는 의용소방대 어울림 대축제 개최
[뉴스] 대구 군위군의회, 관내 주요사업 현장방문
[뉴스] 군위문화관광재단, 「2025 군위 바베큐 축제」 성황리에 마무리
[뉴스] 군위군, ‘2026년 농산물산지유통센터 (APC) 지원사업’ 공모 최종 선정
[뉴스] 박창석 의원, 『2040 대구도시기본계획에 북부 관문 ‘군위’ 성장전략 반드시 반영돼야』
[대구·경북 보도자료] 경상북도 도립예술단, 상생·공감 워크숍 개최
[대구·경북 보도자료] 경북도, 국민의힘 지도부와 함께 지역현안 해결과 국비 확보 위해 대동단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