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북도는 해빙기를 맞아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취약시설 급경사지, 산사태 취약지, 사면, 옹벽, 문화재 등 총 1337개소에 대해 4월 2일까지 집중 점검한다고 밝혔다.▲ 해빙기 취약시설 안전점검 실시(사진=경북도) 특히, 해빙기인 2~4월은 결빙됐던 지표면이 녹으면서 지반이 약해져 시설물의 붕괴, 전도, 낙석으로 인한 인명사고 및 재산 피해 등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은 시기다.이번 점검은 기술사, 교수, 유관기관 등 민간전문가와 합동으로 실시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위험요소에 대해서는 안전신고를 독려하는 등 전반적인 안전 활동을 펼치게 된다.한편 최근 이용객 증가로 위험성이 우려되는 출렁다리에 대해서도 해빙기 기간 중 추가로 안전점검을 실시하되, 경북도에서 직접 표본 점검을 실시해 도민 안전을 확보할 방침이다.점검결과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조치하고 노후정도가 심한 시설은 필요 시 사용금지?사용제한, 위험구역 통제선 설치 등 우선 응급조치하고, 향후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보수?보강하는 등 신속하게 후속조치 할 예정이다.김병삼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안전사고 우려가 높은 해빙기를 맞아 취약시설에 대해 철저한 사전 안전점검으로 단 한건의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도민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2일 경산 소재 화장품 제조기업 포고니아 및 관련 전문기관을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산업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며 경북도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뷰티산업 기업현장 방문 및 활성화 간담회(사진=경북도) 이날 간담회는 지난달 27일 「2023년도 제1차 지역경제위원회」에서 의결된 지역 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에 따른 기존 사업과의 연계, 지역특화산업 고도화 및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경북도는 지역 주력산업으로 라이프케어소재 산업이 선정됨에 따라 발전 가능성 있는 중소 뷰티기업이 지역의 대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는 한편, 판로개척과 수출시장 접근성에 대한 기업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아울러 기업관련 전문기관의 역량을 키우고 지자체·전문기관·기업체의 탄탄한 연계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해 수출 다변화 등 산업현장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간담회에 이어 글로벌 코스메틱 비즈니스 센터와 뷰티기업, 대구한의대학교 산학협력단을 방문해 지역 현안을 챙기며 전 방위적 기업지원과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적극 구축해 지역 산업 활성화에 힘을 보탤 것을 강조했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천연소재 개발 등 경북 K-뷰티산업에 라이프케어소재 산업을 접목시켜 제품고급화 및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마케팅, 바이어 발굴 등 수요 연계형 수출산업으로 육성·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지난달 28일 경북보건환경연구원에서 코로나19의 일상화에 따라 어르신 및 취약계층의 감염병 발생 예방을 위한 선제적 감시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2023 감염병 발생 예방을 위한 선제적 감시 체계구축 회의」를 개최했다.▲ 감염병 발생예방을 위한 선제적 감시회의개최(사진=경북도) 이날 회의에서는 경북행복재단, 대한노인회경북연합회, 대한노인회 영천시지회, 칠곡군지회 등 유관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지난해에 이어 올해 사업 확장에 따른 효율적 운영방안 및 협업 방안이 논의됐다.지난해 연구원에서는 칠곡군 7개 읍면, 25개소 경로당을 대상으로 감염병 병원체 살모넬라 등 21종에 대한 선제적 검사를 실시했다. 총 285명이 참여했으며 이중 총 19명의 보균자(양성률 6.7%)를 발견해 선제적으로 조치하여 감염병 확산 방지에 기여했다.한편 본 사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지속적 사업시행 및 확대 요구와 건강정보에 대한 교육 요청이 있었다. 이에 올해는 영천시와 포항시를 포함해 사업지역을 확대할 예정이며, 경로당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시설까지 대상자를 확대하고 어르신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미세먼지 대응, 건강보조식품의 올바른 이해 등 건강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손창규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대규모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감염병 취약층에 대한 선제적 검사를 통한 감염병 확산 방지가 매우 중요함을 알았다”며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지역 어르신들의 지속적인 감염병 모니터링을 통해 지역사회 감염병 확산의 조기 차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예정에 따른 도민 불안감 해소 및 피해 차단을 위해 지난 1월 30일부터 한 달간 도내 유통 식품을 대상으로 긴급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다. ▲ 경북도 유통 수산물 긴급검사(사진=경북도) 일본산 가리비 등 총 43건을 검사한 결과 모든 유통 식품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이번 긴급 기획검사는 수산물 방사능 오염에 대한 도민의 우려가 큰 만큼 경주, 포항, 영덕, 울진 등 동해안 4개 지역의 유통 어패류에 집중해 방사성 물질(요오드-131, 세슘-134 및 137) 오염 여부를 분석했다.원산지 등 유통정보 확인, 현장 수거, 방사능 분석 및 결과 공개의 전 과정을 연구원이 긴급히 수행했다.현재 모든 일본산 수입 농?축?수산물 대상 방사능 검사는 식약처에서 전수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보건환경연구원은 시군과 협력해 유통?판매되는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방사능 검사를 수행, 그 결과를 홈페이지를 통해 신속히 공개하고 있다. 손창규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이번 긴급 기획검사로 조금이나마 도민의 불안감이 해소됐길 바라며,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비한 상시 감시체계 강화와 향후에도 도민의 요구를 반영한 긴급 기획검사를 함께 진행해 유통 식품 방사능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북도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국내외 섬유기업 및 기관?단체가 참가한 가운데 섬유제품과 기술을 홍보하는 대구국제섬유박람회(Preview in Daegu)를 개최한다.▲ 대구국제섬유박람회(사진=경북도) 2023 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 (기 간) 2023. 3. 2 ~ 3. 4 (3일간)? (장 소) 엑스코 서관 1층? (행사규모) 302개사(국내205, 해외97) 524개 부스, 15개국 120명 해외바이어 참가 ※ PID(Preview In Daegu) : 2002년 시작 / 2008년부터 경북도 참여 2일 개막식에는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지역 국회의원, 주한인도대사, 섬유기관 단체장과 기업인 등 80여명이 참석했다.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 Preview In Daegu)는 경북도와 대구광역시가 공동개최하는 아태지역 대표 섬유박람회로써 21주년을 맞이하는 동안 대구?경북 섬유산업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해 왔다.이번 박람회는 ‘첨단융복합 소재개발, 탄소중립·친환경 기반조성, 디지털·스마트화 전환’을 목표로 302개 기업이 524개 부스 규모로 참여한 가운데 3년간 온·오프 형태로 진행해왔던 전시회를 완전 대면으로 정상 개최했다.2024 S/S 시즌을 겨냥한 융복합, 친환경 컨셉의 다양한 원사, 직물, 첨단기능성소재, 친환경소재, 산업용소재, 보건안전소재 등을 소개하는 전시행사와 디지털기술을 접목시킨 트렌드&메타패션관, 빅테이터 기반의 메타플랫폼, 섬유기계 및 생산설비 스마트기술에 이르기까지 섬유산업이 총망라되는 전시회로 개최됐다.중국, 인도, 대만 등 97개사의 해외업체 참가와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거점 해외바이어를 비롯해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폴란드, 인도네시아, 베트남, 러시아, 에콰도르 등 신규시장 바이어들도 유치해 장기간 위축됐던 수출시장과 비즈니스 회복에 힘을 싣는다는 방침이다. 한편, 경북도는 첨단?친환경 섬유소재산업 육성을 위해 탄소섬유소재, 안동 마와 바이오매스 기반의 친환경섬유소재 생산을 위한 기반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섬유소재 빅데이터 기반을 구축해 소재개발부터 디지털마케팅까지 섬유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코로나 이후 3년 만에 많은 해외업체와 바이어가 참가하는 대구국제섬유박람회가 지역 섬유산업 활성화에 단비가 됐으면 한다”고 말하며, “첨단융복합과 친환경, 디지털화라는 섬유산업의 새로운 가치 교류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비즈니스와 글로벌 공급망을 새롭게 확보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01(-254) 1,399,4536,308(-165)1,391,072(+666)2,073(-) * 국내 501, 국외 0 *치명률(3. 1. 0시 기준) - 경북 0.15%(2,073명), 전국 0.11%(33,988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7942224확진자91542555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4.(금)2.25.(토)2.26.(일)2.27.(월)2.28.(화) 3.1.(수) 3.2.(목) 누계(주)평균(주)검 사3,4573,4772,9621,3221,6528,5496,86828,2874,041.0확진자629(0)636(2)568(0)227(0)539(0)755(0)501(0)3,855(2)550.7(0.3)* 직전주 목요일(2.23) 현황 : 검사 6,152건, 확진자 666명(▼ 24.7%)(단위 : 명, %)구 분2.24.2.25.2.26.2.27.2.28.3.1.3.2.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6296345682275397555013,853550.4연령별60세↑확진자수(%)200(31.8)231(36.4)191(33.6)77(33.9)163(30.2)273(36.2)155(30.9)1,290(33.5)184.318세↓확진자수(%)89(14.1)72(11.4)66(11.6)33(14.5)66(12.2)89(11.8)70(14.0)485(12.6)69.3외 국 인9(1.4)4(0.6)11(1.9)5(2.2)2(0.4)2(0.3)1(0.2)34(0.9)4.9 □ 시·군별 발생(국내 1,395,415, 유입 4,03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99,453명286,779122,75374,16186,594251,30956,70049,25743,82137,140160,3418,677(+501)(+98)(+65)(+32)(+21)(+81)(+38)(+19)(+19)(+12)(+56)(+6)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00410,9866,26116,32317,84312,28715,96456,07129,50411,78721,7122,179(+4)(-)(+2)(+8)(+2)(+3)(+3)(+16)(+11)(+3)(+2)(-)
경북도는 1일 오전 10시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서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을 열어 나라를 위해 헌신한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고 도민이 하나 되는 화합의 시간을 가졌다.▲ 3?1절 기념식(사진=경북도)기념식에는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이달희 경제부지사, 배한철 경북도의회의장, 임종식 경북도교육감, 최주원 경북도경찰청장, 권기창 안동시장 등 주요 기관?단체장과 보훈단체장, 독립유공자 유가족 및 지역주민 등 600여명이 참석했다.기념행사는 식전 공연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독립선언서 낭독 △국가상징 선양 유공자 표창 수여 △3?1절 기념사 △3?1절 노래 제창 △경북도의장의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됐다.식전 공연으로 펼쳐진 창작 뮤지컬 「만세의 물결」은 학생들과 함께 일제의 침략과 탄압에 저항해 만세운동을 일으킨 안동 지역 출신 초대 국무령 석주 이상룡 선생의 삶을 표현해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들의 뜻을 기렸다.▲ 3?1절 기념식(사진=경북도) 이날 기념식에서는 국가상징 선양 유공자로 선정된 도민과 공무원에 대한 도지사 표창이 수여됐으며, 참석자들은 104년 전 그날의 함성을 떠올리며 3?1절 노래 제창과 만세삼창을 외치고 순국선열들의 독립에 대한 염원과 나라사랑 정신을 기렸다. 한편 전국에 독립유공자로 지정된 1만 7568명 중 13.8%에 달하는 2441명이 경북 출신이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숫자로 경북도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독립운동 성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경북도는 도로변 가로기 게양과 모든 가정에 태극기 달기 등 애국심 함양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독립유공자 후손 주거환경개선 사업 등 다양한 보훈 정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역사의 큰 물줄기를 바꾸는 결정적인 저력은 바로 국민의 하나 된 힘에 있다는 것을 3?1운동을 통해 배웠다. 민족의 강인한 정신과 굳은 기개를 만방에 펼쳤던 3?1 운동과 세계사에 빛나는 항일 정신의 자긍심을 가슴에 품고, 다양한 가치와 삶의 양식이 존중받는 ‘국민행복시대’와 ‘세계에서 존경받는 대한민국’이 되기 위해 경북도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이 열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KT, 실리콘밸리 유망 스타트업인 ‘베어로보틱스’를 차례로 만나 AI+서비스로봇 제조 글로벌 생태계 구축을 위한 비즈니스 미팅을 가졌다.▲ AI서비스로봇 제조 글로벌 생태계 구축 비즈니스 미팅(사진=경북도) MWC 2023에서는 KT관을 비롯한 국내외 기업관에서 서비스로봇 기술의 미래에 관해 전시하고 있다.앞서 지난달 27일 구현모 KT 대표이사와 만난 자리에서 경북도는 KT의 초거대AI 협력방안에 대해서 논의했다.KT의 초거대AI ‘믿음’기반기술을 경북의 어르신들을 위한 돌봄과 치매 예방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어 28일 베어로보틱스와 비즈니스 미팅에서는 경북을 서비스로봇의 글로벌 제조 기지로 발돋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들이 논의됐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인텔,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인 하정우 대표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한 세계 최초 자율주행 서빙로봇 기업으로 미국과 일본에서 서빙로봇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과 동남아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경북도는 AI+서비스로봇 보급지원과 AI+서비스로봇 관련 규제혁신, AI+서비스로봇 개발 및 활용분야 전문인력 양성, AI+서비스로봇 데이터 플랫폼 얼라인언스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 베어로보틱스 ‘서비’, 구미(인탑스)에서 최종 조립 생산(’21 ~ ’22년 1만대) ? LG전자 ‘클로이’ 23년부터 구미사업장에서 양산 ? 폴라리스3D ‘이리온’ 포항에서 R&D 및 생산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는 “경상북도는 AI+서비스로봇 제조역량이 뛰어나다”며 “실증데이터 축적과 피드백을 통해 최적의 기능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AI+서비스로봇 제조 글로벌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실리콘밸리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K-스타트업의 성공 노하우와 글로벌 비즈니스 역량에 감명 받았다”며 “스마트폰 제조에서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이을 차세대 제조 플랫폼 개발이 절실한데, 이번 KT와 베어로보틱스의 미팅을 계기로 AI+서비스로봇 제조 글로벌 생태계 조성방안을 적극 검토해 향후 경북도가 AI 미래 핵심기술을 선도해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병해충 등 농업현장 주요 문제점들을 직접 진단한 사례를 모은 『농업현장 문제해결! 2022 농작물 병해충 민원 진단 사례』책자 1000부를 제작해 28일 도내 시군농업기술센터와 관계기관, 농업인들에게 배포했다고 밝혔다.▲ 농작물 병해충 책자내용(사진=경북도) 기술원은 지난해 도내 농업인들로부터 농업현장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농작물 병해충 진단 의뢰 민원 171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8월에 41건으로 진단의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18건, 6월 17건 순이었다. 병해충 의심시료 분석결과 곰팡이에 의한 병 51건, 바이러스 피해 83건, 세균병 13건, 해충 11건, 생리장해 등 13건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바이러스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에 발간된 책자는 위에서 분석한 주요 사례 51건을 엄선해 농업인들과 관계자가 알기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진단방법과 대응책을 제시했다.오이, 토마토, 벼 등 소득작물의 병해충 진단 사례는 농업인과 농촌지도기관의 교육 및 기술지도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조영숙 경북도농업기술원장은 “기후변화와 스마트팜 등 다변화하는 농업환경에 발맞춰 농업대전환 사업과 연계하고, 신속한 병해충 정밀진단 지원으로 현장의 문제점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봄 개학기를 맞아 쾌적하고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을 위해 지난달 27일부터 3월 31일까지 5주간 유치원·초?중?고등학교 주변 노후간판, 현수막, 전단지 등 불법광고물 정비에 나선다.▲ 불법광고물 일제정비(사진=경북도) 특히 경북도와 김천, 영주, 경산, 청도, 봉화 5개 시군은 경찰, 옥외광고협회 등 관련기관과 합동점검을 실시해 학교주변 어린이보호구역(주출입문 300m) 및 교육환경보호구역(경계선 200m) 내 상가, 유흥업소 등이 밀집한 가로변에 대해 중점정비를 실시한다.주요 정비 대상은 낙하위험이 있는 노후간판, 음란·퇴폐적인 유해광고물, 통학생 및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현수막, 입간판, 에어라이트 등이다.노후·위험간판은 업주에게 자진 철거를 유도하고 현수막, 벽보, 전단 등 불법 유동광고물은 현장에서 즉시 수거한다.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봄 개학기 학교주변 불법광고물 일제정리를 통해 유해 광고물 없는 교육환경을 조성해 학생들이 안심하고 등하교 할 수 있는 통학환경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지난해 10월 경북도는 가을 개학기 불법광고물 일제정비 및 단속에 나서 697건을 적발해 과태료 2천1백만원을 부과하고, 693건에 대해 계고 등의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755(+216) 1,398,9526,473(-115)1,390,406(+869)2,073(+1) * 국내 755, 국외 0 *치명률(2. 28. 0시 기준) - 경북 0.15%(2,072명), 전국 0.11%(33,977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71364131확진자2622178376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3.(목)2.24.(금)2.25.(토)2.26.(일)2.27.(월)2.28.(화) 3.1.(수) 누계(주)평균(주)검 사6,1523,4573,4772,9621,3221,6528,54927,5713,938.7확진자666(2)629(0)636(2)568(0)227(0)539(0)755(0)4,020(4)574.3(0.6)* 직전주 수요일(2.22) 현황 : 검사 9,052건, 확진자 869명(▼ 13.1%)(단위 : 명, %)구 분2.23.2.24.2.25.2.26.2.27.2.28.3.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6646296345682275397554,016573.7연령별60세↑확진자수(%)235(35.4)200(31.8)231(36.4)191(33.6)77(33.9)163(30.2)272(36.0)1,3.69(34.1)195.618세↓확진자수(%)94(14.2)89(14.1)72(11.4)66(11.6)33(14.5)66(12.2)89(11.8)509(12.7)72.7외 국 인3(0.5)9(1.4)4(0.6)11(1.9)5(2.2)2(0.4)2(0.3)36(0.9)5.1 □ 시·군별 발생(국내 1,394,914, 유입 4,03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98,952명286,681122,68874,12986,573251,22856,66249,23843,80237,128160,2858,671(+755)(+200)(+77)(+18)(+49)(+120)(+32)(+16)(+17)(+15)(+79)(+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00010,9866,25916,31517,84112,28415,96156,05529,49311,78421,7102,179(+26)(+4)(+3)(+3)(+10)(+7)(+2)(+31)(+23)(+10)(+11)(-)
경북도는 지난해 지방세 5조 4,067억원을 징수해 처음으로 지방세 5조원 시대를 열었다. ▲ 세정과장 전략회의(사진=경북도) 그러나, 올해는 지난해보다 어려운 경제여건을 감안해 전년보다 2456억원 감소한 5조 1611억원으로 세수목표를 세우고 목표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지난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작된 부동산시장 침체 여파로 주택 및 토지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취득세 수입이 크게 줄기 시작함에 따라 세수확보에 비상이 걸렸다.이에 따라 경북도는 불확실한 세수여건 속에 차질 없는 세수목표 달성을 위해 28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 및 시군 세정과장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수확보 전략회의를 개최했다.이날 회의에서는 △매월 세입상황 및 세수변동요인 점검 △불공정한 신고행위에 따른 세원누락 방지 △체납세 최소화 등 다각적인 징수 대책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기로 했다.또 사용후핵연료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 추가, 원자력발전 세율인상과 함께 탄력세율 적용, 체육진흥투표권(스포츠토토) 레저세 과세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향후 국회 입법과정에서 경북도와 시군이 공동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아울러 도민과 지역기업들이 지방세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모든 지방세 과세정보를 정리한 ‘지방세 도우미’를 제작해 3월 중 배포하는 등 성실납세 지원에도 최대한 노력하기로 했다.심영재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난해 시군의 적극적인 협조로 5조 4천억원의 징수실적을 달성한데 감사의 뜻을 전하며 “올해 경제상황은 지난해보다 더 어려움이 많지만, 도와 시군이 납세자의 어려움을 살피고 한 번 더 지혜와 역량을 모아 세수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자”고 말했다.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28일 소방학교에서 신임 의용소방대장 및 부대장 212명에 대한 직무교육을 실시했다.▲ 의용소방대장직무교육 부지사특강(사진=경북도) 이번 교육은 의용소방대 지휘관으로서 역량 및 리더십 함양으로 현장대응능력을 강화하고 도민의 실질적 봉사자로서 의용소방대 운영 활성화 및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추진했다.주요 내용으로는 △의용소방대 관련 법령 소개 △경북소방 당면업무 △의용소방대 역할 재정립 △의용소방대 발전방향 △수범사례 발굴 및 개선사항 청취 등으로 진행됐다.특히 경북이 주도하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와 지방시대 대전환을 이루기 위한 김학홍 행정부지사의 도정정책 방향에 대한 특강, 산림화재 진압?대응?안전사고 방지에 대한 외래교수 강의 등을 통해 심도있는 교육을 실시했다.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해 애쓰는 의용소방대원들에게 감사하며, 이번 교육을 통해 내고장 안전지킴이로서 위상을 확립하고 환경변화에 맞는 의용소방대의 역할 재정립을 통해 재난방재 핵심 민간조직으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경북도는 28일 안동 그랜드호텔에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재능기부 협업사업인 ‘2023년 경상북도 학습지원단 위촉식’을 개최했다. ▲ 학습지원단 위촉식(사진=경북도) 위촉식은 우수 학습지원단 표창, 신규 학습지원단 위촉, 학교 밖 청소년과 관계 맺기에 관한 특강 순으로 진행됐다.경상북도 학습지원단은 검정고시 과목지도가 가능한 퇴직교사, 대학생, 학원강사, 일반인 등 17개 시군, 200여명으로 구성된 자발적인 재능기부 조직으로, 검정고시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맞춤형 학습지도를 통해 청소년들의 검정고시 합격 및 학업 복귀에 도움을 주고 있다.또 은둔형 청소년이나 교통편 미비 등의 이유로 센터에 방문하기 어려운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1:1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등 상황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수업을 지원해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학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지난해는 검정고시 662명 합격, 상급학교 및 복교 49명, 학교재적응 20명, 대학진학 188명 등 총 919명이 학업에 복귀하는 성과를 거뒀다.학습지원단의 수업을 받고 있는 한 청소년은 “선생님들의 가르침으로 이번 검정고시에서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있었고, 혼자 공부하는데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 주셔서 많은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학습지원단의 선생님은 “학습지원단 활동을 하면서 청소년들이 성장해 가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어 기뻤고, 검정고시 준비를 통해 사회에 적응하는 준비를 도울 수 있어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라고 활동 후기를 전했다.황영호 경북도 여성아동정책관은 “앞으로 더 많은 학교 밖 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경북도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는 어려운 청소년을 위해 검정고시, 대학입시를 위한 학습지원뿐만 아니라 진로상담, 급식지원, 건강검진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상기 센터(054-850-1003)로 전화문의를 통해 안내 받을 수 있다.
경북도는 28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도내 기업협회, 대학, 출자출연기관과 함께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해 연구장비 인프라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경북연구장비 인프라 활용 협력 MOU(사진=경북도) 이날 협약식에는 경상북도, 경북PRIDE기업 CEO협회, 벤처기업협회 대구경북지회, 이노비즈협회 대구경북지회, 영남대학교, 안동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경운대학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경북지역사업평가단, 경북테크노파크 11개 산?학?연?관이 참여했다.중소기업은 참신하고 우수한 아이디어로 시제품 개발과 신산업 연구개발에 대한 의지는 높지만 고가 연구장비 도입이 어려워 제품 제작 및 기술개발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번 협약은 중소기업의 신산업 투자를 위한 기술개발과 애로기술 해결을 위해 지역 대학과 출자출연기관이 보유한 고가 연구장비를 기업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업무협약에 따라 지역의 출자출연기관 및 대학은 보유한 연구장비 중 기업의 신기술 개발에 필요한 장비 및 장비운영인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출자출연기관과 대학에서 추진 중인 연구사업 연계 등을 통해 기업의 연구장비 공동활용을 증진한다.경북도는 도내 보유한 연구장비의 활용 증진을 위해 경북테크노파크와 함께 경북 연구장비정보시스템(GBREMS)을 구축했다. 연구장비가 필요한 기업들이 시스템에서 지역 54개 기관?대학 4,030점의 공동활용 장비를 쉽게 검색하고 예약?상담할 수 있게 해 고가 연구장비의 기업 활용 증진에 힘쓰고 있다. ※ 경북 연구장비정보시스템(https://gbrems.gbtp.or.kr)은 인터넷 종합포털사이트(네이버, 구글)를 통해 “경북 연구장비정보시스템”을 검색하면 쉽게 접속할 수 있으며, 모바일로도 연구장비를 검색?예약 가능하다. 또 지역 기업들이 국가연구시설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와 긴밀히 협력해 국가연구시설장비 정보를 연계하고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경북도는 지역 출자출연기관, 대학 및 기업 간 연구장비 인프라 활용을 통해 기업의 신기술 개발과 시제품 제작 및 인증, 제품 양산 등 다방면 협력으로 중소기업의 시장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연구장비 활용협력 업무협약(MOU) 부대행사로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정석인 박사의 주제 강연과 대학(안동대) 및 기업((주)영진)의 연구장비 활용사례 발표 워크숍이 진행됐으며, 정부기술개발 공모기획 지원, 중소기업과 벤처창업기업 기술사업화 지원 등에 대한 지원사업 설명회 및 1:1 맞춤형 상담 창구를 운영했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지역 기업들의 가장 큰 어려움이 고가의 연구장비를 구입하거나 활용하는 문제였는데, 이번에 도내 기관이나 대학에서 보유하고 있는 연구장비들을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경북 연구장비정보시스템(GBREMS)을 구축하게 돼 그 의미가 크다”고 말하며, “GBREMS를 통해 기업이 새로운 제품 개발이나 신기술 연구에 연구장비를 부담 없이 적극 활용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27일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에 참석해 미래 산업의 최신 트랜드를 파악하고 MWC 참여 기업인들과 의미 있는 만남을 이어가는 등 4차산업혁명 시대 경북경제의 새로운 방향설정을 위해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사진=경북도) MWC(Mobile World Congress)는 CES, IFA와 더불어 세계 3대 IT 전시회로 매년 2월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산업 전시회이다. 글로벌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모바일 산업 분야 혁신기업들이 참가해 통신장비, 모바일디바이스, 5G, AI, 메타버스 등 다양한 신기술과 신제품을 소개하는 MWC는 차세대 디지털 기술동향을 파악할 수 있어 막대한 영향력과 파급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메타버스, AI 등 디지털 시대를 위한 미래 기술 발전 방향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삼성전자, SKT, KT, 맥스트, 화웨이, 노키아 등 주요 기업관을 방문하고 경북 소재 유일한 참여기업인 애그유니를 찾아 기업 관계자를 격려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이번 박람회에서는 챗GPT 돌풍 속에 AI관련 신기술과 새로운 메타버스 서비스가 선보였는데, 초거대 AI 개발?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SKT, KT 기업관을 찾아 경북도의 초거대 AI 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공동 협력방안을 제안했다.특히 메타버스 플렛폼 개발기업인 맥스트관에서는 한층 발전된 XR메타버스 기술력에 큰 관심을 보이며 메타버스 수도를 표방하고 있는 경북과의 기술협력 및 신사업 추진을 논의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홍보관을 찾은 이철우 지사는 최신 스마트기기 성능과 기가간 연결성 등 차원 높은 모바일 기술력을 체험한 후 “중국기업의 기술발전 속도에 내심 걱정이 있었는데, 우리나라 기업들의 혁신적인 기술을 체험해 보니 아직까지 기술경쟁 우위에 있다”며 안도를 표하기도 했다.MWC 행사를 통한 기업인들과의 면담도 이어졌다. 삼성전자, 화웨이, SKT 등 참관기업 임원들과 현장면담을 시작으로 MWC 참여기업 대표, 임원들과 별도의 간담회를 진행하고 KT 구현모 대표와도 개별만담을 진행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기업인들과의 만남에서 기업이 나라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기업이 일하기 편하게 적극 지원하는 경상북도로 많은 관심과 투자를 당부하고 메타버스, AI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경북과의 협력사업을 제안했다.MWC 현장에서 이철우 도지사는 “MWC가 다가올 6G 시대를 대비한 기업들의 무한 기술경쟁의 현장임을 실감했으며, 이런 경쟁 속에서 메타버스 수도 경북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첨단 통신장비 기업들을 반드시 경북에 유치하겠다”고 강조하며, “글로벌 기업들이 모인 이번 MWC 참관을 기회로 메타버스, AI 등 미래 핵심기술을 활용한 신산업을 적극 육성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경상북도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동영상뉴스] 군위군, 후계농업경영인 / 가족수련 한마음대회 개최
[동영상뉴스] 다시 돌아온 제16회 삼국유사 퀴즈대회 인 군위 ... 군위, 삼국유사교육문화회관
[동영상뉴스] 제18회 주민자치센터 경연대회 / 군위군, 2관왕 쾌거
[포토뉴스] 화본축제 낭만 플랫폼
[대구·경북 보도자료] 경북도, 경북공항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워킹그룹 첫 회의 개최
[뉴스] 대한한돈협회 군위지부, 추석 맞아 어려운 이웃에 돈육 기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