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9%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35(+295)1,405,5252,918(+24)1,400,525(+510)2,082(+1) * 국내 535, 국외 0 * 치명률(3. 13. 0시 기준) - 경북 0.15%(2,081명), 전국 0.11%(34,115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20104확진자12020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3.8.(수) 3.9.(목) 3.10.(금) 3.11.(토) 3.12.(일) 3.13.(월) 3.14.(화) 누계(주)평균(주)검 사9,1376,4073,8543,2272,1251,28872326,7613,823.0확진자772(1)592(0)564(1)515(1)532(0)240(2)535(0)3,750(5)535.7(0.7)* 직전주 화요일(3.7) 현황 : 검사 2,172건, 확진자 510명(▲ 4.9%)(단위 : 명, %)구 분3.8.3.9.3.10.3.11.3.12.3.13.3.14.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7715925635145322385353,745535.0연령별60세↑확진자수(%)245(31.8)174(29.4)147(26.1)141(27.4)144(27.1)59(24.8)112(20.9)1,022(27.3)146.018세↓확진자수(%)121(15.7)130(22.0)134(23.8)128(24.9)132(24.8)63(26.4)158(29.5)866(23.1)123.7외 국 인7(0.9)2(0.3)4(0.7)7(1.4)4(0.8)1(0.4)4(0.7)29(0.8)4.1 □ 시·군별 발생(국내 1,401,480, 유입 4,045)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05,525명288,245123,25574,47386,981252,11857,06349,48043,98637,293160,9788,696(+535)(+158)(+15)(+27)(+39)(+61)(+38)(+28)(+16)(+26)(+54)(+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14311,0076,30516,37217,88712,35416,02356,37729,64611,87621,7872,180(+10)(-)(+1)(+2)(+2)(+3)(-)(+22)(+17)(+8)(+6)(-)
경북도는 13일 행정안전부 『2030자문단』이 도청을 방문해 이철우 도지사와 청년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어서 도청 미래창고에서 『경상북도-중앙정부 청년보좌역-경북청년의 간담회』를 개최해 중앙정부에 바라는 청년정책에 대한 경북 청년의 목소리를 직접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중앙정부 청년보좌역-경북청년 생생 간담회(사진=경북도) 이번 간담회는 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중소벤처기업부?보건복지부?행정 안전부 5개 부처 청년보좌역과 행정안전부 2030자문단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을 대표하는 청년 15명이 함께 모여 청년정책에 관해 자유롭게 논의하는 자리로 만들어졌다.특히, 오늘 간담회에서는 최근 발표된 합계출산율과 관련해 저출산 문제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다뤘으며, 참석한 경북 청년은 저출산 위기에 대해 명확한 원인 분석과 부처를 막론하고 종합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할 것을 요구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다양한 사회문제가 얽혀있는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대한민국의 고질적인 수도권 병(病)을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하고, 지방이 새로운 지향점이 되도록 대전환을 시도해야 한다”며 “지방대학 경쟁력을 강화하고, 또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행복한 ‘고졸청년 성공시대’를 열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아울러 “청년은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의 주역이자 지향하는 목표”라며 “따끔하지만 약이 되는 경북청년의 목소리가 중앙정부 청년정책에 고스란히 담길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진감 행정안전부 청년보좌역은 “경북의 지방시대 기조와 그 중심에 청년이 있다는 것에 깊이 공감하며 앞으로 중앙정부 청년정책 수립에 경북청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경북도 건설도시국은 13일 경상북도북부건설사업소 회의실에서 2023년 자체 청렴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자체 청렴교육 및 결의대회(사진=경북도) 이번 교육은 건설도시국 소관 공사·용역, 보조금, 민원업무 공무원, 현장대리인 등 200여 명을 대상으로 권역별 2회에 걸쳐 실시하고, 남부권은 오는 17일 대구 농업인회관에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이날 교육에서는 북부건설사업소의 막내 공무원이자 93년생 MZ세대인 시설 8급 김지현 주무관이 경북도 공무원을 대표해 공직자로서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을 통해 공직사회 모범이 될 것을 다짐하는 청렴서약서를 낭독했다. 이 청렴서약서는 전 직원이 서명해 건설도시국 및 사업소 입구에 게시할 예정이다.건설도시국 소관 업무는 특히 도민의 편익과 직결되는 각종 사업이 많아 깨끗한 건설문화 조성과 청렴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해마다 자체적으로 청렴 교육을 실시해오고 있다.아울러 지난해 건설도시국장은 공사용역 등 계약 관계자 600여명에게 청렴의지를 담은 청렴서한문을 발송한 바 있으며, 전 직원이 서명한 청렴서약서를 건설도시국 사무실 입구에 게시해 청렴한 공직문화 분위기 조성과 도민에게 신뢰받는 경북을 만들기 위해 앞장서고 있다.최근 경북도는 국민권익위에서 발표한 2022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 3년 연속 종합청렴도 전국 최상위권을 달성했다.이날 도청 감사관실 김병기 청렴감사총괄팀장이 참석해 2022년 국민권익위 주관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를 설명하고, 건설관련 취약분야를 짚어주면서 각종 사업추진 과정의 준수사항 등에 대한 청렴교육을 실시했다.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공사업무 등 바쁜 당면업무 추진에 고생하고 있는 직원들을 격려하며 청렴을 생활화하고 건설현장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업무수행을 당부했으며, 현장의 애로사항이나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해 깨끗한 건설문화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산산성야영장이 4월 벚꽃 시즌을 앞두고 본격 개장을 준비하고 있다.▲ 가산산성야영장(사진=경북도) 가산산성야영장은 지난해 11월 감성 캠핑장 조성을 위해 A, B, C구역 내 볼라드 등과 스트링조명을 설치해 은은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했다.올 3월에는 야영장 내 수목정비 사업을 실시해 위험 고사목 제거와 관목정리 등 708주를 정비했고, 기존 노후된 야외 파고라 재단장 및 공중화장실 정비 공사를 통해 이용객 편의와 쾌적성을 높였다.또 지속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협소한 사이트(15~20㎡) 크기에 따른 야영객 간 소음문제, 인접 사이트 침범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3월 중 가산산성야영장 시설개선공사 실시설계용역을 발주해 이용객들의 힐링을 도울 예정이다.가산산성야영장 이용을 원하는 도민은 가산산성야영장 홈페이지 회원가입, 온라인 예약, 야영지 선택 및 예약자 정보작성 등 절차를 통해 온라인 예약하면 된다. 예약일은 매월 1일, 16일 기준 일주일 전 오전 9시 가산산성야영장 홈페이지에서 오픈되며, 자세한 일정은 홈페이지 공지사항 및 안내 팝업창을 확인하면 된다.도규명 경북도 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장은 “가산산성야영장은 4월 벚꽃 시즌 전국에서 찾아오는 야영객들이 많은 만큼 시설물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해 가산산성야영장을 찾는 이용객들이 자연 속 즐거운 휴식공간을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키가 작고 곁가지가 적어 기계수확에 적합하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이 높은 수수 신품종‘홍메’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홍메 이삭(사진=경북도)이는 수수 육종을 시작한 2012년 이래 11년 만에 이룬 쾌거로 잡곡 재배농가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수수는 예로부터 건조하고 척박한 땅에서 잘 자라는 중요한 식량원으로 재배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폴리페놀, 탄닌 등 항산화 성분이 많아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해 비만, 당뇨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인기가 높다.이번에 개발한 수수 품종은 2012년 교배를 시작해 2018년부터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20년부터 3년간 전국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했다. 2022년 12월에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규 등록품종으로 ‘홍메’로 명명했고, 2023년 1월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출원 2023-9)을 했다. ※ 홍메 : 이삭과 종실이 붉은 메수수를 뜻함▲ 홍메 종자(사진=경북도) 홍메의 주요특성은 이삭 형태가 벌어지고 늘어지는 극산수형으로 곰팡이병 등 이삭 병해에 강하고 수확기가 9월 14일로 빠른 조숙종이다. 키는 111cm로 작고 이삭목 길이가 8cm로 길게 빠져나오며, 곁가지가 적은 동시성숙형으로 기계수확에 적합하다. 수량은 10a(300평)당 생산력검정시험 401kg, 전국 지역적응시험 345kg으로 대비품종 소담찰 보다 각 31%, 17% 높다.주요성분은 아밀로스 함량이 21.6%로 메성이며, 무기성분 Ca, Mg, Na은 각 21.7, 259.2, 30.3㎎/100g으로 높은 편이다. 특히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977.5㎎GAE/100g, 플라보노이드 776.2㎎CE/100g으로 대비품종 소담찰 보다 각 45%, 61% 크게 높았고, 탄닌 성분도 10.7㎎/100g으로 높은 편이며 주조용으로 적합하다. ※ GAE(Galic Acid Equivalent) : 물질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 기준이 되는 단위 CE(Catechin Equivalent) : 물질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 기준이 되는 단위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수수 신품종 홍메를 조기에 종자 보급하고 재배확대를 위해 내년부터 특화지역을 선정해 신품종 이용촉진 연구와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재배기술, 병해충 방제, 탈곡 등 파종부터 수확까지 현장컨설팅을 병행해 재배면적을 확대할 계획에 있다.조영숙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경북농업기술원에서 수수 신품종 개발은 처음인데, 키가 작고 쓰러짐에 강해 기계수확에 적합해 잡곡농가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항산화성분이 높은 주조용으로 적합해 경북 지역 전통주 및 양조업체와 연계한 특화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수수 신품종 홍메 종자를 생산·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40(-292)1,404,9902,894(+7)1,400,015(+231)2,081(+2) * 국내 238, 국외 2 * 치명률(3. 11. 0시 기준) - 경북 0.15%(2,079명), 전국 0.11%(34,096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010102확진자01030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3.7.(화) 3.8.(수) 3.9.(목) 3.10.(금) 3.11.(토) 3.12.(일) 3.13.(월) 누계(주)평균(주)검 사2,1729,1376,4073,8543,2272,1251,28828,2104,030.0확진자510(0)772(1)592(0)564(1)515(1)532(0)240(2)3,725(5)532.1(0.7)* 직전주 월요일(3.6) 현황 : 검사 1,502건, 확진자 231명(▲ 3.9%)(단위 : 명, %)구 분3.7.3.8.3.9.3.10.3.11.3.12.3.13.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5107715925635145322383,720531.4연령별60세↑확진자수(%)141(27.6)245(31.8)174(29.4)147(26.1)141(27.4)144(27.1)59(24.8)1,051(28.3)150.118세↓확진자수(%)87(17.1)121(15.7)130(22.0)134(23.8)128(24.9)132(24.8)63(26.4)795(21.4)113.6외 국 인2(0.4)7(0.9)2(0.3)4(0.7)7(1.4)4(0.8)1(0.4)27(0.7)3.9 □ 시·군별 발생(국내 1,400,945, 유입 4,045)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04,990명288,087123,24074,44686,942252,05757,02549,45243,97037,267160,9248,694(+240)(+42)(+1)(+35)(+15)(+4)(+32)(+23)(+15)(+3)(+10)(+21)(+1)(-)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13311,0076,30416,37017,88512,35116,02356,35529,62911,86821,7812,180(+3)(+2)(-)(+2)(+2)(+1)(+3)(+8)(+7)(+5)(+5)(-)
경북도서관에서는 오는 16일(목) 저녁 7시 경북도청 열린도서관 ‘미래창고’에서 “경북의 봄, 오페라로 느끼다” 인문콘서트가 개최된다고 밝혔다.▲ 경북도서관 인문콘서트 미래창고는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연구중심 도정, 지식?정보를 활용한 확실한 지방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지난해 말 구(舊)당직실 자리를 리모델링해 약 2만여 권의 장서를 비치한 열린 도서관이다. 올 들어 처음 미래창고에서 개최되는 인문콘서트는 음악감독이 직접 연주하는 가운데 성악가의 오페라 아리아 감상과 비하인드 스토리 등 인문학적 관점으로 오페라를 바라보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날 공연에는 소프라노 배진형, 테너 김동녘, 바리톤 구본광의 라 트라비아타의 ‘축배의 노래’, ‘파리를 떠나서’, 투란도트의 ‘공주는 잠 못 이루고’,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 ‘문 리버’ 등 관람객에게 친숙한 멜로디의 가곡과 가요를 함께 선보일 계획이다. 권경수 경북도서관장은 “미래창고는 도민의 책 쉼터로 미래창고를 방문하는 도민들이 책과 함께 일상에서 음악, 미술과 같은 문화예술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이번 행사를 계획했다”며, “앞으로도 미래창고를 책으로 도민이 연결되는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도서관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타 행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경북도서관 홈페이지(https://lib.gb.go.kr) 공지사항을 참조하면 된다.
경북도와 경북문화관광공사는 지난 7일부터 9일까지‘2023 베를린 국제관광박람회(ITB Berlin 2023)’에 참가해 유럽 및 전 세계 여행업계를 대상으로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 판촉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itb 박람회 홍보관(사진=경북도) 베를린 국제관광박람회(ITB)는 세계 3대 국제관광박람회 중 하나로, 2019년 기준 6대륙 180개국 16만 명이 참여한 유럽 최대 관광박람회다. 올해는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해 세계여행업계 부활의 기지개를 활짝 켜고 있다.경북도와 한국관광공사의 협업으로 한국관광홍보관 내 경상북도 홍보관 운영 및 상담회 등을 통해 K-콘텐츠 인기에 힘입은 한류 속의 경북여행, 경북이 자랑하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 트렌드와 연계한 경북형 관광상품을 홍보함으로써 큰 호응을 얻었다.특히,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인에게 사랑받은 킹덤, 미스터 선샤인, 갯마을 차차차 등 K-콘텐츠 속 경북 한류 촬영지와 유네스코가 인정한 세계 문화유산이 깃든 경북의 많은 관광자원들로 60여개 여행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또 코로나19로 인해 단절된 해외 유관기관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독일연방정부, 주독일한국문화원, 현지여행업계 등을 대상으로 경북 홍보와 더불어 협업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를 가졌다.독일연방정부를 방문해 관광을 통한 지역균형 발전방안 논의와 경북 관광 및 스포츠 교류 활성화를 위해 경북의 관광자원, 유네스코문화유산, 스포츠 관광시설 등 다양한 자원을 홍보했다.주독일한국문화원에서는 독일 청년들의 갭이어* 기간을 활용한 경북-독일 연계 관광 활성화와 전시공간을 활용해 하회탈과 한옥을 소개하는 등 문화원과 협업을 통한 경북 관광 홍보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 갭이어 : 흔히 고교 졸업 후 대학생활을 시작하기 전 학업을 잠시 중단하거나 병행하면서 봉사, 여행, 진로탐색, 교육, 인턴, 창업 등의 활동을 체험하며 흥미와 적성을 찾고 앞으로의 진로를 설정하는 기간이외에도 파독근로자 60주년을 맞아 파독근로자 및 한인회와 간담회를 갖고 태권도, 축구 등 교류 행사 및 경북관광 홍보를 위한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 교환했으며, 재독 독도지킴이단과 간담회 자리에서 인바운드 안심관광지로 선정된 울릉도·독도를 소개했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독일은 2022년 한 해 동안 유럽국가 중 가장 많이 대한민국을 방문한 나라며, 특히 올해는 한-독 수교 140주년이 되는 해다”라며 “이번 독일에서의 네트워크를 통해 K-콘텐츠, 문화 등 다양한 관광요소를 홍보해 독일 관광객들이 경북을 찾을 수 있도록 마케팅 활동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위스키보다 오랜 역사를 지니고 품질 면에서도 뒤지지 않는 ‘안동소주’가 세계인의 입맛과 정서를 사로잡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안동소주 세계화에 역량을 집중한다고 밝혔다.▲ 민속주 안동소주 전통주 현장방문(사진=경북도)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휴일인 지난 11일(토) 안동에 위치한 전통방식의 안동소주 제조현장인 ‘민속주 안동소주’ 와 ‘밀과노닐다’를 방문해 안동소주 세계화 전략 구상을 위한 실질적 행보를 이어갔다.이번 방문은 지난달 지역 전통주 제조업체 6개사 대표와 함께 스카치위스키의 본고장인 스코틀랜드를 찾아 안동소주의 세계적인 브랜드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한 후, 경북도가 적극적인 전통주 성장 전략 마련에 나서면서 현장 소통 차원에서 이뤄졌다.이철우 도지사는 스카치위스키가 세계적 브랜드로 성장한 노하우를 토대로 안동소주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한시도 늦출 수 없다는 각오다.이 도지사는 양조장 및 자연 숙성고 역할을 하는 토굴 등 안동소주 제조현장을 둘러보고, 관계자 및 전통주 제조업체들과 전통과 역사를 녹여낸 안동소주 세계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민속주 안동소주(대표 김연박)는 도수 45도 순곡 증류주로 신라시대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무형문화재(1987년) 및 대한민국 식품명인(2020년)으로 지정되어 전통성을 이어가고 있다.▲ 밀과 노닐다 전통주 현장방문(사진=경북도) 또 안동소주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홍보하고 후대에 전수하기 위해 안동소주박물관 운영하며 안동소주의 유래와 제조법 관람, 안동소주 빚기 체험도 제공한다.농업회사법인 밀과노닐다(대표 박성호)는 2019년 전국에서 유일하게 밀로 만든 소주 ‘진맥소주’를 선보이며 밀의 깊은 향기를 머금어 소비자와 술 전문가 모두에게 호평 받고 있다. 특히 밀과 노닐다가 위치한 안동 맹개마을은 지난해 10월 하이브 소속 아이돌그룹인 세븐틴이 4박 5일간 다녀가 유명해진 곳이기도 하다. 박 대표는 2007년 안동 맹개마을에 정착하기 전까지만 해도 독일 유학파 출신의 IT 벤처기업 대표였지만, 귀농을 결심하고 약 10만㎡ 땅에 밀과 메밀을 심어 유기농 통밀로 만든 전통수제방식의 프리미엄 소주를 만들어 미국과 영국 등 수출처를 확대하고 있다.경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도의 전통주 출고액은 143억 원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84억 원보다 70% 이상 급증했으며, 이날 방문한 2개 양조장 이외에도 안동에는 전통주 주류제조면허를 취득하고 전통방식으로 안동소주를 만드는 곳이 집중돼 있다. 경북의 전통주는 민속주인 안동소주 기업들과 경북에 귀촌해 창업한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명인안동소주(대표 박재서), 민속주 안동소주(대표 김연박), 밀과노닐다(대표 박성호)의 주류는 MZ세대에게 칵테일 소재로 인기를 끌고 있다. 또 경북도와 지난해 11월 투자협약을 맺은 김창수위스키증류소는 2026년까지 안동 바이오산업단지에 200억 원을 투자해 위스키 제조공장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한편, 코로나19 이후 국내 주류시장은 격변기를 맞고 있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위스키류 수입액은 전년보다 5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19를 계기로 회식과 모임이 줄고 홈술(집에서 먹는 술) 문화가 정착돼 고가의 위스키를 접해보는 젊은 층이 늘어남에 따라 관심이 커지게 된 영향이다. 스카치위스키의 산업규모는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사상 처음 10조원을 기록했으며, 특히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되는 위스키의 90%가 수출로 이어지는 대표 산업으로 떠오르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전통과 역사가 깊은 스코틀랜드 위스키 브랜드들은 위스키의 제조 과정을 볼 수 있는 증류소 투어와 위스키 시음 등 체험상품을 지역의 명소와 연계해 한 해 200만 명이 찾는 관광 효자상품으로 정착시켰다.중국의 '마오타이'도 고급 브랜드 유지와 다양한 소비자를 겨냥한 중저가 브랜드 발표 등 투 트랙(two-track) 전략 구사, O2O(online to offline), 모바일 앱 강화 등 유통과정 단순화, 브랜드 국제화를 통한 해외시장 공략 등에 힘입어 주가 총액이 삼성전자 보다 높은 420조원으로 연간 매출액이 20조원에 달하는 세계적인 주류 기업 반열에 올랐다. 일본 위스키는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와 더불어 세계 5대 위스키로 그 중 야마자키 위스키가 2003년 국제주류선발대회 금메달 수상 및 2015년 “올해 세계 최고의 위스키”로 선정됐으며, 일본 세관에 따르면 지난해 1조3300억 원의 주류 수출액 중 위스키 수출액이 5355억 원을 달성했다고 한다.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일본 위스키 수입액은 전년 대비 31.14% 증가했는데, 최근 반일 정서가 주춤해지면서 일본 제품에 대한 소비가 되살아나고 이에 따른 일본 위스키 수입액 또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쌀 소비 감소 속에 농업대전환에 나선 경북도는 농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수출 산업화 등 전통주 세계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안동소주 세계화를 위한 T/F단 구성경북도는 박찬국 농식품유통과장을 단장으로 경북도-안동시-전통주 제조업체-대학 등이 참여하는 ‘안동소주 세계화 T/F단’을 구성해 대표상품 개발을 비롯해 안동소주의 산업화 및 세계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할 방침이다.▲ 안동소주 홍보관 운영 등 관광자원화안동지역 핫 플레이스에 안동소주 홍보관을 건립해 전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명소로 육성, 안동소주의 저변확대에 기여할 계획이다.▲ 안동소주의 다양성과 우수성 홍보안동소주 기업과 경북도, 안동시가 안동소주 공동홍보 캠페인을 추진해 술 품평회, 양조장 체험, 소주 시음행사 등을 진행하고 양조장에 시음?체험 시설을 지원한다.▲ 도지사 인증 품질기준 마련안동소주 원료, 도수, 숙성도 등 규격화된 도지사 인증 품질기준을 마련하고 대학 등과 협력해 고급 브랜드로 육성할 계획이다.▲ 해외 바이어 발굴해외 식품박람회에 전통주 업체 참가지원, 주류 전문 바이어 초청 및 수출 상담을 통해 해외 바이어 발굴에 행정력을 집중해 수출확대를 도모한다.▲ 안동소주 생산기반 구축 및 운영자금 지원안동소주 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해 농식품 가공 육성사업, 농어촌진흥기금 등을 지원해 고부가가치 안동소주 생산기반을 구축한다.▲ 홍보대사 위촉 등 국내외 홍보 강화유명 아이돌 그룹, 트로트 가수, 인플루언서 등을 간판으로 내세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홍보 전략을 마련한다.▲ 영국 스카치위스키협회와의 교류 강화지난 2월, 이철우 도지사의 스코틀랜드 방문 시 약속한 인력, 기술교류 지원을 통해 안동소주에 스카치위스키 세계화 전략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안동소주는 세계 명주라 부르는 스카치위스키, 중국의 백주와 일본 청주들과 같이 어깨를 겨룰 수 있는 그런 전통이 있는 술이었는데, 다른 술 보다 너무 저평가 됐다”라며 “위스키나 전통주 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진 지금, 안동소주도 한류를 타고 세계 명품주로 만들기 위해 안동소주를 만드는 명인들과 현대화된 기술을 합쳐 함께 노력해 대한민국의 명품을 넘어 세계 명품주로 만들어 내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32(+17)1,404,7502,887(+50)1,399,784(+482)2,079(-) * 국내 532, 국외 0 *치명률(3. 11. 0시 기준) - 경북 0.15%(2,079명), 전국 0.11%(34,096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2822115확진자294812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3.6.(월) 3.7.(화) 3.8.(수) 3.9.(목) 3.10.(금) 3.11.(토) 3.12.(일) 누계(주)평균(주)검 사1,5022,1729,1376,4073,8543,2272,12528,4244,060.6확진자231(0)510(0)772(1)592(0)564(1)515(1)532(0)3,716(3)530.9(0.4)* 직전주 일요일(3.5) 현황 : 검사 2,002건, 확진자 482명(▲ 10.3%)(단위 : 명, %)구 분3.6.3.7.3.8.3.9.3.10.3.11.3.12.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315107715925635145323,713530.4연령별60세↑확진자수(%)64(27.7)141(27.6)245(31.8)174(29.4)147(26.1)141(27.4)144(27.1)1,056(28.4)150.918세↓확진자수(%)42(18.2)87(17.1)121(15.7)130(22.0)134(23.8)128(24.9)132(24.8)774(20.8)110.6외 국 인2(0.9)2(0.4)7(0.9)2(0.3)4(0.7)7(1.4)4(0.8)28(0.8)4.0 □ 시·군별 발생(국내 1,400,707, 유입 4,043)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04,750명288,044123,20574,43186,938252,02557,00249,43743,96737,257160,9028,694(+532)(+120)(+56)(+24)(+29)(+54)(+39)(+24)(+15)(+22)(+55)(+1)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13011,0056,30416,36817,88312,35016,02056,34729,62211,86321,7762,180(+12)(+1)(+3)(+13)(+2)(+5)(+5)(+14)(+15)(+8)(+15)(-)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15(-49)1,404,2182,837(-90)1,399,302(+605)2,079(-) * 국내 514, 국외 1 *치명률(3. 10. 0시 기준) - 경북 0.15%(2,079명), 전국 0.11%(34,093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6941020확진자6164803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3.5.(일) 3.6.(월) 3.7.(화) 3.8.(수) 3.9.(목) 3.10.(금) 3.11.(토) 누계(주)평균(주)검 사2,0021,5022,1729,1376,4073,8543,22728,3014,043.0확진자482(0)231(0)510(0)772(1)592(0)564(1)515(1)3,666(3)523.7(0.4)* 직전주 토요일(3.4) 현황 : 검사 5,028건, 확진자 605명(▼ 14.9%)(단위 : 명, %)구 분3.5.3.6.3.7.3.8.3.9.3.10.3.1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4822315107715925635143,663523.3연령별60세↑확진자수(%)171(35.5)64(27.7)141(27.6)245(31.8)174(29.4)147(26.1)141(27.4)1,083(29.6)154.718세↓확진자수(%)68(14.1)42(18.2)87(17.1)121(15.7)130(22.0)134(23.8)128(24.9)710(19.4)101.4외 국 인2(0.4)2(0.9)2(0.4)7(0.9)2(0.3)4(0.7)7(1.4)26(0.7)3.7 □ 시·군별 발생(국내 1,400,175, 유입 4,043)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04,218명287,924123,14974,40786,909251,97156,96349,41343,95237,235160,8478,693(+515)(+120)(+35)(+24)(+38)(+58)(+34)(+1)(+27)(+13)(+14)(+67)(+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11811,0046,30116,35517,88112,34516,01556,33329,60711,85521,7612,180(+14)(+2)(+3)(+8)(+3)(+8)(+3)(+15)(+11)(+9)(+6)(-)
경북도는 10일 구미 탄소성형부품 상용화 인증센터에서 2023년 제1회 탄소산업육성위원회를 개최했다.▲ 경상북도 탄소산업육성위원회(사진=경북도) 경상북도 탄소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의거 이달희 경제부지사를 위원장으로 13명(당연직 2, 위촉직 11)의 탄소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경상북도 탄소산업육성위원회는 경상북도 탄소산업육성 종합계획과 시행계획, 탄소산업 육성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등 탄소산업분야의 경북도 주요 정책에 대한 심의 및 자문 역할을 담당한다.경북도는 영천·경산의 1300여개 자동차 부품기업, 구미·칠곡의 520여개 스마트기기 기업, 포항·경주의 900여개 철강기업 등 탄소 소재 수요산업군의 최대 분포지로, 탄소산업을 통해 지역 주력산업의 새로운 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해왔다.그동안 경북도는 2017년부터 탄소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17~'22, 693억원)을 시작으로 탄소성형부품 설계해석 및 상용화 기반구축('18~'22, 497억원), 탄소소재부품 리사이클링 기반구축('21~'23, 178억원) 사업을 통해 개발제품 기획 단계의 탄소복합재 설계 해석 기술 지원부터 재생 탄소섬유 부품 재제조 지원까지 전 공정의 기술 지원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했고, 또 다른 탄소소재인 인조흑연 부품 국산화 및 상용화를 위해 반도체 이차전지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도 구축 중이다.또 지역의 산·학·연·관이 공동으로 다양한 기술개발과 기업 지원사업을 꾸준히 하고 있으며 부족한 탄소산업분야 인력 양성을 위해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18~'27, 64억원)을 추진하는 등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R&D), 기업지원, 전문 인력양성 등 전방위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경북도는 탄소산업 육성을 위해 2017년 조례를 제정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해 경북도 탄소산업육성 추진 성과를 점검하고 2023년 시행계획에 대해 참석한 위원들이 심도 있게 논의했다.지난해 경북도는 탄소복합재, 인조흑연 등 탄소소재 수요기업과 연계한 기술개발, 대학중점연구소를 통한 기술기반의 인재양성, 지역기업과 해외기관 간 공동 기술개발 지원 등 분야별 총 16개 과제를 추진했다. 반도체?이차전지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구축 공모 선정, 방산항공우주용 탄소소재부품 랩팩토리 구축 국비 확보 등 총 600억원 규모의 사업을 국가 사업화하는 성과를 거뒀다.2023년 시행계획은 지난 2021년 수립된 경상북도 탄소산업육성 종합계획('22~'26)에 따른 2023년도 세부 추진계획으로, 5대 분야 총 23개 과제를 추진하도록 계획됐다. △지역산업 특성을 고려한 경북형 탄소소재부품 기술 육성 △기업의 기술 상용화를 돕는 탄소산업 생태계 강화 기반조성 △기술 기반의 인재와 기업을 양성하는 탄소기업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네트워크 구축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경북분원 유치를 중심으로 경상북도 탄소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탄소소재는 전기차?수소차, 도심항공 교통서비스, 발사체 노즐 등 미래 첨단산업에 적용되는 핵심 소재”임을 강조하며, “앞으로 우리 도는 대학, 기업 등 지역 수요를 중심으로 탄소산업 정책을 발굴?추진해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탄소강국으로 성장하는데 경북이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봄철 기온상승과 함께 고농도 미세먼지와 황사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더 정확한 대기오염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오는 13일부터 도시대기측정소에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기(기준채취기 등)에 대한 ‘등가성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등가성평가측정기(사진=경북도) 등가성평가는 도내 미세먼지 측정기와 국가기준 측정조건에 대한 일치성을 확인하는 작업으로, 미세먼지 측정값의 통일성과 정확성을 보증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다. 실시간 대기정보 및 미세먼지 예보 등에 활용되는 측정기는 평가기준을 모두 통과해야만 한다.연구원에서는 이번 등가성평가를 위해 지난 1월 연구원의 수동측정기4대에 대한 NRMs 평가를 의뢰해 국립환경과학원 미세먼지 정도관리센터로부터 적합인증을 받았다. 올해 23개 시군 평가대상은 총 69대로 기준채취기 43대와 자동측정기 26대이다. ※ NRMs(National Reference Methods System): 국가기준 측정시스템이화성 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장은 “미세먼지 측정값의 정확성과 통일성을 위해 도시대기측정소 미세먼지 측정기의 성능(등가성)평가를 엄격하게 실시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자료생산으로 도민들에게 황사 및 미세먼지 주의보를 신속히 전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마스크 의무착용 해제와 함께 야외활동이 많아진 올 봄철에는 식중독이 특히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식중독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식중독 예방 요령(사진=경북도) 최근 5년간(’18~22년) 도내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3~5월 봄철 식중독 발생이 24건(전체 91건)이며, 전체 식중독 환자의 12.5%가 이 기간에 발생했다.* 최근 5년간 계절별 식중독 발생 현황 : 봄(3~5월) 24건 237명, 여름(6~8월) 33건 561명, 가을(9~11월) 20건 918명, 겨울(12~2월) 14건 170명이는 일교차가 큰 봄철에는 낮 기온은 높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쌀쌀한 날씨 탓에 음식물 관리에 관한 경각심이 떨어지고,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장기간 음식물을 상온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특히, 코로나19로 인해 그동안 유지되던 사회적 거리두기 및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전면해제에 따라 야외활동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식중독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봄철에는 주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률이 높으며, 이 균은 열에 강한 포자를 만드는 특성이 있어 음식을 끓였던 경우라도 다시 증식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조리된 식품의 보관관리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따뜻하게 먹는 음식은 60℃ 이상, 차갑게 먹는 음식은 빠르게 식혀서 5℃ 이하에서 보관해야 하며, 보관된 음식을 먹을 때는 75℃ 이상으로 재 가열해야 한다.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 : 혐기성 세균인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에 의해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해당 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해당 균이 소장에서 증식하며 독소를 만들어 설사, 복통 등의 증세를 나타낸다.또한 봄철 나들이를 할 경우 조리된 도시락은 아이스박스를 이용해 보관·운반하고, 김밥 등 조리식품은 2시간 이내 섭취해야 한다. 그리고 육류와 수산물, 어패류는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고 75℃(어패류 85℃)이상에서 1분 이상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한편, 경북도는 봄 나들이 철 대비 유원지, 고속도로 휴게소 등 다중이용시설 내 식품취급업소를 대상으로 오는 13일부터 17일까지 유관기관 합동 지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김진현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이 제공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더욱더 힘쓰겠다”며, “평소에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생활화해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경북도는 최근 영덕 야생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추가 발생을 막기 위한 농장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인다고 밝혔다.▲ 방역소독(사진=경북도) 최근 상주, 문경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이 지속되고 영덕지역으로 감염이 확대되는 한편, 봄철 야생 멧돼지 출산기로 개체수가 증가하고 이동이 늘어 바이러스 전파 위험도가 매우 높다. * 도내 ASF 첫 발생(‘22년) 이후 검출 누계 : 139건(상주59, 문경51, 울진11, 봉화11, 영주3, 예천2, 영덕2)우선 도는 이번 야생 멧돼지 검출지 10km내 방역대 양돈농가 3호에 대해서는 이동제한 및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영덕 전체 양돈농가 11호에 대한 긴급 방역점검을 실시했다.또 발생지 인근 농장 및 진입로를 매일 소독하고, 바이러스 전파 위험도가 높은 영덕 및 인근 지역 양돈농장에 야생동물 기피제를 긴급 배부할 예정이다.방역이 취약한 도내 양돈 밀집사육단지 4개소*에 대해서는 단지별 맞춤형 방역대책을 수립해 방역조치가 적정하게 추진되는지 현장점검을 통해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 양돈 밀집사육단지 4개소 : 안동, 경산, 고령, 성주아울러 도내 전체 양돈농장에 대해 7대 방역시설의 설치여부를 수시 점검하고, 미설치 시에는 행정조치 등 농장 차단방역 수준을 높일 계획이다. 올해 경북도에서는 야생 멧돼지 개체수 저감을 위해 1만4000두를 포획 목표로 도내 22개 시군에 야생 멧돼지 포획단 672명을 운영하고 있다.현재 경북도내 전 양돈농장에 ASF 위험주의보가 발령 중이며 △마을방송 방역수칙 홍보 △농장입구 현수막 게첨 △출입차량 2단계 소독 △농장 4단계 소독 △영농장비 농장 내 반입금지 등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특히 양돈 종사자는 발생지 방문 금지, 농장 주변 영농활동 및 입산 금지, 장화갈아신기 등 기본 방역수칙 준수와 매일 가축예찰을 실시해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시군, 동물위생시험소 등 방역기관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최근 타도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이어지고, 야생 멧돼지로 인한 바이러스 전파 위험시기에 접어들어 한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다”며, “양돈농가 및 축산 관계자 모두 차단방역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64(-28)1,403,7032,927(+69)1,398,697(+494)2,079(+1) * 국내 563 국외 1 *치명률(3. 9. 0시 기준) - 경북 0.15%(2,078명), 전국 0.11%(34,081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97-2-18확진자912-21-42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3.4.(토) 3.5.(일) 3.6.(월) 3.7.(화) 3.8.(수) 3.9.(목) 3.10.(금) 누계(주)평균(주)검 사5,0282,0021,5022,1729,1376,4073,85430,1024,300.3확진자605(2)482(0)231(0)510(0)772(1)592(0)564(1)3,756(4)536.6(0.6)* 직전주 금요일(3.3) 현황 : 검사 1,342건, 확진자 494명(▲ 14.2%)(단위 : 명, %)구 분3.4.3.5.3.6.3.7.3.8.3.9.3.10.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6034822315107715925633,752536.0연령별60세↑확진자수(%)208(34.5)171(35.5)64(27.7)141(27.6)245(31.8)174(29.4)147(26.1)1150(30.7)164.318세↓확진자수(%)87(14.4)68(14.1)42(18.2)87(17.1)121(15.7)130(22.0)134(23.8)669(17.8)95.6외 국 인8(1.3)2(0.4)2(0.9)2(0.4)7(0.9)2(0.3)4(0.7)27(0.7)3.9 □ 시·군별 발생(국내 1,399,661, 유입 4,042)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403,703명287,804123,11474,38386,871251,91356,92849,38643,93937,221160,7808,691(+564)(+129)(+40)(+21)(+28)(+70)(+35)(+21)(+17)(+6)(+72)(+1)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1,10411,0026,29816,34717,87812,33716,01256,31829,59611,84621,7552,180(+15)(-)(+10)(+5)(+4)(+15)(+4)(+1)(+33)(+17)(+13)(+7)(-)
[유용한 정보] 폐암 초기 증상 기침 조심하세요
[좋은글] ♤ 아름답게 살아가는 사람 ♤
[뉴스] 군위군 직장공장새마을協, 산성면 어르신 대상 족욕봉사 및 닭백숙 나눔 행사
[뉴스] 군위농협 협동조직장 회의 개최
[뉴스] 대구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개최
[뉴스] 군위군 부계면, 경로당에 따뜻한 손길 이어져
[뉴스] 군위군, 정신건강복지센터 통해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위기대응 강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