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최근 비대면 소비 증가에 따른 지역 가공제품 판로확대를 위해 도내 농산물 가공경영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마케팅 기술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 비대면 온라인 판로 확대(사진=경북도)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020년 같은 달에 비해 16.5%(17조5,077억원) 증가하는 등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온라인쇼핑과 모바일쇼핑 등 비대면 소비문화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농업기술원은 이러한 소비패턴의 변화에 맞춰 지역 50개 농산물 가공경영체를 대상으로 온라인쇼핑몰 상세페이지 제작, 브랜드, 포장디자인 개발, 라이브커머스 교육 등을 실시했다. 이러한 교육 및 농가형 가공상품 마케팅 기술 지원 사업에 참여한 경영체들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평균 매출액이 1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경주 서가농업회사법인(도라지정과)의 경우, 온라인 판매로 매출이 전년에 비해 52% 증가했고, 소백산아래 한부각(영주)은 20%, 수미담(성주) 11%, 문경미소(문경) 10%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문경미소(오미자가공품), 소백산아래 한부각(부각)은 미국, 네덜란드, 싱가폴 등 해외시장도 개척해 가공제품을 수출하는 성과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농업기술원은 올해 신세계?현대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와 연계해 가공제품 온?오프라인 판촉전을 개최하고 품평회를 통한 소비자 평가를 제품에 반영해 디지털 온택트 마케팅과 제품개발에 더욱 집중할 방침이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지금 농식품 유통, 소비시장이 비대면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K-푸드에 대한 전세계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우수 가공경영체들이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으로 판로를 확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컨설팅 등 지원 사업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기존에 종이고지서로 발송하던 ▷지방세체납고지서 ▷세외수입체납고지서 ▷지방세환급금 신청 ▷자동차세 연세액 안내(이하 ‘체납고지서 등’이라한다) 등 연간 약 200만 건에 대해 모바일 전자송달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페이 모바일 안내 예시(사진=경북도) 이번 체납세고지서 등에 대한 전자송달을 통해 지방세정 송달 업무의 효율성 증대, 납세자 편의 도모와 더불어 연간 약 3.2억원(기존 종이송달 대비 53.3% 절감)의 예산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지방세는 2007년 전자송달 방식을 규정하고, 2014년 위택스 시스템을 구축해 전자송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납세자가 직접 신청한 정기분*·수시분** 지방세의 경우에 모바일 전자송달을 추진하고 있다. * (정기분) 재산세, 자동차세, 등록면허세(면허분), 주민세(개인분) ** (수시분) 정기분 수시 부과할 사유가 발생하는 때 부과·징수하는 지방세경북도는 23개 시군, SCI 평가정보(CI변환), 카카오페이(모바일 송달)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모바일 송달 대상을 4개 분야로 결정해 납세자의 신청여부와 관계없이 모바일 전자송달을 올해 1월부터 시행*한다. * 1월에 시행 : 지방세·세외수입 체납 고지 , 지방세환급금·자동차 연세액 신청안내(44만건)납세자는 체납고지서 등에 대해 별도의 신청 없이도 카카오톡을 통한 모바일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안내를 받은 납세자는 모바일 개인 인증을 거쳐 체납세 전자고지서를 확인하고 모바일로 납부도 가능하다.또 찾아가지 않은 지방세환급금을 안내해 수령할 수 있도록 하고, 올해 자동차 연세액(자동차 총액의 9.15% 할인)도 개인별로 안내해 납세자 편의를 제고할 방침이다.이를 통해 체납세 징수 및 자동차 연세액 신청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황명석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모바일 전자송달 대상을 추가적으로 늘려 납세자 편의를 확대하고 개인정보 보호에도 철저를 기해 차질 없는 업무를 수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2.4%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치료중퇴 원사 망경북99(+22)16,4331,273(+72)14,974(+26)186(+1) * 국내 92, 해외 7 □ 주요 집단발생 현황합계‘21.12.1. 이전‘21. 12. 1. 이후소계해외유입안동병원포항S아동시설김천T사업장경산운동부포항P아동시설김천S사업장기타집단감염확진자접 촉조사중16,433명11,2685,1658213926321826228923,039889(+99) (+7) (+2)(+4)(+8)(+21) (+46)(+11) * 치명률 ? 경북(1.13. 기준) 1.13%(186명), 전국(1.12. 기준) 0.91%(6,166명)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30.(木)12.31.(金)‘22.1.1.(土)1.2.(日)1.3.(月)1.4.(火)1.5.(水)1.6.(木)1.7.(金)1.8.(土)1.9.(日)1.10.(月)1.11.(火)1.12.(水)검 사18,53617,11515,3509,8949,76611,99714,33514,35515,13612,99711,9378,90312,74912,610확진자105(2)116(2)9449(2)62(3)9789(1)109(5)85(3)93(4)88(9)60(2)77(5)99(7)확진율0.60.70.60.50.60.80.60.80.60.70.70.70.60.8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576명 1일평균 82.3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1,178명 1일평균 84.1명 □ 시·군별 발생(국내 15,951, 해외유입 482)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6,433명 (+99)2,724(+21)(+2)1,869(+7)(+1)1,035(+30)699(+1)2,636(+11)(+2)584(+1)4483553062,974(+14)(+1)80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6193(+1)37191(+2)266269264(+2)704(+1)(+1)249139(+1)23317
경북도 인사이동조서(2022. 1. 17.字, 659명) ◆ 승진 : 154명▷교통정책과 윤희락(공업5급)▷농업기술원 연일권(농업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먹는물검사과장 신상천(환경연구관)▷빅데이터담당관실(메타경북추진단) 이동진(행정5급의결)▷사회재난과 이재관(행정5급의결)▷중소벤처기업과 박소영(행정5급의결)▷민생경제과 김준호(행정5급의결)▷사회적경제과 김기환(행정5급의결)▷과학기술정책과 윤도영(행정5급의결)▷여성가족행복과 김지훈(행정5급의결)▷인사과 강동욱(행정5급의결)▷새마을봉사과 한상엽(행정5급의결)▷회계과 김경영(행정5급의결)▷전국체전기획단 김미선(행정5급의결)▷어르신복지과 조연순(행정5급의결)▷해양레저관광과 이성태(행정5급의결)▷산림환경연구원 관리운영과장 직무대리 구본석(행정5급의결)▷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김영남(행정5급의결)▷친환경농업과 제갈승(농업5급의결)▷산림자원과 이상학(녹지5급의결)▷산림자원과 황현장(녹지5급의결)▷축산정책과 이은미(수의5급의결)▷환경정책과 조완식(환경5급의결)▷도시계획과 김좌락(시설5급의결)▷감사관실 김진용(시설5급의결)▷안전정책과 김재한(시설5급의결)▷도로철도과 최종수(시설5급의결)▷신도시활성과 조훈석(시설5급의결)▷북부건설사업소 도로정비과장 직무대리 이유경(시설5급의결)▷남부건설사업소 도로정비과장 직무대리 서재호(시설5급의결)▷건축디자인과 전병련(시설5급의결)▷회계과 김중환(운전5급의결)▷농업기술원 류영현(농업연구관의결)▷대변인실 장숙희(행정6급)▷감사관실 조창률(행정6급)▷감사관실 이종인(행정6급)▷정책기획관실 박경재(행정6급)▷정책기획관실 박지혜(행정6급)▷정책기획관실 윤효정(행정6급)▷빅데이터담당관실 권용환(행정6급)▷빅데이터담당관실(메타경북추진단) 권기복(행정6급)▷사회재난과 김승현(행정6급)▷자연재난과 하경운(행정6급)▷일자리경제노동과 이경애(행정6급)▷중소벤처기업과 이연주(행정6급)▷중소벤처기업과 이기주(행정6급)▷민생경제과 장세익(행정6급)▷외교통상과 이미승(행정6급)▷외교통상과 이경은(행정6급)▷과학기술정책과 이상미(행정6급)▷자치행정과 주지용(행정6급)▷새마을봉사과 임군호(행정6급)▷회계과 김효정(행정6급)▷회계과 장기헌(행정6급)▷관광마케팅과 서다연(행정6급)▷체육진흥과 이미란(행정6급)▷사회복지과 김문현(행정6급)▷어르신복지과 유영훈(행정6급)▷건축디자인과 하은혜(행정6급)▷신도시활성과 박시용(행정6급)▷인재개발원 주은희(행정6급)▷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박광섭(행정6급)▷남부건설사업소 장혜정(행정6급)▷서울본부 박상현(행정6급)▷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박지홍(행정6급)▷의회사무처 허자은(행정6급)▷행정안전부 파견<1.28字> 장화영(행정6급)▷전북연구원 파견(가야고분군 추진단)<1.28字> 이지현(행정6급)▷세정담당관실 김혜경(세무6급)▷법무혁신담당관실 박건우(세무6급)▷안전정책과 정기용(전산6급)▷안전정책과 이기훈(공업6급)▷교통정책과 김태호(공업6급)▷청도복숭아연구소 박석진(공업6급)▷구미화훼연구소 박종욱(공업6급)▷축산기술연구소 송재복(공업6급)▷감사관실 김준철(농업6급)▷농업정책과 홍준석(농업6급)▷상주시 파견(스마트벨리운영과) 김기욱(농업6급)▷상주시 파견(스마트벨리운영과) 이기철(농업6급)▷감염병관리과 유수진(보건6급)▷감염병관리과 이주현(보건6급)▷식품의약과 최은정(보건6급)▷구미화학방재센터 파견<1.25字> 최지환(환경6급)▷안전정책과 이경진(시설6급)▷자연재난과 김신영(시설6급)▷자연재난과 최동준(시설6급)▷농촌활력과 박노서(시설6급)▷농촌활력과 김세민(시설6급)▷도로철도과 서명석(시설6급)▷남부건설사업소 문종민(시설6급)▷국토교통부 파견<2.5字> 장나리(시설6급)▷농업기술원 이종승(방송통신6급)▷경북도립대학교 이택명(운전6급)▷대변인실 김민관(행정7급)▷감사관실 김익환(행정7급)▷미래전략기획단 김광재(행정7급)▷정책기획관실 김지혜(행정7급)▷예산담당관실 김상민(행정7급)▷예산담당관실 김보라(행정7급)▷안전정책과 김수진(행정7급)▷소재부품산업과 정현욱(행정7급)▷아이세상지원과 허광호(행정7급)▷자치행정과 김지혜(행정7급)▷자치행정과 남혜리(행정7급)▷인사과 박문화(행정7급)▷회계과 이호연(행정7급)▷농업기술원 전효진(행정7급)▷에너지산업과 이수민(행정7급)▷원자력정책과 도규진(행정7급)▷수산자원연구원 김지영(행정7급)▷잠사곤충사업장 전준범(행정7급)▷산림자원개발원 유지민(행정7급)▷경북도서관 김지은(행정7급)▷의회사무처 정현희(행정7급)▷의회사무처 최재민(행정7급)▷의회사무처 윤보라(행정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박형석(행정7급)▷아이세상지원과 황지은(사회복지7급)▷교통정책과 정다엽(공업7급)▷교통정책과 권태정(공업7급)▷건축디자인과 김수진(공업7급)▷농업자원관리원 최주경(공업7급)▷4차산업기반과 최희수(공업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김효선(공업7급)▷축산기술연구소 이운노(농업7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 주병권(녹지7급)▷수산자원연구원 권예솔(해양수산7급)▷인재개발원 강수정(간호7급)▷남부건설사업소 백종현(시설7급)▷문화예술과 문중각(시설7급)▷토지정보과 송형재(시설7급)▷감사관실 박선영(행정8급)▷일자리경제노동과 김준영(행정8급)▷민생경제과 박현지(행정8급)▷여성가족행복과 조경미(행정8급)▷문화유산과 조순정(행정8급)▷체육진흥과 류정모(행정8급)▷농업기술원 이정원(행정8급)▷경북도립대학교 장은정(행정8급)▷동물위생시험소 신아름(행정8급)▷경북도서관 이은지(행정8급)▷독도해양정책과 윤성호(전산8급)▷안전정책과 박세훈(시설8급)▷자연재난과 이경희(시설8급)▷남부건설사업소 김영애(시설8급)▷남부건설사업소 김흥태(시설8급)▷남부건설사업소 박현석(시설8급)▷안전정책과 신재현(시설8급)▷회계과 김정동(시설8급)▷전국체전기획단 이유창(시설8급)▷건축디자인과 신호식(시설8급)▷인재개발원 황기현(시설8급)▷생물자원연구소 권용범(시설관리8급) ◆ 전보 : 344명▷대변인실 지진태(행정5급)▷대변인실 이동진(행정5급)▷감사관실 최현묵(행정5급)▷미래전략기획단 정현희(행정5급)▷미래전략기획단 정경희(행정5급)▷투자유치실 김춘희(행정5급)▷청년정책관실 김진기(행정5급)▷정책기획관실 남성수(행정5급)▷예산담당관실 윤선균(행정5급)▷세정담당관실 조영목(행정5급)▷법무혁신담당관실 권종원(행정5급)▷빅데이터담당관실 이채광(행정5급)▷안전정책과 마성진(행정5급)▷교통정책과 변영구(행정5급)▷4차산업기반과 정명교(행정5급)▷바이오생명산업과 조영길(행정5급)▷아이세상지원과 이소영(행정5급)▷자치행정과 박문관(행정5급)▷인사과 이학명(행정5급)▷새마을봉사과 김무현(행정5급)▷회계과 조정희(행정5급)▷정보통신과 서병문(행정5급)▷문화예술과 김희숙(행정5급)▷문화예술과 손기인(행정5급)▷문화산업과 이금용(행정5급)▷문화산업과 황영석(행정5급)▷문화유산과 김소영(행정5급)▷관광정책과 정태환(행정5급)▷전국체전기획단 이영순(행정5급)▷농업정책과 이동욱(행정5급)▷농촌활력과 정수미(행정5급)▷사회복지과 조현표(행정5급)▷농업기술원 총무과 장진석(행정5급)▷인재개발원 교육지원과 김수룡(행정5급)▷인재개발원 교육운영과 오점화(행정5급)▷보건환경연구원 총무과 김성일(행정5급)▷환동해지역본부 총무민원실 최종석(행정5급)▷동해안정책과 이홍작(행정5급)▷동해안정책과 박건삼(행정5급)▷서울본부 김대석(행정5급)▷경북도서관 임완식(행정5급)▷농식품유통과 안영미(농업5급)▷농식품유통과 민태규(농업5급)▷잠사곤충사업장장 서경화(농업5급)▷산림자원과 임일규(녹지5급)▷산림산업관광과 박준일(녹지5급)▷산림산업관광과 전영수(녹지5급)▷신도시활성과 임경규(녹지5급)▷사방기술교육센터장 김희진(녹지5급)▷수목원관리소장 이종환(녹지5급)▷어르신복지과 김경은(보건5급)▷보건정책과 전은진(보건5급)▷감염병관리과 반순득(보건5급)▷감염병관리과 장해광(보건5급)▷식품의약과 이은숙(보건5급)▷환경정책과 서동균(환경5급)▷환경정책과 홍경식(환경5급)▷환경안전과 이정호(환경5급)▷맑은물정책과 신용(환경5급)▷맑은물정책과 류재욱(환경5급)▷독도해양정책과 한정수(환경5급)▷자연재난과 이진호(시설5급)▷농촌활력과 이석우(시설5급)▷도시계획과 송인수(시설5급)▷도시재생과 권오열(시설5급)▷도시재생과 민병철(시설5급)▷도로철도과 김수용(시설5급)▷하천과 조현고(시설5급)▷해양레저관광과 남용우(시설5급)▷북부건설사업소 시설과장 장계준(시설5급)▷남부건설사업소 시설과장 김홍성(시설5급)▷회계과 노성호(시설5급)▷119종합상황실 김영환(방송통신5급)▷농업자원관리원 의성분원장 김승한(농업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조사과장 서상욱(보건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장 김규옥(보건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수인성질환과장 손동철(보건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신종감염병과장 이창일(보건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포항농수산물검사소장 김효순(환경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폐기물분석과장 나채근(환경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먹는물검사과장 최현경(환경연구관)▷감사관실 김준상(행정6급)▷통합신공항추진단 김민지(행정6급)▷투자유치실 김윤택(행정6급)▷정책기획관실 오정민(행정6급)▷정책기획관실 심화중(행정6급)▷법무혁신담당관실 김인선(행정6급)▷법무혁신담당관실 우병성(행정6급)▷안전정책과 도남규(행정6급)▷안전정책과 최미영(행정6급)▷일자리경제노동과 이덕우(행정6급)▷일자리경제노동과 이준석(행정6급)▷중소벤처기업과 최재철(행정6급)▷사회적경제과 이수정(행정6급)▷사회적경제과 강진태(행정6급)▷사회적경제과 이진영(행정6급)▷과학기술정책과 류한(행정6급)▷4차산업기반과 박경미(행정6급)▷소재부품산업과 심영수(행정6급)▷바이오생명산업과 이예경(행정6급)▷인구정책과 이치영(행정6급)▷인구정책과 김경환(행정6급)▷아이세상지원과 권혜원(행정6급)▷아이세상지원과 이황희(행정6급)▷여성가족행복과 신용희(행정6급)▷자치행정과 여지현(행정6급)▷자치행정과 김대원(행정6급)▷자치행정과 한상호(행정6급)▷인사과 양경일(행정6급)▷인사과 추은주(행정6급)▷교육정책과 조민근(행정6급)▷새마을봉사과 박근철(행정6급)▷회계과 황수진(행정6급)▷문화예술과 박연정(행정6급)▷문화예술과 송재희(행정6급)▷문화예술과 김숙현(행정6급)▷문화유산과 김현준(행정6급)▷관광정책과 강성희(행정6급)▷관광마케팅과 권태규(행정6급)▷관광마케팅과 안순모(행정6급)▷체육진흥과 장호선(행정6급)▷체육진흥과 김진영(행정6급)▷전국체전기획단 김민주(행정6급)▷전국체전기획단 김윤주(행정6급)▷농업정책과 김윤희(행정6급)▷친환경농업과 전현숙(행정6급)▷환경정책과 황진희(행정6급)▷산림산업관광과 김행환(행정6급)▷사회복지과 이지훈(행정6급)▷사회복지과 조미혜(행정6급)▷도시계획과 이우영(행정6급)▷도로철도과 김진철(행정6급)▷인재개발원 김대홍(행정6급)▷인재개발원 김선애(행정6급)▷인재개발원 박현숙(행정6급)▷보건환경연구원 총무과 임언경(행정6급)▷독도해양정책과 정현지(행정6급)▷독도해양정책과 김현아(행정6급)▷해양레저관광과 김대균(행정6급)▷농업자원관리원 나미희(행정6급)▷동물위생시험소 김순례(행정6급)▷남부건설사업소 조정영(행정6급)▷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정주호(행정6급)▷경북도서관 김성호(행정6급)▷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김진경(행정6급)▷세정담당관실 박대성(세무6급)▷감사관실 남수민(전산6급)▷감사관실 윤성욱(전산6급)▷인사과 정성욱(전산6급)▷회계과 배수정(전산6급)▷정보통신과 박윤경(전산6급)▷정보통신과 이흠우(전산6급)▷어르신복지과 김정남(사회복지6급)▷투자유치실 강현모(공업6급)▷중소벤처기업과 변상철(공업6급)▷과학기술정책과 김상춘(공업6급)▷북부건설사업소 정수철(공업6급)▷남부건설사업소 조달호(공업6급)▷봉화약용작물연구소 서덕윤(공업6급)▷농업정책과 김충현(농업6급)▷친환경농업과 안중기(농업6급)▷친환경농업과 박신연(농업6급)▷잠사곤충사업장 이수현(농업6급)▷감사관실 금동준(녹지6급)▷인사과 박소영(녹지6급)▷산림자원과 김문태(녹지6급)▷산림자원과 이상환(녹지6급)▷산림자원과 김희수(녹지6급)▷산림자원과 신은주(녹지6급)▷산림자원과 이상표(녹지6급)▷산림산업관광과 이명재(녹지6급)▷산림환경연구원 김현창(녹지6급)▷산림환경연구원 장혜진(녹지6급)▷산림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김인한(녹지6급)▷사방기술교육센터 위지숙(녹지6급)▷산림자원개발원 김대엽(녹지6급)▷동물위생시험소 김정일(수의6급)▷동물위생시험소 김은영(수의6급)▷동물위생시험소 북부지소 최정태(수의6급)▷어업기술센터 영덕지소 이해곤(해양수산6급)▷수산자원연구원 김명희(해양수산6급)▷수산자원연구원 박서준(해양수산6급)▷민물고기연구센터 권상걸(해양수산6급)▷민물고기연구센터 이영준(해양수산6급)▷해양수산과 김장언(해양수산6급)▷감염병관리과 박성훈(보건6급)▷어르신복지과 손승민(간호6급)▷보건정책과 배효은(간호6급)▷감염병관리과 김정미(간호6급)▷환경정책과 배대준(환경6급)▷환경정책과 임영진(환경6급)▷환경정책과 최창석(환경6급)▷환경안전과 유정우(환경6급)▷체육진흥과 최혁중(시설6급)▷맑은물정책과 이동창(시설6급)▷도시계획과 권순호(시설6급)▷도시계획과 김인규(시설6급)▷도시계획과 박병호(시설6급)▷도시재생과 김광연(시설6급)▷하천과 이제형(시설6급)▷하천과 정대원(시설6급)▷신도시활성과 홍순일(시설6급)▷독도해양정책과 김문주(시설6급)▷해양레저관광과 홍성진(시설6급)▷북부건설사업소 윤용식(시설6급)▷남부건설사업소 도경보(시설6급)▷건축디자인과 백종민(시설6급)▷경북도서관 황성욱(시설6급)▷회계과 이연대(시설6급)▷안전정책과 박기진(방송통신6급)▷정보통신과 전창기(방송통신6급)▷해양수산과 최재환(방송통신6급)▷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정인성(기계운영6급)▷농업자원관리원 권민지(농업연구사)▷산림환경연구원 고수선(녹지연구사)▷산림환경연구원 임지음(녹지연구사)▷산림환경연구원 김진우(녹지연구사)▷수목원관리소 박성호(녹지연구사)▷동물방역과 하미선(수의연구사)▷어업기술센터 정주학(해양수산연구사)▷수산자원연구원 윤성민(해양수산연구사)▷민물고기연구센터 김옥신(해양수산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최운석(보건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박윤지(보건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송다영(보건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박자영(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박상수(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조은미(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강윤주(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김지영(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박헌영(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손예슬(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윤찬수(환경연구사)▷감사관실 유승용(행정7급)▷미래전략기획단 권민정(행정7급)▷투자유치실 조찬웅(행정7급)▷청년정책관실 권은지(행정7급)▷청년정책관실 권수정(행정7급)▷예산담당관실 황지훈(행정7급)▷예산담당관실 권석호(행정7급)▷예산담당관실 최규석(행정7급)▷예산담당관실 조세영(행정7급)▷법무혁신담당관실 허보람(행정7급)▷빅데이터담당관실(메타경북추진단) 이원우(행정7급)▷안전정책과 강덕수(행정7급)▷민생경제과 김성철(행정7급)▷민생경제과 박다예(행정7급)▷외교통상과 오선주(행정7급)▷과학기술정책과 박숭인(행정7급)▷4차산업기반과 권영현(행정7급)▷바이오생명산업과 김병찬(행정7급)▷인구정책과 정지은(행정7급)▷아이세상지원과 김지영(행정7급)▷자치행정과 석연정(행정7급)▷인사과 명상우(행정7급)▷인사과 임인영(행정7급)▷인사과 서혜인(행정7급)▷새마을봉사과 박정희(행정7급)▷회계과 김기웅(행정7급)▷문화예술과 권기훈(행정7급)▷관광정책과 김민희(행정7급)▷관광마케팅과 윤수경(행정7급)▷환경정책과 박경환(행정7급)▷어르신복지과 김지은(행정7급)▷도시계획과 서수진(행정7급)▷도시계획과 신목산(행정7급)▷도시계획과 사현아(행정7급)▷환동해지역본부 총무민원실 서구환(행정7급)▷잠사곤충사업장 김선주(행정7급)▷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서주연(행정7급)▷예산담당관실 김태성(전산7급)▷과학기술정책과 김도연(전산7급)▷정보통신과 조정화(전산7급)▷교통정책과 김춘동(공업7급)▷건축디자인과 유삼용(공업7급)▷인재개발원 권철환(공업7급)▷환경안전과 문준석(공업7급)▷농업정책과 정희정(농업7급)▷친환경농업과 임경태(농업7급)▷산림산업관광과 김예지(녹지7급)▷신도시활성과 김용섭(녹지7급)▷산림환경연구원 이혁규(녹지7급)▷산림환경연구원 박수진(녹지7급)▷산림환경연구원 손희정(녹지7급)▷산림환경연구원 최민석(녹지7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 박철민(녹지7급)▷동물방역과 정원석(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이승민(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김숭구(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북부지소 이상순(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동부지소 장은영(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김상우(수의7급)▷토속어류산업화센터 김동우(해양수산7급)▷민물고기연구센터 이수현(해양수산7급)▷감염병관리과 여유진(보건7급)▷감염병관리과 남지헌(보건7급)▷식품의약과 임건우(보건7급)▷보건정책과 김정완(간호7급)▷보건정책과 손효진(간호7급)▷감염병관리과 서지현(간호7급)▷경북도립대학교 권채린(간호7급)▷환경정책과 서명자(환경7급)▷환경정책과 김수진(환경7급)▷환경안전과 윤서원(환경7급)▷맑은물정책과 송수지(환경7급)▷맑은물정책과 송진호(환경7급)▷새마을봉사과 이진규(시설7급)▷맑은물정책과 장한미루(시설7급)▷도시재생과 신수용(시설7급)▷도로철도과 김종인(시설7급)▷도로철도과 이희우(시설7급)▷하천과 김주동(시설7급)▷감사관실 박민규(시설7급)▷자연재난과 유지원(시설7급)▷문화유산과 김민혜(시설7급)▷건축디자인과 권경숙(시설7급)▷토지정보과 박준재(시설7급)▷안전정책과 김창진(방송통신7급)▷감염병관리과 김미정(위생7급)▷청년정책관실 김민규(행정8급)▷사회재난과 김건욱(행정8급)▷민생경제과 석상빈(행정8급)▷자치행정과 이기훈(행정8급)▷자치행정과 이승태(행정8급)▷체육진흥과 김성택(행정8급)▷체육진흥과 고재성(행정8급)▷친환경농업과 안미영(행정8급)▷문화산업과 김민영(공업8급)▷친환경농업과 김민채(농업8급)▷해양수산과 박선희(해양수산8급)▷하천과 김지현(시설8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 이상록(시설관리8급)▷남부건설사업소 김재우(운전8급)▷통합신공항추진단 김지혜(행정9급)▷정책기획관실 권재욱(행정9급)▷회계과 조연단(행정9급)▷문화예술과 임지훈(행정9급)▷친환경농업과 김종현(행정9급)▷어르신복지과 최영진(행정9급)▷보건정책과 이재용(행정9급)▷경북도서관 민세라(전산9급)▷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임윤식(공업9급)▷수목원관리소 천세진(녹지9급)▷바이오생명산업과 임다연(보건9급) ◆ 파견 : 82명▷국무조정실 파견<1.23字> 권정심(행정5급)▷행정안전부 파견 하승현(행정5급)▷보건복지부 파견 석동훈(행정5급)▷여성가족부 파견<1.25字> 박종식(행정5급)▷여성가족부 파견<1.25字> 나선경(행정5급)▷국토교통부 파견<1.19字> 박미경(행정5급)▷통계청 파견<2.1字> 남현대(행정5급)▷구미스마트산단사업단 파견<1.28字> 최유복(행정5급)▷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파견<1.23字> 김상현(행정5급)▷한뿌리상생위원회 파견<1.25字> 김성훈(행정5급)▷동북아시아사무국 파견<1.23字> 임은진(행정5급)▷외교통상과(러시아통상주재관 파견) 서동섭(행정5급)▷영천시 파견 홍진근(행정5급)▷의성군 파견 김남엽(행정5급)▷국가철도공단 파견<1.20字> 주홍렬(시설5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복성원(시설5급)▷상주시 파견 조인호(농촌지도관)▷행정안전부 파견 오혜림(행정6급)▷구미스마트산단사업단 파견<1.28字> 금재정(행정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김설희(행정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지주영(행정6급)▷경북문화재단 파견<1.23字> 황창식(행정6급)▷한뿌리상생위원회 파견<1.25字> 배소영(행정6급)▷동북아시아사무국 파견<1.23字> 김태훈(행정6급)▷산림청 파견<1.28字> 최양환(녹지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황현두(녹지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박명식(시설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이한영(방송통신6급)▷상주시 파견(스마트벨리운영과) 정종도(농업연구사)▷상주시 파견(스마트벨리운영과) 김병구(농촌지도사)▷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채동우(행정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박지영(행정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이은정(행정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이현준(공업7급)▷상주시 파견(스마트벨리운영과) 서미선(농업7급)▷상주시 파견(스마트벨리운영과) 박진우(농업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임근영(환경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박세정(환경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김진휘(시설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천정덕(시설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전새미(시설7급)▷의회사무처 파견 최병렬(시설5급)▷의회사무처 파견 서정인(행정6급)▷의회사무처 파견 권세형(행정6급)▷의회사무처 파견 이강원(행정7급)▷의회사무처 파견 김유섭(시설7급)▷의회사무처 파견 최병곤(방송통신7급)▷의회사무처 파견 김경희(행정8급)▷의회사무처 파견 성동각(행정8급)▷의회사무처 파견 김민지(사서8급)▷의회사무처 파견 류동근(방송통신8급)▷교육파견 법무혁신담당관실 최준영(행정5급)▷교육파견 민생경제과 이병정(행정5급)▷교육파견 사회적경제과 박래억(행정5급)▷교육파견 과학기술정책과 이영경(행정5급)▷교육파견 파견복귀<1.23字> 도은영(행정5급)▷교육파견 문화유산과 김철교(행정5급)▷교육파견 전국체전기획단 이애희(행정5급)▷교육파견 북부건설사업소 정성길(시설5급)▷교육파견 감사관실 정화수(행정6급)▷교육파견 정책기획관실 신홍철(행정6급)▷교육파견 정책기획관실 윤은정(행정6급)▷교육파견 휴직복직 이원영(행정6급)▷교육파견 정책기획관실 최재영(행정6급)▷교육파견 안전정책과 이혜미(행정6급)▷교육파견 중소벤처기업과 권경아(행정6급)▷교육파견 자치행정과 한경남(행정6급)▷교육파견 관광정책과 김민경(행정6급)▷교육파견 체육진흥과 조은아(행정6급)▷교육파견 전국체전기획단 김무근(행정6급)▷교육파견 도로철도과 손익민(행정6급)▷교육파견 신도시활성과 김정훈(행정6급)▷교육파견 정보통신과 김은수(전산6급)▷교육파견 중소벤처기업과 박정호(공업6급)▷교육파견 기술보급과 한상렬(공업6급)▷교육파견 농업정책과 황경욱(농업6급)▷교육파견 산림자원과 유홍석(녹지6급)▷교육파견 산림자원과 윤주완(녹지6급)▷교육파견 동물위생시험소 동부지소 김인경(수의6급)▷교육파견 환경정책과 정용철(환경6급)▷교육파견 안전정책과 이치화(시설6급)▷교육파견 북부건설사업소 박범동(시설6급) ◆ 전입 : 33명▷농업기술원 김용택(농촌지도관)▷투자유치실 정현숙(행정5급)▷청년정책관실 김수미(행정5급)▷4차산업기반과 박선영(행정5급)▷교육정책과 권태연(행정5급)▷도시계획과 허재열(행정5급)▷신도시활성과 최진영(행정5급)▷하천과 김명종(시설5급)▷감사관실 임우홍(행정6급)▷감사관실 권태섭(행정6급)▷투자유치실 방종덕(행정6급)▷일자리경제노동과 박병상(행정6급)▷문화산업과 김건희(행정6급)▷문화유산과 권창희(행정6급)▷관광정책과 김영종(행정6급)▷친환경농업과 김중회(행정6급)▷동물위생시험소 동부지소 도향숙(행정6급)▷청년정책관실 김상일(행정6급)▷법무혁신담당관실 도경주(행정7급)▷사회재난과 이준아(행정7급)▷사회적경제과 장윤영(행정7급)▷과학기술정책과 엄미영(행정7급)▷과학기술정책과 홍정훈(행정7급)▷자치행정과 손종우(행정7급)▷자치행정과 박창현(행정7급)▷자치행정과 김병희(행정7급)▷인사과 고태욱(행정7급)▷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권명섭(행정7급)▷농업기술원 총무과 김시명(시설8급)▷경북도서관 이경은(방송통신8급)▷안전정책과 장시준(행정9급)▷바이오생명산업과 홍성희(행정9급)▷새마을봉사과 김우규(행정9급) ◆ 신규임용 : 38명▷보건환경연구원 윤혜근(보건연구사)▷미래전략기획단 박현민(행정7급)▷정책기획관실 황현덕(행정7급)▷아이세상지원과 안은규(행정7급)▷대변인실 이지현(행정9급)▷투자유치실 김상민(행정9급)▷청년정책관실 안현애(행정9급)▷세정담당관실 김재란(행정9급)▷일자리경제노동과 손혜림(행정9급)▷교통정책과 권홍일(행정9급)▷외교통상과 신민욱(행정9급)▷과학기술정책과 김나령(행정9급)▷바이오생명산업과 박찬미(행정9급)▷여성가족행복과 이윤화(행정9급)▷자치행정과 허승주(행정9급)▷인사과 여운영(행정9급)▷문화예술과 김대엽(행정9급)▷체육진흥과 윤지영(행정9급)▷친환경농업과 금선우(행정9급)▷산림자원과 최연교(행정9급)▷보건정책과 김수진(행정9급)▷감염병관리과 권상수(행정9급)▷식품의약과 채민주(행정9급)▷신도시활성과 김예운(행정9급)▷보건환경연구원 박주영(행정9급)▷동해안정책과 이현서(행정9급)▷에너지산업과 정예은(행정9급)▷산림환경연구원 전민재(행정9급)▷남부건설사업소 신지영(행정9급)▷경북도서관 류소해(행정9급)▷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이재욱(행정9급)▷자연재난과 이영주(전산9급)▷산림자원개발원 전준모(녹지9급)▷해양수산과 김소형(해양수산9급)▷독도해양정책과 최진태(해양수산9급)▷안전정책과 김동욱(방송통신9급)▷농업기술원 이진호(방송통신9급)▷농업자원관리원 박준호(시설관리9급) ◆ 공로연수 : 8명▷정보통신과 김정태(행정5급)▷보건환경연구원 총무과 김종섭(행정5급)▷교통정책과 남구진(공업5급)▷잠사곤충사업장장 김왕식(농업5급)▷농업자원관리원 의성분원장 조지형(농업연구관)▷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장 최홍집(농업연구관)▷보건환경연구원 포항농수산물검사소장 박승우(보건연구관)▷인재개발원 교육지원과 금혜숙(행정6급)경북도 인사이동조서(전입)(2022. 1. 18.字, 24명) ◆ 전입 : 24명▷산림자원개발원 김진선(행정7급)▷산림자원개발원 서행은(행정7급)▷서울본부 유상은(행정7급)▷보건환경연구원 윤소연(행정8급)▷경북도립대학교 송정은(행정8급)▷경북도립대학교 강제모(행정8급)▷경북도립대학교 박정현(행정8급)▷동해안정책과 이지현(행정8급)▷농업자원관리원 조해명(행정8급)▷농업자원관리원 주연주(행정8급)▷잠사곤충사업장 허란설(행정8급)▷동물위생시험소 동부지소 오서윤(행정8급)▷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박지영(행정8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 윤수정(행정8급)▷남부건설사업소 유지영(행정8급)▷남부건설사업소 배다혜(행정8급)▷세정담당관실 이승준(세무8급)▷아이세상지원과 전혜진(사회복지8급)▷어르신복지과 이재호(사회복지8급)▷환경안전과 임기영(공업8급)▷잠사곤충사업장 안창민(농업8급)▷환경안전과 이재혁(환경8급)▷독도해양정책과 박근록(시설8급)▷북부건설사업소 이한욱(시설8급)
경상북도는 12일 지역 내 주택건설현장에 대해 도 건축디자인과장, 시군 건축담당과장, 관계공무원 등 10여 명으로 2개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주택건설현장 긴급 안전점검(사진=경북도) 최근 전국적인 주택건설사업 증가로 인해 아파트 신축 현장과 함께 각종 안전사고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지난 11일 광주 서구의 한 신축 아파트 공사현장에서도 외벽 붕괴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지역 주택건설현장에 대해서도 특별 안전관리대책 또한 요구되는 실정이다.이에 경북도는 공사장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은 동절기 및 해빙기를 대비해 11개 시군에 25개의 신축 아파트 현장 중 골조공사가 진행 중인 4개 현장(포항2, 구미1, 경산1)을 표본으로 점검했다.이번 점검에서 콘크리트 타설 보양, 지반침하 및 토사붕괴, 화재발생 등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중점적으로 점검해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시정 조치했다.점검결과 전반적으로 시공품질 관리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경북도 관계자는 “최근 주택건설현장에서 건물 붕괴, 대형건설기계 전도 등 각종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라며, “경북도는 선제적인 안전점검을 통해 건설재해 발생을 방지하고 안전한 지역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소방본부는 12일 상주 중앙시장 등 재래시장 19개소에서 ‘안전하기 좋은 날’동시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안전하기 좋은 날 캠페인(사진=경북도) 안전하기 좋은 날은 재래시장, 다중이용시설 등 화재취약시설에 대해 시설물 관리자 주도의 자율 안전점검을 계도해 화재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이다.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매월 둘째 주 수요일을 행사 일로 정했다.이날 각 사업주는 ▷화재위험 3대 전기제품(전기장판?히터?열선) 안전 사용 ▷점포 주방 후드 청소하기 ▷전기?가스?유류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자율 설치 ▷소방시설 작동상태 확인 등 혹시나 있을 수 있는 화재 위험요인을 사전 제거한다.* 소공간용 소화용구, 안전콘센트, 가스타이머콕, K급 소화기 설치이번 상주 중앙시장 행사에는 김진욱ㆍ김영선ㆍ남영숙 도의원, 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 상주소방서 남?여 의용소방대 연합회장, 상인회장 등이 참석해 설 연휴 대비 화재취약시설 자율점검 유도 캠페인을 실시했다.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화재예방을 위해서는 각 점포주 및 관계자가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다양한 예방대책으로 안전한 경북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소비자가 좋아하는 씨 없이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포도 신품종 교재 ‘경북 육성 포도 신품종 특성 및 재배 매뉴얼’을 발간해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 포도 신품종 특성 및 재배 매뉴얼 발간(사진=경북도) 최근 샤인머스켓과 같은 당도가 높고 껍질째 바로 먹을 수 있는 품종으로 소비트렌드가 변하면서 새로운 품종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경북도는 다양한 고품질 품종으로 수출을 늘리고 농가의 신소득 창출을 위해 ‘골드스위트’ 등 육성 6품종을 개발했다. 2020년에 육성된 청색 포도 품종인‘골드스위트’는 수확기가 9월 중순으로 ‘샤인머스켓’ 품종보다 2주 정도 빠르며 사과처럼 식감이 아삭한 것이 장점이다.적색 포도인‘루비스위트’품종은 수확기가 8월 하순으로 착색이 잘되고 당도가 높으며, 수확량이 많고 재배가 편해 농가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포도 ‘골드스위트’와 ‘루비스위트’ 품종은 지난해 품종보호권자인 경북도가 육묘업체 및 농업인단체에 품종의 종묘를 생산,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실시권을 이전함으로써 농가보급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 통상실시권 : 육성 품종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는 권리앞서 두 품종에 이어 지난해에는 식감이 우수하고 착색이 잘 되는 적색 품종‘레드클라렛’과 ‘캔디클라렛’, 농가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생력형 품종‘해피그린’, 와인용으로 가능한 자연 무핵 포도‘코코씨들리스’등을 개발했다.이번에 발간된 재배 매뉴얼은 골드스위트, 루비스위트, 레드클라렛 등 6품종의 숙기, 생육 및 과실특성과 재배할 때 유의사항 등을 수록했다. 신품종에 관심 있는 농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했으며, 이달 중순부터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보급할 계획이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앞으로 수출경쟁력 향상과 포도 산업 활성화를 위해 품질이 우수하고 다양한 신품종을 지속해서 육성하겠다”라면서, “또 신품종들이 안정적으로 농가에 보급되기 위해 재배환경에 맞는 고품질 재배기술 확립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코로나19 장기화에도 경북 대표 온라인 쇼핑몰 ‘사이소’가 온라인?비대면 마케팅 성과에 힘입어 역대급 매출을 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 사이소 역대 최대 매출 달성(사진=경북도) 지난해 사이소 운영실적을 살펴보면 입점 농가수는 2020년 대비 29% 증가한 1385농가, 회원수는 94% 증가한 6만6000명, 입점상품수는 75%증가한 8631종, 매출액은 53% 증가한 250억 원으로 눈에 띈 성장세를 보였다.이번 성과의 주요요인은 ▷신규회원 가입 배가 캠페인 추진 ▷월별 테마 이벤트 및 유통피해 특판전 전개 ▷우체국몰?네이버?마켓컬리 등 사이소 제휴몰 확대 운영 ▷농활갑시다, 대한민국 동행세일 등 유관기관과 연계행사 대대적 전개 ▷상주 등 7개 시군 쇼핑몰과의 통합 등 소비자 맞춤형 타깃 마케팅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대기업?공공기관 임직원 복지몰(이지웰, 투게더웰) 사이소 입점 확대 ▷포인트 시스템 도입 및 구독경제 서비스 추진 ▷수요특가, 기획전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한 신규고객 확보 ▷시?군 쇼핑몰과 추가 통합을 통한 통합 마케팅 기반 마련 등 농특산물 유통생태계 외연을 확장해나갈 방침이다.사이소몰 내 연간 통계를 살펴본 결과 시군별 농특산물 판매액 순위는 영주, 안동, 상주 순이며, 상품군별 매출은 가공식품이 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과일, 쌀, 축산물 순으로 분석됐다.또 사이소 입점업체 중 연매출액 1억 이상 업체는 사과를 판매하고 있는 C농장(청송군) 등 47개소로 나타났다. 한편, C농장 대표는 “잘 지은 농산물을 제값을 받지 못해 어려움이 많았는데 사이소를 통해 판매함으로 마케팅 활동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고, 소비자와 온라인을 통한 직거래로 오롯이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았다”라며 만족감을 표했다.특히, 올해는 경북 고향장터 사이소 매출 500억원, 회원수 12만명과 입점 2000농가 목표 달성을 위해 쇼핑몰 고객관리 콜센터 확대운영, 홍보?마케팅 지원강화, 입점농가와 농산물 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좋은 상품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가치는 고객이 창출한다”라면서, “항상 고객의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여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제값 받고 판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통계청의‘연간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농축수산물의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2019년 3조 5342억원에서 2020년 6조 563억원으로 코로나19 여파로 오프라인 소비가 감소하고, 비대면 소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무려 1년 사이에 71.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경상북도는 12일 도청 화백당에서 이철우 지사 주재로 농업분야에 대한 업무보고를 진행했다. ▲ 2022년 실국 및 공공기관 업무보고회(사진=경북도) 이날 농업분야 업무보고에서는 ‘농업은 첨단산업으로, 농촌은 도시와 상생하는 힐링 치유공간으로’라는 목표 아래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농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경북농정혁신 34개 과제를 선정?발표하고 전 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토론을 진행했다.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화이트칼라 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팜 플랫폼 기업과 연계해 현재 3%대인 지역 농업의 스마트화율을 2030년까지 50%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신규 창업 농업인에게는 처음부터 스마트한 농업환경을 갖춰 창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존 농업인들은 농장의 형태 변경 없이 리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자동화 시설 장비를 지원하는 등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됐다. 아울러 농업의 미래 성장 산업화를 위해 도시지역에 기업형 식물공장을 유치해 농산업 외연을 확대하고 농업 경쟁력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유통분야 역점시책으로는 비대면 소비문화 확산 등 온라인 유통채널 다변화에 따라 공공배달앱(경북 먹깨비, 대구 대구로)과 연계한 상생형 식자재 공급 서비스를 도입해 지역 로컬푸드 유통 플랫폼을 구축해 나간다.또 지난해 2300억원의 실적을 달성한 농산물 품앗이 완판운동을 전국민 운동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시군별 자체 쇼핑몰과 사이소를 통합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한편, 오프라인에서는 대형 유통업체들과 연계해 유통 걱정 없는 경북 농정을 만들어 갈 것을 다짐했다. 현재 진행 중인 경상북도 푸드밸리 조성방안 연구용역이 마무리 되는대로 통합신공항과 연계해 농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수출 등 지역 먹거리에 대한 모든 것을 아우르는 푸드밸리 조성을 본격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농촌을 농사만 짓는 곳이 아닌 휴양, 치유, 관광 등을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치유농업을 산업으로 재인식하고 농촌혁신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면서 농촌 고령화와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전략도 추진해 나간다. 치유농업 기반 강화를 위해 기존 농가단위 치유농장 조성을 지속해서 육성하고, 올해 농촌형 통합 치유농장 조성사업(Care Farm Valley)이 국비 공모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한편, 농업기술원은 대학, 민간전문가 등이 함께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농업테크노파크로 변모시켜 변화하는 농업여건에 맞는 첨단 농업기술을 연구?개발해 농업현장에 집중 보급할 방침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농업 분야도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춰 미래산업으로 가야 한다”라며, “미래산업은 융복합이 화두이기 때문에 농업도 연구기관?대학과 원 팀으로 연구해야하고, 과학기술?유통물류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부서 간 칸막이도 허물어 종합적인 사고를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이달 26일까지 우체국쇼핑몰, 롯데ON(롯데백화점)에 경북 사회적경제기업 전용관을 개설하고, ‘경북 사회적경제기업 생산제품 설 맞이 20% 특별할인판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우체국쇼핑몰 위누리관 : 1.7.(금) ~ 1.26.(수) / 롯데ON 경북마켓 : 1.4.(화) ~ 1.26.(수)▲ 사회적경제 설 특판전 포스터 이번 행사는 기존에 운영하던 우체국쇼핑몰 지역브랜드관의 ‘위누리관’과 함께 롯데ON(롯데백화점) 스페셜스토어에 ‘경북마켓’을 개설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설맞이 판로를 지원한다.우체국쇼핑몰의 ‘위누리관(경북 사회적경제 전용관)’에서는 우수한 지역 사회적경제기업의 농?축?수산물과 가공품, 식품 등 100여종 이상의 명절 선물용 상품을 할인판매하고 있다.특히, 이번 특판전에는 롯데쇼핑과 롯데백화점 포항점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롯데ON 롯데백화점몰에 ‘경북마켓’이라는 경북 사회적경제기업 전용관을 개설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30여종의 상품을 고객들에게 선보이게 된다.이와 함께 경북도는 우수한 사회적경제기업의 상품이 다양한 판로를 통해 소비될 수 있도록 전국 공공기관 1000개소 및 협력 민간기업에도 상품안내서와 주문서를 발송해 구매력이 높은 기관?기업의 동참을 요청했다.특판전에 참여한 기업대표는 “코로나로 인한 경제침체가 계속 되면서 판로가 막혀 답답할 때 경북도에서 적극적으로 여러 공공기관, 민간 유통사의 특판전 참여를 유도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숨통을 틔어주고 있다”라면서 행사에 대한 기대감을 비쳤다.우체국쇼핑몰을 통한 사회적경제 명절 기획전은 2020년 설 명절 2억 5000만원을 시작으로, 지난해 추석에는 5억 6000만원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이번 행사를 통해 7억 원 이상의 판매고를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경북도는 꾸준한 판로지원사업을 통해 매년 사회적경제기업의 매출액 증가 및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등 기업의 경쟁력이 해마다 개선되면서 전국 최고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매년 사회적경제 판로지원실적의 꾸준한 상승세에 힘입어 2021년에는 경북 사회적경제기업의 매출액이 지역내총생산(GRDP)의 0.54%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 ※ GRDP 대비 사회적경제 비중 : (‘19) 0.3% → (‘20) 0.36% → (‘21) 0.54%이영석 경북도 일자리경제실장은“사회적경제기업은 공동체 회복을 통한 지역 활력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라면서, “사회적경제의 육성을 위해 공공기관, 대형?중견 유통사 등 다양한 유통거래처를 꾸준히 확보할 수 있도록 민간과 협력해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상북도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관장 정진영)은 독립운동가 동산(東山) 류인식(柳寅植, 1865~1928)과 지산(止山) 이기찬(李起璨, 1853~1908)의 문집을 국역해 ‘국역 동산문고(東山文稿)’와 ‘국역 지산유고(止山遺稿)’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동산문고 표지(사진=경북도) 경북독립운동기념관은 2008년부터 한문 등으로 작성 된 독립운동가 관련 자료를 일반인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국역해 발간하고 있다.‘국역 석주유고’를 시작으로 ‘국역 백하일기’, ‘국역 경북지역 의병자료’등과 이번에 발간한 ‘국역 동산문고’, ‘국역 지산유고’까지 지금까지 총 10권의 자료총서를 발간했다.동산(東山) 류인식은 경북 안동 출신으로 한말 의병항쟁을 시작으로 1900년대 협동학교 설립을 통한 애국계몽운동, 1911년 만주망명과 1920년대 신간회 안동지회장 등 한말-일제강점기 나라를 지키고 되찾기 위해 끊임없이 독립운동을 했다. ‘국역 동산문고’는 류인식의 삶과 사상 및 독립운동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시(詩)?서(書)?제문(祭文)?뇌문(?文)?묘지명(墓誌銘)?유사(遺事)?잡저(雜著)?부록(附錄)?발(跋)?후기(後記) 등 총 430면으로 구성돼 있다. 여기에는 학생들에게 구국의 희망을 가지길 기원하는 내용의 시(詩)인‘협동교음시제군(協東校吟示諸君)’, 일본 제국주의 아래에서 고난의 삶을 살던 민족에게 우국과 광복에 대한 염원을 표현하는‘차야한십절(此夜寒十絶)’이 수록돼 있다. 류인식의 혁신사상과 학문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인 잡저(雜著)에는 망국의 이유에 대해 조목별로 열거하고 개혁을 촉구하는 글인‘태식록(太息錄)’과 상고시대부터 1910년 경술국치까지 우리나라와 일본의 역사를 비교하며 그 관계를 고찰한 글인 ‘조선여일본관계(朝鮮與日本關係)’등이 실려 있다. 한편, 경북 청송에서 태어난 지산(止山) 이기찬은 상주에서 학문에 매진하다 1896년 김천에서 창의한 김산의진의 대장으로 의병항쟁을 이끌었다. 1896년 3월부터 5월 중순까지 경북 김천과 충북 영동 일대에서 여러 차례 전투를 전개했고, 김산의진 해산 이후 충북 청주에서 후학 양성에 힘쓰다 1908년 세상을 떠났다. ‘국역 지산유고’는 이기찬의 시문집으로 ‘선고先稿’와 ‘가장家狀’의 국역본과 영인본이 총 456면으로 구성돼 있으며, 선고는 시(詩)?서(書)?일기(日記)?잡저(雜著)?제문(祭文)?부록(附錄)으로 총 5권, 가장은 이기찬 연보와 가장*으로 이뤄져 있다. * 가장(家狀) : 집안 조상과 형제의 행적에 관한 기록그 중에는 의진을 이끌고 추풍령을 지나면서 임금의 은혜에 보답해 원수를 갚자는 내용의 시(詩)인‘솔의려 과추풍령(率義旅 過秋風嶺)’과 의병항쟁의 활동이 담긴 3권 일기(日記) 등이 실려 있고, 연보와 가장은 이기찬의 일생을 정리한 것으로 의병장 이기찬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박세은 경북도 사회복지과장은 “앞으로도 지역의 독립운동에 관한 연구와 경북 독립운동의 가치 확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정진영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장은“독립운동 관련 자료 국역발간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독립운동사를 더 쉽게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을 하겠다”라고 했다. ※ 기타 문의 및 안내는 아래의 연락처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전화 : 054) 820-2611 / 홈페이지 : http://815gb.or.kr
경상북도가 고경력 과학기술 인력을 유치해 도청신도시를 지식타운화 하는 ‘골든사이언스파크’조성을 추진하며 경북 북부지방의 혁신성장거점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 골든사이언스파크(사진=경북도) 베이비부머 세대의 정년퇴직에 따라 과학기술인들이 잇달아 현장을 떠나고 있으나 국가적으로 이들을 활용하는 체계는 부족하다. 경북도는 은퇴를 앞둔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인들을 유치해서 추가 연구와 사업화 기회를 부여해 지역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전략이다. 사업이 추진될 도청신도시는 정주 환경이 뛰어나고 도청, 교육청, 경찰청 등 행정 기관들이 집적돼 있으며 인근에는 SK바이오사이언스,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국제백신연구소 분원,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등이 있는 경북바이오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구상해 온 ‘경북 골든사이언스파크’는 1단계로 은퇴 과학기술인력을 연계해 국가 바이오 신산업 허브를 구축하고 2단계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학을 융합한 글로벌 혁신 연구단지를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이다. DGIST, 포항공대 등 과학기술중심대학을 연계해 바이오혁신 공유대학과 융합 연구단지를 조성하고 바이오생명 기술이전 특화단지를 설치하는 등 신도시 연합캠퍼스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토대로 은퇴과학자 연구단지를 조성하고 국내외 바이오융합 협력 네트워크 및 글로벌 은퇴과학기술인 커뮤니티도 구축할 예정이다. 백신, 헴프 등 바이오산업이 태동하고 있는 경북 북부권에 연구기반을 만들고 지역 바이오산업에 투자한 SK 등 민간기업과 협력해 지속적 인재양성 및 공급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나아가 경북 북부지역의 역사적 강점을 바탕으로 국립 인문학 타운을 조성해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이라는 메가트렌드를 실천하며 국가비전을 제시하는 등대 역할을 도모한다.골든사이언스파크를 대선 지역공약 사업으로 제안한 경북도는 지난해 기본구상에 이어 올해 타당성 검토 및 종합계획 수립 연구를 수행하고 관련 국책기관 및 지역 연구기관, 대학, 기업의 전문가들과 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이 사업이 현실화된다면 학맥과 인맥을 가진 고급인력 유입으로 경북 북부권의 성장 기반을 마련함은 물론이고 인구감소 문제에 대해서도 새로운 대응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기본구상을 수행한 대구경북연구원은 향후 5년간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소에서 1만 명 이상의 연구인력이 퇴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과학기술인들이 지역에서 새로운 인생 2막을 시작해 지역산업과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다”라며, “특히 인문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AI, 기후변화, 인구문제 등 대한민국이 직면한 위기에서 길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2.4%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치료중퇴 원사 망경북77(+17)16,3341,201(-38)14,948(+113)185(+2) * 국내 72, 해외 5 □ 주요 집단발생 현황합계‘21.12.1. 이전‘21. 12. 1. 이후소계해외유입안동A병원의성J요양병원포항S아동시설김천T사업장경산운동부포항P아동시설기타집단감염확진자접 촉조사중16,334명11,2685,0667513914263014188782,993879(+77) (+5) (+4)(+1)(+10)(+2)(+39)(+16) * 치명률 ? 경북(1.12. 기준) 1.14%(185명), 전국(1.11. 기준) 0.91%(6,114명)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29.(水)12.30.(木)12.31.(金)‘22.1.1.(土)1.2.(日)1.3.(月)1.4.(火)1.5.(水)1.6.(木)1.7.(金)1.8.(土)1.9.(日)1.10.(月)1.11.(火)검 사15,43918,53617,11515,3509,8949,76611,99714,33514,35515,13612,99711,9378,90312,749확진자82105(2)116(2)9449(2)62(3)9789(1)109(5)85(3)93(4)88(9)60(2)77(5)확진율0.50.60.70.60.50.60.80.60.80.60.70.70.70.6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572명 1일평균 81.7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1,168명 1일평균 83.4명 □ 시·군별 발생(국내 15,859, 해외유입 475)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6,334명 (+77)2,701(+23)(+1)1,861(+8)(+2)1,005(+6)698(+2)2,623(+14)583(+2)448355(+2)306(+1)2,959(+5)(+2)80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619237189(+1)266269262(+1)702(+6)249138233(+1)17
시무식 대신 직원들과 ‘새 희망 다짐대회’로 임진년 새해를 시작한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투자유치 활동이 다시 시작됐다. ▲ SK실트론 방문(사진=경북도) 경상북도는 11일 오전 이철우 지사는 LG BCM의 이차전지 양극재 공장 착공식 참석에 이어 구미3 국가산단에 소재한 SK실트론을 방문했다고 밝혔다.이날 이 지사는 반도체 및 전기차용 실리콘 웨이퍼 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현장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앞서, 이 지사는 LG BCM 공장 착공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과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을 만나 포항과 구미, 대구, 상주로 이어지는 ‘경상북도 이차전지 산업 발전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당부한 바 있다.이어진 반도체 소재 앵커기업인 SK실트론을 방문한 자리에서는 장용호 대표이사 및 관계자와 함께 반도체용 웨이퍼 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구미를 중심으로 반도체 웨이퍼 및 전력용 반도체 소재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안에 대한 정보교환과 아이디어를 공유했다.또, 지난 해 11월 SK실트론과 투자협약(1900억원)을 체결하고 전력 반도체 핵심 소재 SiC(실리콘 카바이드) 웨이퍼 생산 설비를 증설하는 공사 현장을 방문해 현장 직원으로부터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소통행보도 이어갔다.이는 철강, 전자, 자동차 부품으로 대표되던 경북의 주력산업을 미래 친환경차,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장 핵심적인 기술인 이차전지와 반도체 산업을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자 하는 이 지사의 의지를 담고 있다.실제로 지난 해 경북도가 유치한 11조 6907억 원 중 이차전지, 첨단소재, 반도체, 바이오 등이 70%를 차지하는 등 첨단?기술집약적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경북을 투자처로 결정하고 있어 지역경제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어렵지 않은 해는 없었다. 올해도 코로나19 장기화와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대내외 경제여건이 녹록치 않다”라며, “SK실트론이 생산하는 반도체용 첨단 웨이퍼를 활용해 구미를 중심으로 차량·전력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하는데 더욱 매진하겠다”라며 올해 투자유치를 위한 첫 발걸음을 시작하는 각오를 밝혔다.
경상북도는 11일 안동 구시장에서 안동부시장을 비롯한 지역 상인회장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하대성 경제부지사 주재로‘민생경제 활력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민생경제 활력 현장간담회(사진=경북도) 이번 간담회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의 신년사에서 밝힌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민생경제 대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개최됐다.이날 간담회에서 전통시장 상인과 소상공인의 애로사항을 듣고, 전통시장 내 노점상 등 상대적으로 피해가 많은 업종의 위기극복과 신속한 회복지원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지역 상인들은 어려운 때일수록 공공요금 등 민생물가의 안정적 관리와 지역 현안사업들을 하나하나 해결해 주길 당부했다. 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안동 상권르네상스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것을 요청했다.안동 상권르네상스사업은 낙후된 원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해 상권을 종합적으로 개발 지원하는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이다.지난해 안동시와 상인들의 적극적인 동참과 협력으로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5년간 9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이날 회의에 참석한 안동 상인회장들은 코로나19로 비대면·디지털 전환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전통시장도 엄청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상인들이 합심해 위기를 기회로 삼아 디지털 전환에도 적극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한편, 그간 경북도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설현대화사업, 주차환경 개선, 특성화시장 육성 등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를 추진했다.또 향후에는 소비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상인교육, 상품 발굴 등 디지털 전통시장 확산에 역점을 둘 방침이다.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도 꿋꿋하게 버티고 있는 상인들을 보니 우리 경제의 희망이 보인다”라면서, “단합된 힘으로 함께 이 위기를 극복하자. 앞으로 지역 상인들과 계속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와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는 11일 도청에서 ‘경북 웰니스관광 중장기 육성계획 수립용역’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웰니스관광 중간보고회(사진=경북도) 이번 용역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주관하는 ‘웰니스관광 예비 클러스터’공모사업 일환으로 마련됐다.지난해 경북도와 5개 시군(영주,영양, 영덕, 봉화, 울진)이 최종 선정됐으며, 사업비 2억원(국비1, 지방비1)을 투입해 시군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웰니스관광 생태계 구축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영주(국립산림치유원), 영양(장계향문화체험교육원), 영덕(인문힐링센터 여명), 봉화(국립백두대간수목원), 울진(금강송 에코리움)이날 중간보고회는 경북도, 경북문화관광공사, 5개 시군 및 거점시설, 관련 전문가 등 20명이 참석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경북 웰니스관광 여건을 고려해 ▷웰니스관광 대상 및 영역 확장 ▷웰니스관광 생태계 구축 ▷전문성 강화 및 전문인력 육성 ▷지역 중심형 & 비즈니스 산업화모델발굴의 4대 육성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19개 전략사업을 선정했다.또 중간보고회에서 논의된 사안을 보완하기 위해 문체부, 경북웰니스 관광산업 협의체 자문위원 의견을 수렴, 웰니스관광 중장기 육성계획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경북 웰니스관광은 후발주자로서 빠르게 변화하는 웰니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타 지자체 클러스터들과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라며, “건강과 여유를 누리는 더 즐거운 경북여행이 될 수 있도록 웰니스관광산업 활성화에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밝혔다.한편, 문체부에서는 내달 중에 경북 웰니스관광 예비클러스터 추진성과를 평가해 신규 클러스터 선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뉴스] 군위군 의회, 먹거리 우수사례 선진지 견학 추진
[뉴스] 자유총연맹 군위군지회, 충혼탑 일대 환경정화 활동 펼쳐
[뉴스] ‘의흥 어슬렁길 골목축제’성황리에 개최
[뉴스] 어울림청년연합회, 효령면 중구1리서 방충망 교체 봉사활동 실시
[뉴스] 사)대구시각장애인연연합회 군위지회, 2025년 대구장애인생활체육 시각장애인한궁어울림대회 성료-군위지회 1위 쾌거
[뉴스] 효령면 새마을회 부녀회, '청춘대학 안내봉사'로 어르신 맞이
[뉴스] 효령면 새마을회 부녀회, ‘경로당 어르신 중식봉사로 훈훈한 나눔 실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