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2.5%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치료중퇴 원사 망경북207(-27)17,7992,078(+151)15,529(+54)192(+2) * 국내 198, 해외 9, * 치명률 ? 경북(1.22. 기준) 1.08%(192명), 전국(1.21. 기준) 0.90%(6,501명) □ 주요 집단발생 현황합계‘21.12.1. 이전‘21. 12. 1. 이후소계해외유입경주M요양병원상주교회구미H주점포항실내체육시설포항주점경주실내체육시설기타집단감염확진자접 촉조사중17,799명11,2686,53116347233577137321,3153,6291,073(+207) (+9) (+1)(+1)(+5)(+22)(+2)(+19)(+121)(+27)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15.(토)1.16.(일)1.17.(월)1.18.(화)1.19.(수)1.20.(목)1.21.(금)누계(주)일평균(주)검 사16,64510,3539,49417,12312,56620,84024,632111,65315,950확진자108(6)95(8)138(9)170(20)226(6)234(9) 207(9)1,178(67)168.3(9.6)확진율0.70.91.51.01.81.10.81.11.1(단위 명, %)구 분1.151.161.171.181.191.201.21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02871291502202251981,111205연령별60세↑확진자수(%)21(20.6)19(21.8)18(13.9)9(6.0)23(10.5)23(10.2)28(14.1)141(12.7)20.1(9.8)18세↓확진자수(%)23(22.5)20(23.0)39(30.2)42(28.0)51(23.2)66(29.3)47(23.7)288(41.1)41.1(20.0)외 국 인8(7.8)5(5.7)9(7.0)10(6.7)14(6.4)21(9.3)13(6.5)80(7.2)11.4(5.6) * 오미크론 변이(국내감염) : 72명 31.1%(1.21 기준) → 57명 28.8%(1.22 기준), ※ 연관사례 포함 □ 시·군별 발생(국내 17,236, 해외유입 563)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7,799명 (+207)3,121(+50)(+3)1,996(+13)(+1)1,127(+13)753(+20)2,834(+27)630(+7)492(+10)389(+1)314(+1)(+1)3,192(+38)(+2)89(+1)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709337197(+1)272274(+2)327(+3)743(+10)253(+1)145(+1)234(+1)17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지난해 여름 긴 장마로 생육 후기에 강우량이 많아 내동성이 저하돼 사과나무에 동해 발생이 우려되므로 해빙기 과원 관리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동해 수피 파열(사진=경북도) 사과나무는 동계휴면 시 ?30℃까지 견디기 때문에 한겨울은 무사히 넘기지만 기온이 상승하는 2월 하순 ~ 3월경에 동해가 많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나무가 고사하기 때문에 동해를 입은 농가는 큰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동해는 지난해 과다결실, 조기낙엽, 배수불량 등 세력이 약한 나무를 중심으로 발생하며 건조와 저온에 의한 피해가 주요 원인이다. 건조에 의한 동해는 지하부가 얼어있거나 저온상태인 이른 봄철 수분흡수가 원활하지 않아 뿌리가 마르면서 나무가 고사하며 저온에 의한 동해는 조직이 얼면서 파괴되고 심한 경우 수피가 파열된다. 동해를 받은 상처로 나무좀이 침입하면 가지가 마르면서 고사하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동해 관리방안으로는 월동 전후 수분관리와 지제부 보온이 가장 중요하며, 초겨울 물이 얼기 직전과 해동직후 충분히 관수하면 동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른 봄철 지면에서 50cm까지 흰색 수성페인트와 볏짚, 보온재 등으로 방한조치를 하면 온도편차를 5℃정도 줄여 동해를 예방할 수 있다.아울러, 생육기에는 질소과다시용과 강전정, 과다결실 등 세력이 약해지는 것을 피하고 나무의 영양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이듬해 동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경북은 전국 사과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주산지로 동해예방과 안정생산을 위해 영양, 수분 및 월동전후 관리가 중요하다”라면서, “농업현장에서 문제와 답을 찾는 농업기술원이 되어 농업인이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2.4%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치료중퇴 원사 망경북234(+8)17,5921,927(+204)15,475(+30)190(-) * 국내 225, 해외 9, * 치명률 ? 경북(1.21. 기준) 1.19%(190명), 전국(1.20. 기준) 0.91%(6,480명) □ 주요 집단발생 현황합계‘21.12.1. 이전‘21. 12. 1. 이후소계해외유입경주M요양병원상주교회구미H주점포항실내체육시설포항주점경주실내체육시설기타집단감염확진자접 촉조사중17,592명11,2686,32415447223472115301,2963,5081,046(+234) (+9)(+2) (+4)(+7)(+47) (+22)(+108)(+3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1.14.(금)1.15.(토)1.16.(일)1.17.(월)1.18.(화)1.19.(수)1.20.(목)누계(주)일평균(주)검 사13,46816,64510,3539,49417,12312,56620,840100,48914,355확진자95(10)108(6)95(8)138(9)170(20)226(6)234(9)1,066(68)152(9.7)확진율0.70.70.91.51.01.81.11.11.1(단위 명, %)구 분1.141.151.161.171.181.191.20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8510287129150220225998142.6연령별60세↑확진자수(%)15(17.6)21(20.6)19(21.8)18(13.9)9(6.0)23(10.5)23(10.2)128(12.8)18.3(12.8)18세↓확진자수(%)19(22.4)23(22.5)20(23.0)39(30.2)42(28.0)51(23.2)66(29.3)260(26.1)26.3(18.4)외 국 인17(20.0)8(7.8)5(5.7)9(7.0)10(6.7)14(6.4)21(9.3)84(8.4)8.4(5.9) * 오미크론 변이(국내감염) : 76명 34.5%(1.20 기준) → 72명 31.1%(1.21 기준), ※ 연관사례 포함 □ 시·군별 발생(국내 17,038, 해외유입 554)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7,592명 (+234)3,068(+89)1,982(+10)(+1)1,114(+8)733(+9)2,807(+30)623(+10)482(+6)(+1)3883123,152(+37)(+5)88(+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709337196(+1)272(+1)272(+1)324(+11)733(+11)(+1)25214423317
경상북도는 20일 물산업 선도기업으로 신규 지정된 케이디에서 경북 물산업 선도기업 협의회장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물산업 선도기업 현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물산업 선도기업 케이디 현판식(사진=경북도) 물 산업 선도기업은 도내 물 관련 기업 가운데 성장가능성이 높고 수출역량을 갖춘 기업을 발굴해 글로벌 시장을 이끌 물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써 지금까지 23개사를 지정·운영 중이다. 또 지정된 기업은 수출용 시제품 제작, 수출 포장 및 물류 지원, 해외규격인증 획득 지원 등 1000만원 한도 내에서 기업 맞춤형 수출지원과 함께 국제 물 산업전 참여, 물 산업 분야 정책 정보, 수출관련 정보 제공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이번에 선정된 케이디(대표 정태화)는 수질·대기 환경시설 전문기업으로 와류식 고효율 가압고액 부상분리장치, 스마트 초음파 수도미터 등을 개발했다.특히, ICT를 이용한 수도 시설 스마트 관리시스템은 물 사용이 갑자기 중단되는 독거노인 가구 등에 경고 알림으로 불의의 사고를 사전 예방할 수 있는 사회 안전망 구축과 연계도 가능하다.또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에 부합한 4차 산업 분야의 수출성장이 기대되는 경쟁력 있는 기업이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새해를 맞아 경북 물산업 선도기업이 호랑이의 기상으로 당당하게 나아가길 바라는 마음에서 현장을 직접 찾아 현판식을 가졌다”라며, “지역 물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20일 의성군농업기술센터에서 과수화상병 확산 방지를 위해 사전예방 교육 및 궤양제거 연시회를 열고, 도내 사과 주산 시군에서 예찰활동을 펼쳐 총력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과수화상병 사전예방 교육(사진=경북도) 먼저, 교육은 시군농업기술센터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과수화상병 사전예방 및 궤양제거 방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지역 농업인에게 전파하도록 했다. 이날 국립농업과학원 이용환 농업연구관을 초빙해 과수화상병 사전예방 교육과 함께 궤양제거 가지파쇄를 시연했다. 또 올해 과수화상병 지침 개정 주요 내용과 발생 대응방법 등을 설명했다.이어 24일부터 28일까지는 궤양제거 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하기 위해 안동, 영주 등 10개 사과 주산 시군에서 예찰활동을 진행한다. 과수화상병은 사과·배나무가 마치 불에 타서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피해를 주는 세균병으로 식물방역법상 금지병으로 지정돼 있다.지난해 지역에서도 안동과 영주에서 확진농가가 발생해 병 확산 방지를 위해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경북도는 지역의 사과 재배면적이 2만1951ha로 전국의 60.3%를 차지하고 있고, 생산량은 27만7942t으로 전국 65.6%를 점유하고 있는 만큼 과수화상병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합동으로 사과나무에 숨어 있는 과수화상병 세균의 월동처(궤양) 제거활동도 강화하고 있다.사과나무의 궤양을 제거해야 하는 이유는 화상병균이 나뭇가지의 궤양주변 나무껍질 안쪽 조직에서 월동한 후 이듬해에 살아남아 병원균이 증식해 표피 외부로 누출돼 새로운 전염원으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새해에는 과수화상병이 종식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밀한 예찰활동을 통해 과수화상병의 시작점이 되는 궤양부터 철저히 제거해 더 이상 지역에 확산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대구와 공동으로 20일 도청 대구청사 별관 회의실에서 ‘대구경북 초광역권산업 구축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구경북 초광역권산업 구축 보고회(사진=경북도) 이번 보고회는 정부에서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초광역협력 지원전략’에 대한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향후 대구경북의 미래성장산업의 구체적인 사업발굴과 실행을 위해 대구?경북이 함께했다.이 자리에서 대구경북은 초광역협력을 위한 행정틀로 ‘대구경북특별지방자치단체’의 설립과 중장기적으로 ‘대구경북특별광역시’ 구축을 논의했다.또 산업구조 대개조를 통한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사다리 구축을 위한 ?로봇산업 글로벌 스탠다드 선도 ?친환경 미래형 모빌리티 거점 조성 ?글로벌 바이오?메디컬 허브 육성의 목표 하에 구체적인 사업들을 발굴 검토했다.양 시도는 상호간 제시한 사업에 대해 관계 기관, 대학 등의 협의체를 구성하고 민간기업 참여를 유도하며 정부의 예산반영 및 공모사업 선정 등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또 3대 분야의 협력과 발전을 위해 추가사업을 지속해서 발굴하고, 현재 용역 중인 로봇과 바이오분야 실행과제도 대구경북 함께 검토하고, 착수보고회를 진행했다.최혁준 경북도 정책기획관은 “정부주도가 아닌 상향식 지역 주도사업으로 정책의 방향이 전환됐다. 국토부는 지역발전투자협약 운영지침을, 산자부는 전략산업 선정?지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지역간 초광역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라며, “대구경북은 지역연구원, 연구기관 등과 함께 초광역 협력을 위한 TF를 구성해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한편, 대구경북은 통합신공항 중심의 1시간대 생활권?경제권 구축과 산학연정 연계강화를 통한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분야의 초광역 협력사업 발굴을 위한 보고회 또한 조만간 개최하기로 했다.
경상북도는 20일 도청에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침체에 빠진 지역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민생 살리기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민생 살리기 점검 회의(사진=경북도) 이번 회의는 지난해 민생 살리기 긴급대책에 따른 후속조치로 분야별 시책에 대한 점검과 신규과제 발굴을 위해 실시됐다. 지난 번 긴급 대책이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과 경영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둬 ▷소상공인 및 골목상권 활성화 ▷중소기업 및 일자리 사업지원 ▷민생경제 마중물 제공 3개 분야로 구성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설 명절을 맞이해 물가안정 관리대책과 농식품 판매 촉진 및 제수품목 수급 안정 대책, 그리고 관광마케팅 전략을 추가했다.먼저, 올해 지방재정 신속집행 대상액의 70%인 6조 3399억원을 상반기 중에 집행하고, 건설사업의 경우 사업비 4928억원 중 3464억원(70%) 상반기에 집중 발주하는 등 경북도의 가용재원을 적극적으로 투입해 민생경제 마중물로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1분기에는 지난해 보다 2264억원 상향된 2조 1695억원을 집행해 현장의 체감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시군별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지원해 골목상권?전통시장에서 소비를 활성화 하고, 영덕시장 화재로 삶의 터전을 잃은 상인들을 위해 드론 배달, 상품 이력제 관리, 쇼핑과 즐길 거리가 함께하는 디지털 프리미엄 마켓을 조성해 전통시장을 활성화할 방침이다.또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지속될 고용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재정지원 직접 일자리 사업의 80%인 6만 5648명을 1분기에 조기 채용해 고용위기에 대응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 소상공인육성자금 이차보전 지원사업 등을 통해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비대면 소비전환 시대에 따라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라이브커머스 방송을 통한 농특산물의 판로확대를 지원하고, 설 명절 대비 제수용품 위주로 설맞이 농특산물 특별 판매전, 사이소 설맞이 특판행사 등 농특산물 특별전도 추진한다.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코로나19로 지역 소상공인 중심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앞으로 월 1회 민생 살리기 점검 회의 개최를 통해 재정 신속집행 및 정책 추진 상황을 점검해 지역이 하루 빨리 온전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도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1시간대 생활권이 가능한 대구~포항간 광역철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 거리,시간 개념도(사진=경북도) 대구~포항간 광역철도는 국토교통부에서 지난해 7월 고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추진 방향에 따라 경북도에서 구상한 신규 사업으로 지방 대도시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대구·경북 메가시티 구축의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한다.대구선(동대구~하양~영천), 중앙선(영천~아화), 동해선(서경주~안강~포항) 3개 노선을 연계하는 기존선 활용해 기존 경부선을 활용한 수도권전철 1호선과 같은 광역 전동열차가 투입되며 총연장 90.4km에 994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기존선 활용형 광역철도는 운행 중인 일반철도 선로 여유 용량을 활용하는 사업유형으로 광역철도 운행을 위한 도시철도형 전동차량 구입, 일반역사 정차를 위한 통신시스템 구축 및 주박·정비를 위한 차량기지 건설을 주요 사업내용으로 한다.노반·궤도·시스템 등은 기존 철도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업비는 줄이고 이용편익은 높이는 이른바‘저비용 고효율’사업이라는 장점이 있다.오전 5시부터 23시까지(19시간) 30분 배차간격에 대구권 광역철도(구미~경산)에 투입예정인 최고속도 110㎞/h 전동차량을 기준으로 열차운행계획을 수립 시 대구~포항 합산 1시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하다.또 7개역 하루 왕복 38회 정차해 철도를 통한 일상적인 교통수요 처리가 가능해진다. 현재, 대구~포항은 KTX(왕복 18회/일)가 포항 직결편성이고, 무궁화 일반열차는 지난 12월 영업을 개시한 아화·서경주·안강 신설역사 정차가 하루 왕복 4회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노선개통에 따른 지역민의 체감도가 떨어져 철도교통 수혜확대에 따른 파급효과를 위해서는 광역철도 운행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대구~포항 간 광역철도가 현실화되면 대구ㆍ영천ㆍ경주ㆍ포항 등 대구·경북 거점도시에 촘촘한 광역 교통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이를 통해 역사주변 개발이 용이해지고 인구유출 방지,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또 대구~포항간 생활·경제권 단일화가 현실화되고 대구·경북 메가시티의 기반 마련이 가능해진다.경북도는 올해 자체 수요분석 연구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노선구축 방안과 당위성을 마련한 후 향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수정계획’ 및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반영을 건의한다는 방침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대구~영천~경주~포항간 곳곳을 광역철도로 연결하여 출?퇴근이 가능한 하나의 대도시로 만드는 사업”이라며, “대구?경북 경제통합과 메가시티 구축을 앞당길 수 있는 만큼 후속조치에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설 연휴 기간 중 도민이 편안하고 안전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상담 접수대를 추가 운영하고 전문 의료 인력을 보강하는 등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구급상황관리센터(사진=경북도) 주요 내용으로 ▷119신고 폭증에 대비한 신고접수대 2대 추가 운영 ▷의료상담 품질 향상을 위한 전문 의료인력 3명 보강 ▷유관기관 공조체계 점검을 위한 비상연락 실시 등이다.지난해 설 연휴 기간(4일) 상담·안내문의 전화는 총 1752건으로 일 평균 438건을 안내해 평일(약 245건) 대비 약 1.8배 증가했다.상담 유형별로는 병?의원 및 약국 안내 1156건(65.9%), 응급처치 지도 345건(19.7%), 의료지도 165건(9.4%), 질병상담 86건(5%) 순으로 나타났다. 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응급상황에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으로 도민이 행복하고 안전한 설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올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해 지난해 지원물량 5431대 보다 1.7배 늘려 9155대를 보급 지원한다고 밝혔다. ▲ 경북 전기자동차 등록대수 증가 추이(사진=경북도) 차종별로는 전기승용 5244대, 전기화물 2648대, 전기버스 63대, 전기이륜 1200대를 구매 지원한다. 구매 보조금은 차종, 차량 가격 등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전기승용차는 최대 1200만원, 전기화물차는 최대 2000만원, 전기이륜차는 180만원까지 지원한다.보급일정 등의 공고문은 시군 홈페이지 및 무공해차 통합정보 누리집(ev.or.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구매를 희망하는 차종의 자동차 대리점(제조사)을 방문해 차량을 계약하고 계약서와 신청서 및 구비서류를 해당 시군 환경부서에 제출하면 된다.다만, 제조사들의 출고지연 방지와 실구매자 관리 등을 위해 지원대상자 선정 후 2개월 이내에 차량이 출고(차량대금 납부 및 세금계산서 발급·제출)되지 않을 경우 선정지원이 취소되거나 대기자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구매자는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경북도의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해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2013년 민간보급시작 이후 2018년까지 6년간 2001대에 불과했으나, 2019년 4051대, 2020년 7051대, 지난해 말 기준으로 보면 1만1240대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말에는 2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편, 지난해 12월말 기준 도내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총 5517기로 충전기 1기당 전기차 2.03대 수준으로 우수한 편이다. 경북도에서는 전기차 구매 이용 시 충전 불편이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군별 핵심 수요지 중심으로 충전기를 더욱 늘릴 방침이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미세먼지 배출량의 약 14%는 도로 수송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라며, “수송부문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기고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무공해 전기차 보급을 지속해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2.4%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치료중퇴 원사 망경북226(+56)17,3581,723(+176)15,445(+50)190 * 국내 220, 해외 6 □ 주요 집단발생 현황합계‘21.12.1. 이전‘21. 12. 1. 이후소계해외유입경주M요양병원상주교회구미H주점포항실내체육시설포항주점경주실내체육시설기타집단감염확진자접 촉조사중17,358명11,2686,0901454522306568301,2743,4001,011(+226) (+6)(+4)(+2)(+4)(+12)(+45)(+9)(+53)(+68)(+23) * 치명률 ? 경북(1.20. 기준) 1.11%(190명), 전국(1.19. 기준) 0.91%(6,452명) * 국내 확진자 오미크론 변이 : 57명 37.7%(1.19. 기준) → 76명 34.5%(1.20 기준), 해외유입 제외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22.1.6.(木)1.7.(金)1.8.(土)1.9.(日)1.10.(月)1.11.(火)1.12.(水)1.13.(木)1.14.(金)1.15.(土)1.16.(日)1.17.(月)1.18.(火)1.19.(水)검 사14,35515,13612,99711,9378,90312,74912,61016,21913,46816,64510,3539,49417,12312,566확진자109(5)85(3)93(4)88(9)60(2)77(5)99(7)93(5)95(10)108(6)95(8)138(9)170(20)226(6)확진율0.80.60.70.70.70.60.80.60.70.70.91.51.01.8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861명 1일평균 123.0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1,437명 1일평균102.6명 □ 시·군별 발생(국내 16,813, 해외유입 545)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7,358명 (+226)2,979(+81)(+2)1,971(+22)1,106(+9)724(+13)(+1)2,777(+22)613(+6)475(+6)388(+4)3123,110(+39)(+3)86(+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70(+1)9337195(+2)271(+1)271313(+7)721(+4)252(+1)14423317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19일 경남 밀양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에서 ‘디지털 농업의 성과 확산을 위한 영남지역 농업연구기관 협의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영남지역 농업연구기관 협의회(사진=경북도) 국립식량과학원, 경남도농업기술원, 경북도농업기술원의 기관장과 관계관 등 농업연구기관 전문가 50여 명이 참석했다.이날 협의회는 디지털농업 연구현장 방문, 현안 토의,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연구현장 방문에서는 지금보다 육종 개발의 속도를 2배 이상 올릴 수 있는 스피드 브리딩 연구동을 둘러봤다.이어 연구의 전 과정을 QR코드 기반 데이터 자동 기록ㆍ저장 디지털 시스템, 초분광, 다중분광, 열화상 카메라 설치로 작물의 성장, 스트레스 등 영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영상연구동도 소개됐다. 현안 토의에서는 디지털농업의 기술개발 및 확산을 위한 로드맵과 콩, 벼 등 노지 작물에 대한 디지털농업 선도 모델의 개발과 실증 등에 대한 각 기관별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추진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이날 경북농업기술원은 생력 기계화, 자동 물관리, 디지털트랩, 드론방제, 디지털통합관제시스템 등을 포함한 디지털농업의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재배 안정성과 기계수확 적응성이 다소 떨어지는‘대원콩’을 대체할 수 있는 다수성 신품종인 ‘선풍’과 ‘대찬’의 전시 시범포 조성을 제안했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스마트 농업이 농민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면, 디지털 농업은 축적된 테이터를 기반으로 그 의사 결정을 상당부분을 대체하는 것으로 한 단계 더 진보된 방법이다”라며, “지금은 초기 단계지만, 농가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기술 향상과 실질적 농가소득 향상 효과가 나타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19일 도청에서 구미 소재 지역 기업인 세아메카닉스의 조창현 대표이사와 사내 봉사동아리 키우미 회원들이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지역경제를 살리자는 뜻에서 총 1232만 2000원의 성금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웃사랑 행복나눔 기부 동참(사진=경북도) 지난해 8월 1000만 원에 이어 올해도 착한 기부를 이어갔다.아울러, 총 14명으로 구성된 세아메카닉스 사내 봉사동아리 키우미는 지난 연말 벼룩시장을 운영해 발생한 수익금 232만 2000원을 이날 함께 전달했다.세아메카닉스는 전기차배터리부품 등 금속압형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2020년 경북PRIDE(프라이드)기업 및 2021년 중소벤처기업부의 글로벌강소기업에 선정된 바 있다.조창현 대표는 “올해는 많은 직원이 함께 참여해 기부하게 돼 더욱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코로나로 어려운 시기이지만 건실한 기업 만들기에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오늘의 이 따뜻한 마음이 주변의 어려운 이웃에게 잘 전달 되도록 의미 있게 사용하겠다”라고 답했다.
경상북도는 19일 도청에서 경북새마을회(회장 이종평)가 범도민 이웃사랑 행복나눔 캠페인 일환으로 기부금 500만원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범도민 이웃사랑 행복나눔 기부금 전달(사진=경북도) 이번 기부금은 경북새마을회장 및 회원단체장*, 새마을지도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마련됐다. * 도협의회장 조성현, 도부녀회장 김옥순, 도직장회장 이수홍, 도문고회장 김성환전달된 기부금은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위기계층과 지역 소상공인 등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이종평 경북새마을회장은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지역 소상공인과 어려운 처지에 놓인 분들에게 성금을 전달하게 돼 기쁘다”라면서, “경북새마을회가 새마을운동 정신으로 앞장서 함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범도민 이웃사랑 행복나눔 행사 취지에 공감하고 동참해 주셔서 감사드린다. 코로나19 방역 활동뿐만 아니라 어려운 시기 마다 경북새마을회가 앞장서 위기를 극복할 만큼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밝혔다.한편, 경북새마을회는 지난해 3월에도 회원들의 뜻을 모아 500만원의 성금을 전달한 바 있다.
경상북도는 19일 도청에서 건설교통국, 공항추진단, 문화체육관광국에 대한 새해 업무보고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건설, 공항, 문화 분야 업무보고(사진=경북도) 이날 업무보고는 신공항 이전지 결정이후 공항과 영일만항 투포트 체제로 새로운 성장판을 만들고 신공항 시대 글로벌 문화관광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계획들로 채워졌다.우선, 건설 분야는 양동?하회마을처럼 후손들에게 문화유산으로 물려줄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건축자산을 만들겠다는 계획이 제시됐다.지난해 12월 천년건축위원회를 발족하고 국내외 유명 건축가들과 함께 공동 연구해 경북형 천년건축물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구체화할 명품 주거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도청신도시에 새롭게 건축될 예정인 복합문화컴플렉스를 천년건축의 모범사례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문화국에서 발표해 경북형 천년건축 프로젝트를 범부서 협업프로젝트로 추진할 방침이다.신공항 경제권의 혈관이 될 SOC분야는 도내 어디서든 30분 이내 접근가능한 철도망 구축목표를 제시했다.지난해 12월 개통된 대구선(동대구~영천), 동해선(포항~울산) 등과 같이 기본노선을 연계한 광역철도를 통해 건설비는 줄이고 편익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도청 이전 7년 차를 맞이하는 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2단계 유보지 42만㎡를 화이트존으로 설정해 지식, 문화, 정보통신기업 등 첨단산업 유치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신도시가 인구 10만의 자족도시로 성장하는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공항분야는 이전지 결정이후 보다 강력한 추진체계 구축을 위해 ‘(가칭)Flying 경북’이라 불리는 민관협력체계를 갖추고 충분한 규모의 공항건설을 위한 행ㆍ재정적 자원 확보에 힘을 모은다는 구상이다. 또 공항신도시 건설과 항공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푸드밸리, 테마파크 등 공항 주변부 개발 사업에 대한 기본구상을 마치고 입지선정 등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아울러, 울릉공항은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올해 30%까지 공정률을 끌어올릴 계획이며, ‘포항공항’은 상반기 중 ‘포항경주공항’으로 변경돼 경주의 도시브랜드를 제고하고 관광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진비행장에는 한국항공교육원(KAA) 거점센터를 유치해 항공 전문인력 양성체계를 구축하고, 항공산업 일자리 정보박람회도 유치할 계획이다. 끝으로, 문화 분야는 한옥, 한복, 한지, 한글의 경북 4대 한류와 공항시대 및 4차 산업시대의 문화관광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사업들이 주를 이뤘다. 특히, 올해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경북 술 문화축제’, ‘한글 대잔치’와 같은 글로벌 문화축제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로봇, 드론, VR?AR등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한 문화축제를 적극 개최할 계획이다. 또 메타버스 글로벌 한글캠퍼스, 신라왕경 핵심유적 메타버스 복원 등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한다.아울러, 경북의 누정(樓亭)과 전통한지 그리고 가야고분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및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러한 문화관광분야 대전환 프로젝트를 통해 경북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도민들이 문화를 통해 위로 받고 화합할 수 있는 한 해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도 제시됐다.이철우 경북지사는 “우리의 힘으로 해낸 신공항시대와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적은 노동으로 고부가가치를 올리고, 여가와 문화에 대한 서비스가 중요해지는 시대가 될 것”이라며, “공항과 연계된 미래 산업들을 잘 육성하고 4대 한류 중심으로 문화관광 산업을 잘 육성한다면 과거처럼 경북이 중심이 될 날이 반드시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올해도 저출생 극복을 위한‘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를 이어간다고 19일 밝혔다.▲ 임산부 이송사진(사진=경북도) 경북형 아이 행복 도정 시책인‘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는 출산이 임박하거나, 조산 우려가 있는 임신부, 출산 후 거동이 불편한 임산부를 전문적인 분만 처치 교육을 받은 119구급대원이 신속히 출동해 대구?경북 소재의 적정 병원으로 이송해 주는 서비스이다. 지난해 저출생 극복을 위한‘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를 통해 486명의 임산부를 이송했으며, 그중 2명이 구급차 안에서 분만했다.특히, 지난해 2월 구미 00동에 거주하는 산모가 출산이 임박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대원의 신속한 분만 유도로 병원 이송 중 건강한 여아를 출산하는 기쁜 일도 있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올해도 아이 낳기 좋은 경북을 위해 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를 지속해서 시행할 것”이라며, “갑작스러운 진통 등 임산부 응급상황 발생 시 즉시 119로 신고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