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1%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868(-684)714,18335,639(-797)677,302(+3,663)1,242(+2) * 국내 2,865, 국외 3 * 치명률(4.29. 0시 기준) - 경북 0.17%(1,240명), 전국 0.13%(22,724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2517144262확진자544921384166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해외유입일 자4.23.(토)4.24.(일)4.25.(월)4.26.(화)4.27.(수)4.28.(목)4.29.(금)누계(주)일평균(주)검 사8,5694,1774,48113,8919,0035,17113,11758,4098,344확진자4,047(8)2,245(3)4,348(1)5,418(5)3,979(0)3,552(7)2,868(3)26,457(27)3,779.(3.9)(단위 : 명, %)구 분4.23.4.24.4.25.4.26.4.27.4.28.4.29.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4,0392,2424,3475,4133,9793,5452,86526,4303,775.7연령별60세↑확진자수(%)1,214(30.1)462(20.6)990(22.8)1,506(27.8)1,025(25.8)891(25.1)875(30.5)6.963(26.7)994.718세↓확진자수(%)720(17.8)341(15.2)1,100(25.3)1,040(19.2)793(19.9)678(19.1)540(18.8)5,212(19.9)744.6외 국 인65(1.6)23(1.0)53(1.2)69(1.3)49(1.2)71(2.0)54(1.9)384(1.5)54.9 □ 시·군별 발생(국내 713,120, 해외유입 1,063)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714,183명 (+2,868)151,780(+608)(+1)64,301(+246)36,942(+129)43,819(+177)122,587(+445)29,823(+131)25,058(+131)22,024(+117)18,185(+93)82,677(+304)(+1)4,705(+2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0,004(+64)5,750(+29)2,934(+12)8,771(+32)9,280(+40)6,393(+26)(+1)8,136(+33)27,131(+85)14,851(+61)5,780(+35)11,929(+32)1,323(+12)
경상북도사회복지협의회(이하 협의회)는 29일 안동에서 사회복지시설?기관을 운영하는 시설장이나 최고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경영 최고관리자(Masters of Social Worker, MSW) 교육 과정 개강식을 개최했다.▲ 사회복지 경영 최고관리자 과정 개강(사진=경북도)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고 방역에 집중하기 위해 2년 넘게 닫혀 있던 사회복지시설들이 이제 본격적으로 대면 서비스 제공을 준비하고 있다. 협의회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일상회복을 위한 첫걸음으로 지역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을 운영하는 최고관리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 경영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직?자원관리?경영등 사회복지 역량 강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이번 MSW과정을 준비했다. 이 과정은 ‘보스가 아닌 최고의 리더 되기’를 부제로 소통으로 생동감 있는 조직 만들기와 사회복지 가치경영 주제의 교육 과정으로 6월 17일까지 2개월간 총 8회(매주 금요일)의 일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상근 경상북도사회복지협의회장은“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교육은 그간 코로나 확산 방지와 방역에 치중됐던 사회복지시설들이 이제 다시 본격적으로 대면 서비스를 재개하는 힘찬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박성수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지난 2년 넘게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특히 노심초사 애써주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여러분들께 깊이 감사를 드린다”며 “이제 일상으로 나아가야 하는 시점에 이번 과정을 통해 최고관리자의 경영 마인드와 역량 강화로 시설의 안정적인 운영과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봄, 바야흐로 캠핑의 계절이 다시 돌아왔다. 지난 2년 여 코로나19와 함께 하는 동안 캠핑은 비대면 일상을 즐기는 하나의 대세로 떠올랐다.▲ 캠핑대전 개막식(사진=경북도) 이러한 캠핑여행의 인기를 몰아 캠핑을 주제로 한 대규모 박람회가 지역에서도 마련됐다.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3일간 대구 엑스코(동관 전시장 4~6홀)에서 2022 대한민국 캠핑대전이 개최된다. 올해로 두 돌을 맞는 이번 전시회는 경북도와 대구시가 후원했다.유수의 캠핑 관련 사업체 220개사 이상이 참여해 전시규모는 780여 개 부스로 가히 지역 최대 캠핑 박람회이다.대구경북의 캠핑장 정보와 캠핑차량, 텐트를 비롯한 각종 캠핑용품, 밀키트와 같은 먹을거리 등 캠핑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한 자리에서 쉽게 보고 즐길 수 있다.첫 날인 29일 개막식에는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와 정해용 대구시 경제부시장 등이 참석해 전시장을 둘러보며 참여업체 종사자들을 격려하며 체험이벤트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이날 평일임에도 1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행사장을 찾아 본격적인 시즌을 맞아 최근 급격히 늘어난 캠핑족들의 캠핑 산업에 대한 관심도를 그대로 보여줬다.전시장은 캠핑차량, 캠핑용품, 아웃도어, 레저스포츠 용품, 낚시용품, 캠핑음식 부스, 시군 홍보부스 및 대구경북 공동홍보관 등이 마련됐으며 관람객을 위한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렸다.경북도 홍보관은‘영화 속 작은 숲속 호빗마을’을 테마로 밀리터리 내츄럴 콘셉트 존, 글램핑 콘셉트 존 등 지역의 자연과 어우러진 친환경 캠핑장을 연상할 수 있도록 감성충만 캠핑존으로 구성했다. 또 지역 캠핑장을 알기 쉽게 정리한 캠핑홍보책자를 배부하는 한편, 게임을 통해 경북 관광 온라인 이벤트를 알리고 참여자에게는 경북 관광기념품을 증정하는 체험 이벤트도 운영했다.대구경북을 대표하는 캠핑카 전문업체인 FF캠핑카, 퍼스트알브이, 제일모빌, 카이트 등이 다양한 형태의 캠핑카를 전시하고, 국내 최대규모 캠핑용품 업체인 캠핑고래를 비롯한 지역의 우수한 캠핑용품 업체들이 경쟁력 있는 물품을 전시 판매했다.한편, 직접 참관이 어려운 지역민들을 위해 매일신문 유튜브 채널 라이브 방송도 운영하며,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커피쿠폰, 손소독제, 밀키트 등 경품도 풍성하게 제공했다.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경북에는 강산해를 배경으로 우리 집처럼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캠핑장들이 300개가 넘게 있다. 올 봄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경북에서 청정자연을 만끽하시길 바란다”며 “대구의 우수한 캠핑관련 산업과 경북의 청정 캠핑장이 환상의 콜라보를 통해 상생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북농업기술원 영양고추연구소는 고추 칼라병(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TSWV)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추 정식 직후에 매개충인 총채벌레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고추 재배포장 주변 월동잡초(별꽃)(사진=경북도)총채벌레는 월동 후 잡초에서 증식을 시작하며 별꽃과 같은 월동잡초를 섭식시 칼라병 바이러스를 보독한다. 올해 조사 결과 3월 하순부터 잡초에서 총채벌레가 발생해 증식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잡초에서 증식한 총채벌레는 고추 정식 직후 재배포장으로 유입되며, 5월 기온상승 및 개화 후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해 방제가 어려워지므로 정식 직후부터 총채벌레 방제를 시작해야 한다. ▲ 정식 후 고추 칼라병 피해증상(사진=경북도) 칼라병 피해가 우려될 경우 정식 2~3일 전 육묘에 총채벌레 전문약제(작용기작 5번, 13번, 30번 약제)를 살포 후 정식하면 초기피해를 막을 수 있다. 또 총채벌레의 중간기주인 잡초를 제거해 칼라병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부직포 설치, 예초, 제초제 사용 등으로 고추밭 주변 잡초를 관리하면 총채벌레뿐만 아니라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잠두위조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진딧물도 함께 예방 할 수 있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재배초기에 칼라병이 감염되면 생육저하로 고사하거나 수량 및 고추품질이 저하되기 떄문에 매개충인 총채벌레를 재배초기부터 철저히 방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은 28일 영덕에 소재한 임산식약용버섯연구센터에서 임업후계자 영양군협의회(회장 김용우) 회원 및 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화살나무 시범재배 및 산업화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임업인과 함께하는 상호협력 업무협약(사진=경북도) 이번 협약은 임업인의 산림소득 증대와 산업화를 위한 화살나무 시범지 조성 및 관리 등 상호협력에 관한 것으로 영양군협의회의 회원 소유의 산에 0.1ha 규모로 화살나무 시범지를 조성하고 제초, 관리, 생산물 채취 등을 공동으로 추진한다.시범지에서 생산되는 잎은 뇌건강 산림바이오 신소재 연구를 위한 전임상 실험원료로 사용되며, 장아찌 등 전통 식품부터 곤드레밥과 같은 냉동 즉석식품까지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도 개발된다. 또 임업후계자 영양군협의회가 초보 임업인에게 멘토-멘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산림 내 화살나무 재배기술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모델을 서로 협력해 개발할 계획이다.한편, 화살나무는 주로 조경수로 쓰이나 가지는 약용, 잎은 나물과 뇌건강 개선 기능성 원료, 아름다운 단풍은 관광 상품으로 활용하는 등 1차부터 6차 산업까지 도모할 수 있는 잠재적 가치가 매우 큰 자원이다. 이에 산림환경연구원은 2018년부터 화살나무 산업화연구를 추진해 기억력 개선 시제품을 개발하고 뇌건강 개선 조성물 특허등록으로 지식재산권을 확보하는 등 산업화 발판을 마련했다. 이를 기반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효과 검증 등 전임상 실험을 통한 원료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향후 식약처 건기식 원료 등재를 위한 임상실험, 화살나무 대단지 조성 등 기술이전 상업화 기반을 확대할 방침이다.김용우 임업후계자 영양군협의회장은 “이번 시범지 조성을 기점으로 영양이 화살나무 특구로 육성돼 지역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기를 바라며, 기능성 원료 외에도 다양한 제품개발로 지역의 신소득 품목으로 새바람을 일으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엄태인 경북도 산림환경연구원장은“송이소나무, 기능성 산림버섯, 산돌배, 화살나무 등 임업인의 직접적인 소득으로 연계되는 현장실용화 연구를 중점 추진하고 있다”며 “지역 임업인과 함께 산림바이오 신소재 산업화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핵심동력 산업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1%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3,552(-427)711,31536,436(-1,262)673,639(+4,806)1,240(+8) * 국내 3,545, 국외 7 * 치명률(4.28. 0시 기준) - 경북 0.17%(1,232명), 전국 0.13%(22,588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정정: 포항 ?1명(2. 7. 0시기준)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713104135확진자18231238394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해외유입일 자4.22.(금)4.23.(토)4.24.(일)4.25.(월)4.26.(화)4.27.(수)4.28.(목)누계(주)일평균(주)검 사14,1068,5694,1774,48113,8919,0035,17159,3988,485확진자4,433(3)4,047(8)2,245(3)4,348(1)5,418(5)3,979(0)3,552(7)28,022(27)4,003.1(3.9)(단위 : 명, %)구 분4.22.4.23.4.24.4.25.4.26.4.27.4.28.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4,4304,0392,2424,3475,4133,9793,54527,9953999.3연령별60세↑확진자수(%)1,332(30.1)1,214(30.1)462(20.6)990(22.8)1,506(27.8)1,025(25.8)891(25.1)7,420(26.7)1,060.018세↓확진자수(%)905(20.4)720(17.8)341(15.2)1,100(25.3)1,040(19.2)793(19.9)678(19.1)5,577(19.9)796.7외 국 인63(1.4)65(1.6)23(1.0)53(1.2)69(1.3)49(1.2)71(2.0)393(1.4)56.1 □ 시·군별 발생(국내 710,255, 해외유입 1,060)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711,315명 (+3,552)151,170(+678)(+3)64,055(+287)(+1)36,813(+184)43,643(+229)122,142(+872)29,692(+122)24,927(+86)21,907(+101)18,092(+84)82,372(+330)(+2)4,682(+1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9,940(+44)5,721(+54)2,922(+21)8,739(+34)9,240(+46)6,366(+24)8,103(+37)27,046(+136)14,790(+62)(+1)5,745(+32)11,897(+58)1,311(+10)
경상북도는 동북아자치단체연합(NEAR) 사무국과 함께 28일 포스코 국제관에서 6차산업 육성을 통한 동북아 농촌 및 농식품 산업 미래 발전전략을 주제로 온·오프라인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농업 6차산업 발전 2022 NEAR 국제포럼개최(사진=경북도) 포럼에는 농업 관련 국·내외 전문가, 회원단체 대표, 도내 6차산업인증사업자(농촌융복합산업인증사업자) 15개사와 시군 공무원이 참석했다.농업 6차 산업이란 농촌에서 생산하는 농산물(1차)을 이용해 현지에서 식품 등으로 제조·가공(2차)하고 이를 유통 및 관광서비스 산업(3차)과 연계해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지역의 일자리 창출하는 것이다.우리나라는 최근 중앙 정부에서 처음 주요 농업정책으로 제시했고, 경북도는 2017년 조례를 제정해 6차 산업 육성을 뒷받침하고 있다.코로나19로 3년 만에 개최된 이번 국제포럼에는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베트남 등 6개국에서 역대 최다인 57개 광역지자체 대표 등 200여명이 참가했다. 특히,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유럽지방정부연합(AER),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ICLEI), 기후변화대응 세계지방행동기구(R20) 등 공인된 국제기구 관계자와 한중일 3국 협력사무국(TCS), 중국 헤이룽장성 사회과학원,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관계자도 NEAR 주관 국제행사에 처음으로 참석해 NEAR의 한층 높아진 위상을 과시했다.이동필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지방소멸 위기에 처한 농촌을 살리기 위해 농업의 6차산업화 지원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동북아 지역에서 농업6차산업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공동 마케팅 등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또 일본 농업연구기구 소속 오니시 치에 박사, 중국 산시농업대 왕광빈 교수, 몽골 국립농업대 나상자르갈 부학장, 러시아 연해주 농업대학 코민 안드레이 총장 등 외국 전문가들도 농업 6차 산업과 관련된 각국의 정책과 모범사례를 소개하고 공동 과제를 제시해 참가자들의 공감을 얻었다.포럼을 주관한 김옥채 NEAR 사무총장은 개회사를 통해 “NEAR는 동북아 지방정부 간의 교류협력 증진을 통해 소위 아시아 패러독스 극복에 앞장서야 한다”며 회원단체의 적극적인 활동을 요청했다.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다수의 NEAR 회원 지자체가 공통으로 직면한 농업 및 농식품 분야의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최근에 발효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제하에서 농식품 교역 활성화를 위한 긴밀한 협력의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한편,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은 1996년 9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4개국 29개 광역자치단체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경주에서 창설된 동북아 지방정부 간 협력기구이다.지금은 몽골과 북한까지 포함한 6개국에서 79개 광역 지자체가 정식 회원으로 가입해 경제·교육·관광·환경·해양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교류와 협력을 통해 지역의 공동발전과 번영을 꾀하고 있다.
문경에는 너무 험해 새도 날아서 넘기 어려우니, 억새가 하도 우거지니, 한양으로 가는 샛길이라며 새재라 이름 새겨졌다는 문경새재가 있다.▲ 2019문경 찻사발축제(사진=경북도) 삼국시대부터 하늘재가 있었고, 조선시대에 오면서 새재가 새로 열렸고, 조선시대 한양으로 갈려면 영남 제1, 2, 3관문을 통과하지 않으면 갈 수 없었던 경상도 관문역할을 해 왔던 곳이다.영남과 호서를 잇는 교통요충지 여서 도자기 유통에도 이점이 있었는데 다, 좋은 흙, 좋은 물, 땔감이 풍부하여 일찍이 도자기가 명성을 떨쳤다.900여년의 전통과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도자기 고장, 문경은 현재도 대한민국 도예명장 2명, 문경도자기명장 3명,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사기장 2명 등 40명의 도예작가들이 도자기를 빚고, 망대이 가마에 장작으로 불을 지피는 전통방식으로 구슬땀을 흘리며 혼을 담아내고 있다. 그렇게 문경은 천년의 불꽃을 고집스레 이어오고 있다.이번 주말에는 찻사발과 함께 소담스런 멋과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문경 찻사발 축제장으로 가족 여행일정을 잡으면 어떨까?30일 주말부터 5월 8일까지 9일간, 문경새재 야외공연장에서 개최되는 이번 축제는 코로나19로 취소와 축소를 반복한 탓인지 축제개최에 대한 갈증해소에 청량감까지 느껴진다.먼저, 축제기간 내내 기획전시관에서 문경 도자기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 대한민국도예명장, 문경시도예명장, 경상북도최고장인,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도예작가의 작품과 문경도자기 명품전 등 200여점의 최고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도예작가 35명이 정성스레 만든 “한상 차림전”은 올해 축제의 백미라 할 수 있다.지난해 타계한 대한민국도예명장 도천 천한봉 선생님의 추모작도 특별전시관에서 만날 수 있다. 전시장 앞에는 문경도예작가 35명의 요장(窯場)이 한곳에 모아져 있다.가은요, 봉정요, 월봉요로부터 채담요, 갈평요까지, 요장이름만으로도정감있고 궁금증을 자아낸다. 이곳에서는 요장별로 작가의 작품을 관람할 수 있고, 작품구매도 가능하다. 작가별로 작품특징에 대한 애기를 나누는 것도 하나의 재미다. 요장방문 스탬프 미션투어에도 도전할 수 있다.이외에도, 가족도자기체험, 망각의 찻집 등 현장 체험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마련돼 있다.또 온라인으로는 찻사발 명품명장경매를 진행한다. 축제기간 중 5회에 걸쳐 진행하는데, 차담이 TV를 통해 만나볼 수 있고, 찻사발 랜선마켓에서는 문경도자기를 50% 할인된 금액으로 온?오프라인에서 구매도 가능하다.이외에도, 야외공연장 특별무대에서는 축제기간 중 매일 2~3회,‘문경사기장의 하루 이야기’란 이름으로 찻사발 장인들이 이야기하는 작품제작 에피소드, 작품설명 및 시연 등의 퍼포먼스로 축제 재미를 더한다.축제장 곳곳에는 다양한 포토존을 설치해 축제장에서의 추억을 담아갈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 있다.한편, 문경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찻사발축제와 함께 가족단위 관광객의힐링과 감성을 모두 채울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가 준비돼 있다. 백두대간의 수려한 산세를 내려다 볼 수 있는‘문경단산관광모노레일’을 시작으로 개장 1년 만에 관광객 10만명을 돌파한‘문경생태미로공원’이 있다 문경의 탄광역사를 간직한 석탄박물관과 청정자연 생태관련 전시·체험관, 오픈세트장이 있는 복합 테마파크‘에코랄라’등 1박 2일 동안 문경에서 가족과 함께 추억 나들이를 채워주기는 충분하다. 4월의 마지막 주말, 문경의 매력에 푹 빠져보자 한편, 경북도는‘경북관광을 빚다, 경북을 비추다’라는 주제로 대형 달항아리에 축제장을 찾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지역관광 발전의 위한 바람 등 희망을 담아 제작 후 전시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코로나로 지친 몸과 마음을 문경 찻사발 축제에서 다양한 체험을 통해 힐링이 되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며 “다시 일상으로 돌아온 만큼 축제를 시작으로 경북관광이 재도약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022년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도내 429만 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안)에 대해 소유자 등의 의견수렴 및 시?군?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친 후 29일자로 결정?공시했다.▲ 시군별 개별 공시지가 현황 도내 개별공시지가 평균 변동률은 7.81% 상승(2021년 8.62%)한 것으로 집계 됐으며, 전국 평균 변동률 9.93%보다 2.12% 낮았다. 경북도는 시?도별 상승 순위 중 서울(11.54%), 대구(11.13%), 세종(10.81%), 부산(10.48%) 등에 이어 16번째로 나타났다.도내 시?군별 주요 상승지역은 군위(16.12%), 울릉(12.86%), 봉화(10.57%), 의성(10.49%) 순이다.군위·의성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슈, 군위군의 대구편입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 울릉은 일주도로 완전 개통 및 울릉크루즈 취항 등 관광산업 호재, 봉화는 국립 백두대간수목원 관광객 증가 및 국립청소년산림생태체험센터 등이 주요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도내 최저 상승지역은 울진(5.50%)으로 원자력발전소 인근지역 경기침체에 따른 지가 하락과 부동산 수요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도내 개별필지 공시지가 중 최고가는 포항 북구 죽도동 596-16번지(대, 큰시장약국)로 13,850,000원/㎡(평당 45,705,000원)이며, 최저가는 울진 금강송면 왕피리 1063-2번지(임야, 자연림)로 158원/㎡(평당 521원)으로 조사됐다. ※ 전국 최고 공시지가 : 서울 중구 충무로1가 24-2번지(대, 189,000,000원/㎡)이번에 결정·공시되는 개별공시지가 열람은 경상북도 부동산정보조회시스템(http://kras.gb.go.kr), 토지소재지 관할 시·군·구청 홈페이지 및 읍·면·동사무소에서 확인 할 수 있다.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토지소유자 등은 시군구청과 읍면동사무소에 비치된 이의신청서를 활용하거나, 경상북도 홈페이지(www.gb.go.kr)에서 서식을 내려 받아 토지소재지 관할 시군구청에 5월 30일까지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개별공시지가는 토지관련 국세와 지방세 및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으로 활용되는 등 도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인은 기간 내에 결정지가를 확인하는 등 재산권 관리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 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28일 영남대 천마아트센터에서 중소기업의 온라인진출과 상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북세일페스타 상반기 품평회’를 개최했다.▲ 8개 주요 온라인채널 초청 대규모 품평회(사진=경북도) 이날 행사는 경북 중소기업 제품 향상 및 다양한 온라인시장 진입 기회를 제공해 참여업체의 판로확대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ㄹ르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번 품평회에는 온라인 유통채널(쿠팡, 위메프, 티몬, 우체국쇼핑, 공영쇼핑, 11번가, 인터파크, 오아시스) 8개사의 상품기획자(MD) 20여명과 지역 중소기업 80여 개 사가 참여했다.이날 지역 온라인 매출 상위기업 2개사의 온라인유통사별 입점 과정과 판매 노하우 공유, 전문 상품기획자의 판매 전략 발표 및 설명, 참여기업 대표와 MD의 일대일 상담 시간이 진행됐다.특히, 상담을 통해 상품기획자가 기업에서 출품한 제품을 직접 살피며 구성, 제품차별화, 가격경쟁력, 제조?생산 능력, 시장 트렌드 이해도, 홍보능력 등을 현장에서 평가한 후 그 자리에서 컨설팅을 제공했다.한편, 경북도는‘경북세일페스타 온라인 판로지원’사업 일환으로 이번 품평회 외에도 온라인 아카데미, 컨설팅, 라이브쇼핑, 프로모션 지원 등 중소기업의 온라인역량 강화 및 판로 개척을 위해 다양한 지원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윤희란 경북도 중소벤처기업과장은“이번 품평회를 통해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참여기업의 입점 및 판매 실적을 지속해서 관리해 판로개척에 힘쓰겠다”며“경북세일페스타 참여업체를 대상으로 온라인진출 의지력, 성장 잠재력이 높은 업체를 100개 이상 육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봄이 찾아오면서 코로나로부터 일상회복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간 움츠려 있던 지역 투자도 활기를 찾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유망 스타트업 투자설명회(사진=경북도) 경상북도는 28일 경북테크노파크 국제회의실에서 지역 유망 스타트업 투자유치를 위해 수도권 대형 벤처투자 운용사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날 설명회에 참여하는 투자 운영사는 포스코기술투자,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포스텍홀딩스, 케이엔투자파트너스, 대성창업투자, 하이투자파트너스, 와이앤아처, 패스웨이파트너스, AVA엔젤클럽, 라이프코어파트너스 등 10개 사로 지역 기업에 관심을 두고 투자 상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이번 설명회에 참여 대상기업은 4차 산업핵심기술 기반 스타트업으로써 외부 투자를 받아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성장 가능한 기업으로 한다.참여기업으로는 미드바르(에오로포닉스 기반 AirFram 스마트팜 모듈),클린사이언스(회전롤 표면오염물질 청정화 장치), 카멜바이오사이언스(단백질 분해 유도 기술, DNA 암호화 라이브러리 기술), 우로테스트(수학학업능력 자가진단 솔루션), 포렘코(재활용 압연 Roll & 부품), 휴미템(농업용 복합환경 제어기), 유스풀제스트(반려동물 라이브스타일 브랜드, 반려동물 사료), 디에이치(반도체·디스플레이·의료자동화 장비 설계 제조) 등 지역 혁신 스타트업 및 유망 중소기업 8개사이다.설명회는 기업별 25분(발표 10분, 질의응답 10분, 추가시간 5분)정도 투자전문가 심사 및 투자 코칭·상담 등을 통해 유망 기업 발굴 및 투자가 이뤄진다.올해 2번째 열린는 이번 설명회는 투자를 원하는 예비 창업자, 지자체 관계자, 창업보육센터, 지역 은행 등 경북 기업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관들이 참관 할 수 있도록‘오픈형 투자설명회’로 개최했다.윤희란 중소벤처기업과장은 “차기 정부에서 ‘제2벤처붐’분위가 이어질 수 있도록 벤처 모태펀드 확대 등을 역점으로 추진하고 있어 도에서도 기존 조성된 펀드와 연계한 투자설명회를 활성화 하여 우리 지역 유망 벤처·스타트업의 투자가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경북농업기술원은 최근 꿀벌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과수 농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꽃가루은행’이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밝혔다. ▲ 꽃가루은행 인공수분(사진=경북도) 봄철 다른 품종의 꽃가루를 옮겨 작물의 수정을 돕는 일을 해온 꿀벌들이 지난 초겨울 고온현상과 꿀벌응애, 약제남용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개체 수가 급감하며 전국 최대 과수 생산지인 경북지역 과수농가에 위기가 찾아 왔다.꿀벌 실종은 올해 1월부터 남부지방(전남, 경남)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양봉 규모가 가장 큰 경북(전국 대비 20%)도 7.6만군(경북 양봉농가 전체 대비 13%)에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과수 농가들의 대응이 필요한 이 때, 주요 과수의 꽃피는 시기(3월 하순 ~ 5월 상순)에 맞춰 사과, 배 등 과수 주산지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꽃가루은행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꽃가루은행이란 사과와 배 등 과수 농가가 따온 수분용 꽃에서 꽃밥(약)을 채취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뒤 꽃가루만 수집해 발아율 검사 등을 거쳐 안정성을 검증한 뒤 인공수분용 꽃가루를 농가에 제공한다.또 농가에서 사용하고 남은 꽃가루를 냉동 보관해 이듬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서비스도 실시하고 있다.아울러, 농업기술원은 노동력 절감형 드론활용 인공수분기술 적용과 꿀벌 활동성 증대 스마트벌통 시범도입도 검토하고 있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최근 이상기온으로 나타나는 꿀벌 실종 및 개화기 저온 등으로부터 농가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꽃가루은행을 확대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공공배달앱 먹깨비를 통해 배달비 와 포장주문 할인 이벤트를 실시한다.▲ 먹깨비 경북 5월 이벤트(사진=경북도) 이는 최근 급격한 인상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배달비 부담 경감과 일부 소비자들 중심으로 환경을 생각한 포장주문 건수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를 배달주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의식전환 캠페인의 일환이다.배달비 인상은 민간 배달앱 회사들의 속도경쟁으로 인해 묶음배달에서 단건배달로 배달방식이 바뀌면서 생겨난 현상이다.이는 배달기사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 것이 주요인이다. 이에 따른 피해가 가맹점주인 자영업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발생하면서 지역사회 내에서 공공배달앱의 역할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다.경북도는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일상회복과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음식배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보고 배달비 및 포장주문비를 지원하는 ‘먹깨비 배(달)포(장) 할인 이벤트’를 한 달 간 실시한다.먼저, 배달비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하루 1000명씩 총 3.1만 명에게 2000원 할인쿠폰을 지급한다. 또 배달비를 아낄 수 있고 환경을 생각한 착한소비도 할 수 있는 포장주문에는 하루 300명씩 총 9300명에게 3000원 할인쿠폰도 지급한다.한편, 이외에도 먹깨비는 매주 일요일 3000원 할인, 리뷰이벤트, 가맹점이 자율적으로 음식값을 인하할 경우 할인금액 만큼 추가로 할인을 더해 주는 더블할인 혜택, 각 시군별 기념일 및 축제기간에 지급하는 할인쿠폰 등 다양한 할인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특히, 10% 구매할인 혜택이 있는 지역사랑상품권 및 온누리상품권과도 연계가 가능해 더욱 풍성한 할인 혜택을 즐길 수 있다.경북도는 현재 11개 시군에서 실시하고 있는 먹깨비 서비스 지역을 하반기부터는 경주,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울진, 울릉 등 10개 시군을 추가해 21개 시군으로 확대할 방침이다.경북 먹깨비 이용현황은 25일 기준으로 누적 회원수 12만4081명, 등록가맹점수 7998개소, 누적 거래액 132억 원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먹깨비를 이용하면 주문금액의 10%가 지역의 소상공인들에게 돌아간다”며“배달비 인상으로 부담을 느끼는 도민을 위해 이번 이벤트를 진행하게 됐다. 지역의 어려운 소상공인들을 돕고 착한소비도 할 수 있는 먹깨비를 많이 이용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농식품부에서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는‘농촌 돌봄마을 시범단지 조성’공모사업에 성주군이 최종 선정돼 총사업비 182억 원(국비 91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가야산골 케어팜 밸리(사진=경북도) 농식품부가 구성한 전문심사단의 엄정하고 공정한 서면 검토와 발표 평가를 거쳐 경북 성주가 2022년 사업대상자로 선정됐다.경북도는 이번 공모 결과는 도와 성주군이 2020년부터 장장 2년에 걸쳐 기본구상안을 마련하고, 중앙부처에 대한 사업추진 필요성 설득과 건의,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과 지속적인 협업 등의 과정을 통해 이뤄낸 성과라는 입장이다.농촌 돌봄마을 시범단지 조성사업은 기존 돌봄 사업의 경계를 넘어 지역민과 보건?복지?의료?교육시설 등 지역사회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공 돌봄 서비스 체계를 보다 공고히 하고, 사회적 농업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한 수익구조 확보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농촌돌봄 마을 시범단지는 가야산골 케어팜 밸리조성이라는 이름으로 성주 가천면 용사리 일원에 조성될 계획이다. 시범단지에는 노인 및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건강관리시설, 재활시설, 상담실 등을 갖춘 의료?복지시설(케어센터)과 로컬푸드 식당, 스마트 가든, 활동 텃밭, 비닐하우스, 교육실, 사무실 등 사회적 농업 시설(팜센터)과 임시거주시설, 커뮤니티 시설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사업 1년 차에는 돌봄마을 조성을 위한 기본 및 실시 설계와 프로그램 개발비로 총 12억원, 2~3년 차에는 기초공사 비용 및 의료?복지 시설, 사회적 농업 시설 등의 설치에 17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경북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기반으로 농업과 복지를 결합해 사회적 환원의 가치를 재정립해 농촌형 돌봄서비스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는 구상이다.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저출생, 고령화 심화로 농촌지역의 돌봄 수요는 갈수록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성주에 들어설 시범단지의 성공적인 추진으로 농촌지역 통합 돌봄 사업을 국가모델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지역에 SK실트론·SK머티리얼즈·SK바이오사이언스 등의 대규모 투자로 인해 SK그룹과 든든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윤석열 당선인과 이철우 도지사(사진=경북도) 이런 가운데 산업부가 2019년 지정한 SK하이닉스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사업이 각종 규제와 부진한 토지 매입 등으로 난항을 겪자 최근 인수위와 SK하이닉스에 반도체클러스터 사업의 경북 이전을 건의한 바 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3월초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만나 차기정부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균형발전의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기 위해 해당사안의 검토를 요청했다. 또 전 산업부 장관을 역임한 이희범 경북도문화재단 대표와 황중하 경북도 투자유치실장 또한 SK그룹 고위직을 만나 물밑접촉에 나서기도 했다.경북도는 현재 개발 중인 구미 국가5단지(하이테크밸리) 2단계 부지(185만평)를 제안하며 SK하이닉스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과, SK실트론·원익큐엔씨· KEC·쿠어스텍코리아 등 구미지역의 반도체 생태계를 통한 협업이 가능함을 강점으로 내세웠다.하지만,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사업이 조만간 착공이 가능할 정도로 진행되면서 SK하이닉스의 구미 이전을 대체할 대안을 SK그룹 차원에서 마련해 투자에 나서겠다는 뜻을 인수위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경북도는 SK그룹의 통 큰 결정을 크게 환영하며,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큰 산업에 대한 그룹 차원의 투자를 요청할 방침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SK실트론(구미), SK바이오사이언스(안동), SK머티리얼즈(영주, 상주)에 이은 또 한 번 SK그룹의 투자가 경북에서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SK그룹의 약속이 빠른 시일 내에 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봄철 건조한 기후로 화재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지역 5대 민속마을에 대해 광역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민속마을 소방조사(사진=경북도) 이번 조사는 지난 21일 안동 하회마을을 시작으로 경주 양동마을? 성주 한개마을?영덕 괴시마을?영주 무섬마을에 대해 약 45일간에 진행된다.관련 학과 교수?전기 및 가스안전공사?문화재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 전문단원을 포함해 8명의 조사반이 각 분야별로 조사에 참여하고 잇다.주요 내용으로는 산불 발생에 따른 문화재 보호 방안으로 국보?보물로 지정된 서적?그림 등을 포함한 목조문화재 안전 관리 전반에 대해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한편, 소방본부는 화재예방에 있어 소방시설에 국한된 소방특별조사보다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요소에 다방면의 안전관리대책 마련에 주안점을 두고, 분야별 합동조사로 실질적인 안전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광역소방특별조사단을 운영한다.경북도‘광역소방특별조사단’은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사회?경제적 피해가 큰 중요 대상에 대해 효율적인 안전 관리를 위해 지난달 30일 발족했다.
[대구·경북 보도자료] 조경구 의원, 대구시 도시철도 통합 문제점 지적 및 구조 개편 촉구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의회, 확대의장단 회의 개최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소방안전본부, 제63주년 ‘소방의 날 기념식’ 개최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민 ‘단디’ 돌보겠습니다~! 통합지원협의체 출범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 2026년 상반기 정기 조직개편 시행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 11.7조원 규모의 2026년 예산안 편성 지출구조조정 통해 민생·미래산업에 집중 투자!
[대구·경북 보도자료] 치유농업으로 교직원 마음 건강 지킨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