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북소방본부는 지난 2일 병원으로 이송 중이던 30대 산모가 119구급대원들의 도움을 받아 건강한 여아를 순산했다고 밝혔다▲ 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 운영(사진=경북도) 지난 2일 오후 7시 32분경 구미 ??읍에 거주하는 38주차 임산부가 분만 진통을 호소하는 신고가 접수됐다.구미소방서 옥계119안전센터 구급대원 3명은(소방교 안성훈ㆍ신대희, 소방사 안혜진) 즉시 출동해 임산부 상태를 확인하고, 평소 진료를 받던 대구 소재 산부인과로 출발했다. 분만 진통의 주기가 짧아져 출산이 임박했다고 판단한 구급대원들은 이송 중 응급분만을 준비했고, 구급지도 의사의 의료지도를 받으며 구급차 내에서 건강한 여아를 출산해 병원에 인계했다.출동한 구급대원들은 “흔치 않은 상황이라 긴장도 됐지만 평소 받았던 분만 응급처치 교육과 훈련대로 침착하게 대응했다”며 “건강한 산모와 신생아를 보면서 보람과 자부심을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한편, 경북소방본부는 지난 2020년부터 출산율 감소를 극복하기 위한 경북형 아이행복 시책의 일환으로 ‘새 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도내 거주 임산부 및 출산 후 6개월 미만 산모를 대상으로 갑작스러운 출산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657(-344)794,5473,566(+316)789,567(+340)1,414(+1) * 국내 643, 국외 14 * 치명률(7. 4. 0시 기준) - 경북 0.18%(1,413명), 전국 0.13%(24,574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 포항 ?1(7.2. 0시 기준)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010023확진자01002122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6.28.(화)6.29.(수)6.30.(목)7.1.(금)7.2.(토)7.3.(일)7.4.(월)누계(주)일평균(주)검 사8,2684,0392,4682,2611,9531,49492621,4093,058확진자544(18)501(9)464(11)503(13)537(16)313(14)657(14)3,519(95)502.7(13.6)(단위 : 명, %)구 분6.28.6.29.6.30.7.1.7.2.7.3.7.4.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5264924534905212996433,424489.1연령별60세↑확진자수(%)96(18.3)72(14.6)83(18.3)81(16.5)85(16.3)48(16.1)102(15.9)567(16.6)81.018세↓확진자수(%)93(17.7)93(18.9)75(16.6)94(19.2)95(18.2)76(25.4)133(20.7)659(19.2)94.1외 국 인4(0.8)7(1.4)13(2.9)6(1.2)1(0.2)6(2.0)5(0.8)42(1.2)6.0 □ 시·군별 발생(국내 793,138, 해외유입 1,409)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794,547명 (+657)169,647(+149)(+3)70,519(+55)(+4)40,670(+37)48,899(+58)139,048(+81)32,802(+10)27,839(+28)24,207(+22)(+5)20,173(+29)(+1)91,069(+53)(+1)5,132(+5)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098(+5)6,544(+5)3,369(+5)9,509(-)10,132(+5)7,012(+1)9,122(+4)30,155(+27)16,812(+49)6,414(+10)12,925(+5)1,450(-)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문경 STX 리조트에서 도내 감염병(식중독) 관리 및 검사 담당자, 연구원 직원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감염성 질환 예방·진단 역량 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 ▲ 감염성 질환 예방·진단 역량강화 워크숍(사진=경북도) 이번 워크숍은 코로나19 등 해외 유입 신종 감염성 질환의 대규모 발생 시 신속 정확한 검사로 지역 사회 유행 확산 전략 수립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또 하절기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우려되는 집단 식중독 발생 위험을 사전 예방하고 신속·정확한 원인병원체 규명을 위해 시군 담당자들의 조사·진단 역량을 강화하고, 정보공유 등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첫 날 연구원은 감염병 분야 업무 소개, 지역 코로나19 감염자 발생 추이, 변이 바이러스 발생 현황, 집단 식중독 발생 및 병원체 검사 과정 등을 분석해 발표했다. 이어 감염병 분야 격무로 고생한 직원들을 위한 힐링 치유 특강도 열어 잠시나마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기회도 제공했다.이후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의 대량 발생에 대비한 신속 정확한 진단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원과 시군 보건소와 협력 체계 구축, 업무 분담에 관한 분임토의를 실시했다.백하주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신종 감염병 및 집단 식중독이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어 감염병 관리 업무의 중요성 더욱 커지고 있다”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신속한 협조 체계 구축과 역량 강화를 통해 감염병 예방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하였다.
경상북도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뇌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바이러스 매개체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채집됐다고 밝혔다.▲ 작은빨간집모기(사진=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바이러스성 일본뇌염 유행 예측을 위해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2차례에 경산 와촌면 일대 우사(牛舍)에서 채집된 모기들을 대상으로 작은빨간집모기의 유·무와 개체수를 분석하는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올해는 지난달 27일에 채집된 모기들에서 작은빨간집모기의 존재를 확인했다.올해 전국적으로는 4월 7일에 부산에서 처음으로 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돼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됐다.(질병관리청), 이는 지난해에 비해 1개월 정도 이른 것으로 경북은 지난해 8월 2일에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채집된 바 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사람에게 일본뇌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매개체이며 축사나 논, 웅덩이 등에 서식하고, 주로 야간에 활동하며, 4월부터 10월 사이에 전국적으로 관찰되고, 8~9월에 가장 활발하게 증식한다. 사람에서의 일본뇌염 발생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감염돼 발생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는 무증상이고, 감염자의 250명 중 1명 정도에서 뇌염 증상을 나타내며, 사망률이 20~30%에 이른다. 최근 3년간 전국적으로 일본뇌염 환자는 66명, 경북은 1명의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다(질병관리청).연구원 관계자는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예방접종 하기, 모기에 물리지 않기, 모기 유충 방제 등이 중요하다”며 “특히 야간 활동 시에는 밝은색의 긴 옷을 착용하며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기피제 등을 바르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여름철 태풍, 집중 호우, 폭염 등에 따른 축산농가의 피해를 사전 대비하기 위해 동물의료지원단을 구성해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가축 질병 방역(사진=경북도) 기상청은 올 여름 북태평양 고기압의 발달로 길고 강한 폭염이 있고, 7월 중순까지 장마가 끝나도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9월까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도는 열사병, 모기매개성 가축질병, 젖소 유방염, 소 기립불능증 등의 가축질병 예방을 위해 사료와 물 등을 통한 사양적 발생요소와 환기, 모기구제, 분뇨처리, 그늘막 설치 등 환경적 발생요소에 대한 예방요령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또 경북도 동물위생시험소와 수의사회, 축협동물병원으로 구성된 동물의료지원단을 운영해 축산농가에서 여름철 재난으로 부상당한 가축을 신속하게 진료 지원하고 추가적인 질병 발생을 방지해 축산농가의 피해를 최소화 할 방침이다.경북도 김종수 농축산유통국장은 “농가에서 여름철 재난으로 가축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관할 시군을 통해 시험소로 즉시 신고토록 해달라”며 “또 모든 축산농장은 여름철 농장 위생관리와 함께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가축전염병 유입방지를 위해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해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지난달 18일 도내 17개 시군 폭염주의보를 시작으로 같은 달 30일 낮 12시를 기해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경계’단계로 상향했다.▲ 폭염 대응(사진=경북도) 이어 9월 30일까지 10개 관련부서 및 시군으로 구성된 폭염대책 전담팀을 운영해 폭염에 따른 재산·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폭염대응체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최근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평년(’91∼’20) 폭염일수(33℃)는 11일로 과거 평년(‘81∼’10년) 보다 9.5일 증가 추세이다. 최근 10년간(’12∼’21년)은 14.6일로 증가하고 있어, 올 여름 폭염일수와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이에 경북도는 ‘폭염 3대 취약분야’를 설정해 집중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폭염 3대 취약분야는 ▷공사장 야외근로자 ▷논·밭 고령층 작업자 ▷독거노인, 장애인 등 폭염취약계층 등이다.우선, 공사장 야외근로자의 폭염피해를 줄이고자 열사병 예방 3대 이행수칙(물, 그늘, 휴식)과 응급조치 방법을 안내하고 고용부와 협업해 ‘폭염취약성 판단 자가진단표’를 건설현장에 배부할 방침이다.또 폭염 취약시간(오전10∼12시, 오후2∼4시)에는 공사장 내 현장·안전 관리자가 폭염의 위험성을 안내하도록 지속해서 권고할 계획이다.다음, 폭염에 취약한 독거노인 및 장애인, 논밭에서 일하는 고령층 작업자의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폭염 특보 시에는 이장이 마을방송으로 행동요령을 전파하고, 공무원, 지역 자율방재단이 지속해서 예찰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또 생활지원사, 방문건강관리 전문인력,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재난도우미(2만 2천여명)가 폭염 취약계층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로 확인하는 등 모니터링을 지속해서 실시해 나가기로 했다.이외에도 무더위쉼터 확대 운영, 그늘막 33개소 추가 설치, 행정복지센터 내 옥상녹화사업 조기 추진 등 무더위 저감시설을 확충하고, 폭염특보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부채, 얼음물, 쿨토시 등 폭염 예방용품을 지급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때 이른 무더위로 살수차 운용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재난관리기금을 긴급 투입해, 시내 주요 간선도로에 물 뿌리기를 실시해 폭염피해 예방에 주력할 방침이다.농·축·수산업 분야별 폭염대책도 마련했다. 농·축산농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 가입, 축사시설 환경 개선사업 추진, 고수온 등 이상 수온 예방사업을 추진하는 등 폭염 피해를 최소화 할 계획이다. 김중권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폭염에 철저히 대응해 도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피해가 최소화 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도민께서도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논·밭, 건설현장 등 야외에서 무리하게 활동하지 말고, 물을 많이 마시고 가까운 무더위 쉼터나 그늘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본격적인 장마철이 도래하면서 집중호우, 강풍 등으로 인한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장마철 농작물 피해 우려(사진=경북도) 오랜 가뭄 상태에서 짧은 시간, 한꺼번에 많은 비가 내리면 농작물 생육 불량, 과수 열매 터짐, 병해충 발생 증가 등이 예상되므로 작목별 관리가 중요하다. ※ 최근 집중호우·장마 피해현황(2019∼2020) - 농작물 39,710ha, 가축 524천두(2020년 농작물 37,112ha, 가축 524천두, 2019년 농작물 2,598ha 등)논의 경우 배수로에 있는 잡초를 제거해 물 빠짐을 좋게 하고, 물에 잠긴 벼는 물을 완전히 뺀 뒤 도열병, 흰잎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밭작물은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이랑을 높게 하고 비닐하우스는 바깥의 물이 시설 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우스 주변에 물길을 만들어 줘야 한다.강풍이 불 때는 비닐하우스를 밀폐하고 끈으로 튼튼히 고정해 골재와 비닐을 밀착시켜 피해예방에 힘써야 한다. 특히, 비가 그친 후에는 작물별로 미리 병해충 방제를 하고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나 4종 복합비료 엽면시비가 도움이 된다.과수는 부러지거나 찢어진 가지를 깨끗하게 잘라낸 후 적용약제를 발라주고, 흙이 씻겨나가 노출된 뿌리에는 흙을 덮어주는 등 유실?매몰된 곳을 빨리 정비해야 한다. 쓰러진 나무는 토양이 젖어있는 상태에서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우고 보조 지주를 설치하고 낙과된 과실과 유입된 흙을 제거해 과원 내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잿빛무늬병 등 곰팡이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등록약제로 반드시 방제해 줘야 한다.축사 내 충분한 환기와 수시 분뇨제거로 유해가스 발생을 방지하고 적정 습도도 유지해줘야 한다.침수 등 피해가 발생한 경우 축사를 소독하고 가축을 깨끗하게 물로 씻어주고 예방접종을 한다. 고창증 예방을 위해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주지 않도록 한다.침수된 농기계는 시동을 걸지 말고 물로 깨끗이 닦은 후 습기를 제거한 다음 기름칠하고 수리전문가의 점검을 받은 다음 사용해야 한다.또 기화기, 공기청정기, 연료여과기 및 연료통 등은 습기가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거나 새 것으로 교환하도록 해야 한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최근 국지성 호우, 우박 등 기상재해가 잦아 농작물 피해가 우려된다”며 “농업현장에서는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사전에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관리요령을 숙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313(-224)793,8913,251(+113)789,227(+200)1,413(-) * 국내 299, 국외 14 * 치명률(7. 3. 0시 기준) - 경북 0.18%(1,413명), 전국 0.13%(24,570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011013확진자0130111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6.27.(월)6.28.(화)6.29.(수)6.30.(목)7.1.(금)7.2.(토)7.3.(일)누계(주)일평균(주)검 사1,0648,2684,0392,4682,2611,9531,49421,5473,078확진자340(6)544(18)501(9)464(11)503(13)537(16)313(14)3,202(87)457.4(12.4)(단위 : 명, %)구 분6.27.6.28.6.29.6.30.7.1.7.2.7.3.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3345264924534905212993,115445.0연령별60세↑확진자수(%)79(23.7)96(18.3)72(14.6)83(18.3)81(16.5)85(16.3)48(16.1)544(17.5)77.718세↓확진자수(%)65(19.5)93(17.7)93(18.9)75(16.6)94(19.2)95(18.2)76(25.4)591(19.0)84.4외 국 인4(1.2)4(0.8)7(1.4)13(2.9)6(1.2)1(0.2)6(2.0)41(1.3)5.9 □ 시·군별 발생(국내 792,497, 해외유입 1,39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793,891명 (+313)169,496(+50(+3)70,460(+55)(+5)40,633(+6)48,841(+13)(+1)138,967(+84)32,792(+13)(+3)27,811(+18)24,180(+5)20,143(+10)91,015(+12)5,127(+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093(+4)6,539(-)3,364(+1)9,509(-)10,127(+2)7,011(+1)9,118(+3)30,128(+7)(+2)16,763(+7)6,404(-)12,920(+6)1,450(-)
경북농업기술원에서는 지난달 30일부터 경주에 위치한 농가맛집 ‘고두반’의 메뉴가 전국 롯데마트에서 간편조리세트(밀키트)로 출시됐다고 밝혔다. ▲ 농가맛집「고두반」 메뉴 간편조리세트 전국 출시(사진=경북도) 최근 간편하게 한 끼를 즐기려는 식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농가맛집 대표음식도 간편 조리세트로 개발돼 소비자를 찾아간다. * 국내 간편조리세트 시장 규모(자료출처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19년) 1,000억원 → (’21년) 3,000억원 → (’25년) 7,250억원 성장 예상이번에 출시되는 상품은 경주 고두반의 ‘옛두부맑은전골’로 콩을 주제로 한 다양한 향토음식을 선보이는 농가맛집 고두반의 메뉴 중 전통방식의 고소한 손두부와 미나리 등 채소가 어우러진 맑은 국물이 특징이다. (판매가 18,900원 / 2인분) 간편 조리세트에는 농가맛집 이야기, 대표자 인사말, 조리방법 등이 소개된 카드가 들어있다.이를 통해 소비자에게는 농가 맛집을 홍보 할 수 있고 상품을 출시한 농가맛집은 판매액의 일부를 수익금 형태로 받게 돼 농가 소득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상품 출시를 위해 지난 4월 농촌진흥청과 롯데마트는 향토음식 활용 간편 조리세트 경연대회를 열어 8개 상품을 선정했다.경북에서는 2곳의 농가 맛집 상품이 선정된바 있다.1차로 출시되는 고두반의 ‘옛두부맑은전골’을 이어 하반기에는 상주 농가맛집 ‘종달이와보릿단’의 ‘어복쟁반’이 출시될 예정이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지난해 민생살리기의 일환으로 추진된 농가맛집 특화밥상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메뉴가 간편조리세트로 출시돼 전국 소비자들에게 판매가 된다”며 “앞으로도 우리의 맛과 멋을 담은 다양한 농가맛집 메뉴가 상품화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특수재난사고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지난 1일 포항 기계면 내단리에 119특수대응단 신청사를 개청하고, 본격적인 업무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119특수대응단 조감도(사진=경북도) 119특수대응단은 2013년 불산 누출 사고를 계기로 경북소방본부 119특수구조단으로 창설돼 운영해오다, 신청사로 이전하면서 직속 기관화 해 1과 3대* 70명의 인원으로 개편됐다*운영지원과, 119항공대, 직할구조대(본대), 직할구조대(구미지대)포항 신청사는 부지면적 8만8,040㎡에 연면적 4개동 5636㎡ 규모이며, 2014년에 사업을 시작해 올해 상반기에 완공됐다.보유 장비로는 소방헬기 2대, 차량 24대, 구조장비 352종 4915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명구조견 3두도 운영한다. 이번 신청사 이전으로 그간 4개 지역*에 분산 운영돼 유기적인 대응이 어려웠던 점을 극복하고, 원자력시설 및 유해화학물질 사고, 지진·태풍과 같은 대규모 자연재해, 화생방 대테러 등 각종 특수재난에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됐다*구미?긴급기동대, 대구K2-119항공대, 의성-119구조견대, 안동-특수재난대책팀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도내에는 다수의 원자력 시설과 함께 지진?태풍 등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하다”며 “증가하는 특수재난에 보다 완벽하게 대응해 도민이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지난달 30일 도청 다목적 홀에서 도?시군 공무원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외수입·체납세 분야 우수사례 발표대회를 개최했다.▲ 세외수입·체납세 분야 우수사례 발표대회(사진=경북도) 우수사례 발표대회는 평소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연구해 온 신세원 발굴 및 체납 징수기법 등 우수사례를 발굴·공유하고, 지방재정 확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매년 열리고 있다.이번 대회에는 총 23건의 사례가 제출됐고 분야별 서면심사를 거쳐 선정된 세외수입 분야 5건, 지방세 체납분야 5건 등 총 10건의 우수사례를 발표했다.또 질의·응답 및 토론 등을 통해 상호정보를 공유하고 업무역량을 강화하는 자리가 됐다.서면심사는 심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위하여 블라인드 방식으로 이뤄졌고, 발표평가는 발표 시·군을 제외한 총 5명의 현장심사단을 구성해 진행했다.서면평가와 발표평가를 합산해 고득점 순으로 분야별 최우수상 1팀, 우수상 2팀, 장려상 2팀이 각각 선정했다.이번 대회 최우수상 수상은 세외수입 분야에서 ‘선하지 구분지상권 설정을 통한 세외수입 증대방안‘이란 주제로 발표한 포항시 김영태주무관이 차지했다.김 주무관은 송전철탑·선하지 대부료가 누락되는 점을 파악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숨은세원을 발굴한 사례로 참석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지방세 체납분야에서‘회생폐지 직후 체납처분을 통한 체납세 징수’란 주제로 발표한 성주 장영민 주무관은 회생폐지통지서 송달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체납징수 사례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최우수상 수상자는 올해 11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전국대회에 출전 기회가 부여된다.황명석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재정지출이 증가하면서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신세원 발굴과 체납세 징수는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상황이다”며, “이번 발표대회에서 논의된 우수사례의 벤치마킹을 통해 경북의 살림살이가 더욱 더 건실하게 운영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민선8기의 경북도 경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된 이달희 경제부지사가 취임식도 생략한 채 민생경제 챙기기에 나섰다. ▲ 이달희 경제부지사(사진=경북도) 이 경제부지사는 1일 오후 별도의 취임식 없이, 비상경제대책회의로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했다. 회의를 주재한 이 경제부지사는 “現 상황에서는 2년여 넘게 지속된 코로나 정국과 고유가, 살인적인 물가 급등, 전 세계적인 고금리 등 극도로 어려워진 민생을 챙기는 것이 우선”이라며 취임식 취소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민들의 어려움을 하루라도 신속히 해결하기 위한 긴급대책으로 물가안정, 수출지원, 중소기업·소상공인 자금지원, 취약계층 지원 등 가능한 모든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어 “이러한 위기 상황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모니터링 해, 도민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며, “관련 기관들 간 유기적 협조체계를 구축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비상경제대책회의 참석 전에는 기자실과 도청 직원 노조사무실을 방문해 주요 도정 현안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했다. 이 경제부지사는 내부 행정망을 통해 게시한 취임사에서 “지금은 민선 8기 도정을 내실 있게 준비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라며, “우리가 열어가야 할 지방시대는, 중앙 주도가 아니라 지방이 먼저 의지를 가지고 참신한 정책으로 선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어 “경북이 지방시대의 모범이 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엔진이 되자”며, “능력과 열정을 가지고 도지사를 중심으로 직원 한 사람 한 사람까지 원-팀이 된다면 어떠한 어려움도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경북도의 정무실장으로서 1년 6개월 간 굵직한 도정 현안을 해결하는 마당발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이 경제부지사는 민선 8기에도 통합신공항, 영일만대교 건설, 투자유치 100조 달성 등 대형 국책사업과 경제 현안을 풀어나갈 계획이다.
경상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의 ‘23년 기초생활거점조성’ 공모에 선정된 전국 15개 지구* 중 전국 최다로 포항(동해면), 김천(대항면, 증산면), 영천(화남면), 경산(자인면), 성주(초전면) 등 5개 시군(6개 지구)이 신청해 모두 선정됐다고 밝혔다. * 전국 15개 지구 : 강원 1, 충남 1, 전북 1, 전남 1, 경북 6, 경남 4, 제주 1▲ 경산시 자인면 기초생활거점 종합계획도(사진=경북도) 기초생활거점 조성사업은 면 소재지와 배후마을에 대한 기초생활서비스 공급 거점을 조성해 생활서비스 제공과 역량강화로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를목적으로 한다.이를통해 부족한 보건?보육?문화?복지시설 등 중심지 기능 강화를 통해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이번에 선정된 6개 면 지역에는 내년부터 기본 및 시행계획 수립 절차를 거쳐 국비 168억원 등 총사업비 240억원을 5년간 연차적으로 투입될 계획이다.민선 8기 출범과 함께 농촌협약(1900억원), 농촌공간정비사업(275억원) 및 기초생활거점조성(168억원) 공모사업 선정으로 농촌지역 주민들이 쉽게 체감하고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생활 SOC 시설 및 소프트웨어 사업에 지속적인 투자로 다양하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또 소외된 배후마을 생활서비스 공급·전달을 위하여 체계적인 AI·IOT*, 메타버스(가상공간)** 등 생활SOC 시설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으로 배후마을 주민들에게 미래형 생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지능형 AI·IOT 스피커를 활용한 양방향 소통 어르신 돌봄 서비스 제공 ** 가상공간을 통한 중심지와 배후마을 간의 소통 및 정보공유의 공간으로 활용이철우 경북도지사는“민선 8기 출범에 맞춰 우리 도가 사업 기본계획 승인을 통해 지향하는 면단위 중심지부터 배후마을까지 미래형 농촌생활서비스(AI·IOT, 메타버스 등)를 통한 도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경북형 농촌 조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37(+34)793,5783,138(+218)789,027(+316)1,413(+3) * 국내 521, 국외 16 * 치명률(7. 2. 0시 기준) - 경북 0.18%(1,410명), 전국 0.13%(24,562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211116확진자41111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6.26.(일)6.27.(월)6.28.(화)6.29.(수)6.30.(목)7.1.(금)7.2.(토)누계(주)일평균(주)검 사1,3001,0648,2684,0392,4682,2611,95321,3533,050확진자200(10)340(6)544(18)501(9)464(11)503(13)537(16)3,089(83)441.3(11.9)(단위 : 명, %)구 분6.26.6.27.6.28.6.29.6.30.7.1.7.2.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903345264924534905213,006429.4연령별60세↑확진자수(%)35(18.4)79(23.7)96(18.3)72(14.6)83(18.3)81(16.5)85(16.3)531(17.7)75.918세↓확진자수(%)37(19.5)65(19.5)93(17.7)93(18.9)75(16.6)94(19.2)95(18.2)552(18.4)78.9외 국 인2(1.1)4(1.2)4(0.8)7(1.4)13(2.9)6(1.2)1(0.2)37(1.2)5.3 □ 시·군별 발생(국내 792,198, 해외유입 1,380)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793,578명 (+537)169,443(+121)(+2)70,400(+42)(+3)40,627(+16)(+1)48,827(+27)138,883(+107)(+4)32,776(+14)(+1)27,793(+23)24,175(+8)20,133(+24)91,003(+57)(+1)5,125(+6)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089(+4)(+1)6,539(+3)3,363(+5)9,509(+1)10,125(+3)(+1)7,010(-)9,115(+7)30,119(+18)(+2)16,756(+14)6,404(+5)12,914(+14)1,450(+2)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503(+39)793,0412,920(+157)788,711(+346)1,410(-) * 국내 490, 국외 13 * 치명률(7. 1. 0시 기준) - 경북 0.18%(1,410명), 전국 0.13%(24,555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 : 경주 국내-1 → 국외+1(6. 30. 0시기준)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00001확진자200002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6.25.(토)6.26.(일)6.27.(월)6.28.(화)6.29.(수)6.30.(목)7.1.(금)누계(주)일평균(주)검 사1,7701,3001,0648,2684,0392,4682,26121,1703,024확진자316(6)200(10)340(6)544(18)501(9)464(11)503(13)2,868(73)409.7(10.4)(단위 : 명, %)구 분6.25.6.26.6.27.6.28.6.29.6.30.7.1.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3101903345264924534902,795399.3연령별60세↑확진자수(%)74(23.9)35(18.4)79(23.7)96(18.3)72(14.6)83(18.3)81(16.5)520(18.6)74.318세↓확진자수(%)68(21.9)37(19.5)65(19.5)93(17.7)93(18.9)75(16.6)94(19.2)525(18.8)75.0외 국 인4(1.3)2(1.1)4(1.2)4(0.8)7(1.4)13(2.9)6(1.2)40(1.4)5.7 □ 시·군별 발생(국내 791,677, 해외유입 1,36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793,041명 (+503)169,320(+87)(+6)70,355(+61)40,610(+20)(+2)48,800(+36)138,772(+102)(+2)32,761(+20)27,770(+14)24,167(+22)(+1)20,109(+8)90,945(+46)5,119(+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084(+2)6,536(+4)3,358(+5)9,508(+1)10,121(+5)7,010(+2)9,108(+4)30,099(+23)16,742(+9)6,399(+3)12,900(+12)1,448(+2)
경상북도는 지역 우수 제품 소비 촉진을 위해 경북세일페스타 여름맞이 기획전 및 프로모션 행사를 7월에 대대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 경북세일페스타(사진=경북도) 먼저, 기획전은 경북세일페스타 협업 10개 채널*에서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 2000여개 업체가 참여해 7월 한 달간 진행된다. * 채널 : 쿠팡, 위메프, 티몬, 우체국쇼핑, 공영쇼핑, SSG.COM, 롯데ON, 11번가, 인터파크, 오아시스식품, 의류, 잡화, 유아동, 디지털, 가전 등 최대 30% 할인쿠폰이 제공될 예정이다. 또 프로모션 행사는 라이브쇼핑, 타임딜·타임세일 등 온라인 채널사에서 메인구좌 노출과 함께 할인쿠폰이 적용된 이벤트 형식으로 추진될 예정이다.특히, 카카오는 이번 프로모션 사업에만 시범으로 참여해 지역 소재 중소기업 온라인판로 개척에 시너지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획전 및 프로모션 참여방법은 인터넷(www.gbsalefesta.com)에 바로 접속하거나, 검색엔진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경북세일페스타’를 검색하여 상단에 위치한 ‘경북세일페스타 공식홈페이지’를 클릭하면 된다.윤희란 경북도 중소벤처기업과장은“이번 행사는 어려운 시기에 도내 제품 판매 촉진을 위해 마련하게 됐다”며“앞으로도 많은 소비자들에게 경북의 우수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