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농업기술원(풍기인삼연구소)는 장마 후 폭염기간 인삼재배포장에 고온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장마 후 폭염기 인삼 관리(사진=경북도) 인삼은 반음지성이며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호랭성 약용작물로 생육적온은 20℃ 내외이며 30℃ 이상이 되면 광합성이 중단되고 호흡량이 많아져 수량감소의 원인이 된다. 고온조건에서 직사광을 받게 되면 잎이 타는 일소현상이 발생되고 35℃의 폭염에 노출 되면 고온피해가 발생된다.해마다 장마이후 8월 중순까지 지속되는 폭염기 인삼재배농가에서 10% 내외의 고온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어린 2~3년 근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다.인삼지상부에 고온피해가 발생돼 심하면 지상부 전체가 고사하게 되고 다음해의 생산성도 감소하게 된다. 5~6년 근에서 고온피해가 심하게 발생되는 경우 홍삼으로 가공 시 내공, 내백이 발생돼 품질이 저하된다.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방법으로는 흑색 차광망을 기본 차광망 위에 덧씌우고 후주부분을 20∼30cm 띠워 설치하는 것이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또,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고온피해가 더 가중 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습도를 유지해 줘야 하며 수분이 부족한 토양은 15L/1.62㎡(칸) 씩 일주일 간격으로 관수해 주는 것이 좋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인삼은 고온에 취약한 작물로 폭염기 해가림 시설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2차적으로 발생핳 수 있는 병해에 대해 선제적으로 방제를 해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본격적인 여름철을 맞아 연일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도내 해수욕장 등에서 물놀이 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물놀이 안전사고 주의(사진=경북도)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3시 23분경 포항 ?? 해수욕장에서 음주 후 물놀이를 하던 70대 A씨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오후 3시 45분경에는 포항 ??해수욕장에서 중·고등학생 5명이 조류에 인해 안전부표 밖으로 밀려났다가 119시민수상구조대에 의해 안전조치 되기도 했다.올해 경북은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첫 폭염주의보는 지난해 보다 21일 빨라졌고, 거리두기 해제로 야외활동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물놀이 안전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경북소방본부는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7~8월 두 달간 주요 해수욕장 16개소, 하천·계곡 4개소에 119시민수상구조대원 365명을 투입했다.이를 통해 인명구조, 응급처치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 교육, 해파리 등 위해(危害)물질 제거, 미아 찾기 등 안전지킴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특히, 주요 해수욕장에서는 119이동안전체험차량을 배치해 맞춤형 물놀이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하천·계곡에서는 구명조끼를 무료로 대여하고 있다. 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놀이 시작 전 충분한 준비운동과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갖춰야 한다” 며 “특히, 음주 후 물놀이는 신체 이상반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금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지난 14일 영호남 상생교류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전남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를 초청해 ‘돌발?문제 병해충 발생현황과 해결책’세미나를 개최했다.▲ 경북도-전남도 농작물 병해충 공동연구로 상생 협력(사진=경북도) 이날 양 기관은 경북의 사과 등 주요 작물에 대한 돌발 병해충 발생현황과 전남 지역에 발생하는 문제 병해충 현황을 발표했다.이어 올해 상반기에 유래 없이 높은 온도과 가뭄으로 작물에 발생하는 돌발?문제 병해충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논의했다.또 양 기관이 공동연구하고 있는 농작물 돌발병해와 해충의 예찰과 발생요인 분석 방법과 방제에 대한 논의도 심도 있게 진행됐다. 경북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기후온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기에 남부지역의 먹노린재와 왕우렁이 등 문제 병해충 발생과 대처방안에 대한 정보를 얻게 돼 큰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경북-전남 상생교류협력사업의 농작물 병해충 공동연구 정보교류를 통해 각 기관의 전문가들이 지역 농업의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농가 현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자치경찰위원회는 18일 오후 2시 도청 다목적홀에서 자치경찰제 1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 경북자치경찰위원회(사진=경북도) 이날 행사는 자치경찰제 본격 시행 첫 돌을 축하하고, 경북자치경찰이 나아갈 방향 설정을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배한철 경북도의회 의장, 임종식 경북도교육감, 최종문 경북경찰청장, 이춘우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 경북도자치경찰위원회 위원, 박송하 전국모범운전자연합회 경북지부장, 이상달 경북도자율방범연합회장, 김민설 경북도녹색어머니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또 경북형 자치경찰사무 발굴을 위한 ‘치안행정 길라잡이 정책연구단’과 경북자치경찰제 홍보를 위한 ‘경북자치경찰 대학생 앰버서더(대구?경북 대학생)’등도 함께 했다.이날 기념식은 자치경찰위원회 홍보 동영상 시청, 경과보고, 개회사, 기념사, 축사 및 도민 응원영상, 표창장 시상, 비전 선포(자치경찰위원회 상징 발표 포함) 및 퍼포먼스 순으로 진행됐다.특히, 이번 행사에서‘일상이 안전한 경북, 매일이 행복한 도민!’이라는 초대 경상북도 자치경찰위원회의 비전이 발표됐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도민이 체감하는 안전만족도 향상 ▷주민이 감동하는 치안서비스 제공이라는 2대 목표를 설정했다.또 ?더 세심한 살핌으로 든든한 생활안전 ?지역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치안행정 ?안전망 구축을 위한 탄탄한 연계·협력 ?소통과 참여를 통한 따뜻한 자치경찰이라는 4대 추진전략도 수립했다. 아울러, 자치경찰위원회의 공식 상징인 CI(Commission Identity)도 발표했다. 이번 위원회 CI는 도민을 수호하는 방패 모양에 도민을 따뜻하게 안아주는 치안행정(푸른색)과 지방행정(붉은색)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앞으로 CI는 자치경찰제 홍보 및 각종 콘텐츠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갈수록 치안수요는 복잡ㆍ다양해지고 있다. 획일화된 국가경찰로는 도민의 안전을 책임지기 힘들며,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이 긴밀히 협력하는 자치경찰제가 그 해법이 될 수 있다”며“도민이 원하는 자치경찰제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자치경찰에 대한 지휘권과 인사권이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순동 자치경찰위원장은 “경찰의 분권은 민주주의의 징표이며, 분권화된 만큼 경찰은 국민의 사랑을 받는다”며“초대 자치경찰위원회로 자치경찰제의 초석을 다지고, 치안분야의 성공사례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자치경찰위원회는 지난해 5월 20일 출범해 시범운영을 거쳐 같은 해 7월부터 자치경찰사무를 본격적으로 지휘?감독하고 있다. 자치경찰위원회는 ▷1호 업무지시‘아동·청소년 성매매 근절 대책 수립?시행’▷‘안전속도 5030정책’개선(불합리한 제한속도 구간 점검?진단) ▷도내 300여개소 여성안심화장실 조성 ▷노인보행 사망사고 예방도로 조명설치 ▷범도민 운동‘클린&안심 경북 만들기’추진 등 사회취약 계층 보호 및 도민 안전망 확충에 힘쓰고 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068(-615)809,60110,495(+534)797,662(+534)1,444(-) * 국내 1,049, 국외 19 * 치명률(7. 17. 0시 기준) - 경북 0.18%(1,444명), 전국 0.13%(24,742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2151312확진자8111743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7.11.(월)7.12.(화)7.13.(수)7.14.(목)7.15.(금)7.16.(토)7.17.(일)누계(주)일평균(주)검 사1,4947,2985,2303,3753,3763,9092,60327,2853,898확진자1,162(11)1,650(24)1,571(16)1,618(22)1,622(19)1,683(20)1,068(19)10,374(131)1,482.0(18.7)(단위 : 명, %)구 분7.11.7.12.7.13.7.14.7.15.7.16.7.17.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1511,6261,5551,5961,6031,6631,04910,2431,463.6연령별60세↑확진자수(%)216(18.8)338(20.8)310(19.9)357(22.4)353(22.0)373(22.4)210(20.0)2,157(21.1)308.118세↓확진자수(%)322(28.0)403(24.8)372(23.9)367(23.0)418(26.1)389(23.4)274(26.1)2,545(24.8)363.6외 국 인8(0.7)24(1.5)18(1.2)18(1.1)17(1.1)17(1.0)9(0.9)111(1.1)15.9 □ 시·군별 발생(국내 807,965, 해외유입 1,636)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809,601명 (+1,068)172,321(+209)(+2)72,334(+188)(+3)41,207(+22)49,774(+28)142,179(+260)(+2)33,428(+50)(+3)28,303(+24)24,756(+32)20,754(+34)92,531(+48)(+5)5,227(+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308(+13)(+1)6,624(+5)3,474(+4)9,582(+12)10,243(+5)7,092(+3)(+1)9,390(+30)(+2)30,666(+19)17,260(+26)6,484(+2)13,201(+32)1,463(-)
경상북도는 지난 16일 문경 진남교반과 오미자테마터널에서 경북안전기동대가 여름철 물놀이 안전 캠페인을 실시하는 등 권역별로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 여름철 물놀이 안전 캠페인(사진=경북도) 물놀이 안전 캠페인은 많은 인파가 몰리는 관광지를 중심으로 물놀이객들에게 안전수칙 관련 전단지를 배부하고 현수막 등을 활용한 홍보 활동이다.지난 16일에는 유재용 안전기동대장을 비롯한 30명의 안전기동대 대원들이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여름 휴가철 강이나 바다 등에서의 물놀이 안전 수칙을 알렸다. 경북안전기동대는 지난 6월부터 지대별로 권역을 나눠 동부지대는 지난달 18일 포항 영일대해수욕장에서, 중부지대는 같은 달 25일 상주 경천섬 야외공연장에서 각각 물놀이 안전 캠페인을 진행했다. 또 남부지대는 이달 23일 영천댐공원에서, 북부지대는 8월중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안전기동대는 2011년 6월 조직돼 전 대원(현 154명)이 응급구조 자격증 및 중장비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재난대응 및 복구 전문 민간단체로 코로나19 전염병 예방 및 산불조심 등의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김중권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해마다 여름철 물놀이 사고가 발생해 도민의 안전의식과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도 안전기동대가 지역 피서지에서 물놀이 안전수칙 홍보 캠페인을 펼쳐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데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은 지난 14일 농업전문 업체인 주식회사 누보(경기도 수원 소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의약용 헴프 양액 개발 업무협약(사진=경북도) 이번 업무협약은 산업용 대마(헴프)의 스마트팜 재배 시 이용되는 전용 양액의 개발 연구를 위해 마련됐다.생물자원연구소는 종실용과 의약용 헴프의 노지재배와 스마트팜 재배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누보는 유기농비료 및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 생산하는 농자재 제조업체로 국내 및 국외 3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이다. 이번 협약으로 2020년 7월부터 지정돼 추진되고 있는 경북의 대마규제자유특구에서 안정적인 재배실증을 통해 향후 대마 산업 발전에 가속도을 붙이겠다는 구상이다.생물자원연구소와 누보에서 개발할 의약용 헴프 전용 양액(시험용 제품)은 예비시험에서 헴프의 생육이 관행 양액 조성보다 약 18%이상 증진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 기존 원예작물의 양액 사용법과는 다르게 몇 종류의 비료를 여러 차례 섞지 않고 한 번에 섞을 수 있는 형태로 조성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후 공동연구를 통해 의약용 헴프의 생육에 최적인 양액을 개발할 수 있도록 양액 조성의 정밀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의약용 헴프 전용 양액 개발은 향후 산업용 대마(헴프)사업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스마트팜 재배 모델의 기초 기술 부분으로 의약용 대마의 효율적 생산 및 안정적 원료수급체제로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용습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의약용 헴프 전용 양액 개발은 향후 신소득작물로 예상되는 산업용 헴프의 효율적, 안정적 생산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며, “헴프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물의 스마트팜 재배에도 적용해 미래의 정밀농업 발전에 초석이 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경북소방본부는 지난 14일 세종특별자치시 정부 세종2청사(17동) 2층 소강당에서 열린 제8회 전국 소방안전강사 경진대회에서 장려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소방안전강사 경진대회(사진=경북도) 이번 대회는 전국 19개 시도 소방서에서 치열한 예선을 거친 19명의 우수한 소방안전강사들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경북도 대표로 참가한 청도소방서 김세아 소방장은 ‘지진이 나면? 책가방!’이라는 주제로 직접 제작한 PPT영상을 활용해 뛰어난 강연을 펼쳐 전국 시도 19명의 참가자 중 장려상(한국소방산업기술원장상)의 영예를 안았다.김세아 소방장은 “대회를 준비하면서 함께 애써준 경북소방본부와 청도소방서에 감사하다”며 “이번 대회를 계기로 도민에게 더 나은 소방안전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강사가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전국 소방안전강사 경진대회는 소방청이 주최하고 안전교육의 표준화와 소방안전강사 교수역량 및 우수강사를 발굴·육성하기 위해 2015년부터 해마다 열리고 있다.
경상북도와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이하 공사)는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일본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3개 도시에서 한일관광 인적교류 촉진을 위해 ‘방일 한국관광홍보단’으로 참가해 경북의 매력을 적극 알리는 현지 홍보 마케팅을 전개했다.▲ B2B 상담회(사진=경북도) 8개 지자체 및 17개의 관광관련 기관 총 43명으로 구성된 ‘방일 한국관광홍보단’은 일본 여행업계 등 관련 기관과의 B2B상담회, 한일관광업계 간담회를 가졌다.이를 통해 일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관광자원을 홍보하고 한일 우호 교류 확대를 위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도와 공사는 B2B상담회를 통해 한국관광공사에서 선정한 5대 테마 ‘설레는 한국 ? 한류, 음식, 체험, 지방관광, 국내 빅이벤트’에 맞춰 경북 속 인기 K-콘텐츠 촬영지*, 해양스포츠, 패러글라이딩 등 다양한 체험 및 경북의 K-컬쳐 4한(한글, 한복, 한식, 한옥)을 집중 홍보했다.*갯마을 차차차, 동백꽃 필 무렵, 킹덤, 브로커 등 한일관광업계 간담회에서는 관광재개에 따른 양국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해 상호 의견을 교환하고, 양국의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공유하고 협력을 당부했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일본은 코로나19 이전 방한 국가 순위로 두 번째이자 재방문율이 높은 국가로 관광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핵심 국가 중 하나이다”며, “방일 한국관광홍보단 행사에서 구축한 일본 여행업계와의 인적 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해 일본 관광객들의 취향에 맞는 홍보마케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지난 15일 도청 회의실에서 이달희 경제부지사 주재로 비상경제대책본부 5개 반의 실국장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했다. ▲ 비상경제대책 2차 회의(사진=경북도) 이날 민생안정 긴급 지원 사업을 점검하고 추진예산을 대폭 확대키로 하는 한편, 중앙부처 민생안정 추진과제에 대한 대응방안도 논의했다. 먼저 소상공인, 서민생활 등 6개 분야의 민생안정 긴급 지원 사업의 1차 추경예산 최종 반영 등 추진상황을 살폈다.이에 당초 계획보다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 복지사각지대 발굴 지원 등 취약계층 지원에 690억과 무기질 비료 가격인상 차액지원 841억원을 추가 지원키로 하는 등 당초보다 1470억원이 증액된 2685억원을 투입키로 결정했다.또 정부의 비상경제민생회의(7.8일) 시 발표한 민생안정 방안 추진과제*에 대응해 신속히 후속대책을 마련하고, 민생대응반 등 5개 대책반별로 보고회를 개최하는 등 민생안정에 총력을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 *(추진과제) ▷취약계층 지원강화(저소득층, 사회적 배려대상, 고용안정망 확충) ▷서민 식료품비 부담경감(축산물, 농산물, 수산물, 식품원료) ▷기타 생계비 부담완화(유류비, 주거비, 통신비) 등한편, 도는 초복을 맞아 지역 소상공인들이 삼계탕용 닭 공급이 부족해 애로를 겪자, 지역 생산기업에 직접 생산량 확대를 요청해 물량을 2배 늘려 공급토록 했다.또 비상경제대책본부를 통해 지속해서 정부정책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응한 민생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내년도 정부 공모사업에 적극 대응해 국비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전례 없는 대내외 악재로 위기에 빠진 민생의 안정을 위해 우선적으로 현안을 챙기겠다”며, “비상대책본부의 대책반을 중심으로 전 부서가 합심해 침체된 지역경제 회복에 힘을 보태줄 것”을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15일 포항경주공항 여객청사에서 이철우 도지사 및 지역 국회의원, 도의원, 지역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경주공항 명칭변경 기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포항경주공항 명칭변경 기념식(사진=경북도) 이번 기념식은 지역 간 상생협력의 상징으로 국내 첫 사례인 포항경주공항의 명칭변경을 축하하고, 포항과 경주가 공항으로 하나 돼 새로운 비상을 알리기 위해 개최됐다.포항경주공항 명칭변경은 경북도·포항시·경주시, 한국공항공사 및 지역 정치권이 명칭변경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건의해 이뤄낸 성과로써 공동 협력의 산물이다. 포항경주공항은 현재 민간항공사가 취항하는 경북에서 유일한 공항이지만, 경부선 KTX 개통(2010년 신경주역, 2015년 포항역) 등 육상교통의 발달로 공항 이용객이 감소하는 등 침체를 겪어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경북도 등 관련 지자체는 2020년 12월에 포항의 공항인프라·산업과 경주의 문화·관광자원의 연계를 통해 공항 활성화 및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국토교통부에 공항명칭 변경 건의서를 전달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공항명칭 변경을 위한 공항명칭 관리지침을 제정하고, 지역 여론 수렴 및 한국공항공사의 공항명칭 변경 적정성 평가를 거쳐 지난 2월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심의위원회에서 포항공항의 명칭을 포항경주공항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경북도·포항시·경주시 및 한국공항공사는 약 5개월 걸쳐 공항청사 시설물 정비 및 주변 도로표지판 재정비 등을 완료하고, 이달 14일부터 포항과 경주의 이름을 담은 포항경주공항으로 새 출발을 하게 된 것이다.또 경북도는 관련 지자체와 함께 포항경주공항 활성화를 위한 관련 조례 제정 및 공항 활성화 협의체 운영 등 포항경주공항 살리기에 각 기관의 힘을 결집해왔다. 명칭변경이 확정된 지난 3월부터 김포노선 1일 2편에서 4편으로 증편 해 운항하고, 공항-경주보문단지를 연결하는 노선버스(경주 1000번)를 운영하고 있다.또 ▷여행인플루언서 팸투어 초청 홍보 ▷공항 이용 관광객 항공권 할인 ▷김포공항, 서울역 등 수도권 주요 집객지에 전광판 홍보 ▷주요 SNS채널을 활용한 다양한 홍보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포항경주공항의 명칭변경을 계기로 공항경제권의 광역적 확대로 지역발전의 대전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2025년 개항 예정인 울릉공항과 함께 경북 동해안권 발전의 성장축이 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과 협의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하겠다”고 덧붙였다.
경상북도는 과기정통부 주관‘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지원 공모사업-지역데이터·서비스’분야에 경북·서울·전북 초광역 컨소시엄이 선정돼 2년 간 국비 47억원(총사업비 99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구상도(사진=경북도) 이번 공모사업은 국민의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지원으로 총괄 주관기관인 경북(경북SW진흥본부)와 서울(서울산업진흥원), 전북(전북콘텐츠융합진흥원)을 중심으로 메타버스 관련 전문기업 등 총 18개 기관이 참여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의‘맛-멋-흥-쉼’을 공통 테마로 한옥마을과 전통문화를 메타버스로 구현하고, 지역 소상공인 O2O(online-to- offline) 서비스 및 디지털 콘텐츠의 대체불가능토큰(NFT) 거래 확산을 선도한다는 구상이다.내년까지 국비, 지방비, 민간투자 등 총사업비 99억원을 투입해 3개 지역 총 9곳의 명소를 3차원 공간으로 구현하고, 관광·숙박·특산품·디지털 콘텐츠 등을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도 개발할 계획이다.3차원 공간으로 만들어지는 명소는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의성 고운사, 남산 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 등 9곳이다. 이 공간들은 라이다*(LiDAR),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로 구축하고, 개발도구를 활용한 지역 특화콘텐츠를 제작해 한옥마을 가상체험(VR) 서비스, 증강현실(AR) 정보 서비스 등을 통합플랫폼에 등록해 대국민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 Light Detection And Ranging (빛을 통한 검출과 거리 측정)의 약칭으로, 광원과 수신기를 사용, 원격의 개체를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하는 센싱 기술경북도는 ‘지역 문화관광 르네상스를 위한 헤리티지 투어리즘 메타버스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3곳(하회마을, 양동마을, 고운사) 가상공간을 배경으로 의식주혼(衣-食-住-魂)을 주제로 다양한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각 테마별 주요 콘텐츠를 살펴보면 ? 의(衣)를 테마로 ▷한복-드레스 투어 콘텐츠로 한복 가상체험, ▷한복진흥원과 연계한 한복제작 ? 식(食) 분야에는 한식-컬리너리 투어 콘텐츠 ▷종가ㆍ사찰 음식 체험, 다도 체험 ▷밀키트 제작업체 연계, 지역 농산물 주문 시스템 등이다. 또 ? 주(住)를 테마로 ▷하회-양동 스테이, 고택체험 서비스, ▷메타수학여행 프로그램 ? 혼(魂)을 주제로 ▷고운-템플스테이를 통해 연등달기, 발우공양 체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아율러, 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터 참여와 활발한 창작활동도 지원할 계획이다. ▷역사문화를 소개하는 1인 미디어 방송 활동, ▷메타버스에서 나만의 한옥·한복·전통문양 만들기, ▷디지털 컨텐츠의 NFT 생성과 거래 연계 서비스 등이 지원된다.지역경제를 돕는 소상공인 O2O* 서비스도 개발된다. ▷고택·사찰 가상체험과 숙박(스테이) 연계 서비스, ▷한복 가상체험과 제작 배송 연계 서비스, ▷전통문화 가상 체험과 탈제작 DIY(do it yourself) 및 한식 밀키트 배송 연계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 O2O(Online To Offline) :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방식의 서비스도는 지난 2월 메타버스 수도 경북 조성을 위한 비전 선포식을 갖고 3월에는 전국 최초 메타버스 전담조직 메타버스정책관실을 신설하는 등‘메타버스 수도 경북’조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메타버스 관련 첫 사례로 전담조직 신설 이후 불과 3개월여 만에 거둔 쾌거이다. 지역의 문화ㆍ사회ㆍ경제ㆍ산업 전반에 메타버스를 적용해 메타버스 수도 경북 조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한다.특히, 지난 3월 서울시-경북도 메타버스 업무협약 체결 이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협력사업의 성과물이다. 도는 이를 기반으로 문화ㆍ관광분야 협력을 넘어 서울과 경북 메타버스 동맹(Alliance)을 구축하는 등 민간 기업들의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공고히 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도는 이번 공모사업 함께 선정된 독도를 주제로 한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 사업에도 국비 8억원을 확보했다. 이는 독도 지적재산(IP : intellectual property)를 활용해 ?메타버스 독도 아카이브 ?실감 체험형 독도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독도 메타버스 투어링 콘텐츠 등을 구축 할 계획이다. 향후 도는 지역의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활용, 하반기 구축 예정인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사업과 연계해여‘메타버스 수도 경북 대표플랫폼’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재미와 가상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구상을 구체화 시켜 나갈 예정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무한히 확장하고 있는 메타버스와 지역 문화ㆍ관광ㆍ산업의 접목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디지털 강국, 대한민국’지방적 실천 모델인‘메타버스 수도 경북’조성에 속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683(+61)808,5339,961(+777)797,128(+902)1,444(+4) * 국내 1,663, 국외 20 * 치명률(7. 16. 0시 기준) - 경북 0.18%(1,440명), 전국 0.13%(24,728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4431113확진자241071143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7.10.(일)7.11.(월)7.12.(화)7.13.(수)7.14.(목)7.15.(금)7.16.(토)누계(주)일평균(주)검 사1,5161,4947,2985,2303,3753,3763,90926,1983,743확진자534(16)1,162(11)1,650(24)1,571(16)1,618(22)1,622(19)1,683(20)9,840(128)1,405.7(18.3)(단위 : 명, %)구 분7.10.7.11.7.12.7.13.7.14.7.15.7.16.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5181,1511,6261,5551,5961,6031,6639,7121,387.4연령별60세↑확진자수(%)111(21.4)216(18.8)338(20.8)310(19.9)357(22.4)353(22.0)373(22.4)2,058(21.2)294.018세↓확진자수(%)134(25.9)322(28.0)403(24.8)372(23.9)367(23.0)418(26.1)389(23.4)2,405(24.8)343.6외 국 인16(3.1)8(0.7)24(1.5)18(1.2)18(1.1)17(1.1)17(1.0)118(1.2)16.9 □ 시·군별 발생(국내 806,916, 해외유입 1,617)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808,533명 (+1,683)172,110(+326)(+2)72,143(+190)41,185(+74)(+1)49,746(+94)141,917(+274)(+4)33,375(+69)28,279(+62)24,724(+57)20,720(+75)(+1)92,478(+170)(+4)5,224(+1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294(+29)6,619(+14)3,470(+8)(+1)9,570(+14)10,238(+11)(+1)7,088(+17)9,358(+21)(+1)30,647(+40)(+4)17,234(+56)(+1)6,482(+15)13,169(+32)1,463(+3)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622(+4)806,8509,184(+800)796,226(+816)1,440(+4) * 국내 1,603, 국외 19 * 치명률(7. 15. 0시 기준) - 경북 0.18%(1,436명), 전국 0.13%(24,712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22.7.14. 0시 기준) : 국외 ?2(경주, 경산)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3593323확진자46124733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7.9.(토)7.10.(일)7.11.(월)7.12.(화)7.13.(수)7.14.(목)7.15.(금)누계(주)일평균(주)검 사2,1351,5161,4947,2985,2303,3753,37624,4243,489확진자903(27)534(16)1,162(11)1,650(24)1,571(16)1,618(22)1,622(19)9,060(135)1,294.3(19.3)(단위 : 명, %)구 분7.9.7.10.7.11.7.12.7.13.7.14.7.15.누계(주)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8765181,1511,6261,5551,59616038,9251,275.0연령별60세↑확진자수(%)148(16.9)111(21.4)216(18.8)338(20.8)310(19.9)357(22.4)353(22.0)1,833(20.5)261.918세↓확진자수(%)208(23.7)134(25.9)322(28.0)403(24.8)372(23.9)367(23.0)418(26.1)2,224(24.9)317.7외 국 인18(2.1)16(3.1)8(0.7)24(1.5)18(1.2)18(1.1)17(1.1)119(1.3)17.0 □ 시·군별 발생(국내 805,253, 해외유입 1,597)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806,850명 (+1,622)171,782(+316)(+6)71,953(+187)(+5)41,110(+62)(+1)49,652(+98)141,639(+268)(+1)33,306(+58)(+2)28,217(+58)24,667(+70)20,644(+67)92,304(+157)5,212(+9)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265(+23)(+1)6,605(+12)3,461(+4)9,556(+9)10,226(+17)7,071(+12)9,336(+30)30,603(+57)(+2)17,177(+56)(+1)6,467(+5)13,137(+27)1,460(+1)
경상북도는 15일 구미에서 한국농아인협회 경북협회(회장 김봉열) 주관으로 농아인과 가족, 수화통역사, 유관기관단체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5회 경북농아인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경북농아인의 날 기념식(사진=경북도) 올해 15회째를 맞는 경북농아인의 날 행사는 매년 지역 농아인(청각?언어장애인)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역량발휘와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열리고 있다.이날 행사는 기념식, 유공자 표창, 장학금 수여, 농아인 권리 선언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유공자 표창은 농아인들의 화합에 앞장선 한국농아인협회 경북협회 최원영씨, 농인의 삶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함께 해 온 미래썬앤문갤러리 대표 최진영씨, 포항시지회 후원회원인 이태현씨가 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 또 이 날 행사에서 학업에 정진하며 장애극복 의지가 강한 청각장애학생과 청각장애 부모를 둔 학생 10명에게 30만원씩의 장학금을 김하곤 후원회장이 전달하며 참석한 이들로부터 박수를 받았다.박성수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장애인이 행복한 나라가 진정한 선진 복지국가이다”며 “앞으로의 정책방향은 장애인이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를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도가 앞장서 노력해 가겠다”고 밝혔다.한편, 농아인의 날은 우리나라 농아인복지의 효시이자 원형인 조선농아협회라는 자조자립단체가 설립된 1946년 6월을 기념하는‘6’과 귀의 모양을 형상화한‘3’을 결합해 6월 3일로 정해졌다.‘6월 3일’이 뜻하는 의미는 농아인의 정체성 확립을 상징하며, 이 날을 전후해 전국에서 농아인 대회가 열리고 있다.
경상북도는 여름 휴가철과 방학을 맞아 이달 15일부터 내달 16일까지 물놀이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해 지역 하천, 계곡 등 물놀이 관리지역 232개소와 위험구역 32개소에 대해 물놀이 안전과 코로나19 방역 특별점검을 실시한다.▲ 물놀이 안전과 방역 특별점검(사진=경북도) 경북도는 매년 여름철 물놀이 특별대책기간을 설정해 물놀이 안전관리를 추진하고 있다.올해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4월 18일)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도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최근 1000명대를 넘어 재유행 양상을 보여 물놀이 안전관리뿐 아니라 코로나19 방역 특별점검도 실시할 방침이다. ※ 도내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 7.9.(734명), 7.10.(903명), 7.11.(534명), 7.12.(1,162명), 7.13.(1,650명) 도는 이번 점검을 위해 사회재난과장을 총괄로 4개반 13명의 특별점검반을 구성했다.주요 점검 사항은 물놀이 안전시설 정비?설치 현황, 안전지킴이 확보?배치 현황, 코로나19 방역관리 방안 등이다. 물놀이 안전관리 및 코로나19 방역 전반에 대한 표본점검을 실시하고 미흡한 부분에 대해선 지속적인 추적?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시군 해당부서에 자체 수시점검을 독려해 피서객들이 여름철 안전한 환경에서 물놀이 안전사고와 코로나19 감염 걱정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김중권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매년 물놀이 안전사고로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피서객 개개인이 구명조끼 착용, 위험구역 입수금지 등 안전수칙을 준수해 안전사고 없이 물놀이를 즐기시기를 바란다”며, “도는 지속적인 안전관리로 물놀이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동영상뉴스] 군위군, 후계농업경영인 / 가족수련 한마음대회 개최
[동영상뉴스] 다시 돌아온 제16회 삼국유사 퀴즈대회 인 군위 ... 군위, 삼국유사교육문화회관
[동영상뉴스] 제18회 주민자치센터 경연대회 / 군위군, 2관왕 쾌거
[포토뉴스] 화본축제 낭만 플랫폼
[대구·경북 보도자료] 경북도, 경북공항시대 지역발전을 위한 워킹그룹 첫 회의 개최
[뉴스] 대한한돈협회 군위지부, 추석 맞아 어려운 이웃에 돈육 기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