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길 잃은 산타가 때 아닌 여름에 출현한다. 봉화에서 태어난 아기자기한 자생화들이 보기만 해도 미소를 짓게 한다. ▲ 분천한여름축제(사진=경북도) 가장 깨끗한 물에서만 산다는 은어를 맨손으로 잡을 수 있다. 여긴 경북에서도 가장 깨끗한 곳, 봉화에서 아이들과 떠나는 최고의 축제여행이 이달 말부터 펼쳐진다.경북도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대표축제인 봉화은어축제가 30일 개막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3년만에 개최되는 이번 축제는 8월 7일까지 9일간, 봉화 내성천 일원에서 화려하게 진행된다.‘봉화에서 COOL하게! 은어로 FUN하게’란 주제로 물놀이장, 놀이체험존, 샌드아트 모래 놀이장 등 아이들을 위한 ZONE은 물론 축제속의 야시장, 은어먹거리 장터, 잡은 은어를 구워 맛볼 수 있는 숯불그릴코너 등 흥미진진한 프로그램이 풍부하게 마련됐다. 축제의 백미는 역시 은어잡이 체험이다. 은어 반두잡이는 평일에는 매일 3회, 주말에는 4회가 진행되며, 은어 맨손잡이 체험은 평일에는 매일 4회, 주말에는 5회가 운영된다. 또한 8월 6일에는 반두잡이 어신선발대회가 개최된다.참가신청은 봉화은어축제 홈페이지(http://www.bonghwafestival.or.kr/)에서 가능하고, 체험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신청도 가능하다.올 여름, 전국에서 가장 깨끗하고 겨울에는 가장 추운 봉화에서 축제세상으로 피서객을 유혹한다. 매력적인 야생화, 이색테마 산타마을, 시원한 물은 더위에 지친 피서객과 아이들의 발길을 붙잡기에 충분하다.지난 23일 개막한 분천 한여름축제는 8월 21일까지 진행된다. 소천면 분천리 산타마을에 때 아닌 여름에 산타가 출현하는 자체만으로도 흥미롭다.한여름 별빛여행, 산타쿠깅클래스, 체험 놀이터, 플리마켓 등이 운영되며, 8월 7일에는 열차 관광객과 산타가 함께하는 ‘도착! 미션 도착드림팀’이, 8월 13일, 21일에는 ‘찐 산타를 찾아라’ 등 특별프로그램이 진행된다.또 하나는 지난 28일 개막한 봉자페스티벌이며 8월 7일까지 이어진다. 축제기간 내내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는 여름에 피는 털부처꽃, 긴산꼬리풀, 벌개미취, 범부채 등 봉화의 자생화들이 환한 웃음으로 관광객을 맞이한다.대형호랑이 조형물(가로15m, 세로8m) 백두랑이가, 아이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또 종자체험연구, 반려식물 분갈이, 식물컨설팅 등 다양한 교육체험, 전시 이벤트 행사기간 내내 화려하게 장식한다.한편, 봉화를 방문하는 축제관광객 편의제공을 위해 각 축제장을 순회하는 셔틀버스도 운행한다. 경북도는 코로나19가 확산추세에 따라 기본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한 여름 불볕더위를 시원하게 날려줄 여름축제를 경북에서 휴가를 보내며 맘껏 즐겨 주시길 바란다”며 “경북에서 편안하고 안전한 축제여행이 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3,796(-491)844,79121,835(+892)821,495(+2,900)1,461(+4) * 국내 3,770, 국외 26 * 치명률(7. 28. 0시 기준) - 경북 0.17%(1,457명), 전국 0.13%(24,957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 : 경산 국외-1(7. 27. 0시 기준)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0970632확진자2119110106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7.23.(토)7.24.(일)7.25.(월)7.26.(화)7.27.(수)7.28.(목)7.29.(금)누계(주)평균(주)검 사5,3185,3273,2293,21814,89211,3488,69752,0297,433확진자2,943(12)3,005(39)1,771(32)3,355(29)4,968(47)4,287(42)3,796(26)24,125(227)3,446.4(32.4)* 직전주 목요일(7.22) 현황 : 검사 5,060건, 확진자 2,900명(▲ 30.9%)(단위 : 명, %)구 분7.23.7.24.7.25.7.26.7.27.7.28.7.29.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9312,9661,7393,3264,9214,2453,77023,8983,414.0연령별60세↑확진자수(%)759(25.9)704(23.7)365(21.0)552(16.6)1,130(23.0)833(19.6)897(23.8)5,240(21.9)748.618세↓확진자수(%)677(23.1)695(23.4)444(25.5)404(12.1)1,028(20.9)838(19.7)690(18.3)4,776(20.0)682.3외 국 인39(1.3)35(1.2)14(0.8)20(0.6)36(0.7)37(0.9)33(0.9)214(0.9)30.6 □ 시·군별 발생(국내 842,840, 해외유입 1,951)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844,791명 (+3,796)179,087(+757)(+4)75,830(+372)(+3)42,818(+184)(+3)51,689(+247)(+1)149,411(+644)(+5)34,931(+195)29,307(+113)(+1)26,186(+139)(+1)22,029(+130)(+1)95,885(+346)(+2)5,343(+6)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731(+64)6,888(+34)3,783(+47)9,861(+34)10,517(+25)7,336(+34)(+2)9,865(+57)31,876(+135)(+1)18,360(+116)(+1)6,775(+36)(+1)13,776(+52)1,507(+3)
경상북도가 지역 정치권에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 제정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 임이자 경북도당 위원장 도청 방문(사진=경북도)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8일 오후 도청에서 임이자 국민의힘 경북도당 위원장을 만나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 제정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대구경북신공항을 기존 방식에 따라 추진하면서 보완적으로 특별법을 제정한다는 투트랙 전략 합의 이후 특별법안의 내용을 수정?보완해왔다. 도는 군 공항의 전액 국비 건설, 종전부지 무상양여와 같은 무리한 조항들은 삭제하고, 당초 종전부지 개발에만 초점이 맞춰졌던 정부의 지원을 공항이전주변지역과 이주민 지원대책 등으로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다.그 결과 특별법에는 ▷기부 대 양여로 건설되는 군 공항 건설의 부족재원에 대한 국비 지원을 주요 골자로 ▷공항 주변개발예정지역 범위 확대 (10㎞→20㎞) ▷대구경북선 광역철도 비용분담에 관한 특례 ▷ 군위?의성 지방교부세 특별지원 및 각종 보조사업 보조율 인상 ▷이주자 이주?생계?정착지원 등의 내용이 포함될 전망이다.이로써 특별법은 대구경북신공항 공항경제권 형성과 지자체의 부담 경감, 이주민의 안정적인 생활에 큰 힘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공항 반경 20㎞에는 구미 산동읍, 해평면 등도 포함돼 대구경북신공항 배후산업단지로서의 구미 국가산단과 항공클러스터를 연계한 통합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대구경북선 광역철도의 경우 전액 국비로 건설?운영되는 일반철도와 달리 30%의 건설비와 운영비 전액을 지자체가 부담해야 하나 이는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게 과도한 부담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특례조항을 통해 국비 부담을 상향하고 대구경북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주민에 대한 지원 조항은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게 되는 이주민의 안정적인 이주와 정착, 생계유지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들이 시행되는 근거가 될 것이다.다만 ▷신공항 주변개발 예정지역 특구지정 ▷민간공항에 준하는 소음피해대책과 주민지원사업 ▷이주단지 설치 공동이용시설의 주민공동체 무상양여 등의 내용은 제외됐다. 하지만, 이는 타 개발사업의 지원사례나 기존 법률과의 관계를 고려한 것으로 발의 초기 우호적 분위기 조성과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도는 이번 발의안에 미처 반영되지 못한 내용들은 국회 상임위 심사과정이나 시행령 제정 과정에서 최대한 반영시켜 간다는 계획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구경북신공항은 대구경북의 신성장동력이자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국가의 핵심사업이 돼야 한다”며 “특별법이 통과될 수 있도록 경북도당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임이자 국민의힘 경북도당 위원장은 “특별법 제정이 쉽지만은 않은 것이 현실이지만, 대구경북신공항의 성공적인 건설을 위해 특별법이 제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28일 도청 회의실에서 시군, 전문가, 교수 등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중립 기술개발 통합센터 설립 타당성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탄소중립기술개발센터 설립 용역(사진=경북도) 이번 연구용역은 탄소중립 기술개발 통합센터 설립 타당성 및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세부내용으로는 ▷센터 설립 당위성 도출 및 최적의 부지선정 ▷통합센터 운영 기본구상 ▷탄소저감 기술 및 연구검증을 수행할 테스트베드 조성 등이다.이날 중간보고회에서 국립 탄소중립 기술개발 통합센터 설립과 에코(ECO)테스트베드 조성을 위한 과업의 진행상황을 공유했다.또 전문가 토론을 통해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전략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나눴다.도는 이날 보고회에서 논의된 의견들을 수렴해 용역수행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며, 9월 중 최종보고회를 통해 용역 결과를 선보일 예정이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범정부적 과제인 탄소중립 업무를 총괄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올여름은 부쩍 무더위가 빨리 찾아와 여름 해수욕장개장 시기가 평년보다 앞당겨졌다.▲ 여름경찰관서 격려(사진=경북도) 7·8월부터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피서지 등에서 성범죄가 크게 증가한다. 또 불쾌지수 상승으로 평사소한 시비가 폭행범죄로 이어지는 ‘욱하는 범죄’도 여름철이면 크게 증가한다.경찰청 발표에 따르면 2020년도 전국에서 발생한 살인 강도 강간 절도 범죄 24만3053건 중 17.5%에 해당하는 4만2491건이 휴가철인 7·8월에 발생했다. 전체 성폭력 범죄의 20.2%, 폭행 범죄의 17.5%가 이 기간에 집중 발생했다.이에 경북도 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이순동)는 28일 영덕 장사해수욕장 일대에서 위원회 사무국 직원과 경북도경찰청, 영덕경찰서, 민간 보안업체 등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하계휴가철을 맞아 범죄예방을 위한 해수욕장 치안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여름 휴가철은 대표적인 치안 수요 증가시기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더 많은 피서객이 해수욕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이에 해수욕장 주변의 치안 예방 활동을 점검하고, 물놀이 안전사고 및 성범죄 발생을 대비한 선제적인 순찰활동을 강화해 피서객 안전 확보에 나섰다.먼저, 피서객 증가에 따른 불법촬영 범죄 증가에 대비해 전파형 탐지장비를 이용해 공중화장실과 탈의실, 샤워시설 등에 불법카메라 설치 여부 및 비상벨 등 방범시설물 작동상태 등을 점검했다. 특히, 민간 보안업체 점검요원들이 공동체 치안 협력 활동의 일환으로 함께 참여해 특수 장비를 활용해 몰래카메라 탐지 활동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또 해수욕장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성범죄 예방활동 캠페인을 병행해‘몰카는 범죄다’라는 경각심도 불러 일으켰다. 이어 해수욕장 주변 캠핑장을 순회하면서 각종 생활쓰레기, 해양쓰레기 등을 줍는 쓰담달리기 운동을 펼쳤다.또 해수욕장 내 여름경찰관서를 방문해 연이은 폭염에도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는 근무자들의 노고도 격려했다. 여름경찰관서는 지난 9일부터 13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근무자들은 주변 다목적 순찰, 주요 범죄 대응 활동, 주변 교통관리를 통한 안전확보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순동 위원장은“범죄로부터 도민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피서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자치경찰위원회가 앞장을 서 경북도, 유관기관 등과의 협력해 지속해서 치안 현장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8일 도청 사림실에서 롯데중앙연구소?경북대학교?예천군 과 ‘경북 곤충산업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곤충산업 고도화 추진 업무협약 체결(사진=경북도) 협약식은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경훤 롯데중앙연구소장, 홍원화 경북대학교 총장, 김학동 예천군수, 생산자단체 및 농가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이번 협약은 현재 곤충산업의 농가가 생산-가공-제품개발-유통을 모두 전담하는 농가 중심형 산업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분야별 전문화된 대기업과 대학이 함께하는‘곤충산업 구조 혁신’이 주된 목적이다.도는 국내 최고의 종합식품연구소인 롯데그룹의 롯데중앙연구소 및 곤충특화학과를 운영 중인 경북대학교, 그리고 곤충산업의 주요거점인 예천군과 지난해 11월부터 약 9개월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각 기관별 역할 및 협력 방안을 구체화했다.주요 협약내용은 ▷곤충원료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협력 ▷곤충원료의 안정적인 공급 및 제품화?판로확대를 위한 협력 ▷곤충산업의 연구?개발-생산-가공-유통 분야별 선순환체계 구축 협력 등이 주요 골자다.이에 롯데중앙연구소는 제품개발 및 유통 활성화를, 경북대학교는 종충 및 생산 등 세부 연구?개발을, 경북도와 예천군은 원료공급 기반조성 및 농가 육성을 담당해 각 기관별로 추진한다.이를 통해 곤충원료가 일반식품소재로 활용되는 시기를 앞당기는 것은 물론, 판로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곤충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을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한편, 경북도는 올해 6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주관하는 ‘곤충산업 거점단지 조성’공모사업에 선정돼 2024년까지 200억 원 규모의 곤충원료 대량 생산, 가공, 유통 시설을 집적화한 거점단지를 예천 지보면 매창리 일원에 조성할 계획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곤충산업은 미래 식량자원인 동시에 식의약품소재산업이다. 이미 유럽 등 선진국들은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했다”며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이라는 도의 슬로건처럼, 세계가 주목하는 곤충산업의 최전방에 경북이 자리해 대한민국 농산업의 미래를 선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대구경북연구원 이사장 이철우)는 내달 1일자로 제12대 대구경북연구원 원장에 유철균 전 교수를 임명한다고 밝혔다. ▲ 유철균 신임 대구경북연구원 원장 신임 유철균 원장은 대구 출생으로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00만권 이상이 팔린 ‘영원한 제국’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필명 이인화)이다. 대구경북연구원 원장추천위원회(이하 추천위원회)는 “아이디어가 중요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디지털과 인문학적 역량을 고루 갖춘 혁신형 리더가 필요한 시점이었다”며, “역사와 문학에 대한 식견은 물론, 디지털 시대 스토리텔링에도 역량을 겸비한 디지털 인문?사회학자인 유철균 교수가 적임자이다”고 밝혔다.이번 원장 추천과정에는 인문학 기반의 원장 선임을 통해 지역의 싱크탱크인 대구경북연구원이 융합적 연구와 파괴적인 정책대안 제시를 해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상당수 반영됐다. 유철균 신임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어느 한 분야에 매몰되지 않는, 통합?연결의 시대이다”며 “대구경북연구원에 인문학적 상상력을 더해 융합시대를 앞서가고 지방시대에 걸맞은 대안제시로 대구경북의 위상을 되찾는 일에 매진하겠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구글, 애플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인문학적 상상력으로 무장한 CEO를 영입해 성공시대를 열었다”며 “대구경북연구원도 대한민국을 바꿀 파괴적인 정책대안들로 지방성공시대를 열어 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28일 도와 포항시 토목직 공무원 50여 명을 대상으로 업무역량 강화를 위해 관내 해상교량의 특수공법 현장을 견학하며 특수공법 기술부문과 시공, 품질, 안전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효자-상원 도로 해상교량 조감도(사진=경북도) 이번 현장견학은 포항 북구 항구동 일원‘효자-상원간 도로건설공사’현장에서 실시됐다.특히, 이날은 실무 공무원이 평소 접하기 어려운 해상교량과 교량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특수공법에 대한 기술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뤄졌다.국지도 20호선‘효자-상원간 도로건설공사’는 단절된 국지도(송도부두 ~ 영일대 해수욕장)를 연결하는 지역 최초 해상교량 건설이다.국비 포함 총사업비 606억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예정된 사업이다.현장견학을 마친 실무 공무원들은 건설현장에 적합한 공법 선정과 현장관리 등의 기술 습득으로 향후 업무에 접목시키고, 다변화 하는 건설행정 업무 능력 향상에도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이번 현장견학을 통해 토목 기술 변화에 대응하고, 직원간 소통과 업무역량을 높여, 국·도정 방향과 시대흐름에 맞게 우리 도내 주요 SOC 건설 사업에 전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빈곤과 후진의 유산을 후손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선조가 어디에 있겠는가? 우리가 이 악유산을 다시는 후손들에게 물려주지 않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인내와 용기로써 오늘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조국의 근대화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뿐이다.▲ 박정희대통령 특별기획전(사진=경북도) 이 글은 1965년 10월 3일 개천절 경축사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남긴 말이다.우리나라는 1964년 1억 달러를 수출한 후 불과 13년만인 1977년에 100억 달러를 수출함으로써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를 두고 경제학자들은 ‘한강의 기적’이라고 평가했고, 외신들은 “한국은 그냥 발전한 것이 아니라 로켓처럼 치솟았다”라고 극찬했다. 물론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하지만, 재임기간 경부고속국도 건설, 수출과 소득 증대, 저축 장려, 식량 자급과 자족 실현, 새마을 운동 등을 통한 인프라 구축으로 황폐화된 한국 경제의 비약적인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는 중론이다.이를 기념하기 위해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이사장 유영구)은 ‘위대한 날들과 함께 한 영광의 날들’이라는 주제로 박정희대통령 특별기획전을 마련했다. 이달 28일부터 9월 25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기획전의 개막식은 28일 오전 구미 새마을운동테마공원 기획전시실에서 열렸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1961년 5월 16일부터 1979년 10월 26일까지 6737일 박정희대통령의 조국근대화를 위해 일하고 또 일했던 발자취를 되새겨 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또 국민들과 함께 이뤄낸 대한민국의 발전사와 기적의 이야기를 재조명하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기획됐다.대한민국 희망의 새 역사를 위한 기틀이 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배경이 된 ‘희망의 역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잘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힘썼던 박정희 대통령의 ‘도전의 역사’란 테마로 구성됐다. 또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과학기술 자립에 힘쓴 대통령의 발자취를 재조명하는 ‘과학기술의 역사’도 마련됐다. 이를 통해 박정희대통령의 지독한 고뇌와 국민들의 피와 땀, 그리고 희생과 눈물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기획전을 통해 우리민족의 혼을 일깨우고, 5천년 가난을 끊고 세계 10대 경제강국의 초석이 된 새마을운동과 그의 업적에 대한 재평가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며 “향후 도와 기념재단은 다양한 공동사업을 발굴해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28일 경북대에서 지난 5월 교육부 공모로 선정된‘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의 본격 추진을 위한‘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이하 ‘RIS’)출범식을 개최했다. ▲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RIS) 출범(사진=경북도) 이날 행사는‘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의 공식적인 출범을 알리고, 사업추진 방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이 자리에 장상윤 교육부차관,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 이종화 대구시경제부시장, 강병구 대구시부교육감과 홍원화 경북대총장, 최외출 영남대총장 등 23개 참여대학 총장, 14개 연구기관장과 화신, 우경정보기술 기업대표 등 50여명이 참석했다.RIS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인재 유출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대구?경북 지자체와 지역대표 대학을 중심으로 핵심분야 인재양성과 기업, 연구소 등 지역혁신기관이 함께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 취?창업과 지역 정착을 돕는 사업이다. * 핵심분야 : 미래차전환부품, 전자정보기기향후 5년간 총사업비 3312억원(국비 2318억원, 지방비 994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지역대학(23개 대학) 간 공동으로‘대구경북혁신대학’(DGM*) 및 현장?공유캠퍼스 구축, 국립대학 간 공동학과 운영, 메타캠퍼스 등‘교육혁신’을 추진한다. * DGM : Daegu Gyeongbuk Multiversity또 연구소, 기업 등 지역혁신기관이 함께 참여해 핵심분야별 인재양성 및 지역정착지원, 기술개발(R&D), 기업지원 등의 과제도 수행하며 교육혁신이‘지역(산업)혁신’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향후 양 시도는 플랫폼 안에서 협력과 상생의 가치로 모여 지방대학과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의 힘으로 지방시대, 지방대학 시대를 열어 지역경제 발전의 혁신적인 변화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한편, RIS는 지역혁신을 선도할 핵심인재 연간 1140명 양성, 지역정착율을 지금보다 2.5배 향상(23%→60%) 등 청년 정주환경 구축을 목표로 신산업 기술고도화, 기업지원, 취?창업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산업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RIS 출범식으로 첫 발을 내딛는 오늘, 지역 대학과 지역의 발전에 새로운, 혁신적인 역사를 쓰게 됐다”며 “경북과 대구가 힘을 합해 지역산업에 특화된 인력을 양성해 낸다면 학생들이 지역에서 원하는 일자리를 얻고, 지역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자치경찰위원회는 경북도, 경북경찰청(청장 최종문), 노인보호전문기관과 협업체계를 구축해 노인학대 예방 홍보와 신고 활성화를 위해 협업하기로 했다.▲ 노인학대 예방 홍보 및 신고 활성화(사진=경북도) 경북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60만명(23.1%)에 이르러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특히 경북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노인학대신고는 2020년 497건에서 2021년 640건(28.8%)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노인학대는 동거가족이 가해자인 경우가 많아 쉽게 은폐 되거나 묵인되고, 상습 ? 반복적으로 이뤄져 주변의 관심과 신고가 중요하다.이에 경북도, 경북경찰청, 노인보호전문기관 등과 협업해 피해노인 조기발견을 위해 경로당 행복도우미를 어르신지킴이로 병행 운영할 방침이다.※ 행복도우미(道주관) : 도내 경로당을 방문하여 지역 어르신의 건강, 여가, 권익보호를 아우르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도내 행복도우미 550명 활동)세부적으로는 먼저, 범죄피해 노인 조기발견을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한다. 경로당 행복도우미와 노인보호전문기관, 학대예방경찰관 등이 정기적 간담회 등으로 최근 노인학대 피해 유형 등 정보를 공유하고 범죄피해 노인을 조기 발견에 나선다.이를 위해 경로당 행복도우미 활동 중 범죄피해 노인 발견 시 핫라인 구축 및 유기적인 협업 ? 지원체계를 강화한다.다음은 사각지대 방치 피해노인 방문상담 및 합동 홍보활동을 전개한다.경로당 행복도우미를 통해 신고를 꺼리는 고위험군 범죄피해 의심 노인을 발견한 경우 학대예방경찰관 ? 노인보호전문기관 합동 현장방문, 직접 대면해 피해사실을 확인한다. 또 노인학대 인식개선 및 신고 활성화를 위해 경로당 행복도우미 사업과 연계해서 노인학대 예방 홍보 포스터 ? 전단지 배부 등 다양한 홍보활동도 전개한다.피해 노인 보호 ? 지원 강화 및 재학대 예방에 나선다.피해노인은 신속히 가해자와 분리해 피해사실 확인 및 형사 ? 가정 보호사건 절차를 안내하는 등 피해노인이 적극 대응 할 수 있도록 조치하며, 고위험군 노인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 실시로 선제적으로 안전을 확보할 방침이다.또 노인보호전문기관에 관련 내용을 통보해 피해노인에 대해 쉼터 입소, 상담?의료?법률?경제적 지원 및 사례관리를 통해 재학대를 예방한다.끝으로, 신고자에 대한 비밀보장 등 신고활성화 참여를 유도한다.경로당 행복도우미 수행자가 신고에 따른 신변노출로 보복을 우려하지 않도록 신분이 철저히 보장됨을 고지해 신고 부담감을 경감시킬 예정이다. 또 노인학대 주요 신고자에 대해 감사장 수여 또는 신고포상금 지급으로 신고 활성화도 추진할 계획이다.이순동 위원장은“노인학대 예방 홍보 및 신고 활성화를 위한 협업체계 구축으로 노인대상 범죄 사각지대를 해소하며 현장 의견수렴으로 개선사항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7일 경주에서 경북 소방행정자문위원회 이상걸 신임 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신임 위원장 임명장 수여(사진=경북도) 경북 소방행정자문위원회는 2008년도 설치된 이후 각 시군 총 24개 자문단과 568명의 단원으로 구성돼 있다.이들은 다양한 소방정책의 자문을 통해 화재 등 재난사고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상걸 신임 위원장은 소방행정발전을 위한 노력과 탁월한 리더십을 인정받아 앞으로 2년 간 위원회를 이끌게 됐다.그는 취임사에서“디지털 전환시대에 발맞춰 미래사회의 위험 이슈 발굴 등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신임 위원장님의 취임을 축하드린다. 새로이 시작하는 소방행정자문위원회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도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경북을 만드는데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3%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4,287(-681)840,99620,944(+1,422)818,595(+2,864)1,457(+1) * 국내 4,245, 국외 42 * 치명률(7. 27. 0시 기준) - 경북 0.17%(1,456명), 전국 0.13%(24,932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 5명 : 구미 ?3(2.19, 3.22, 3.29), 영주 ?1(3.27), 상주 ?1(3.30)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916102441확진자1921122660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7.22.(금)7.23.(토)7.24.(일)7.25.(월)7.26.(화)7.27.(수)7.28.(목)누계(주)평균(주)검 사5,0605,3185,3273,2293,21814,89211,34848,3926,913확진자2,900(18)2,943(12)3,005(39)1,771(32)3,355(29)4,968(47)4,287(42)23,229(219)3,318.4(31.3)* 직전주 목요일(7.21) 현황 : 검사 6,678건, 확진자 2,829명(▲ 51.5%)(단위 : 명, %)구 분7.22.7.23.7.24.7.25.7.26.7.27.7.28.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8822,9312,9661,7393,3264,9214,24523,0103,287.1연령별60세↑확진자수(%)644(22.3)759(25.9)704(23.7)365(21.0)552(16.6)1,130(23.0)833(19.6)4,987(21.7)712.418세↓확진자수(%)655(22.7)677(23.1)695(23.4)444(25.5)404(12.1)1,028(20.9)838(19.7)4,741(20.6)677.3외 국 인15(0.5)39(1.3)35(1.2)14(0.8)20(0.6)36(0.7)37(0.9)196(0.9)28.0 □ 시·군별 발생(국내 839,070, 해외유입 1,926)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840,996명 (+4,287)178,326(+861)(+7)75,455(+354)(+11)42,631(+201)(+2)51,441(+222)148,762(+1,029)(+9)34,736(+183)(+1)29,193(+109)26,046(+127)(+4)21,898(+116)(+1)95,538(+408)(+5)5,337(+11)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1,667(+46)6,854(+41)3,736(+37)9,827(+48)10,492(+35)7,300(+34)(+1)9,808(+60)(+1)31,740(+122)18,243(+98)6,738(+29)13,724(+70)1,504(+4)
◆ 승진 : 114명▷감사관실 신우호(행정5급의결)▷세정담당관실 이정은(행정5급의결)▷교통정책과 박창배(행정5급의결)▷아이세상지원과 우대범(행정5급의결)▷여성가족행복과 염순욱(행정5급의결)▷자치행정과 장태희(행정5급의결)▷인사과 금두연(행정5급의결)▷에너지산업과 이상필(행정5급의결)▷해양레저관광과 이유옥(행정5급의결)▷아이세상지원과 안대홍(사회복지5급의결)▷바이오생명산업과 김유동(공업5급의결)▷동물위생시험소 정밀분석과장 직무대리 조옥숙(수의5급의결)▷보건정책과 손승민(간호5급의결)▷토지정보과 조원석(시설5급의결)▷정보통신과 손종석(방송통신5급의결)▷농업기술원 최돈우(농업연구관의결)▷농업기술원 류정아(농업연구관의결)▷농업기술원 도한우(농업연구관의결)▷보건환경연구원 환경조사과장 직무대리 이준호(환경연구관의결)▷보건환경연구원 먹는물검사과장 직무대리 박순길(환경연구관의결)▷안동농수산물검사소장 직무대리 박명섭(환경연구관의결)▷감사관실 김광진(행정6급)▷여성가족행복과 오승연(행정6급)▷독도해양정책과 손가영(행정6급)▷서울본부(세종사무소) 김인걸(행정6급)▷감사관실 김희주(세무6급)▷장애인복지과 임재택(사회복지6급)▷북부건설사업소 박선하(공업6급)▷원자력정책과 유인수(공업6급)▷동물위생시험소 정진업(수의6급)▷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오경민(수의6급)▷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배지영(수의6급)▷어업기술센터 영덕지소 신현득(해양수산6급)▷수산자원연구원 이순예(해양수산6급)▷아이세상지원과 이정민(보건6급)▷감염병관리과 임건우(보건6급)▷보건정책과 손효진(간호6급)▷독도해양정책과 박태희(환경6급)▷환경정책과 김현구(시설6급)▷도시재생과 권용현(시설6급)▷하천과 김상현(시설6급)▷토지정보과 박준재(시설6급)▷안전정책과 김창진(방송통신6급)▷119종합상황실 심규태(방송통신6급)▷과학기술정책과 채지윤(행정7급)▷소재부품산업과 박효빈(행정7급)▷아이세상지원과 박정현(행정7급)▷자치행정과 김건욱(행정7급)▷인사과 조해명(행정7급)▷정보통신과 이승태(행정7급)▷문화산업과 김송은(행정7급)▷관광정책과 설은비(행정7급)▷생활체육대축전기획단 박형진(행정7급)▷농식품유통과 송정은(행정7급)▷건축디자인과 강제모(행정7급)▷경북도립대학교 정세진(행정7급)▷환동해지역본부 총무민원실 심사용(행정7급)▷동해안정책과 이지현(행정7급)▷원자력정책과 오서윤(행정7급)▷해양레저관광과 최해인(행정7급)▷농업자원관리원 주연주(행정7급)▷잠사곤충사업장 허란설(행정7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 윤수정(행정7급)▷남부건설사업소 유지영(행정7급)▷산림자원개발원 이수언(행정7급)▷정보통신과 김자영(전산7급)▷아이세상지원과 전혜진(사회복지7급)▷아이세상지원과 이재호(사회복지7급)▷보건환경연구원 이성현(공업7급)▷민생경제과 임기영(공업7급)▷잠사곤충사업장 안창민(농업7급)▷산림환경연구원 북부지원 서학돈(녹지7급)▷산림자원개발원 김동성(녹지7급)▷토속어류산업화센터 손준혁(해양수산7급)▷도시계획과 김경욱(시설7급)▷하천과 김지현(시설7급)▷독도해양정책과 박근록(시설7급)▷남부건설사업소 이호준(시설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이한욱(시설7급)▷경상북도의회 파견 류동근(방송통신7급)▷회계과 정찬우(운전7급)▷청년정책관실 이현서(행정8급)▷정책기획관실 권재욱(행정8급)▷세정담당관실 서정민(행정8급)▷사회재난과 윤상훈(행정8급)▷민생경제과 김주엽(행정8급)▷자치행정과 우동엽(행정8급)▷회계과 조연단(행정8급)▷장애인복지과 임강래(행정8급)▷도시계획과 이시환(행정8급)▷건축디자인과 추상희(행정8급)▷원자력정책과 황지영(행정8급)▷동물위생시험소 김하윤(행정8급)▷동물위생시험소 북부지소 이수현(행정8급)▷동물위생시험소 동부지소 김효진(행정8급)▷축산기술연구소 서정민(행정8급)▷축산기술연구소 김예솔(행정8급)▷산림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김채림(행정8급)▷북부건설사업소 변주영(행정8급)▷북부건설사업소 송우섭(행정8급)▷농업기술원 엄희찬(전산8급)▷농업기술원 류동석(공업8급)▷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임윤식(공업8급)▷산림환경연구원 북부지원 정진우(녹지8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 박정은(녹지8급)▷수목원관리소 천세진(녹지8급)▷어업기술센터 울릉지소 이수용(해양수산8급)▷어업기술센터 엄태욱(해양수산8급)▷어업기술센터 최진태(해양수산8급)▷바이오생명산업과 임다연(보건8급)▷아이세상지원과 황윤경(보건8급)▷남부건설사업소 김진경(시설8급)▷토지정보과 유경민(시설8급)▷남부건설사업소 김재은(시설8급) ◆ 전보 : 164명▷감사관실 서남덕(행정5급<8. 16.字>)▷청년정책관실 이미향(행정5급)▷일자리경제노동과 심명섭(행정5급)▷사회적경제과 김철년(행정5급)▷외교통상과 김성경(행정5급)▷과학기술정책과 김미정(행정5급)▷과학기술정책과 이경희(행정5급<9. 1.字>)▷소재부품산업과 김은미(행정5급)▷인구정책과 최준영(행정5급<8. 20.字>)▷인사과 김재원(행정5급)▷회계과 정창호(행정5급)▷체육진흥과 정홍일(행정5급<8. 16.字>)▷환경정책과 차순애(행정5급)▷보건환경연구원 총무과 배윤종(행정5급)▷보건환경연구원 총무과 오준엽(행정5급)▷동해안정책과 조영준(행정5급<8. 26.字>)▷경상북도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김경곤(행정5급)▷사회복지과 오화선(사회복지5급)▷장애인복지과 이정미(사회복지5급)▷사회재난과 이상욱(공업5급)▷교통정책과 최영욱(공업5급)▷교통정책과 김현우(공업5급)▷원자력정책과 이시형(공업5급<9. 1.字>)▷에너지산업과 손율락(공업5급)▷맑은물정책과 이영대(공업5급)▷농업정책과 김진윤(농업5급)▷농식품유통과 류한영(농업5급)▷친환경농업과 권오현(농업5급)▷친환경농업과 정수환(농업5급)▷산림환경연구원 산림사업과장 김동희(녹지5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장 최영창(녹지5급)▷축산정책과 권오성(수의5급)▷동물방역과 박인화(수의5급)▷축산기술연구소 사업과장 이성삼(수의5급)▷안전정책과 김좌락(시설5급)▷안전정책과 조훈석(시설5급)▷도시계획과 박임상(시설5급)▷신도시활성과 권윤혁(시설5급)▷안전정책과 문성원(방송통신5급)▷대변인실 정휘경(행정6급)▷감사관실 남희성(행정6급)▷투자유치실 김언희(행정6급<8. 14.字>)▷청년정책관실 박자은(행정6급)▷정책기획관실 이하녕(행정6급)▷예산담당관실 권오순(행정6급)▷안전정책과 김현미(행정6급)▷안전정책과 김규홍(행정6급)▷외교통상과 이동순(행정6급)▷과학기술정책과 김효영(행정6급)▷과학기술정책과 황호섭(행정6급)▷4차산업기반과 변경호(행정6급)▷4차산업기반과 김욱(행정6급)▷소재부품산업과 이남섭(행정6급)▷여성가족행복과 제갈부옥(행정6급)▷자치행정과 권보창(행정6급)▷새마을봉사과 황서경(행정6급)▷회계과 손영선(행정6급)▷문화산업과 장숙희(행정6급)▷관광정책과 류재하(행정6급)▷체육진흥과 김동민(행정6급)▷사회복지과 박영심(행정6급)▷토지정보과 임정규(행정6급)▷인재개발원 류미라(행정6급)▷경북도립대학교 서옥순(행정6급)▷해양수산과 윤주현(행정6급)▷에너지산업과 최형철(행정6급)▷동물위생시험소 북부지소 권영렬(행정6급)▷산림환경연구원 이순희(행정6급)▷사방기술교육센터 박규태(행정6급)▷북부건설사업소 배재수(행정6급)▷산림자원개발원 김인선(행정6급<9. 1.字>)▷세정담당관실 정성문(세무6급)▷인재개발원 류규혁(전산6급)▷건축디자인과 서덕윤(공업6급)▷에너지산업과 김재준(공업6급)▷환경정책과 권순철(공업6급)▷농업정책과 김난정(농업6급)▷농식품유통과 김정숙(농업6급)▷친환경농업과 허균도(농업6급)▷농업자원관리원 홍준석(농업6급)▷환경정책과 이동우(녹지6급)▷산림자원과 권순호(녹지6급)▷축산정책과 김중규(수의6급)▷동물방역과 홍현표(수의6급)▷동물위생시험소 정영석(수의6급)▷동물위생시험소 북부지소 김진현(수의6급)▷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주민영(수의6급)▷독도해양정책과 최은석(해양수산6급)▷감염병관리과 임현근(보건6급)▷어르신복지과 신정진(간호6급)▷감염병관리과 정미란(간호6급<9. 1.字>)▷자연재난과 장영환(시설6급)▷독도해양정책과 김희대(시설6급)▷남부건설사업소 정의헌(시설6급<8. 13.字>)▷안전정책과 홍순일(시설6급)▷건축디자인과 임서영(시설6급)▷토지정보과 서성우(시설6급)▷농업기술원 구은영(농업연구사)▷농업기술원 박정민(농업연구사)▷동물위생시험소 허지현(수의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김정현(보건연구사<9. 1.字>)▷보건환경연구원 김자현(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윤인주(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최찬규(환경연구사)▷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하경태(환경연구사)▷투자유치실 박근배(행정7급)▷예산담당관실 장세혁(행정7급)▷사회적경제과 최훈석(행정7급)▷인구정책과 이주경(행정7급)▷자치행정과 최현호(행정7급)▷인사과 조현국(행정7급)▷교육정책과 장세덕(행정7급)▷새마을봉사과 김지숙(행정7급)▷회계과 임동호(행정7급)▷문화예술과 김영주(행정7급)▷문화산업과 최민우(행정7급)▷농업정책과 양혜선(행정7급)▷장애인복지과 이재향(행정7급)▷동해안정책과 정부일(행정7급)▷에너지산업과 손효영(행정7급)▷경북도서관 황수진(사서7급)▷농업기술원 김성진(공업7급)▷농식품유통과 이병용(농업7급)▷산림환경연구원 김동오(녹지7급)▷산림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김미경(녹지7급)▷산림환경연구원 서부지원 권세민(녹지7급)▷동물방역과 김나라(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김유정(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김원영(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박광렬(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이현창(수의7급)▷식품의약과 김지연(보건7급)▷도시계획과 김철홍(시설7급)▷하천과 정진실(시설7급)▷북부건설사업소 김화석(시설7급)▷안전정책과 박유리(방송통신7급)▷농업기술원 우호창(시설관리7급)▷환동해지역본부 총무민원실 이동열(시설관리7급)▷농업자원관리원 황영진(운전7급)▷남부건설사업소 김태균(운전7급)▷정책기획관실 차세준(행정8급)▷새마을봉사과 민경서(행정8급)▷회계과 하규원(행정8급)▷문화산업과 이수지(행정8급)▷문화유산과 김은혜(행정8급)▷관광정책과 권소리(행정8급)▷관광마케팅과 채송화(행정8급)▷체육진흥과 강진현(행정8급)▷사회복지과 신민섭(행정8급)▷감염병관리과 김경목(행정8급)▷경북도립대학교 남경호(공업8급)▷환경정책과 이재혁(환경8급)▷통합신공항추진단 박현석(시설8급)▷축산기술연구소 이성엽(시설관리8급)▷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권용범(시설관리8급)▷수산자원연구원 김두성(운전8급)▷토속어류산업화센터 윤희근(운전8급)▷새마을봉사과 김민수(행정9급)▷어르신복지과 양대용(행정9급)▷자치행정과 김동민(사서9급)▷관광정책과 황창섭(시설9급)▷축산기술연구소 박준호(시설관리9급)▷회계과 강경표(운전9급)▷축산기술연구소 정기진(운전9급) ◆ 파견, 전·출입 : 29명▷원자력안전위원회 파견 김기환(행정5급<9. 1.字>)▷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박성복(행정5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양중석(행정5급)▷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 파견 허정훈(행정5급)▷전라남도 파견 김영남(행정5급<8. 16.字>)▷중소벤처기업부 파견 윤희락(공업5급<9. 1.字>)▷경제자유구역청 파견 김문길(행정6급)▷문화재청 파견 윤정희(행정6급)▷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 파견 한상호(행정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정대원(시설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문성인(시설6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고은아(행정7급)▷경제자유구역청 파견 백종현(시설7급)▷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김종현(행정7급<8. 2.字>)▷경북도립대학교 김선화(행정8급<8. 2.字>)▷경북도립대학교 오소연(행정8급<8. 2.字>)▷정보통신과 이영은(전산8급<8. 2.字>)▷환경안전과 강병진(공업8급<8. 2.字>)▷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김지호(녹지8급<8. 2.字>)▷사회재난과 김수기(시설8급<8. 2.字>)▷도시재생과 최 영(시설8급<8. 2.字>)▷북부건설사업소 김욱동(시설8급<8. 2.字>)▷북부건설사업소 이하승(시설8급<8. 2.字>)▷북부건설사업소 김우용(시설8급<8. 2.字>)▷남부건설사업소 정재민(시설8급<8. 2.字>)▷남부건설사업소 정형민(시설8급<8. 2.字>)▷외교부 전출 김영경(행정5급)▷경주시 전출 서성기(농업7급)▷군위군 전출 조진용(시설7급) ◆ 신규임용 : 20명▷농업기술원 김건(농업연구사)▷농업기술원 백창현(농업연구사)▷농업기술원 유영준(농업연구사)▷잠사곤충사업장 정영주(농업연구사)▷토속어류산업화센터 임현주(해양수산연구사)▷미래전략기획단 최은비(행정7급)▷교육정책과 김지은(행정7급)▷동물위생시험소 박경옥(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북부지소 정홍철(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동부지소 윤건명(수의7급)▷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이주현(수의7급)▷일자리경제노동과 오정호(행정9급)▷4차산업기반과 배창현(행정9급)▷경북도립대학교 신재우(행정9급)▷경상북도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김훈기(행정9급)▷도로철도과 조현우(시설9급)▷신도시활성과 김성범(시설9급)▷북부건설사업소 김일배(시설9급)▷남부건설사업소 김동일(시설9급)▷정보통신과 이삼식(방송통신9급) ◆ 퇴직준비교육 등 : 8명퇴직준비교육 ▷보건환경연구원 총무과 고재명(행정5급)퇴직준비교육 ▷축산기술연구소 사업과장 신원태(수의5급)퇴직준비교육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권중배(농업연구관)퇴직준비교육 ▷봉화약용작물연구소장 김동춘(농업연구관)퇴직준비교육 ▷보건환경연구원 먹는물검사과장 신상천(환경연구관)퇴직준비교육 ▷보건환경연구원 안동농수산물검사소장 권오일(환경연구관)퇴직준비교육 ▷휴직복직 이상숙(행정6급)명예퇴직 ▷남부건설사업소 허정숙(시설6급<7. 31.字>)
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27일 영양 일원 지방도 건설현장 및 지방하천 건설현장을 찾아 폭염대비 긴급점검을 실시했다.▲ 폭염대비 관내 건설사업 현장 긴급점검(사진=경북도) 이날 영양 석보면 답곡리 청송~영양간 도로확포장공사 현장, 청기면 소재 예안~청기간 도로확포장공사 및 영양읍 반변천 하천재해예방사업 현장을 방문했다. 무더운 여름 현장 내 열사병 예방 기본수칙의 준수 여부, 근로자의 근무환경 실태, 무더위쉼터의 물품 비치상태 등을 직접 점검했다. 또 현장 근로자 및 공사 관계자와 폭염 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이번 점검은 여름철 장마기간이 끝나고 폭염경보 및 주의보가 발령에 따른 온열질환자 발생 등 폭염피해가 우려되면서 사전 예방 차원에서 마련됐다.이에 폭염에 취약한 건설현장에서 폭염대비 3대 기본수칙(물, 그늘, 휴식)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현장별 애로사항을 청취했다.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무더위 시간대를 피할 수 있도록 근로자들의 근무시간을 조절하고, 시원하고 깨끗한 물준비, 작업장소 인근 안전한곳에 그늘막 설치, 무리한 작업을 지양하는 등 안전 수칙을 잘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27일 도청 본관 다목적홀에서 시군 공무원 1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 재난안전 제로 특강’을 가졌다.▲ 담당공무원 대상 중대재해 특강(사진=경북도) 이번 특강은 도와 시군 재난안전 담당자를 대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이해와 안전관리에 대한 분야별 안전?보건 조치 의무 이행을 통한 중대재해 사전 예방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이날 특강을 맡은 김정곤 한국재난정보학회 재난기술연구소장은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관련 법령 개정방향과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사례 중심으로 지자체 의무이행사항 등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줬다.특히, 사고 발생에 따른 면책을 위한 대응체계 구축보다는 사전에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과 안전관리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김중권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법 시행 초기부터 안전보건 확보 의무 이행사항을 면밀히 파악해 관리체계 구축을 준비해왔지만, 놓친 것이 없는 지 면밀히 다시 한 번 살펴 도민과 종사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한편, 경북도는 하반기에도 재난안전 담당자의 재난대응 역량 강화와 재난안전 사전 예방을 위해 2~3회 재난안전‘제로’특강을 지속해서 개최할 계획이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