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023년 계묘년(癸卯年) 신년 화두로 「확실한 지방시대, 영광의 경상북도」를 제시했다.▲ 이철우 도지사(사진=경북도) 이철우 도지사는 “대한민국 국민행복시대를 열기 위해 지방에서도 일자리가 넘치고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존중받는 ‘지방시대’가 열려야 하고 그래야만 경북의 영광을 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번 신년화두는 윤석열 정부의‘지방시대’라는 국정목표에 발맞춰 지역발전과 균형발전을 위해 정책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난달 27일 내년 도정운영 방향을 발표한 자리에서도 국민행복시대와 존경받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일자리 혁명을 포함한 5가지 과제를 제시한바 있다. 경북도는 22년 화두로 기존 한자로 된 사자성어에서 탈피해 “호랑이 기상으로 당당한 경상북도”를 제시하며,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인 지방시대를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올 한해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우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전망한다”면서 “위기는 곧 기회라 했듯이 확실한 지방시대를 열어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고 경북의 영광을 재현하는데 모든 공직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7%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787(-219)1,329,50122,423(+210)1,305,125(+2,576)1,953(+1) * 국내 2,787, 국외 0 * 치명률(12.31. 0시 기준) - 경북 0.15%(1,952명), 전국 0.11%(32,156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413126247확진자31262131211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26.(월)12.27.(화)12.28.(수)12.29.(목)12.30.(금)12.31.(토)1.1.(일)누계(주)평균(주)검 사3,1942,26713,0388,0155,6016,5467,03645,6976,528확진자1,358(0)2,731(1)3,882(0)3,207(2)2,864(1)3,006(3)2,787(0)19,835(7)2,833.6(1.0)* 직전주 일요일(12.25.) 현황 : 검사 5,191건, 확진자 2,576명(▲ 8.2%)(단위 : 명, %)구 분12.26.12.27.12.28.12.29.12.30.12.31.1.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3582,7303,8823,2052,8633,0032,78719,8282,832.6연령별60세↑확진자수(%)414(30.5)723(26.5)1,255(32.3)949(29.6)874(30.5)980(32.6)954(34.2)6,149(31.0)878.418세↓확진자수(%)198(14.6)408(14.9)567(14.6)469(14.6)413(14.4)397(13.2)358(12.8)2,810(14.2)401.4외 국 인24(1.8)19(0.7)52(1.3)39(1.2)39(1.4)27(0.9)28(1.0)228(1.1)32.6 □ 시·군별 발생(국내 1,325,589, 유입 3,912)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29,501명272,633115,86770,32782,469238,71854,06846,80241,63535,153152,6208,251(+2,787)(+628)(+253)(+119)(+181)(+468)(+88)(+102)(+112)(+104)(+328)(+10)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9,91110,2755,95515,59616,87511,68915,33853,37928,08511,08920,6152,151(+41)(+16)(+17)(+29)(+32)(+29)(+18)(+97)(+45)(+21)(+48)(+1)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7%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3,006(+142)1,326,71422,213(+69)1,302,549(+2,934)1,952(+3) * 국내 3,003, 국외 3 * 치명률(12.30. 0시 기준) - 경북 0.15%(1,949명), 전국 0.11%(32,095명) * 오신고 누계 정정(-2) : 포항 ?1(12.24.), 구미 ?1(12.26.)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923186369확진자674625371018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25.(일)12.26.(월)12.27.(화)12.28.(수)12.29.(목)12.30.(금)12.31.(토)누계(주)평균(주)검 사5,1913,1942,26713,0388,0155,6016,54643,8526,265확진자2,576(2)1,359(0)2,731(1)3,882(0)3,207(2)2,864(1)3,006(3)19,624(9)2,803.4(1.3)* 직전주 토요일(12.24.) 현황 : 검사 6,953건, 확진자 2,933명(▲ 2.5%)(단위 : 명, %)구 분12.25.12.26.12.27.12.28.12.29.12.30.12.3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5741,3592,7303,8823,2052,8633,00319,6152,802.1연령별60세↑확진자수(%)919(35.7)414(30.5)723(26.5)1,255(32.3)949(29.6)874(30.5)980(32.6)6,114(31.2)873.418세↓확진자수(%)339(13.2)198(14.6)408(14.9)567(14.6)469(14.6)413(14.4)397(13.2)2,791(14.2)398.7외 국 인24(0.9)24(1.8)19(0.7)52(1.3)39(1.2)39(1.4)27(0.9)224(1.1)32.0 □ 시·군별 발생(국내 1,322,802, 유입 3,912)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26,714명272,005115,61470,20882,288238,25053,98046,70041,52335,049152,2928,241(+3,006)(+560)(+1)(+291)(+1)(+155)(+188)(+579)(+1)(+113)(+116)(+93)(+96)(+336)(+2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9,87010,2595,93815,56716,84311,66015,32053,28228,04011,06820,5672,150(+62)(+37)(+14)(+27)(+48)(+24)(+37)(+103)(+42)(+23)(+36)(-)
경상북도는 30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포플라 장학생으로 선발된 23명에게 장학증서와 장학금 100만원을 수여했다.▲ 산림 꿈나무 포플라장학생 선발(사진=경북도) 포플라 장학금은 숲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지역 산림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지역 임업인 및 산림분야 종사자 자녀와 지역 소재 산림분야 고등학생·대학생 중 시장?군수,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모범학생을 선발해 지급하고 있다.이는 1978년부터 지금까지 1398명에게 5억240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했다.장학금 재원은 1967년 산림사업 현지시찰 중에 대통령 하사 격려금으로 국토녹화 취지를 살리고자 칠곡 북삼읍 낙동강변에 이태리포플러 나무를 식재하고 1977년 벌채·매각한 수익금으로 기금을 조성한 것에서 시작했다.또 순환 수렵장 운영 수익금, 도유림 입목 매각대금, 도 출연금, 기탁금 등을 추가해 15억원을 경북통합관리기금에 적립하고 이자 수익금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포플라 장학생 선발을 통해 미래 산림분야 우수 인재 육성에 의미가 크며, 도민 모두가 숲에서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산림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30일 도청 다목적홀에서「2022년 산림자원분야 종합평가」우수시군에 대해 표창패와 시상금을 수여하고, 산림행정 추진을 위해 노력한 시군 관계자를 격려했다. ▲ 산림자원분야 종합평가 우수시군 시상(사진=경북도) 「경상북도 산림자원분야 종합평가」는 시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산림사업에 대한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인센티브 부여를 통해 행정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해 오고 있다.올해는 3개 분야 11개 항목의 지표를 설정해 400점을 배점으로 시군 에서 제출한 증빙자료와 정부합동 평가 추진실적 등의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주요 평가지표는 산림정책추진 실적, 전문임업인 육성, 조림 및 숲가꾸기 실적, 중앙부처 공모사업 등 참여, 산불방지 노력, 산림병해충 방제 등이 있다.이번 평가에는 정부합동평가, 산림시책 각종 보고자료 등 추진실적 항목의 계량화된 평가기준 적용으로 객관성과 신뢰성 확보에 노력했으며, 도 산림시책 참여 실적과 시군의 신규 사업 발굴 노력도에 중점을 뒀다.평가결과 최우수 기관은 청송군, 우수 기관은 영주시와 문경시, 장려기관은 포항시, 김천시, 의성군을 선정했다.수상 시군에는 도지사 표창패와 함께 최우수 기관은 시상금 300만원, 우수 기관은 시상금 각 200만원, 장려기관은 시상금 각 100만원을 수여했다. 최우수로 선정된 청송군은 2017년부터 임산물대학을 개설해 지역맞춤형 임업교육으로 산주, 임업인의 역량강화를 통한 소득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발맞춰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사업계획 수립, 도단위 산불 지상진화 경연대회 개최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 일선에서 산림행정을 실현하는 시군 공무원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중장기적으로 돈 되는 산으로 가꿔 임업인이 잘사는 산림으로 가꾸어 달라”고 당부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7%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864(-343)1,323,71022,146(+31)1,299,615(+2,832)1,949(+1) * 국내 2,863, 국외 1 * 치명률(12. 29. 0시 기준) - 경북 0.15%(1,948명), 전국 0.11%(32,207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62237452확진자52463126119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24.(토)12.25.(일)12.26.(월)12.27.(화)12.28.(수)12.29.(목)12.30.(금)누계(주)평균(주)검 사6,9535,1913,1942,26713,0388,0155,60144,2596,323확진자2,934(1)2,576(2)1,359(0)2,731(1)3,882(0)3,207(2)2,864(1)19,553(7)2,793.3(1.0)* 직전주 금요일(12.23.) 현황 : 검사 5,680건, 확진자 2,832명(▲ 1.1%)(단위 : 명, %)구 분12.24.12.25.12.26.12.27.12.28.12.29.12.30.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9332,5741,3592,7303,8823,2052,86319,5462,792.3연령별60세↑확진자수(%)976(33.3)919(35.7)414(30.5)723(26.5)1,255(32.3)949(29.6)874(30.5)6,110(31.3)872.918세↓확진자수(%)439(15.0)339(13.2)198(14.6)408(14.9)567(14.6)469(14.6)413(14.4)2,833(14.5)404.7외 국 인35(1.2)24(0.9)24(1.8)19(0.7)52(1.3)39(1.2)39(1.4)232(1.2)33.1 □ 시·군별 발생(국내 1,319,801, 유입 3,909)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23,710명271,445115,32270,05382,100237,67153,86746,58441,43034,953151,9568,218(+2,864)(+553)(+299)(+139)(+178)(+554)(+99)(+99)(+114)(+105)(+306)(+1)(+1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9,80810,2225,92415,54016,79511,63615,28353,17927,99811,04520,5312,150(+63)(+16)(+14)(+30)(+32)(+19)(+19)(+119)(+43)(+19)(+30)(-)
경상북도는 29일 환경분야 시책추진 우수 시군에 수여하는 「2022년 경북환경대상」에 상주시와 예천군이 영예의 환경대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환경대상 시상(사진=경북도) 경북환경대상은 1997년부터 매년 환경 분야 및 국?도정 시책추진 특수?우수사례를 평가해 우수추진 시군과 시장?군수의 추천을 받아 환경보전 활동에 공이 많은 민간(단체?개인)을 선정해 표창을 수여해 왔다.환경대상으로 선정된 상주시는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수열에너지 단지 조성사업, 탈탄소 툰베리 스쿨 운영 등 중앙부처 탄소중립 공모사업 선정? 추진과 배출업소 지도점검 및 행정처분, 태봉리 인공습지 조성사업 등 환경안전 분야, 무허가 축사 적법화 행정절차 적극 추진, 축산단지 집단화 등 맑은 물 정책 분야 등 종합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예천군은 김학동 군수부터 시작해 전 군민으로 확산된 쓰담캠페인 전개, 찾아가는 클린예천 보물마차 운영 등 자원순환 분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이동식 환경오염 감시차량 운영과 드론을 활용한 환경오염 감시체계 구축으로 맑고 쾌적한 클린예천에 기여한 공이 높게 평가됐다.한편, 우수상은 안동시와 청송군이 수상했다.안동시는 초기우수를 집수해 비점오염 예방 및 강우 유출수 저감으로 낙동강 수질개선에 기여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 증가하는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안정적인 처리로 낙동강 수질오염을 예방하는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설치사업 등 맑은 물 정책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청송군은 관내 산재된 방치슬레이트 위탁처리를 위해 자체 예산을 별도 편성하고, 폐가전제품 집중수거사업 업무협약 체결, 상수도 유수율 제고 및 급수구역 확장 등 모든 분야에서 골고루 높은 점수를 받았다.민간단체부문에서는 경주시종합자원봉사센터와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가 수상했다.민간 개인부문은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전도만 선임연구원, 도청 신도시 아이파크 김경숙 부녀회장,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강기호 실장, 상주시 김병관 환경공무직이 받았다.경주시종합자원봉사센터는 7만 여명의 회원들과 함께 탄소중립 실천 생활화에 노력한 공적으로,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 불법폐기물 방지에 기여한 공적으로 수상했다.구미전자정보기술원 전도만 선임연구원은 기업의 ESG경영 애로사항 해결, 도청신도시 아이파크 김경숙 부녀회장은 2022년 클린예천 운동에 적극 참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강기호 실장은 생물다양성 보전, 상주시 김병관 환경공무직은 쾌적한 도시환경조성에 적극 기여한 공적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지난 1년간 어려운 상황에도 환경분야 다양한 시책을 추진해 준 노고에 감사드린다”라면서, “환경은 도민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좋은 환경을 미래 세대들에게 물려 줄 수 있도록 더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29일 도청 동락관에서 「2022 평생교육 추진 시책 평가」에 우수한 성적을 거둔 7개 시군을 시상했다.▲ 평생교육 시책 평가우수 시군 시상(사진=경북도) 대상을 수상한 안동시는 지난 10월 「제16회 국제교육도시연합(IAEC) 세계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대한민국 평생학습을 전 세계에 소개했다.또 국내 평생학습도시의 우수사례전파 및 해외 우수 학습도시와의 정보공유로 네트워크 구축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최우수상을 수상한 영천시는 제9회 경상북도 평생학습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주민대상 모든 교육프로그램을 홍보하는 평생교육 원클릭 웹사이트를 구축했다.예천군은 지역 청년?경력단절자?은퇴자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교육과정운영과 평생학습동아리 재능기부 사업을 통해 평생학습이 지역 나눔 봉사로 연계되는 사례에 높은 점수를 받았다.우수상을 받은 포항시, 경주시, 김천시, 청도군은 지역대학 연계를 통한 특화프로그램 운영,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선정 및 기반 구축, 지역 특화 및 미래 트렌드 변화에 맞는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 등 평생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기여도 부문에서 좋은 성과를 거뒀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애쓰는 시군 공무원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100세 시대 평생교육이 중요하다. 도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배움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9일 도청 동락관에서 송년 직원 만남의 날 행사 시자리에서 지난 9월 제11호 태풍 힌남노 피해현장에서 투철한 사명감과 봉사정신으로 응급복구에 크게 기여한 3개 기관에 감사패를 전달했다.▲ 태풍 힌남노 피해 응급복구 유공기관 감사패 전달(사진=경북도) 이날 감사패를 전달받은 기관은 대한건설협회 경북도회, 대한전문건설협회 경북도회, 한국도로공사 등 3개 기관이다.경북도는 지난 9월 포항과 경주를 강타한 힌남노 태풍으로 사상 유례 없는 피해가 발생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다녀간 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국도 14호선, 지방도 945호선 등 52개소 도로에 피해액 93억원, 복구액 501억원, 냉천, 남천 등 33개 하천에 피해액 672억원, 복구액 3,072억원의 상당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도의 긴급 지원요청에 따라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신속하게 피해 복구 지원반을 구성해 현장지휘자, 장비운영 등 인력 120여명을 투입해 토사가 덮인 포항 시내 도로 정비를 위해 살수차, 노면청소차, 양수기 등을 지원했다.또 하천 냉천의 범람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한 포항제철소에도 준설차(버큠카) 등 장비 73대도 지원했다.아울러, 도내 건설협회에서는 지역 내 회원사를 동원해 굴삭기, 덤프, 도저 등 600여대의 건설중장비를 긴급 지원해 피해복구 활동을 도왔다. 특히, 대한전문건설협회 경북도회에서는 피해복구와 이재민들을 위해 성금 9400만원을 기부해 따뜻한 온정을 베풀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제11호 태풍 힌남노 응급복구를 위해 인력과 장비를 지원해 힘을 보태 준 한국도로공사와 도내 건설 관련 기업 대표 모든 분들께 도민을 대신해 감사드린다”며 “지역이 힘들고 어려울 때 큰 도움을 받았듯이, 도에서도 기관에 힘이 되고 도움이 돼 줄 것을 약속한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올해 중소기업 육성시책을 통한 기업 환경 조성에 실적이 우수한 5개 시?군과 중소기업 육성?지원 유공자 18명(공무원 9, 유관기관?기업인 9)을 선정했다.▲ 중소기업 육성시책 평가 시상(사진=경북도) 올해 중소기업 육성시책 시군 평가는 중소기업 육성(지원)계획 수립?추진실적, 중소기업 자금지원,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중소기업 지원 시책참여, 중소기업 애로해소 등 5개 분야 14개 항목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했다.이번 평가에서 최우수상은 포항시와 성주군이, 우수상은 경주시, 영주시, 청도군이 차지했다.중소기업 지원 분야에 근무하는 시군 공무원과 중소기업 지원 유관기관, 기업현장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유공자 18명을 선정해 도지사 표창을 수여하였다. 최우수 자치단체로 선정된 포항시는 기업애로해소 대책위원회 개최, 시청 공무원 586명으로 구성된 기업행복지원단 운영, 포항시 기업지원 톡을 개설해 일대일 채팅상담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기업지원에 노력했다.성주군은 산업재해 예방 및 지원에 관한 조례제정 추진, 복합민원 실무종합심의회 개최, 지역특구 라이브커머스 추천 등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최우수에 선정됐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글로벌 경제위기 등으로 힘들어진 지역 기업에게 먼저 다가가 지원을 아끼지 않은 시군과 유관기관에 감사하며, 앞으로도 기업지원 내실화를 위해 더욱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북도는 매년 시군의 중소기업 육성시책 평가를 통해 우수사례 공유 등으로 중소기업 지원부서의 역량을 강화해 오고 있다.중소기업 지원기관과 기업현장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열심히 노력하는 시군 공무원과 유관기관 등을 대상으로 표창과 시상금을 수여해왔다.
경상북도는 29일 오전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등 4명은 도청을 방문해 이철우 도지사와 환담을 나눴다고 전했다.▲ 김학동 부회장, 이철우 지사(사진=경북도) 이 자리에서 김학동 부회장 일행은 포스코가 태풍 힌남노 피해로 큰 어려움에 처했을 때 적극 지원해 준 데 대해 감사 인사를 전하며 과메기 100세트와 직원 1인당 떡 1세트를 전달했다.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은 “이철우 도지사님을 비롯한 경북도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빠른 복구를 이루게 되었다”며, “특히 태풍 피해 초기 대응에서 이철우 도지사님의 빠른 판단으로 방사포 2대 지원으로 제강공정의 지하 2층 물을 빠른 시간에 배수해 고로가 꺼지는 것을 막고 포항제철소를 지켜낼 수 있었다”며 큰 감사의 말을 전했다.현재, 포스코는 전체 18개 공장 중 16개 공장이 가동 중이며, 지난 15일 가장 생산능력이 큰 2열연 공장이 복구 100일만에 정상 가동되고, 연내 탄소강 전제품 및 STS 대부분의 제품이 생산 가능해 지면서 생산, 품질, 설비 모두 침수前 유사 수준으로 가동되고 있다.TS1 냉연공장, 도금공장 2개 공장은 내년 1월 중 가동예정으로 내년 1월말 전 공장이 복구 완료 될 예정이다.한편, 태풍 '힌남노'로 큰 침수 피해를 입었던 포항제철소는 이철우 도지사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 덕분에 더 큰 손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힌남노가 휩쓸고 간 지난 9월 7일 포항제철소 복구 현장을 점검하던 이철우 도지사는 포스코 관계자에게 추가 복구 장비 지원을 요청받았고 현장에서 즉시 수소문한 끝에 대용량 방사 시스템을 확보해 배치해 줬다.※ (포스코 장비 지원) <경북도>살수 31, 노면청소 6, 준설 55, 양수기 211, 기타 13 <경북소방> 방사포, 펌프 등 1252대 이에 경북소방본부는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을 빌려와 포항제철소에 투입해 배수 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 이철우 도지사는 신속한 판단력과 대응력으로 재난 현장의 파수꾼 역할을 했다. 올 들어 지역에서 일어난 대형 재난 사고 현장에서 재난 관리 최고책임자 역할을 유감없이 보여줬다는 평가다. 대표적인 것이 고립된 지 221시간 만에 광부 2명이 기적적으로 생환한 '봉화 광산 고립사고' 현장에서다. 광부 2명이 모두 생환한 배경에는 이청우 도지사의 현장 지휘력이 한몫을 했다는 평이다.경북도는 지난 10월 26일 광부들이 고립됐던 당시 광산업체는 생존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시추기 2대만을 동원해 작업 중이었다. 하지만 현장을 방문한 이 지사는 “시추기 2대를 갖고 어떻게 구조에 속도를 내냐”며 국내 최고 시추 작업 전문가와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인력과 장비를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비용도 '경북도가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방부, 민간 업체 등을 상대로 가용할 수 있는 시추기를 모두 동원한 끝에 12대를 확보해 작업에 속도를 낼 수 있었다. 또 생존자 구조를 위한 굴진 작업에 소요되는 전문 인력 증원도 직접 요청했고 이들에 대한 특별수당도 지원하겠다고 해 사기를 높였다.아울러, 구조 작업에 들어간 4억2000만원의 예산을 직접 투입했다.이처럼 광부들의 구조 배경 이면에는 구조대원과 동료 직원 등의 헌신적인 노력과 함께 이 지사의 물심양면 지원이 있었던 것이다.이 덕분에 이 지사는 구조된 광부 박정하 씨가 퇴원한 다음날 박씨의 아들 박근형 씨로부터 감사의 문자 메시지도 받았다.박근형 씨는 "도지사님의 따뜻한 배려에 진심으로 감복했고 전라북도 도민이지만 경상북도 도민이 부럽다. 먼 곳에서 도지사님의 성공과 도민들의 행복을 기원하겠다"고 글을 남겼다. 또, 올 3월 울진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지역에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을 때도 이 지사의 현장 지휘력은 더욱 빛났다.산불이 발생했을 당시 지방선거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낮밤을 가리지 않고 현장 지휘본부를 찾아 산불진화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마련에 나설 것으로 주문하며 피해주민들을 위로했다.이에 경북도는 지난 3월 울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 재건을 위해 ‘울진산불 피해극복 산림대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했다.이 프로젝트는 총사업비 1조 5천억원 규모로 지역에 국립동해안산불방지센터, 국립산지생태원, 국가 동서 트레일센터, 산림 레포츠지구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도는 정부와 국회를 찾아다니며 설득한 끝에 국립 동해안 산불방지센터와 국립산지생태원을 동시에 유치했다. 한편, 지난 울진 산불은 1986년 통계 집계 이래 산불로서는 4번째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울진 산불은 단일 시군 산불면적 1만4140ha의 역대 최대와 주불 진화시간 총 213시간이 소요된 역대 최장 기록이다.327세대, 466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키고, 주택 258동, 농기계 1715대, 농?어업시설 256개소 등의 사유시설과 마을상수도?소각장 등 공공시설 50개소가 소실되는 1,717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혔다.이철우 경도지사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공직자의 당연한 책무이다”라며 “앞으로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대비를 철저히 하고 재난발생 시 도에서 적극나서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와 독도평화재단은 29일 도청 안민관 다목적홀에서‘제10회 독도평화대상’시상식을 개최했다.▲ 독도평화대상 시상(사진=경북도) 이날 시상식에서는 독도평화대상 동도상에 다솜한국학교, 서도상에는 이범관 지적박물관장이 각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동도상을 수상한 다솜한국학교는 2004년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시에 주말 한국학교로 설립됐다.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와 함께 구글, 애플의 독도 왜곡 표기에 대응하는 글로벌 캠페인을 진행하고, 미래세대를 이끌어 갈 한인 차세대를 비롯한 외국인들에게 독도 바로 알기 교육을 실시하여 독도 알리기 글로벌 운동에 크게 기여했다. 서도상을 수상한 이범관 지적박물관장은 경상북도 독도연구기관통합협의체 초대 회장을 역임했고, 독도관련 저서 발행, 논문발표, 학술 자문, 연구수행 등 일평생을 독도수호를 위해 헌신해 왔다.특히 국내 최초 독도교육센터인 경일대학교 독도간도교육센터를 설립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과 독도 교육에 이바지했다.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독도평화대상은 독도 수호와 홍보 활동에 공헌이 큰 개인과 단체를 시상하며 그 공적을 국민들에게 홍보하고, 독도의 평화·인권·환경·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2013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다.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일본의 독도 도발과 역사 왜곡에는 단호하고 엄중히 대응할 것이다”며, “대한민국의 땅! 아름다운 독도가 세계 평화의 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관광?기반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9일 도청 동락관에서 이철우 도지사와 직원 700여명이 함께한 가운데 다사다난했던 한해를 마무리 하고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는「2022 송년 직원만남의 날」행사를 개최했다.▲ 직원 만남의 날(사진=경북도) 특히, ‘봉화의 기적’을 만들기 위해 열정과 헌신을 다해 구조에 매진한 119 구조대원들이 행사에 참석해 직원들의 격려 박수를 받았다.이날 행사는 극단 ‘굿 컬쳐스’의 직장내 괴롭힘 예방 연극을 시작으로, 한 해 도정추진 유공 시군과 도 공무원에 대한 표창 시상이 이어졌다.이날 ▷민원행정추진 평가에서 성주군이 대상, 영주시와 영양군이 최우수상을 수상 ▷평생교육 시책 평가에서 안동시가 대상, 영천시와 예천군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공무원 표창에는 ▷관광마케팅과 강은희 과장, 소재부품산업과 신명섭 사무관이 정부 우수공무원으로 근정포장을 ▷대통령 표창은 투자유치실 최순규 사무관이 ▷류한, 정인숙, 오주택, 김태현 주무관이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경북도 공무원 최고의 영예인 올해 MVP 공무원에는 도로철도과 이경현 주무관이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이어 시책추진 유공공무원과 모범공무원, 자랑스러운 공무원 등에 대한 시상이 진행됐다.태풍 힌남노 재해복구 지원에 기여한 대한건설협회경북도회, 대한전문건설협회경북도회, 한국도로공사에 대한 감사패를 전달했다.이날 이철우 도지사는“울진 산불, 태풍 힌남노, 봉화 광산사고까지 그야말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 였지만 도청 직원들의 저력을 느낄 수 있었고 내년이 더욱더 기대된다”며, “내년은 경북이 지방시대를 주도하는 원년이며, 지방시대는 한마디로 국민행복 시대이다. 경북을 넘어 대한민국을 바꿀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제시하자”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28일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이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방학 중 SW·AI교육 캠프 사업?에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이하 GERI) 컨소시엄이 운영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미래 인재(사진=경북도) 방학 중 SW·AI교육 캠프는 가정 배경과 교육 여건 등에 따른 디지털 교육 격차 발생을 최소화하고, 2025년부터 시작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시행 전 초·중·고 학생의 디지털 교육 기회를 제공해 기초적인 디지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북도는 지역 SW·AI 교육 인식 제고 및 체계적인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네트워크 기반 및 교육 역량을 갖춘 전문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GERI가 주관하고 경북ICT융합산업진흥협회와 미래엔에듀파트너가 공동 협력해 총 7.6억원의 지원 예산을 확보했다. 이 사업은 겨울방학 기간인 2024년 2월말까지 초·중·고 학생의 디지털 교육 확대 및 디지털 교육 격차 완화를 위해 도내 특수교육대상자, 다문화 배경 및 도서·벽지 거주 학생 등 2000여 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과정은 (초등)아이디어 피지컬메이킹, (중등)인공지능 자율주행, (고등)내가 만드는 메타버스 세상, (고3)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메이킹 프로젝트, (장애)코딩 로봇으로 즐기는 겨울 축제, (가족)SW코딩과 스마트 화분 개발하기 등이다.SW캠프는 무료로 진행하며, 참여를 희망하는 단체는 컨소시엄 각 기관 홈페이지 공고문을 통해 교육을 신청할 수 있다.장상길 경북도 과학산업국장은“지역은 도농 간 디지털 격차가 크고, 정보 소외계층이 다양한 만큼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학생들이 사교육 없이도 디지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학교 간 디지털 교육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정된 기관과 상호 협력해 디지털 교육 기회를 적극적으로 확대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말연시 해넘이와 해맞이 행사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구급상황 관리센터(사진=경북도) 경북소방본부는 한파와 대설, 기상변화 등으로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높아 예방 요령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해넘이와 해맞이를 위해서 산에 오를 때는 당일 날씨, 등산로 정보 등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 또 동상 예방을 위해 장갑, 모자 등 방한용품을 반드시 챙겨야 한다. 바다의 경우 방파제 구조물인 테트라포드는 기온저하로 표면이 얼어 미끄러울 뿐만 아니라 관광객이 밀집되다 보면 밀려 넘어지거나 추락하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으니 올라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해뜨기 직전에는 기온이 내려가 저체온 증에 걸리기 쉬우니 덧입을 여벌의 옷이나 담요, 따뜻한 차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만약 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날 때는 즉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해야 한다.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많은 인파가 몰려 혼잡한 곳일수록 기본질서와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 동부청사가 환동해 발전의 견인차 역할 톡톡히 해내고 있다.▲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감도(사진=경북도) 경북도 동부청사는 지속가능한 환동해 발전을 위해 내년 미래 먹거리 신규 사업에 국비 196억2000만원을 확보했다.이는 경북도와 지역 국회의원, 시군이 상호 긴밀히 협력해 이룬 성과로 평가된다. 그간 경북도는 각 분야별로 미래먹거리 신규사업 국비확보를 위해 시군과 협력해 신규 사업 발굴 워크숍 등을 10여 차례 개최하고, 관련 중앙부처 및 기획재정부 연중 수시 방문해 왔다.지역 국회의원을 직접 찾아 사업의 필요성 등을 역설하는 등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해 왔다.내년 미래먹거리 사업 국비확보내역을 살펴보면, 먼저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 설립(1억원), 혁신원자력 기술연구원 설립(31억1000만원), 용융염원자로 기술개발 사업(105억원) 등 SMR분야 137억 1000만원이다. 또 환동해 심해과학 연구센터 설립(5억원), 환동해 블루카본센터 건립 (5억원), 해양바이오메디컬 실증연구센터 설립(3억1000만원), 독도 현지조사연구 활성화 및 전문화(5억원) 등 해양과학분야 18억1000만원 이다.아울러, 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10억원), 낙동강 토속어종 생물자원보전 사업(1억원) 등 수산분야 11억원과 국립선부 해양역사 기념공원 조성(10억원), 감포 해양레저 복합단지 조성(20억원) 등 레저분야 30억원 등 총 11개 사업에 196억 2000만원이다.사업별로 살펴보면, 글로벌 원자력 공동캠퍼스 설립사업은 경주 혁신원자력연구단지내에 2025년까지 총 300억원을 투입, 실험·교육용 원자로를 활용한 글로벌 원전 전문인력 양성 및 차세대원전 대학원설립, 원자력 관련 학과 공동캠퍼스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내년에는 캠퍼스 설립 상세 기획용역을 시행 할 계획이다.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사업은 경주 혁신원자력연구단지내에 총 1,551억원을 투입, 혁신형 i-SMR 요소기술, 표준(기본)설계 및 인허가를 위해 SMR 기자재 구축 및 R&D 연구 등을 위한 사업으로 내년에는 국비 31억 1,000만원을 확보해 혁신형 SMR 개념설계, 요소기술개발, 실험·검증 및 표준설계 등을 추진한다.환동해 심해과학 연구센터 건립사업은 2023년부터 4년간 울진군과 함께 총 195억원의 예산을 투입, 내년도 심해과학 R&D 연구거점을 조성을 위해 연구지원 시설 구축 실시설계를 시작해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추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환동해 블루카본센터 건립사업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포항시 송라면 화진해수욕장 일원에 국비 300억원, 지방비 150억원 총 45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블루카본 연구, 해조류 활용기술 상용화를 추진하는 사업이다.해양바이오 메디컬 실증연구센터 설립 사업은 포항 융합기술산업지구내에 총 302억원을 투입해 홍합 접착제를 활용한 생체모사 소재 연구를 통해 사람에게 유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해 8월 산학연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올해는 국비 2억원으로 타당성조사를 완료했고, 내년도 국비 3억 1000만원을 확보한 만큼 실시설계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울릉도ㆍ독도 현지조사연구 활성화 및 전문화 사업은 매년 국비 5억원, 도비 5억원을 투입, 독도 해양생태 해설사 양성, 온라인 교육 등을 통해 울릉도·독도 영토교육 및 생태 등 조사체계를 구축해 나가기 위한 사업이다.스마트 수산가공 종합단지 조성사업은 내년부터 2026년까지 영덕군 금호리 로하수 수산실품 농공단지 내에 총 380억원(국비 266, 지방비 114)을 투입해 스마트 수산가공 연구개발 지원, 기업역량 및 수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낙동강 토속어종 생물자원보전 사업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의성군 비안면 서부로 706 토속어류산업화센터 내에 총 사업비 90억원(국비 45, 지방비 45)을 투입해 낙동강 생물자원 보전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이다.국립 선부 해양역사 기념공원 조성사업은 2026년까지 경주시 문무대왕면 일원에 국비 200억원을 투입, 상징타워, 해양역사 전시공간 및 교육시설 등 건립해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 행정기관인 선부를 세운 신라의 해양영토 수호 의지와 문무대왕의 해양 개척정신을 재조명하는 사업이다.한편, 현재 (구)용흥중학교를 임시청사로 사용 중인 경북도 동부청사는 내년 하반기에 포항 북구 흥해읍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내에 지상 8층, 지하 1층 규모로 동해바다와 경북을 비추는 등대 형상화해 건립 중인 신청사로 이전할 예정이다. 앞으로 동부청사는 동해 바다시대 컨트롤 타워는 물론, 북방경제 전진기지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김남일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대내외 여러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역 국회의원, 시군 등 모두가 힘쓴 결과, 많은 신규사업에 국비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동해안 시대를 열어야 5만불 시대가 가능하다. 그 중심에는 경북도 동부청사가 있다”고 밝혔다.
[뉴스] 2025년 대학생 멘토링 사업 『꿈트리의 청춘동행 2탄』 성료
[동영상뉴스] 군고구마 1화(산성면 화본1리)
[동영상뉴스] 군위군의 랜드마크 현장점검 ... "군위군 파크골프장 조성사업"
[동영상뉴스] 화본역에 열린 가을축제 ... "낭만플랫폼 화본축제"
[동영상뉴스] 세대 어울림 한마당 ... "제29회 노인의 날 기념식"
[뉴스] 김진열 군위군수, 수능 앞둔 고3 학생 응원 격려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 민·관 힘 모아 농촌 일손돕기 나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