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는 16일 도청에서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2023 설명절 지원 사업 배분전달식」을 개최했다.▲ 설맞이 저소득층 명절지원금 전달(사진=경북도) 명절지원금은 도민과 기업들이 기부한 성금으로 재원을 마련했으며, 모인 성금은 도내 전 시군을 대상으로 독거노인, 장애인, 한부모세대 등 복지사각지대 소외계층 1.5만여 세대를 대상으로 세대별 10만원씩 총 15억원을 지원한다.이번 명절지원금은 제수용품 구입 등 어려운 저소득층 가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줘 따뜻한 설 명절을 보내도록 하기 위해 마련했다.전우헌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은“2023년 계묘년에도 사랑과 행복으로 가득한 풍요로운 한해가 되기를 소망한다”며“앞으로도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도민의 따뜻한 관심의 손길이 소외된 이웃들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코로나19, 울진산불, 태풍힌남노 등으로 힘든 시기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외된 이웃들을 위해 기부해 주신 경북 도민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앞으로도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도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한편, 경북도는 2022년 한 해 동안 451억1500만원의 역대 최고 모금액을 달성했고, 특히 울진 산불 피해를 지원한 성금으로 118.6억원을 모금하는 등 도민의 따뜻한 온정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16일 도청 영상회통실에서 23개 시군과 함께하는 반부패·청렴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반부패·청렴 결의대회(사진=경북도) 이날 오전 비대면으로 실시한 결의대회에는 이철우 도지사, 시장·군수들이 참석해 기관별 청렴구호를 제창하고 반부패 실천의지를 다졌다.올해 경북도는 반부패·청렴 결의대회를 시작으로 시군과의 청렴 동반상승을 위한 각종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도와 시군 청렴 동반상승협의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해 협력의제 발굴을 통해 공동 시책 추진을 논의하고, 청렴 멘토링 & 컨설팅을 통해 감사관이 시군을 직접 방문해 기관별 부패취약 분야을 진단하고 맞춤형 시책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활동도 구상하고 있다. 아울러, 2023년 반부패 종합계획을 조기에 수립·시행하고 상반기 중 자체청렴도 측정을 통해 조직 내 부패요인을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국민권익위원회 종합청렴도 측정에도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도와 각 시군이 청렴경북 달성을 위한 동반자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경북의 힘으로 청렴한 대한민국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오는 22일 민족 최대 명절인 설 연휴를 앞두고 김학홍 행정부지사 주재로 2023 설 명절 종합대책 부시장?부군수 영상 회의를 개최했다.▲ 설 명절 종합대책 추진상황 점검(사진=경북도)이날 회의는 고향을 찾는 귀성객과 도민이 ‘설 명절을 더 풍요롭게, 어려운 곳은 더 든든하게’보내기 위해 수립한 설 명절 종합대책의 각 분야별 추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했다. 설 명절 종합대책과 관련해 각 실국별 세부 추진계획을 보고하고, 시군 협조사항을 전달한 후 23개 시군의 준비상황과 현안사항을 점검하는 순서로 진행했다. 먼저, 김 부지사는 회의에 앞서 동해안을 중심으로 연일 건조특보가 발효 중인 만큼 지난해 울진 대형 산불 같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올해 새롭게 신설된 119산불특수대응단을 중심으로 철저한 사전대비와 선제적 대응에 나설 것을 강조했다. 도는 『설 명절 종합대책』을 통해 4대 분야* 12개 추진대책**을 수립했고, 민생경제 살리기(물가안정)와 서민ㆍ취약계층 지원(민생안전)을 더욱 강화한 종합대책 추진에 전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민생경제살리기, 방역ㆍ안전, 취약계층지원, 생활불편해소**물가안정, 소비촉진, 전통시장 활성화, 방역체계 및 의료대책, 재난재해 예방,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도로?교통 등▲ 설 명절 종합대책 추진상황 점검(사진=경북도) 우선, 도는 고물가ㆍ고금리 여건 속 「풍요롭고 든든한 설」을 목표로 설 명절 물가대책 종합상황실을 설치?운영하고 중소기업 운전자금 1200억원 지원, 경북 세일페스타 기획전, 바이소셜 프로모션, 경북농산물 소비촉진행사 등 어려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난 해소와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 추진 상황에 대해 점검했다. 또 설 명절 연휴가 코로나19 재확산의 분기점이 되지 않도록 비상대응 체계를 지속하고 방역을 위해 선별진료소 47개소(보건소 25, 의료기관 22), 1일 26개반 52명씩 감염병 비상방역 대책반 운영, 다중이용시설 방역 실태 점검 등 24시간 비상진료체계 유지해서 도민의 의료공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아울러,‘어려운 곳은 더 든든하게’복지사각지대 제로화를 위해 복지 위기가구를 집중 발굴해 긴급 생계지원, 돌봄 강화, 민간자원 연계 등 지원체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경북마음안심 서비스 앱, 사각지대 발굴 SOS 신고센터 운영, 겨울철 발생하기 쉬운 화재?폭설 등 각종 재난?사고에 대비해 상시 재난상황관리체계 가동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한편, 도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연휴기간 23개 시?군과 함께 설 명절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각 분야별 비상근무를 실시해 연휴기간 발생하는 모든 긴급 상황과 도민 불편 상황에 신속 대응할 계획이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설 명절기간 도민과 귀성객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설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각 분야별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모두가 어려운 시기이지만 명절을 맞아 소외된 이웃이 없도록 따뜻하게 보살피고 챙겨 행정공백을 느끼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6일 시장?군수 연석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를 위한 8대 과제를 발표하고 시군의 동참을 강조했다.▲ 지방시대 실현 위한 시장군수 영상회의(사진=경북도) 이 지사는 모두발언에서 “지난해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경북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면서 “영일만횡단대교와 중부선 문경~상주~김천 구간의 건설이 가시화됐고 탈원전의 그늘에서도 벗어났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도와 시군이 함께 이루어낸 10조 9514억원에 달하는 역대최대 국비확보와 규제자유특구의 투자유치 성과 등을 강조하며 “경북의 자신감으로 지방시대를 확실히 열어가자”고 강조했다.지방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8대 과제 속에는 윤석열 정부의 정책방향과 부합하면서 경북이 선도적으로 모델을 정립할 수 있는 사업들을 포함했고, 농업처럼 수도권 중심의 정책에서 소외된 부분에 대한 정책대전환을 이루는 내용들도 대거 포함했다.우선, 윤석열 정부의 기조와 부합하는 지방시대 정책과제를 내놨다. 대학이 지방시대 혁신거점이 되는 「고등교육 혁신기반 발전생태계」와 탈원전의 그늘을 극복하고 동해안이 세계적인 에너지 클러스터로 도약하기 위한 제안인 「클린에너지 슈퍼클러스터」, 끝으로 행정의 지능화를 포함한 「일 잘하는 지방정부」를 제시했다.다음으로 그간 수도권 중심으로 정책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지방이 소외된 분야에 대한 ‘선도형, 전환형 정책과제’들도 내놨다. 특히, 농업대전환과 신설된 지방시대 정책국에 대한 소개는 별도의 시간을 들여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농업대전환은 디지털혁신농업타운 시범사업에 대한 시군의 동참과 경북을 국가 농업연구개발과 인력양성의 거점으로 만드는 농업테크노폴리스 구상까지 제시했다. 경북도는 농업대전환의 성과를 어업과 임업 등으로 확산한다는 전략이다.▲ 지방시대 실현 위한 시장군수 영상회의(사진=경북도)‘지방시대정책국’은 인구와 청년, 대학교육, 지방외교 그리고 분권과 균형발전의 5가지 분야의 혁명적 변화를 추진하는 것을 조직의 미션으로 제시했다.우선과제로 지역특화비자 시범사업과 외국인광역비자제도도입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시장, 군수들에게 설명했다.천년건축은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만 구현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삶의 공간으로서 생활공간 재창조를 통해 지방소멸 극복의 대안을 제시하고 후손들에게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만들어 주기 위해 기획됐다. 이미 공모를 6개 시군의 8개 사업이 접수됐고 추가공모를 통해 확장 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공간이 바뀌면 사람이 바뀌고 세상이 바뀌기 때문에 천년건축은 단순한 건축물 이상의 가치가 있다”면서 “지금의 천년건축은 후세들에게 건축문화유산이 됨과 동시에 지방시대를 앞서갔던 정신문화유산이 될 것이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외에도 디지털 콘텐츠 산업육성과 천년주택을 통한 주거문화 혁신 등을 포함한 「지방시대 문화관광 혁명」과 글로벌 인재교류, 외국인 광역비자제도 도입 등을 포함한 「경북이 주도하는 존경받는 대한민국」을 위한 과제들도 제시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방시대는 우리 경북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명운이 걸린 문제이다.”라면서 “지방이 각자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면서 국가발전을 견인하는 선진국들의 모습처럼 국민이 행복하고 존경받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지방정부가 한마음 한뜻으로 나서나라를 바꾸는 지방시대 발전모델을 만들어야 할 때다”라고 강조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설을 앞두고 지역 소규모 농산물 가공사업장에서 100% 국산 농산물로 직접 가공한 우수 가공 상품을 이번 명절 선물로 추천했다. ▲ 농촌가공사업장 제품 생산(사진=경북도) 추천한 제품들은 농업기술원에서 최근 전략적으로 육성한 소규모 농산물 가공사업장에서 생산된 제품으로 엄선된 지역 특산물을 원재료로 이용하고 농업인의 손맛과 솜씨를 보탠 우수 가공품이다.주로 떡국떡, 한과, 토종꿀, 참기름, 전통주 등 다양한 품목들을 엄선하여 추천하고 있으며, 구매를 적극 추천하는 이유는 우리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실속 있는 ‘가성비’ 높은 상품이라는 점이다.또 대부분 HACCP 인증 사업장으로 청결을 유지하면서도 정성을 다한 ‘가심비*’ 높은 건강 상품들로 구성했다. * 가격이나 성능보다 심리적 안정과 만족감을 중시하는 소비 형태를 말함소비자 기호에 맞춰 2~3만 원 대의 실속형부터 10만 원 대 이상의 품격 높은 상품까지 다양하게 구색을 갖췄으며, 자사몰 또는 경북/지역별 온라인 상품몰을 통해 비교 구매할 수 있다.농업기술원은 이러한 우수 가공제품들을 개발하고 제품화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농업인들이 직접 운영하는 농산물 가공사업장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오고 있으며, 지역에 약 130여 개(2010~2020)가 운영 중에 있다.주요 생산품으로는 한과, 떡, 빵류 등을 비롯해 과일가공품, 장류, 유지류 등 약 300여점에 달하는 제품들을 출시해 판매하고 있으며 지난 한해 가공사업장 평균 매출 5200만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냈다.조영숙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설명절을 맞아 마음을 담은 선물을 준비할 때 경북에서 농업인들이 직접 농사지어 가공한 제품들로 구입해 지역 농업인들에게도 보탬이 되고 건강한 선물을 받아 모두가 행복한 명절이 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 소비트렌드에 맞는 다양한 제품이 발굴되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포항영일만항이 해운물류 붕괴 위기를 겪고 다시 일어서고 있다. ▲ 영일만항 인입 철도(사진=경북도) 경상북도는 포항영일만항에서 운행이 중단됐던 인입철도가 16일부터 정기운행을 재개한다고 밝혔다.포항영일만항 활성화에 큰 기대감을 안고 개통한 인입철도는 2020년 7월부터 상업운행을 시작했다.하지만, 코로나19와 해상운임의 급격한 상승 등으로 해상물동량이 급감으로 철도 운송을 위한 최소 물동량이 부족해 2021년 5월을 끝으로 철도운행이 중단됐다.해상 운임이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하면서 포항영일만항으로의 선복량 증대 및 운임 안정화로 향후 영일만항역을 이용한 철도 이용량이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계획된 운행구간은 포항영일만항역에서 강릉안인역으로 우드펠릿을 연간 14만톤을 운송할 계획이며, 물동량을 점차적으로 늘여 증편할 예정이다. 이경곤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여러 이유로 해운 물류체인이 붕괴돼 선사가 중소 지방항만으로 기항 자체를 기피했으나, 해상운임이 점차적 회복추세로 돌아서고 있다”며, “다시 시작하는 단계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기대하기보다는 기본을 다지고 물량 증대에 힘을 쏟겠다. 차차 운행 횟수를 늘려 화주들의 물류비 절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696(-1,025)1,361,18715,327(-221)1,343,858(+914)2,002(+3) * 국내 696, 국외 0 * 치명률(1.15. 0시 기준) - 경북 0.15%(1,999명), 전국 0.11%(32,949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6842121확진자131441735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10.(화)1.11.(수)1.12.(목)1.13.(금)1.14.(토)1.15.(일)1.16.(월)누계(주)평균(주)검 사3,1669,7197,6214,5734,4334,8692,45736,8385,262.6확진자2,283(4)2,562(3)2,006(5)1,834(3)1,691(2)1,721(3)696(0)12,793(20)1,827.6(2.9)* 직전주 월요일(1.9.) 현황 : 검사 2,780건, 확진자 914명(▼ 23.9%)(단위 : 명, %)구 분1.10.1.11.1.12.1.13.1.14.1.15.1.16.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2792,5592,0011,8311,6891,71869612,7731,824.7연령별60세↑확진자수(%)704(30.9)868(33.9)643(32.1)632(34.5)556(32.9)596(34.7)242(34.8)4,241(33.2)605.918세↓확진자수(%)255(11.2)285(11.1)238(11.9)205(11.2)201(11.9)198(11.5)87(12.5)1,469(11.5)209.9외 국 인32(1.4)36(1.4)28(1.4)19(1.0)26(1.5)24(1.4)13(1.9)178(1.4)25.4 □ 시·군별 발생(국내 1,357,213, 유입 3,97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61,187명278,906118,75472,01684,369244,62355,31347,94242,58336,127156,1528,484(+696)(+108)(+110)(+40)(+31)(+115)(+25)(+44)(+6)(+23)(+60)(+9)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43310,5516,09715,99717,36611,90815,63154,54328,66311,40221,1582,169(+15)(+8)(+2)(+17)(+13)(+7)(+7)(+16)(+11)(+1)(+28)(-)
경상북도는 지난 14~16일주말 동안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되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난 13일 도청에서 대설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가졌다. ▲ 대설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사진=경북도) 기상청에 따르면 14일부터 16일까지 경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북동산지는 10~30cm, 북부내륙에는 2~7cm의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햇다.이에 도는 안전한 차량이동을 위해 고갯길, 응달구간 등 취약구간을 중심으로 제설제를 살포 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섰다.특히, 이번 강설은 많은 습기를 머금은 습설로써 피해가 우려되는 취약구조물(울진 산불피해지역 임시조립주택 등)에 대해서도 특별 관리하기로 했다. 또 농?축산분야 시설물(비닐하우스, 축사 등)의 피해예방을 위해 사전점검 및 정비토록 하고, 고립 우려지역은 담당자 지정과 자율방재단을 활용한 신속한 제설로 도민 안전 확보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김병삼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피해 최소화을 위해서는 재난에 과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며, “습설로 인한 취약구조물 안전에 각별히 신경 써 달라. 또 16일 아침 출근길에 교통대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설?제빙에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적색을 가진 포도 신품종 ‘루비스위트’, ‘레드클라렛’을 육성하고 농가에 보급해 올해 중국, 베트남 등에 수출을 준비하고 있다. ▲ 레드클라렛 착과 모습(사진=경북도) 적색은 행운과 복을 가져다주고 열정, 성실의 뜻을 지니고 있어 중국뿐만 아니라 베트남 등 동남아에서 선호될 것으로 예상돼 적색 포도 신품종 수출을 위한 고품질 생산기술 보급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진한 적색 포도인‘루비스위트’품종은 수확기가 8월 하순으로 당도가 높고 식감이 좋으며 노지 포도가 나오지 않는 시기에 생산돼 농가에서 호응을 받고 있다. ‘레드클라렛’ 품종은 9월 중순이 수확기로 포도알이 크고 21。Brix 정도로 당도가 높으며 시원한 맛이 나며 송이 전체가 붉은색으로 착색이 잘돼 농가에서 유망 품종으로 관심도가 매우 높다. 두 품종은 수확기가 샤인머스켓 품종(9월 하순∼10월 상순) 보다 빨라 단일 품종의 특정시기 홍수출하도 막을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특히, 적색 신품종을 농가에 안정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한국포도수출연합, 상주시농업기술센터와 공동 연구해 품종 각각의 특성에 맞는 현장 재배기술도 개발했다. ‘루비스위트’ 와 ‘레드클라렛’ 품종은 과실의 색이 붉게 골고루 잘 물들어야 상등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화수정형을 4cm로 하고 과실 무게를 송이당 45~50립 정도로 알솎기 해 500 ~ 600g으로 조절하고 투명 봉지 등을 이용하면 착색도 잘되고 탄저병 등 병의 오염도 예방할 수 있다. 프리미엄급 과실 생산을 위한 무핵과실 생산을 위한 생장조절제 처리방법, 포도 송이 착색 증진할 수 있는 기술 등을 매뉴얼로 제작해 보급할 예정이다. 조영숙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수확기와 과피색, 과실의 모양 등 기존 품종인 샤인머스켓과 차별화된 국산 신품종을 보급해 단일 품종이 특정시기에 몰리지 않도록 품종을 다변화해 수출경쟁력 향상과 농가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주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어르신들의 행복한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노인일자리 사업을 확대해 전년(5만1,813개) 보다 3797개 증가한 5만5,247개의 질 높은 어르신 일자리를 창출·지원에 나선다.▲ 구미 재활용동네마당(사진=경북도)세부적으로 공공형(공익활동) 4만6632개, 사회서비스형 5016개, 시장형 2362개, 취업알선형 1624개의 유형별 어르신 일자리에 지난해 예산 1894억 원보다 147억 원이 증가한 204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당초 공익활동 축소라는 정부기조에 따라 전체 노인일자리사업의 약 84%를 차지하는 공익활동이 지난해 비해 9.5%가 줄어들면서 큰 혼란이 있었다.하지만, 타 시도와의 협력을 통해 지난해 4만4051개에서 2581개 증가한 4만6632개를 확보해 어르신들의 안정적인 소득원으로서 사업을 지속해서 유지하게 됐다.도내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22년 12월 기준 약 62만 명으로 작년에 비해 2.2만여 명이 증가했고, 또 그 속도가 점차 빨라지면서 올해는 베이비붐 세대의 노년층 진입도 본격화 된다. 이에 대비해 민간 및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확대하고, 공익활동 일자리는 돌봄·안전 등을 중심으로 전환해 공익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한편, 경북도는 어르신들의 다양한 경험과 수요욕구를 반영한 공익활동 및 사회서비스형·시장형의 유형별 노인일자리사업을 발굴해 지속해서 활성화해 나가고 있다.▲ 문경 동네점빵(사진=경북도) 특히, 지역 맞춤형으로 시작된 구미‘재활용 수집’, 문경‘동네점빵’, 청송‘은모닝 도시락’등의 시장형 사업단은 2022년 보건복지부 평가에서 우수 사업으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한국노인인력개발원, 시니어클럽 및 노인일자리창출지원센터 등과 협업을 통해 2021년부터 시행된 시니어금융업무지원단은 참여자들과 수요처의 호응이 좋아 올해 16개 시군, 610명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된다.아울러, 경주‘신라이야기 할머니’, 영주‘문화재시설봉사’, 예천‘나비세상’ 등 어르신들의 경험을 활용하는 지역 특화사업을 통해 노인일자리사업에 지역사회를 위한 돌봄과 안전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또 경북도는 농촌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도농연계 노인일자리 지원과 취업 희망 어르신들의 소양·직무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노인재취업 교육지원 등에 자체예산을 투입해 취업을 희망하는 어르신들과 인력이 필요한 민간 수요처를 적극 연계해 안정적인 어르신 일자리를 지원할 계획이다.김진현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노인일자리사업은 노년기 소득에 큰 보탬이 될 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 증가, 우울감 개선, 의료비 절감 등에서 사회적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일자리를 발굴·지원하고, 참여 어르신들의 안전과 역량 강화 등 사업 내실화를 통해 노인일자리사업이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농림축산식품부 국비사업으로 추진하는 노지스마트농업 시범사업 대상지로 의성마늘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위치도(사진=경북도) 노지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은 노동집약적?관행농법 위주의 재배방식을 주산지 중심 데이터 기반 영농으로 전환하고 스마트영농 확산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농식품부에서 시행하고 있다.전국 최초로 선정돼 지난해 완료한 안동사과 노지스마트농업 시범사업(20~22년)에 이어 의성마늘(채소분야)이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올해부터 3년간 추진하게 될 의성마늘 노지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은 국비와 지방비 등 총 245억원(국비 167, 지방비 78)의 사업비를 투입한다.의성 사곡면 일대 82ha의 생산단지에 자동 관수시설, 무인농기계, 드론 등 첨단장비를 도입하고, 노지작물 스마트화를 위해 필요한 농기계, 시설장비, 재배기술을 기업체, 연구기관 등에서 직접 시험할 수 있는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또 시범단지의 영농 관련 각종 정보를 수집?분석해 데이터기반 영농을 실현하게 하는 통합플랫폼도 설치할 예정이다. 의성은 전국 최대 한지형 마늘 주산지로서 생산량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고 있었으나, 최근 농업인의 고령화, 재배면적 감소 등 큰 위기를 맞아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돼 왔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의성마늘은 위기극복과 정밀농업?디지털 농업대전환이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까지 확보하게 됐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경북도는 이제 시설원예뿐만 아니라, 노지작물에서도 국내 스마트 농업의 선두주자가 되고 있다” 면서, “경북의 힘으로 대한민국 농업을 새롭게 혁신시키기 위해 스마트 농업 확산 체계구축, 기초기반 조성, 청년 인재육성 등 관련 시책개발과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캐나다 토론토 투자유망 기업 방문에 이어, 미국 버팔로·코네티컷을 잇달아 방문 투자유치 활동을 지속했다. ▲ 상공회의소(사진=경북도)먼저, 버팔로에서는 로봇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팜 기업, 조디(Zordi)를 방문해여 첨단 농업기술 활용현장을 둘러보고 농업대전환을 위한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이어 지난 13일 코네티컷에 본사를 둔 세계 3대 헬기 업체인 시콜스키(Sikorsky)를 찾아 대형 소방헬기 개발 및 구미 방산혁신클러스터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지난 12일에는 미국 뉴욕주 버팔로로 이동해 민선 8기 경북도의 핵심과제인 탄소중립을 위한 스마트 농업 추진을 위해, 미국의 로봇 기반 농업 스타트업인 조디(Zordi)사의 이길우 박사와 케이시 콜(Casey Call) 공동창업자를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동사와 농업기술 교류 및 투자 검토 협약을 체결했다.지난해 7월 경북도 서울본부에서 이철우 도지사와 이길우 박사는 한 차례 면담을 가진 바 있으며, 당시 이철우 도지사의 제안에 따라 조디사 관계자들이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방문했고, 이번 업무 협약으로 이어지게 됐다. 조디사는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해 스마트팜 노동력을 80% 이상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국의 스타트업이다. 또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카네기멜론 등을 졸업한 이길우 박사와 아마존, 메타, 스냅챗 등에서 일한 머신러닝 및 로봇 전문가들, 미국의 최대 규모의 식물공장 스타트업인 플렌티(Plenty), 나스닥 상장 스마트팜 기업 앱하베스트(AppHarvest), 킴벌 머스크가 설립한 컨테이너팜 기업 스퀘어 루트(Square Roots) 출신의 애그테크 전문가들이 창립했다.이미 로봇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작물 모니터링과 수확 자동화가 진행 중인 스마트팜에서 고당도 프리미엄 딸기의 생산 판매에 들어갔으며, 추후 오이, 파프리카, 토마토 등의 시설 채소로 확장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팜 전자동화를 통해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 해소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콜스키(사진=경북도)이어 13일 세계 3대 재난 구조, 군사용 헬기 전문 생산기업인 시콜스키(Sikorsky) 코네티컷 본사를 방문해 숀 코넬(Shawn Cornell) 부사장 등과 면담했다. 글로벌 방산기업의 다양한 용도의 헬기 개발 및 관련 산업의 밸류체인 구축 현황에 대한 설명을 청취하며, 다양한 기종의 헬리콥터 생산 현장 투어를 진행했다. 또 동사가 현재 개발 중인 대용량의 소방헬기 개발현황 및 북미지역의 산불 현장에 대응한 사례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으며, 경북도와 구미시가 국비사업 확보를 위해 추진 중인 방산혁신클러스터 지정 사업과 구미 지역 약 120개의 방산기업 집적현황을 소개하고 시콜스키사와의 산업협력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국방부 방위사업청과 함께 우주, 반도체, AI, 드론, 로봇의 5개 산업 분야의 효과적인 기술개발 및 적용,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한 지역 내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 이번 일정의 마지막으로 미국 내 가장 큰 규모의 뉴욕상공회의소 Mark Jaffe회장과 미국한인상공회의소 총연합회 김성진 운영위원장(2023 세계한상대회기획조정본부장)을 접견했다. 마크(Mark)회장은 변호사로서 28년째 회장을 엮임 하고 있는 미국 경제계의 터줏대감으로 뉴욕 주 정부와 경북간의 투자 및 통상교류에 있어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물로 평가 받고 있다.뉴욕 주는 Fortune 500대 기업 중 50여개 기업의 본부를 두고 있으며, 한국 GDP 2조 달러와 비슷한 규모로 단연 미국 내 최고의 경제규모를 자랑한다. 이 자리에서 이달희 경제부지사는 3만여 뉴욕 상의 기업들의 경북 도 투자를 제안했고, 도내 소재 기업과 뉴욕 상의 회원사 간의 활발한 무역 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향후, 상호간 수출입 상품, 주요 기술, 서비스 분야 등 업종 세분화를 통해 통상 사절단 교차 파견을 약속하였으며, 앞으로도 경북도와 뉴욕상의간의 투자·통상 교류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소통채널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721(+30)1,360,49115,548(-566)1,342,944(+2,285)1,999(+2) * 국내 1,718, 국외 3 * 치명률(1.14. 0시 기준) - 경북 0.15%(1,997명), 전국 0.11%(32,912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41253125확진자122661315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9.(월)1.10.(화)1.11.(수)1.12.(목)1.13.(금)1.14.(토)1.15.(일)누계(주)평균(주)검 사2,7803,1669,7197,6214,5734,4334,86937,1615,308.7확진자914(5)2,283(4)2,562(3)2,006(5)1,834(3)1,691(2)1,721(3)13,011(25)1,858.7(3.6)* 직전주 일요일(1.8.) 현황 : 검사 4,077건, 확진자 2,285명(▼ 24.7%)(단위 : 명, %)구 분1.9.1.10.1.11.1.12.1.13.1.14.1.15.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9092,2792,5592,0011,8311,6891,71812,9861,855.1연령별60세↑확진자수(%)287(31.6)704(30.9)868(33.9)643(32.1)632(34.5)556(32.9)596(34.7)4,286(33.0)612.318세↓확진자수(%)109(12.0)255(11.2)285(11.1)238(11.9)205(11.2)201(11.9)198(11.5)1,491(11.5)213.0외 국 인12(1.3)32(1.4)36(1.4)28(1.4)19(1.0)26(1.5)24(1.4)177(1.4)25.3 □ 시·군별 발생(국내 1,356,517, 유입 3,97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60,491명278,798118,64471,97684,338244,50855,28847,89842,57736,104156,0928,475(+1,721)(+333)(+168)(+1)(+106)(+94)(+312)(+60)(+52)(+58)(+37)(+1)(+229)(+1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41810,5436,09515,98017,35311,90115,62454,52728,65211,40121,1302,169(+20)(+5)(+3)(+26)(+25)(+21)(+20)(+67)(+26)(+12)(+1)(+29)(+2)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691(-143)1,358,77016,114(-713)1,340,659(+2,401)1,997(+3) * 국내 1,689, 국외 2 * 치명률(1.13. 0시 기준) - 경북 0.15%(1,994명), 전국 0.11%(32,867명) * 오신고 누계 정정 ?4명 : 구미 ?1(1.6.), 포항 ?1(1.10.), 안동 ?1(1.11.), 영주 -1(1.12.)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91792037확진자1523104052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8.(일)1.9.(월)1.10.(화)1.11.(수)1.12.(목)1.13.(금)1.14.(토)누계(주)평균(주)검 사4,0772,7803,1669,7197,6214,5734,43336,3695,195.6확진자2,285(11)914(5)2,283(4)2,562(3)2,006(5)1,834(3)1,691(2)13,575(33)1,939.3(4.7)* 직전주 토요일(1.7.) 현황 : 검사 5,241건, 확진자 2,401명(▼ 29.6%)(단위 : 명, %)구 분1.8.1.9.1.10.1.11.1.12.1.13.1.14.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2749092,2792,5592,0011,8311,68913,5421,934.6연령별60세↑확진자수(%)826(36.3)287(31.6)704(30.9)868(33.9)643(32.1)632(34.5)556(32.9)4,516(33.3)645.118세↓확진자수(%)262(11.5)109(12.0)255(11.2)285(11.1)238(11.9)205(11.2)201(11.9)1,555(11.5)222.1외 국 인41(1.8)12(1.3)32(1.4)36(1.4)28(1.4)19(1.0)26(1.5)194(1.4)27.7 □ 시·군별 발생(국내 1,354,799, 유입 3,971)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58,770명278,465118,47571,87084,244244,19655,22847,84642,51936,066155,8638,462(+1,691)(+328)(+151)(+1)(+116)(+87)(+331)(+1)(+65)(+76)(+47)(+49)(+173)(+10)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39810,5386,09215,95417,32811,88015,60454,46028,62611,38821,1012,167(+25)(+17)(+7)(+12)(+33)(+22)(+14)(+70)(+27)(+11)(+17)(+1)* 국내 ?2 → 국외 +2 : 구미 1(1.9.), 경주 1(1.10.)
경상북도는 지난 12일 서울에서 열린 「2023 재경 대구경북인 신년교례회」행사에 앞서 양재곤 재경대구경북시도민회장이 고향사랑 기부금 개인 최고 기부 한도인 500만원을 지역에 쾌척했다고 밝혔다.▲ 고향사랑기부금(사진=경북도) 올해 초 제16대 재경대구경북시도민회 회장에 취임한 양재곤 회장은 의성 출신으로 다성건설 회장과 강동구문화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고문, 고려대 교우회 상임이사 등을 맡고 있다.양재곤 회장은 전달식에서“고향을 떠난 출향인들이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애향심을 실천할 수 있고, 고향에는 재정을 든든히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거둘 수 있는 1석 3조의 기부에 동참하게 돼 너무도 기쁘다”고 말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평소 고향 발전에 대한 열정이 가득하신 양재곤 회장님의 고향사랑기부에 깊이 감사하다”면서“고향사랑기부제가 지방소멸을 막고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어 가는 중요한 제도인 만큼 출향인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바란다”고 당부했다.한편, 고향에 대한 건전한 기부문화를 조성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를 목적으로 올해 1월 1일부터 시작된 고향사랑기부제는 누구나 자신이 주소지가 아닌 시도 또는 시군에 기부할 수 있다.1인당 연간 합산 500만원 한도 내에서 기부할 수 있으며, 방법은 휴대폰 또는 PC를 통해‘고향사랑 e음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지역 가까운 NH농협은행에 신분증과 휴대폰을 지참하고 방문하면 된다.*(https://www.ilovegohyang.go.kr)기부자는 기부금액 중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10만원 초과분은 16.5%의 세금공제가 가능하다. 또 기부금의 30%에 해당하는 기부 포인트를 제공받게 되는데, 지역의 다양한 농특산물 등을 답례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1,834(-173)1,357,08316,831(-788)1,338,258(+2,619)1,994(+3) * 국내 1,831, 국외 3 * 치명률(1.12. 0시 기준) - 경북 0.15%(1,991명), 전국 0.11%(32,821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91573236확진자132494353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7.(토)1.8.(일)1.9.(월)1.10.(화)1.11.(수)1.12.(목)1.13.(금)누계(주)평균(주)검 사5,2414,0772,7803,1669,7197,6214,57337,1775,311.0확진자2,401(10)2,285(11)914(4)2,284(3)2,563(3)2,007(5)1,834(3)14,288(39)2,041.1(5.6)* 직전주 금요일(1.6.) 현황 : 검사 5,408건, 확진자 2,619명(▼ 30.0%)(단위 : 명, %)구 분1.7.1.8.1.9.1.10.1.11.1.12.1.13.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3912,2749102,2812,5602,0021,83114,2492,035.6연령별60세↑확진자수(%)835(34.9)826(36.3)287(31.5)704(30.9)868(33.9)643(32.1)632(34.5)4,795(33.7)685.018세↓확진자수(%)264(11.0)262(11.5)109(12.0)255(11.2)285(11.1)238(11.9)205(11.2)1,618(11.4)231.1외 국 인31(1.3)41(1.8)12(1.3)32(1.4)36(1.4)28(1.4)19(1.0)199(1.4)28.4 □ 시·군별 발생(국내 1,353,116, 유입 3,967)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57,083명278,138118,32371,75484,158243,86555,16447,77042,47236,017155,6908,452(+1,834)(+362)(+2)(+141)(+94)(+112)(+324)(+83)(+67)(+59)(+56)(+251)(+1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37310,5216,08515,94217,29511,85815,59054,39028,59911,37721,0842,166(+27)(+13)(+10)(+32)(+23)(+8)(+11)(+70)(+1)(+30)(+15)(+27)(+2)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