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285(-116)1,347,48120,546(-504)1,324,961(+2,787)1,974(+2) * 국내 2,274, 국외 11 * 치명률(1.7. 0시 기준) - 경북 0.15%(1,972명), 전국 0.11%(32,556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32193248확진자18392110896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월)1.3.(화)1.4.(수)1.5.(목)1.6.(금)1.7.(토)1.8.(일)누계(주)평균(주)검 사2,8172,12212,2627,9185,4085,2414,07739,8455,692.1확진자1,216(1)2,816(1)3,715(4)2,930(6)2,619(3)2,401(10)2,285(11)17,982(36)2,568.9(5.1)* 직전주 일요일(1.1.) 현황 : 검사 7,036건, 확진자 2,785명(▼ 18.3%)(단위 : 명, %)구 분1.2.1.3.1.4.1.5.1.6.1.7.1.8.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2152,8153,7112,9242,6162,3912,27417,9462,563.7연령별60세↑확진자수(%)385(31.7)836(29.7)1,223(33.0)898(30.7)896(34.3)835(34.9)826(36.3)5,899(32.9)842.718세↓확진자수(%)168(13.8)364(12.9)438(11.8)394(13.5)292(11.2)264(11.0)262(11.5)2,182(12.2)311.7외 국 인16(1.3)25(0.9)62(1.7)53(1.8)34(1.3)31(1.3)41(1.8)262(1.5)37.4 □ 시·군별 발생(국내 1,343,532, 유입 3,949)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47,481명276,159117,52771,22883,528242,11254,77647,44942,22735,735154,6348,375(+2,285)(+484)(+1)(+217)(+1)(+118)(+1)(+128)(+362)(+1)(+81)(+99)(+70)(+1)(+70)(+273)(+2)(+1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23810,4326,04415,80917,14511,79215,49454,02028,38611,29020,9172,164(+31)(+21)(+10)(+30)(+2)(+34)(+17)(+25)(+79)(+1)(+36)(+1)(+27)(+48)(-)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401(-218)1,345,19621,050(-612)1,322,174(+3,006)1,972(+7) * 국내 2,391, 국외 10 * 치명률(1.6. 0시 기준) - 경북 0.15%(1,965명), 전국 0.11%(32,496명) * 오신고 누계 정정 -3명 : 구미 ?2(1.1.), 경산 ?1(1.4.)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324125357확진자315820179135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1.(일)1.2.(월)1.3.(화)1.4.(수)1.5.(목)1.6.(금)1.7.(토)누계(주)평균(주)검 사7,0362,8172,12212,2627,9185,4085,24142,8046,115확진자2,785(0)1,216(1)2,816(1)3,715(4)2,930(6)2,619(3)2,401(10)18,482(25)2,640.3(3.6)* 직전주 토요일(12.31.) 현황 : 검사 6,546건, 확진자 3,006명(▼ 20.1%)(단위 : 명, %)구 분1.1.1.2.1.3.1.4.1.5.1.6.1.7.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7851,2152,8153,7112,9242,6162,39118,4572,636.7연령별60세↑확진자수(%)954(34.3)385(31.7)836(29.7)1,223(33.0)898(30.7)896(34.3)835(34.9)6,027(32.7)861.018세↓확진자수(%)358(12.8)168(13.8)364(12.9)438(11.8)394(13.5)292(11.2)264(11.0)2,277(12.3)325.3외 국 인28(1.0)16(1.3)25(0.9)62(1.7)53(1.8)34(1.3)31(1.3)249(1.3)35.6 □ 시·군별 발생(국내 1,341,258, 유입 3,93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45,196명275,674117,30971,10983,400241,74954,69547,35042,15635,665154,3598,361(+2,403)(+487)(+2)(+221)(+147)(+139)(+1)(+383)(+2)(+95)(+98)(+1)(+68)(+85)(+274)(+2)(+13)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20710,4116,03415,77717,11111,77515,46953,94028,34911,26320,8692,164(+42)(+21)(+18)(+37)(+46)(+8)(+1)(+23)(+91)(+31)(+1)(+27)(+36)(+1)
경상북도는 7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지역 전역에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 고농도 미세먼지 7가지 행동요령 7일 비상저감조치는 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및 내일 50㎍/㎥초과가 예상돼 발령기준을 충족함에 따른 것이다.(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7조 제1항 제2호)< 비상저감조치 발령 기준(시행규칙 제7조) >① 당일 초미세먼지(PM 2.5) 평균농도가 50㎍/㎥ 초과 + 내일 24시간 평균 50㎍/㎥ 초과 예상② 당일 주의보 또는 경보 발령 + 내일 24시간 평균 50㎍/㎥ 초과 예상③ 내일 24시간 평균 75㎍/㎥ 초과 예상(예보기준 매우 나쁨)지난 6일 비상저감조치 발령되면서 7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행정?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사업장?공사장뿐만 아니라 민간 사업장?공사장까지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하게 된다. 제철공장, 석유화학 및 정제공장, 시멘트 제조공장 등 미세먼지 다량 배출사업장에서는 조업시간 변경, 가동률 조정 또는 효율개선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또 건설공사장에서는 공사시간 변경?조정, 살수차 운영, 방진덮개 복포 등 날림먼지 억제조치를 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또 미세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사업장?공사장 등을 대상으로 지도?단속을 실시할 방침이다.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일선 현장에서 혼란이 없도록 시군과 최대한 협력해 비상저감조치 발령에 따른 도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6일 도청에서 제8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원자재 가격 급등과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기업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비상경제대책회의(사진=경북도) 이날 회의를 주재한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윤석열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복합의 위기를 수출로 돌파해야 한다. 수출은 우리 경제의 근간이고 일자리의 원천이다. 모든 외교의 중심을 경제에 놓고 수출전략을 직접 챙기겠다”고 말한 것을 강조하며 모든 부서에서 수출기업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적극 찾을 것을 주문했다.이 경제부지사는 “경북은 지난해 대내외적인 어려운 상황과 포항 지역 철강 수출 급감에도 불구하고 구미산단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고 또 올해도 전국 성장세를 상회하는 수출 성과가 기대된다는 전망은 고무적이다”며, “지금의 경기침체와 수요둔화는 중소기업이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로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도 세워줄 것”을 당부했다.특히,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단 파견 확대, ▲수출보험료 지원 강화, ▲농수산식품 신규 수출시장 개척, ▲신규 수출기업에 대한 해외시장 조사 등 맞춤형 컨설팅 지원 등을 포함한 종합대책을 관련부서가 협업해 줄 것 강하게 주문했다.이에 따라 경북도는 수출관련 부서는 물론, (재)경북경제진흥원, ㈜경북통상, 코트라, 한국무역협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과 협업해 ‘경북 통상진흥 종합대책’을 빠른 시일 내 마련해 시행에 나설 계획이다.또한, 정부의 2023년 재정 신속집행 계획에 따라 연초부터 지방재정 조기집행을 추진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계획이다.한편, 한국무역협회에서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2년 수출입 평가 및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경북의 2022년 수출은 전년 대비 6.2% 증가한 470억 달러로 8년 만의 최대치로 나타났다.이달희 경제부지사는 이날 회의 마친 후 해외 수출시장 개척과 해외 투자유치 기업 발굴 등을 위해 미국, 캐나다로 출장길에 올랐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619(-311)1,342,79821,665(-250)1,319,168(+2,864)1,965(+5) * 국내 2,616, 국외 3 * 치명률(1.5. 0시 기준) - 경북 0.15%(1,960명), 전국 0.11%(32,421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519148056확진자30822323015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31.(토)1.1.(일)1.2.(월)1.3.(화)1.4.(수)1.5.(목)1.6.(금)누계(주)평균(주)검 사6,5467,0362,8172,12212,2627,9185,40844,1096,301확진자3,006(3)2,787(0)1,216(1)2,816(1)3,716(4)2,930(6)2,619(3)19,090(18)2,727.1(2.6)* 직전주 금요일(12.30.) 현황 : 검사 5,601건, 확진자 2,864명(▼ 8.6%)(단위 : 명, %)구 분12.31.1.1.1.2.1.3.1.4.1.5.1.6.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3,0032,7871,2152,8153,7122,9242,61619,0722,724.6연령별60세↑확진자수(%)980(32.6)954(34.2)385(31.7)836(29.7)1,224(33.0)898(30.7)896(34.3)6,173(32.4)881.918세↓확진자수(%)397(13.2)358(12.8)168(13.8)364(12.9)438(11.8)394(13.5)292(11.2)2,411(12.6)344.4외 국 인27(0.9)28(1.0)16(1.3)25(0.9)62(1.7)53(1.8)34(1.3)245(1.3)35.0 □ 시·군별 발생(국내 1,338,871, 유입 3,927)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42,798명275,185117,08870,96283,260241,36654,60047,25142,08835,580154,0848,348(+2,619)(+492)(+243)(+141)(+142)(+524)(+1)(+122)(+94)(+89)(+78)(+303)(+2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16510,3906,01615,74017,06511,76615,44653,84928,31711,23620,8332,163(+44)(+12)(+8)(+31)(+1)(+39)(+14)(+12)(+88)(+1)(+40)(+30)(+41)(+5)
경상북도는 5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제8기 경북 소비자물가 모니터 위촉식」을 열고 각 시군에서 활동할 33명의 모니터요원에게 위촉장을 전달했다.▲ 제8기 소비자물가 모니터 위촉(사진=경북도) 이날 위촉식에서는 33명의 모니터 요원과 경북도 사회적경제민생과장이 참석해 신규 물가 모니터들에 대한 위촉장을 수여하고, 이어 물가 모니터들의 활동 방향과 조사 요령 등에 관한 교육을 진행했다.향후 2년간 활동할 소비자물가 모니터는 각 시군의 추천으로 위촉했으며, 월2회 지역 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을 방문해 농·축·수산물 및 개인서비스 요금 현장 모니터링과 캠페인 등 지역물가 안정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경북도는 물가모니터들이 전통시장 23개소와 대형마트 10개소에서 조사한 주요품목(전통시장 74종, 대형마트 83종)에 대한 가격정보를 홈페이지에 게재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물가 정보를 도민에게 제공할 계획이다.황인수 경북도 사회적경제민생과장은 “물가관리는 도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적인 토대로 지역 물가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사명감을 갖고 정확한 물가조사를 해 달라”며 “앞으로도 지역 물가 안정을 위한 시책 수립과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소비유도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이달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포항시, 경북경제진흥원, 지역 기업들과 함께「CES2023 경상북도관」을 운영한다. ▲ 경북도 CES2023 참관(사진=경북도)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최해 매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소비자 가전 박람회이다.*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 2200여개 미국 정보기술(IT) 업계를 대표하며 80%가 중소·벤처기업으로 구성되며 매년 1월 개최하는 CES 주최기관임전 세계 47개국 2,200여개 업체가 참가해 가전, 모바일, 모빌리티, 로봇 등 IT·가전 전 영역에 걸친 최신 제품과 미래 기술이 한자리에 모인다.올해는 전년 보다 두 배 이상 규모가 커져 관람객 10만 여명을 넘길 전망이다특히, 올해는 수백 명의 업계 리더가 참여해 인공지능(AI),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메타버스와 지속가능성 등 여러 분야의 혁신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경북도는 행사 기간 이달희 경제부지사를 대표로 도 관련 부서와 함께 방문단을 구성해 지역 참가 기업체를 격려하고,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경북을 홍보한다.또 삼성, LG, 아마존 등 국내외 유수 기업체들을 참관해 차세대 혁신기술을 배우고 미래 신성장 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이번 박람회서 운영되는 CES2023 경상북도관에는 지역 업체인 세영정 보통신, 모비프렌, 안켐 등 총 21개사가 있으며, 기업R&D지원, 제품 상용화, 스타트업 기업육성을 위한 창업보육 프로그램, 해외시장 진출 등 경북도로부터 지원받는 기업체는 13개사에 달한다.이들 업체는 VR, IoT, 스마트시티 서비스기술,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신기술을 선보여 해외시장 판로확대, 수출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글로벌 협력파트너와 연결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특히, 원소프트다임(대표 이대호)은 체지방을 장소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건강관리용 피트러스와 망고슬래브(대표 정용수)에서 개발한 헤어기기는 경쟁사 대비 열제어 시스템, 기능 등이 우수한 제품을 선보인다.이는 영국 D사에 이어 세계 2번째로 개발한 프리미엄 무선 헤어스트레이너로 CES혁신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CES 혁신상은 박람회를 주최하는 전미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세계를 선도할 혁신 기술과 제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최고의 영예’로 불린다.또 지역 기업체인 포스코그룹(POSCO홀딩스)에서도 박람회에 참가한다. 포스코그룹의 전시관 규모는 지난해 보다 2배로 넓어진데다 1조원 규모의 벤처플랫폼을 통해 지원한 벤처기업 19개사도 포스코그룹 전시관 내 개별부스를 운영하며 기업설명회도 진행할 예정이다이중 그래핀스퀘어는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는데, CES2023 참여한 2200여개 기업 가운데 17개사만 받은 상이다. 그래핀스퀘어는 포항 체인지업 그라운드 입주기업 중 하나로 투명조리기구 ‘그래핀 키친스타일러’를 개발해 호평을 받았고, 지난해 본사를 경북 포항으로 이전해 파일럿 공장을 준공했다.또 포스코와 참여한 기업 중 에이아이포펫, 에이치엠이스퀘어, 루트 기업체도 혁신상을 수상했으며, 이외 도내 기업체중 와따, 클로버스튜디오, 올링크도 혁신상을 수상했다. 원소프트다임 포함 이들 기업체는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운영하는 G-Star Dreamers 출신으로 경북도에서 지속해서 지원하는 기업체이다.한편, 포스텍에서도 재학생 181명이 CES를 참관하고, 현지에서 포럼 참석, 포스텍 출신 기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통해 창업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포스텍은 2020학번 전원에게 특별 참관기회를 제공해 항공편, 숙소, 체류비 등 모든 비용을 전액 지원하며, 2021학번부터는 한 학기 동안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만들어 배낭여행을 하거나 창업을 준비하면서 비대면으로 수업할 수 있는 오픈 캠퍼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인재양성에 온 힘을 쏟고 있다.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도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전자제품박람회인 CES에 올해로 벌써 3번째 참가하게 됐다. 도와 함께 CES에 참가한 기업체들은 美현지 뿐만 아니라 행사 후에도 수십억원에 달하는 계약 성과를 이뤘다”면서 “경북에는 세계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혁신기술을 보유한 기업체들이 많이 있다. 도는 기업체들의 핵심기술 개발, 신기술 기반의 창업 지원 등 아낌없이 지원해 대한민국에서 최고로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이달희 경제부지사 방문단은 이달 8일까지 CES2023경상북도관 참관후 애플 美본사를 방문해 애플 제조업R&D지원센터 및 개발자 아카데미 운영 등 상생협력사업 확대와 후속 발전 사업을 논의한다.이후, 캐나다 토론토, 미국 버팔로 및 뉴욕을 잇달아 방문해 도내 주력 산업 투자유치활동 등 숨 가쁜 일정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영양고추연구소)는 자체 복원한 4품종의 재래종 고추 종자를 고추 재배농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달 9일부터 14일까지 선착순으로 공개 분양 신청을 받는다.▲ 영고4호(사진=경북도) 영양고추연구소에서 복원한 재래종 고추는 지역 기후풍토와 품질에 따라 선발해 토착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아 지역특화 재래종의 우수함을 알리고 보존하고자 올해도 많은 농가에 분양할 계획이다.최근 맛이나 색깔 등 품질특성이 우수한 재래종 고추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영양고추연구소는 지난 5년간 재래종 고추 종자를 전국 4194농가(총 81.7ha)에 분양했다.이번에 분양하는 재래종 고추 4품종은 매운맛과 단맛이 잘 조화된 수비초(영고4호), 순한맛으로 과피가 두껍고 색깔이 좋은 칠성초(영고5호), 매운맛이 강하고 수확시기가 빠른 유월초(영고10호), 토종(영고11호) 등이다. 분양 신청은 선착순으로 인터넷접수(1200명)와 방문접수(250명)로 가능하며, 판매금지 등 분양계약 준수를 전제로 1인당 총 200립(수비초 ·칠성초·유월초·토종 각 50립씩)의 종자를 분양받을 수 있다. 인터넷 접수 방법은 경북농업기술원 홈페이지(gba.go.kr) 왼쪽 상단 열린광장-공고/고시에 ‘재래종 고추 종자분양 신청’글에 접수 신청 가능한 링크를 통해 가능하다.신청을 위해선 ‘구글 아이디(ID)’가 필요하며 1개의 아이디 당 1회 신청가능하며, 이달 16일부터 신청주소로 등기 우편 발송할 예정이다.장길수 경북도 영양고추연구소장은 “재래종 고추는 재배적지가 한정적이고 병에 약하다는 한계가 있으나 맛과 품질이 우수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품종이다”며 “앞으로 지역특화 재래종 고추 재배 및 병해충 방제기술, 가공품 개발 연구 수행을 통해 수량 및 품질을 더욱 개선해 재래종 고추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지난해 의료정보제공 및 응급처치 상담실적을 분석한 결과 연간 12만 800여건, 하루 평균 331건으로 서울, 경기 북부, 부산에 이어 전국 네 번째 상담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구급상황관리(사진=경북도) 상담내용으로는 병?의원?약국 등 의료정보제공 41.2%, 응급처치 상담 33.7%, 질병상담 10.9%, 이송병원 선정 4.1%, 기타상담이 10.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전국 상위 실적을 기록한 것은 응급의학 전문의가 직접 구급대원에게 응급처치 의료지도를 시행하고 영상소프트폰을 활용해 사고 상황을 실시간 영상을 보면서 정확한 처치법을 안내하는 등 “경북소방의 한발 앞선 응급의료상담이 도민에게 굳건한 믿음을 주어 119를 자주 찾는 이유”라고 소방관계자는 밝혔다.지난해 말에는 응급의료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점검하고 문제점 개선을 통해 코로나19 감염환자의 적극적인 병원수용으로 환자와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고충을 한결 덜어주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이영팔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올해도 응급의료기관과의 협력 네크워크 구축 및 상담 서비스 교육 고도화를 통해 응급의료상담 체계를 더욱 강화 하겠다”며 “병?의원?약국 등 의료정보 문의뿐만 아니라 위급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체 없는 119 신고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930(-786)1,340,17921,915(-277)1,316,304(+3,207)1,960(-) * 국내 2,924, 국외 6 * 치명률(1.4. 0시 기준) - 경북 0.15%(1,960명), 전국 0.11%(32,355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2020214065확진자593446190158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30.(금)12.31.(토)1.1.(일)1.2.(월)1.3.(화)1.4.(수)1.5.(목)누계(주)평균(주)검 사5,6016,5467,0362,8172,12212,2627,91844,3026,329확진자2,864(1)3,006(3)2,787(0)1,216(1)2,816(1)3,716(4)2,930(6)19,335(16)2,762.1(2.3)* 직전주 목요일(12.29.) 현황 : 검사 8,015건, 확진자 3,207명(▼ 8.6%)(단위 : 명, %)구 분12.30.12.31.1.1.1.2.1.3.1.4.1.5.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8633,0032,7871,2152,8153,7122,92419,3192,759.9연령별60세↑확진자수(%)874(30.5)980(32.6)954(34.2)385(31.7)836(29.7)1,224(33.0)898(30.7)6,151(31.8)878.718세↓확진자수(%)413(14.4)397(13.2)358(12.8)168(13.8)364(12.9)438(11.8)394(13.5)2,532(13.1)361.7외 국 인39(1.4)27(0.9)28(1.0)16(1.3)25(0.9)62(1.7)53(1.8)250(1.3)35.7 □ 시·군별 발생(국내 1,336,255, 유입 3,924)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40,179명274,693116,84570,82183,118240,84154,47847,15741,99935,502153,7818,324(+2,930)(+532)(+1)(+295)(+1)(+172)(+176)(+597)(+100)(+1)(+96)(+104)(+84)(+301)(+2)(+16)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12110,3786,00815,70817,02611,75215,43453,76028,27711,20620,7922,158(+63)(+25)(+12)(+38)(+45)(+15)(+25)(+111)(+1)(+62)(+18)(+36)(+1)
경상북도는 4일 오후 구미 금오산호텔에서 경북도 수출기업 및 유관기관 단체장 등 1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수출기업협회장 이·취임식’과 함께 경북도 수출증대를 도모하기 위한 ‘수출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경상북도수출기업협회장 이취임식 및 전략세미나(감사패 수여)(사진=경북도)이날 이·취임식에서 배영일 전 회장(현우정밀 대표이사, 경산)은 그간 함께해 준 회장단 및 임원들과 항상 응원해주신 회원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또 신임 이정곤 회장(그린텍 대표이사, 의성)은 “전임 회장이 100여개를 960개사로 확장한 회원사들의 내실을 강화함과 동시에 사무국 기능을 보강해 수출중소기업지원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경상북도수출기업협회장 이취임식 및 전략세미나(회장 임명장)(사진=경북도)한편, 경북도와 경북수출기업협회는 그간 수출기업 3000여개 사를 대상으로 유관기관과 협력해 중소기업 수출 종합정보를 제공했고, 향후 회원사를 1200개사로 확대해 명실상부한 지역 최대 수출기업협회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 이를 바탕으로 기업성장 단계별 종합수출컨설팅 지원체계를 새롭게 기획하여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촉진하고 수출초보기업의 역량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도내 수출지원 기관과 협력해 지역별, 품목별 순회 컨설팅도 실시하고 국내·외 통상전문가 및 수출우수기업 임직원을 활용한 개별기업 컨설팅도 진행할 예정이다.▲ 경상북도수출기업협회장 이취임식 및 전략세미나(사진=경북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KOTRA 등 수출지원 유관기관과 협력해 K-스튜디오사업을 통한 디지털 수출역량 업그레이드, 수출지원정책 합동설명회 개최, 수출기업 애로사항 공유 등 다양한 협력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코로나19로 만남이 어려웠던 월례회도 정기적으로 개최해 주요 안건들을 상시 점검하고 수출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세미나와 설명회 자리도 지속해서 마련할 예정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중소기업의 수출증진과 새로운 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올해는 지난해보다 20억원이 증가된 142억원의 수출마케팅 예산을 확보해 기업하기 좋은 경북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고, 기업성장과 수출증대를 통한 일자리 혁명을 도모하기 위해 기업들과의 아름다운 동행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4일 국회를 찾아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내년도 국비확보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올해 국비확보에 큰 힘을 보태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김영식ㆍ김병욱ㆍ정희용 국회의원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국비확보 유공 감사패 전달(사진=경북도) 이를 위해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국회를 방문했다. 또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국회의원회관에 있는 지역 국회의원실을 방문해 내년 국비확보 계획과 현안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기재부와 중앙부처 설득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한편, 23년도 국비확보를 위해 김영식 의원은 경북도 국비캠프를 자신의 사무실에 설치하고, 도와 시군의 국비확보 활동을 적극 지원했다. 특히, 도의 핵심시책인 메타버스 관련사업의 국비 반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 한류메타버스 전당(2억), 메타버스데이터센터 구축(5억), 메타버스 콘텐츠 연구(거점)기관 설립(5억원) 등 『메타버스의 수도 경북』을 실현하기 위한 디딤돌 예산을 확보하는데 핵심 역할을 했다.김병욱 의원은 힌남노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은 포항의 피해 복구 및 재해 예방을 위해 지역이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는데 앞장섰다.또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는 포항의 철강기업에 대한 특별경영안정자금 1126억원, 통합관제센터 구축?물류 플랫폼 구축?차수벽 등 기반시설 강화사업 100억원, 산단 빗물 펌프장 설계비 5억원 등 1231억원의 산업위기선제대응 관련예산도 신규 반영시켰다.정희용 의원은 경북 유일의 예결위 계수조정소위 위원으로 활동하며 지역의 현안사업 예산이 국회를 통해 증액(신규반영) 될 수 있도록 컨트롤 타워 역할을 했다. 특히, 첨단 농기계 실증 랩 팩토리 조성(24억원), 국립참외연구소 건립 타당성조사(2억원), 낙동강 문화권 에코뮤지엄 조성(3억원), 심해과학연구센터 건립(4억원) 등의 신규 사업 국비확보와 도담~영천중앙선 복선전철 2572억원(국회 증액 234억), 김천~거제 남부내륙철도 1786억원(국회증액 100억) 등 대형 SOC 사업이 국회를 통해 증액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그 결과, 경북도는 국회 심의과정을 통해 2481억원을 증액시키며 10조 9514억원이라는 역대 최대 국비를 확보할 수 있었다.향후, 경북도는 내년도 국비확보를 위해 기관간 협조체계 구축, 지역 국회의원과의 공조 등 예산 순기에 따른 단계별?사업별?실국별 대응전략을 수립해 지방시대를 이끌어나갈 국비확보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지역 국회의원 등 정치권과 시군 모두가 한뜻으로 협력해 국비 11조원 확보 목표를 달성했다. 도움을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면서, “내년도 국비확보를 위해 지역 국회의원, 시군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 농식품 수출액이 8억 2472만불 (약1조656억원)로 전년 동기 6억 3777만불 대비 29.3%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환율 : 한국은행(‘22년평균1292.16원/US$)▲ 수출용 사과 동남아 홍보(사진=경북도) 품목별로는 신선농산물이 복숭아 52.6%, 사과 41.1%, 딸기 17.2%, 팽이버섯 4.7% 증가했고, 가공식품은 곡류 66.8%, 붉은대게살 31.4%, 음료류 8.8%, 주류 0.6% 등이 증가했다.국가별로는 코로나19 상황의 완화에 따라 동남아시아로 수출이 다시 활기를 띠면서 태국 107.9%, 베트남 50.7%, 대만 40.4%, 홍콩 32.9% 증가하였으며 일본과의 교류확대로 인해 14.4% 증가했다. 경북도는 베트남 등 5개국에 해외상설매장을 운영하고, 해외식품박람회 참가지원과 더불어 적극적인 해외 홍보전략을 펼치며 동남아 등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해 시장 다변화를 통해 이번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또 해외에서 인기 품종인 샤인머스캣(포도)과 알타킹(딸기)의 수출확대를 위한 판촉활동을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행정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도 평가했다.특히, 해외수출시장 다변화를 꾀하는 동안 동남아시아 수출액은 2012년말 2900만불선이었으나, 지난해는 1억2900만불을 달성하며 약 네배가 넘게 성장했다. 또 태국시장은 지난해 보다 107.9% 증가한 3900만불 증가했고, 베트남시장은 50.7% 증가한 5200만불을 기록했다.아울러, 샤인머스캣은 중국산과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경북의 생산물량 중 일부를 저온 저장해 춘절부터 수출하는 등 수출시점 차별화 방식으로 위험을 분산시키고 있다.딸기는 수출에 적합한 품종인 알타킹을 생산하는 수출단지가 김천에 지정됐으며, 효자 품목으로 육성하기 위해 집중적인 수출지원을 한 결과 수출액이 21년 대비 약 17.2% 증가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농식품 수출이 역대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또한 번 기염을 토했다”며, “농식품 수출은 국내수급안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새로운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강력한 지원 정책을 추진해 농가소득을 향상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올해 메타버스 분야 예산이 지난해 추경예산 41억원 대비 20%(+8억 원) 증가한 도비 49억원과 국비 172억원을 확보해 총221억 원 규모라고 밝혔다.▲ 2022년 숫자로 알아보는 메타버스 1년의 기록(사진=경북도) 특히, 메타버스 관련 총사업비 5200억원 규모에 국비 예산 172억 원이 정부 예산에 반영, 메타버스 수도 경북 조성을 위한 사업의 추동력을 확보했다. 우선 인문과 디지털의 융합, 메타버스 관련 사업에 172억원의 국비 가 반영됐다. 도는 지난해 메타버스정책관을 신설하고, 국비 공모사업에 발 빠른 대응을 통해 10개 사업에 국비 482억원, 총사업비는 770억원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들의 열성적인 노력을 통해 올해 정부 예산에 한류메타버스 전당조성사업, 한류메타버스 데이터센터 건립, 메타버스 콘텐츠 연구(거점)기관 설립 등 7개 사업에 총사업비 5200원 규모에 국비 172억원을 반영했다.이를 통해 경북도는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메타버스 수도 경북으로 도약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 경북이 중심이 되는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어갈 원동력을 확보했다.이번 2023년 본예산은 신설되는 메타버스과학국의 원년을 맞아 ▷도민이 체감하는 메타버스 ▷기업이 주도하는 메타버스(14억원) ▷글로벌 메타버스 거버넌스 구축 사업에 도비 49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먼저, 도민이 체감하는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 사업에 13억원을 투입한다.메타버스 수도 경북을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 발굴ㆍ확산을 위한 대표플랫폼 고도화와 체험존 운영을 통해 메타버스 이용자들의 경험 가치를 경험 경제로 확산해 나간다.우선, 경북 메타버스 대표플랫폼인 메타포트(MetaPort) 고도화 사업에 10억원을 투입한다. 지난해는 플랫폼의 기본기능 개발, 경북 신공항 콘셉트의 메인 공간 마련, 공항 면세점 입점을 위한 홍보 공간, 판매 제품 관리 및 콘텐츠 관리 기능을 완료해 Web + App 방식의 메타버스 하이브리드 플랫폼 구축 1단계 사업을 마무리 했다. 올해 2단계 사업은 경북도 정책홍보 및 메타버스 도민증 발급ㆍ서비스 제공, 기업 홍보를 위한 컨벤션 홀, 관광지 소개 및 맞춤형 AI 관광 코스 추천 및 가상투어 서비스를 제공해 사용자 중심 콘텐츠를 다양화해 나간다.또 3차원 메타버스 면세점 공간 구축과 시군 메타버스 특화콘텐츠 및 과기부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계를 통해 플랫폼 규모의 경제로 확장해 메타인구 가상도민 1000만명 시대를 만들어 간다.다음은 경북 메타버스 XR체험존 콘텐츠 고도화 3억 원을 투입한다. 도는 지난해 말 지자체 최초로 LED영상과 XR디바이스를 활용 메타버스에 대한 개념과 메타버스로 구현 가능한 미래를 경험하고 도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메타버스 XR체험존을 개관했다. 올해는 XR체험센터의 활성화를 위해 연령별, 운영시간, 메타버스 적용 분야별 다양한 세부 콘텐츠를 추가로 개발, NFT특별 전시회 개최 등을 통해 도민과 함께하는 메타버스 수도 경북의 이미지를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또 기업이 주도하고 행정에서 지원하는 메타버스 사업에 14억원을 투입한다.메타버스 등 신산업의 특성을 반영 민간 기업이 활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기업지원과 인력양성을 통해 메타버스 비즈니스 생태계를 만들어 갈 예정이다.먼저, 메타경북 얼라이언스 프로젝트그룹 운영에 7억원을 투입한다. 도는 지난해부터 6억원을 투입해 도내 자체 메타버스 융합 기술개발 역량강화 및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메타경북 얼라이언스 기업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핵심 기술과 선제적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6개 분야 7개 프로젝트 그룹(5개 시ㆍ군, 9개 기업 및 기관)이 선정돼 지역의 다양한 특화콘텐츠를 메타버스로 구현하고 있다.이 사업에 참여한 메타버스 관련 기업인 디캐릭, 세븐포인트원, 브이알크루, 신라시스템, 심스리얼리티, 나라지식정보 등 6개 기업은 올해 상반기 중으로 경북으로 이전을 할 예정이다.도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선제적인 기업지원을 위해 사업비 7억원을 확대ㆍ투입해 도내 메타버스 관련기업과 수도권 기업의 협업으로 메타버스 분야에 다양한 콘텐츠 IP(지식재산)를 확보해 메타버스 비즈니스 생태계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또 인재양성 취업연계 메타버스 아카데미 사업에 7억원을 투입한다. 인재양성 취업연계 메타버스 아카데미 사업에 지난해보다 1억원 증가한 7억원을 투입해 기업의 메타버스 전문 인력 부족과 대학생들의 취업난을 동시에 해결한다.도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 및 기술 등에 대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도내 권역별 대학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디바이스, 게임엔진, 실감콘텐츠에 대한 교육을 추진 중에 있으며, 포항공대, 금오공대는 교육 목표인원인 20명을 초과하여 운영 중에 있다.도는 2022년 참여대학 현장 간담회와 성과평가를 통해 사업의 수요자인 대학생과 기업의 현장의견이 반영된 사업계획 수립을 통해 올해는 지속가능한 경북형 인재양성-취업연계 메타버스 아카데미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이어 글로벌 메타버스 거버넌스 구축 사업 등에 10억원을 투입한다.도가 메타버스를 통해 지방시대를 주도하고 세계 대표 메타버스 선도 지역으로 발전하기 위해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 메타버스 거버넌스 구축에 집중 투자한다. 지난해 10월 경북도와 미국 뉴포트비치시 국제 메타버스 영화제 추진 업무협약 체결 후속으로 국제 메타버스 NFT 필름 & 아트 페스티벌을 2023년 상반기 중에 개최한다.도는 정부 디지털 미디어ㆍ콘텐츠 산업혁신 및 글로벌 전략에 맞춰 뉴포트비치시와 협업을 통해 메타버스 미디어 선도모델을 구축ㆍ확산으로 세계 메타버스 미디어 시장 선점한다는 구상이다. 또 도는 국제적인 메타버스 컨퍼런스 및 포럼 개최를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최신 국제 동향을 공유, 협력방안 모색, 국내외 기업 간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통해 명실상부한 국제적인 메타버스 수도 경북으로 거듭 날 계획이다. 끝으로, 메타버스 수도 경북의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연구용역 4.5억원을 투입한다.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의 핵심과제 구체화 및 메타버스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연구용역비 9.5억원(도비 4.5, 시비 5)을 투입한다. 도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핵심과제인 ▷글로벌 메타버스 혁신특구 조성사업 ▷한류메타버스 전당 조성 기본계획 수립 ▷메타버스 디지털미디어 혁신거점 구축 ▷메타버스 융합 스타트업 밸리 조성 ▷메타버스 전문인력 양성 거점 구축 등 5개 사업 구체화를 위해 해당 시군과 협업을 통해 연구용역을 추진한다.도는 1차적으로 지난해 메타 빅 워킹그룹 운영을 통해 과제별 얼개를 잡았으며, 본격적인 연구용역을 통해 올해 국비 공모사업과 내년 정부예산 반영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한정된 예산을 어디에, 어떻게 투입 할 지는 중요한 정책적 결단이다. 도는 지난해 메타버스 신산업에 전략적 투자를 하기로 정책적 결단을 한했다”며 “도비로 마중물 사업을 발굴하고, 국비확보를 통해 사업을 확장해 국제적인 메타버스 수도 경북을 만들어 가겠다”라며 메타버스를 통한 지방행정의 대전환의 정책적 의지를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숫자로 알아보는 1년의 기록을 통해 지난 한해를 돌아봤다. 메타버스 수도 경북 브랜드 선점을 위해 대내외 행사 9회, 세미나 및 포럼 8회, 홍보콘텐츠 7건을 제작해 주요 언론사 기획광고를 19회 실시했다.과기부 메타버스 플랫폼 공모사업 등 10개 사업에 국비 482원을 확보, 메타 빅 프로젝트 워킹그룹 전략회의 16회를 통해 3개 과제에 대한 기획보고서 도출, 메타버스 연구용역 5건을 통해 메타버스정책관실이 메타버스과학국으로 연착륙 할 수 있는 디딤돌도 마련했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6%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3,716(+900)1,337,24922,192(-169)1,313,097(+3,882)1,960(+3) * 국내 3,712, 국외 4 * 치명률(1.3. 0시 기준) - 경북 0.15%(1,957명), 전국 0.11%(32,301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2829237289확진자1794950462326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29.(목)12.30.(금)12.31.(토)1.1.(일)1.2.(월)1.3.(화)1.4.(수)누계(주)평균(주)검 사8,0155,6016,5467,0362,8172,12212,26244,3996,343확진자3,207(2)2,864(1)3,006(3)2,787(0)1,216(1)2,816(1)3,716(4)19,612(12)2,801.7(1.7)* 직전주 수요일(12.28.) 현황 : 검사 13,038건, 확진자 3,882명(▼ 4.3%)(단위 : 명, %)구 분12.29.12.30.12.31.1.1.1.2.1.3.1.4.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3,2052,8633,0032,7871,2152,8153,71219,6002,800.0연령별60세↑확진자수(%)949(29.6)874(30.5)980(32.6)954(34.2)385(31.7)836(29.7)1,224(33.0)6,202(31.6)886.018세↓확진자수(%)469(14.6)413(14.4)397(13.2)358(12.8)168(13.8)364(12.9)438(11.8)2,607(13.3)372.4외 국 인39(1.2)39(1.4)27(0.9)28(1.0)16(1.3)25(0.9)62(1.7)236(1.2)33.7 □ 시·군별 발생(국내 1,333,331, 유입 3,91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337,249명274,160116,54970,64982,942240,24454,37747,06141,89535,418153,4788,308(+3,716)(+754)(+2)(+409)(+145)(+211)(+667)(+131)(+2)(+127)(+120)(+130)(+406)(+14)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20,05810,3535,99615,67016,98111,73715,40953,64828,21511,18820,7562,157(+63)(+50)(+17)(+54)(+44)(+25)(+39)(+119)(+51)(+52)(+79)(+5)
경북농업기술원 풍기인삼연구소는 3일 새해를 맞아 지역소상공인과 함께하는 새해맞이 직원 단합행사를 개최했다. ▲ 풍기인삼연구소 새해맞이 단합행사(사진=경북도) 먼저, 이날 풍기인삼연구소 직원 20여 명은 풍기읍 금계리‘개삼터’에서 우리나라 인삼재배 시조인 주세붕 선생의 영정을 참배하고 주변 정화 작업을 실시했다. 풍기읍 금계리의 ‘개삼터’는 주세붕 선생이 1541년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인삼 공납으로 인한 어려움을 아시고 소백산의 산삼씨를 채취해 재배를 실시한 우리나라 최초의 재배지이다. 이어 직원들은 최근 코로나-19와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침체된 지역 인삼산업의 소비시장 활성화를 위해 청년농업경영인이 운영하는 인삼 관련 가공품 만들기 ‘원데이클래스’에 참여해 인삼의 다양한 가공활용법과 소비촉진에 대해 논의했다. 허민순 풍기인삼연구소장은 “새해를 맞아 지역인삼산업 활성화에 대해 고민하고자 자리를 마련했다”며 “지역특화작목연구소로서 연구소직원 및 지역의 유관기관들과 협업해 인삼산업 발전에 밑거름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