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 시인/수필가 김병연든 사람은 많지만 된 사람은 적고 돈은 많아졌지만 기쁨은 줄어들고 역지사지는 없고 아전인수만 있고 이기심만 가득하네 남이 잘되면 축하는 없고 시기심만 가득하고 배고픔은 해결했지만 배 아픔은 아직도… - 시인/수필가 김병연 -
추운 산에도 따뜻한 새 가슴이 살구요.외딴 집에는 사람이 외롭게 살아요.까만 초가집 마당 안에 별이 뜨는 그집에서맨날 보는 그사람이 그사람을 보면서 살아요.-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창 밖에 임은나를 부릅니다.까만 옷을 입은 임이나를 부릅니다. 멀리서 왔는지,가까운데서 왔는지소리 소문없이 와님은 나를 부릅니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박꽃은 밤마다 분당질 하더니만남몰래 풀숲에 애기 호박 숨겨놓고이밤도 요정질에 새끼박은 굵어간다.보름달덩이처럼 허연 속살이 드러날때면그제서야 할미도 알고 거두어 줍니다.보릿짚 따뱅이 틀어 편안하게 앉혀줍니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 시인/수필가 김병연 잘되고 싶으면검소하고겸손하며비교하지 말고시기하지 말며욕심을 버리고꼬옥 마음을 잘 써라- 시인/수필가 김병연 -
깊은 골짝 실개천 얼음은무명필 풀어놓은 듯물 따라 휘감아 오르고산에는 속세살 울고쪽빛 하늘 채알 밑에산새들 문상 와요.-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채알 : 차일(遮日)의 방언으로 주로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치는 장막이라고 국어 사전에 설명하고 있네요.※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칠팔월 해 다진 마당위에고추잠자리 떼지어할 일 없이 떠돌고날더러 삼밭에 애기 호박 따다가국수 밀어 저녁하라는데담 밖에 아버지 꼴짐이태산처럼 들어옵니다.기워입은 삼베 적삼풀 물에, 땀에 젖고꼴짐속에 노란 산나리도뜨문뜨문 꽂혀 옵니다.소도 먹지 않는 것을어쩌다가 덤으로 따라 옵니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토담위에 박꽃이 허드러지게 피는 밤산 밑이 나의 집이라광솔로 불 밝혀놓고나물죽 버지기로 퍼다가박쪽박 띄워 마당에 내고아이도 한그릇 어른도 한그릇도란도란 둘러앉아고두박 살찌는 소리에밤은 깊어간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덤 벼락에 푸른 담쟁이도어느새 빨간 커턴 주름 들어내리고벼랑끝에 오금저린 삵정이 옆순에도노란 윗저고리 훨훨 벗어내린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저 멀리 높은 산 가물가물 하늘 끝 자락밑에어림잡아, 아마 내 고향일듯 싶다아이가 울고 매미가 울고감나무사이 언듯언듯쓰레트 지붕밑에 백발 노인네만 무릎세우고집을 볼것이고텃밭엔 남정네들 소 몰고 콩밭 두부꼴 끌고아낙은 참광주리 머리에 이고 밭머리에 들겠지.-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아침부터 눈발이 날리더니아미산 촛대 바위 볼따기에 분 발랐구나.누구에게 선 보일까, 저 고고한 자태를...한마리 새도 지 집에 들고.청솔 가지새 바람소리만산 넘어 올 뿐이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깊은 골짝 긴 겨울 잠에서봄이 깹니다.언 샛강이 녹아 흐르고버들강아지 눈 터고 개가 짓는 작은 마을그 안에 나의 집도 있습니다.뒤안이 산이고, 뒷산이 뒤안이니청솔가지 팔 벌려 마당에 그늘 덮고마루엔 산꽃이 자주 꽂혀 있는 집..-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동지섣달 검게 언 솔밭 바람소리집 옆밭 마른 수숫대 서걱이다가섬뜰 넘어 마루위에 문풍지 긁고 가지... 까만 등잔불 간들간들 꺼질까 바라보는눈 맑은 소녀가 있었기에...-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누렇게 익은벼 냄새도 슬프고코스모스 바람에 휘청거리는허리도 그렇고뒤짚어지는 감잎속에붉은 감도 슬프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늦가을 골짝밭에 그리움 안고 찾아왔건만쑥대밭은 내 쉰- 머리같고감나무, 꼼나무없는 자리에 하늘만 넓어그리움 지워지는 듯 하고건너 지오댁 밭둑에 감나무만그 자리에 그빛이지붕위에 고치널던 옛친구 보듯하네.- 오태식 고모님 遺作 中 -※ 추신 : 편집인의 고모님인 오태식(1947~2015, 해주)은 삼국유사면 학암리(신비의 소나무 동네)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경산시 하양읍에 사는 경주 김씨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다.비록 가난한 살림에 삶은 고단하였으나 감성이 풍부하고 늘 소녀같은 여린 심성으로 고향을 그리는 시를 읊조리기를 좋아하셨다. 그 많은 글 중에 남아있는 79편을 사촌(아들)의 동의를 구해 군위넷에 소개하고자 한다.
[대구·경북 보도자료] 군위댐·일연공원 일원, 명품 관광지로 재탄생!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8.11.~ 8.17.)
[뉴스] 군위군 부계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따뜻한 나눔으로 시원한 여름나기 지원
[뉴스] 새마을후원회 군위읍 관내 경로당 청소
[뉴스] 군위군 소보면지사협, 말복에 담은 온정 한 꾸러미
[뉴스] 의흥면, 나라를 지킨 영웅을 포함한 어르신들께 폭염키트 전달
[뉴스] 팔공요양병원, 산성면 경로당에 시원한 여름 선물 전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