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불안감을 호소하는 청년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경북에서 꿈을 이루고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21년 경상북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한다고 밝혔다.청년의 삶을 지원하는 종합 패키지라고 할 수 있는 시행계획은‘청년이 머무는 행복한 경북’을 목표로 청년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에 사업수로는 광역자치단체 중 최다인 148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국비 포함 총 2,658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분야별로 보면 △청년 일자리 분야 76개 사업 △주거 분야 5개 사업△교육 분야 26개 사업△복지문화 분야 21개 사업, △참여권리 분야 20개 사업 등이다.‘청년 일자리 분야’에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취업 절벽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일자리 등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통해 청년일자리 4천여 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을 위해 예비창업-초기창업패키지-청년CEO심화육성-재도약 지원으로 연계되는 청년창업 원스톱 지원체제 구축과 함께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알찬 사업들을 통해 1천 800여명의 창업도 지원할 예정이다.‘주거 분야’주요 사업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신혼부부 950세대의 전세 임차보증금 이자를 2년간 지원하며,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의 월세도 일부 지원한다. 또한, 유입 청년을 위한 농촌 보금자리, 청년행복주택 등 공동임대 주택 보급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교육 분야’에서는 청년의 교육비 부담완화를 위해 대학생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1,500명)과 지자체-대학간 협업을 통한 지역혁신 인재양성 사업, 청년발전소 등이 운영된다. 특히 청년발전소는 청년들의 선호도를 반영한 웹툰, 콘텐츠 교육 지원과 코로나 블루 완화 등 청년의 심리적 안정과 청년주도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복지문화 분야’의 주요 사업으로는 청년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보호종료 청년 420명의 자립 지원, 청년 한부모 자녀양육비 지원 등 청소년 한부모, 결혼 이민여성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또한, 청년 근로자 1,260명에게 문화 건강증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1백만 원의 포인트도 지급한다.‘참여권리 분야’에는 청년 주도형 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도에서 운영하는 각종 위원회의 청년위원 참여 확대, 지역 공간 재생과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정착을 지원하는 청년자립마을 만들기 사업, 청년 공동체 활동비 지원 등 다양한 청년활동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도에서는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道 17개 실국과 연구기관 및 청년정책참여단 등으로 구성된 청년정책추진단(TF)을 구성하여 도 시행계획에 포함된 148개 사업 추진과 270여개의 정부 과제에 대한 공모 참여, 국비 확보 및 연계 사업 발굴 등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청년들이 어깨를 활짝 펴고 활기차게 도전할 수 있는 경북이 돼야 우리 모두의 미래가 열린다”며, “청년 눈높이에 맞는 정책 발굴과 시행에 역량을 집중하고 청년이 머물고 행복한 경북을 만드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떫은감 육성 신품종인 ‘상감둥시’ 등 4품종의 통상실시권을 경북도내 3개 업체에 이전하였다. ▲ 상감둥시통상실시권을 이전하게 되면 품종보호권자(경상북도)로부터 종묘업체나 농업인단체가 육성 신품종의 종묘를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어 신품종의 농가 보급을 확대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이번에 통상실시권이 이전되는 ‘상감둥시’ 품종은 연시 및 반건시용으로 품질이 우수한 320g 정도의 대과이며, ‘수홍’품종은 과중이 290g 정도로 과형이 원형으로 곶감 제조에 편리하다. ▲ 미려또한, 관상용 ‘미려’는 소과이나 과피가 아주 매끈하고 광택이 있어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고, 수분수 ‘사랑시’는 암꽃과 수꽃 착화 비율이 15:85이고, 개화기간도 길어 곶감용 떫은감의 수분수로 이용 가능하며 총 판매예정수량은 17,800주이다.최근 감 신품종은 주당 10,000원정도이지만 경상북도 떫은감 품종 협정 가격을 주당 8,760원 이내로 제한하여 떫은감 재배 농가의 비용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감둥시’는 풍진농원과 대진농원에서, ‘수홍’ 및 ‘사랑시’는 풍진농원, ‘미려’는 풍진농원과 상주나무시장에서 묘목을 구입할 수 있으며, 통상실시권 이전을 원하는 종묘업체가 있을 경우 추가적인 통상실시도 가능하다.신용습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떫은감 육성 신품종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 품종의 인지도를 높이고, 보급 및 확대를 위하여 떫은감 신품종 이용촉진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4. 5 ~ 30일까지‘2021년도 관광 청년인턴제 지원 사업’에 참여할 관광사업체를 모집 한다. ▲ 관광청년인턴 현장(사진=경북도) 이 사업은 인턴기간 동안 직업을 체험하고 일자리로 연계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젊은 관광인재를 지역에 정착시키고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는 목표이다. 지난해 청년인턴 81명을 지원하였으며 관광업계의 호응이 좋아 올해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모집 대상은 관광진흥법에 따라 등록된 상시근로자 2명 이상인 관광사업체로,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경상북도(www.gb.go.kr) 및 경상북도관광협회(www.gogbta.or.kr)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고문에 따라 구비서류를 갖춰 경상북도 관광협회로 기한 내 신청하면 된다. 지원 대상 업체로 선정되면 업체에서 채용하는 인턴의 인건비를 2개월간 1인당 월 128만원(최저임금 기준의 70%정도)정도를 지원받게 되며, 인턴기간을 연장할 경우와 정규직으로 전환 시에는 예산범위 내에서 최장 6개월까지 추가로 지원 받을 수 있다.아울러 청년인턴(만 39세 이하) 근무 희망자는 국내 관광관련 대학·특성화고 전공자 또는 2021.1.1. 이전부터 경북에 주소지를 둔 고등?대학생(휴학생, 졸업생 포함)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관광 청년인턴제 실시 사업체로 선정된 업체에 본인이 직접 신청하면 된다.김상철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광사업체에 청년인력 매칭으로 관광사업체의 활성화와 청년 실업률 해소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KTTP 지역특화형 숙박시설 조성사업’에 봉화군이 선정되어 국비 40억원(총 사업비 80억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 봉화 소천초등학교 분천분교 이 사업은 KTTP(코리아토탈관광패키지) 사업*의 일환으로 숙박시설 자체만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이 되도록 유휴시설을 활용해 특색있는 숙박시설 조성하는 사업이다. * KTTP(Korea Total Tourism packag)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외래 관광객이 만족 할 수 있는 항공?쇼핑?숙박 등 패키지로 제공받는 관광 선도모델 개발사업 이번 사업에 선정된 봉화군은 소천면 분천리 일원에 위치한 폐교 부지인 소천초등학교 분천분교를 숙박시설로 증축 및 리모델링하여 분천 산타마을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지역의 새로운 관광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분천분교의 시설규모는 9,587㎡로(건물 1,019, 대지 8,568) 부지에 숙박시설, 식당·카페, 세미나실, 산타 체험관·박물관·전시관 등을 리모델링하고, 운동장 부지에는 캠핑장, 물놀이 시설, 체육시설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앞으로 추진일정은 2021년 상반기(4월~6월)에 사업자 공모 접수 및 선정을 하고, 2021년 하반기(7월~)에 특화 숙박시설 리모델링 설계 및 개보수 등 운영 기반을 조성하게 된다.봉화군 분천역을 중심으로 하는 산타마을은 2014년부터 산타눈썰매장, 산타우체국, 산타조형물 등 체험관광시설과 볼거리를 조성하고, 산타열차(O,V-Train) 운행으로 각광 받고 있으나 인근 숙박시설이 전무하여 체류형 관광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번 체류형 관광지 기반 마련을 통해 백두대간 수목원, 은어축제, 송이축제 등 주변 관광지 및 지역축제와 연계한 시너지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한, 봉화군에는 국내 유일 베트남 리황조 관련 유적인 충효당이 현존하고 있으며, 봉화군-뜨선시 우호교류 협약 체결 등 베트남과 지속적인 교류활동을 이어와 지역특화 숙박시설 단지 연계를 통한 베트남 등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김상철 경상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가족?친구?연인들이 아름다운 추억을 남길 수 있는 매력있는 체류 숙박시설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며, “주변관광자원과 연계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KTTP 지역특화형 숙박시설 조성사업 > ◈ (사업기간) : 2021 ∼ 2022(2년간) ◈ (총사업비) : 80억원(국비 40, 도비 12, 시비 28)- ’21년 : 20억원(국비 10, 도비 3, 시군비 7)- ’22년 : 60억원(국비 30, 도비 9, 시군비 21) ◈ (사업내용) ? 여관·폐교·노후 관광시설·빈집 등 지역의 유휴시설을 개조하여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숙박시설 조성(민간 위탁운영)※ 민간 아이디어를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시공·운영 사업자를 컨소시엄 방식으로 선정
□ 시군별 현황시군별확진환자(전일대비)경산포항구미경주안동청도의성상주김천칠곡영주봉화1,037526426241224183127117108987472+7+3+5+1--------영천예천청송고령영덕성주군위문경울진영양울릉합계696549433324211912333,574-----------+16 ※ 신고지 기준으로 우선 집계된 현황으로 주민등록주소지 등이 다를 경우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확진환자 조치 내역계병원생활치료대기중사망퇴원소계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포항의료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타시도병원3,574160347641114813-2763,336+16+5-△1+2+2-△2+4---+11 *타시도병원 및 생활치료센터(13명) 경북대학교병원(2명), 계명대동산병원(3명), 칠곡경북대병원(3명), 대구의료원(3명), 청주의료원(1명), 부산은행연수원(1명) □ 확진환자 발생 원인별구분계12월14일이전발생건수시설종교가족지인해외유입조사중누계3,5741,86518630945444691223’21.4.4.(일)+16-+1-+3+8+3+1
□ 시군별 현황시군별확진환자(전일대비)경산포항구미경주안동청도의성상주김천칠곡영주봉화1,030523421240224183127117108987472+11+1+4+1--------영천예천청송고령영덕성주군위문경울진영양울릉합계696549433324211912333,558-----------+17 ※ 신고지 기준으로 우선 집계된 현황으로 주민등록주소지 등이 다를 경우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확진환자 조치 내역계병원생활치료대기중사망퇴원소계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포항의료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타시도병원3,55815534862914109-2763,325+17+4-△1+2-+4△2+1-△1-+14 *타시도병원 및 생활치료센터(9명) 경북대학교병원(2명),계명대동산병원(2명),칠곡경북대병원(2명),대구의료원(1명), 청주의료원(1명), 부산은행연수원(1명) □ 확진환자 발생 원인별구분계12월14일이전발생건수시설종교가족지인해외유입조사중누계3,5581,8651853094514388822221.4.3.(토)+17-+5-+4+3+1+4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4월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의 시범실시를 건의했다.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은 중대본에서 ▷방역?의료역량보다 낮은 단계조정기준 ▷다중이용시설중심의 제한 조치로 서민경제 피해누적 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준비되어 왔다.당초, 경상북도는 3월 30일 중대본에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의 시범실시의견을 제출 후,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4월 5일 부터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전국의 코로나19 발생추이가 증가 추세에 있음을 감안하여 시행을 유보하고 보건복지부와 추가논의 후 시행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이 지사는 “경상북도는 코로나19의 전국적 유행과 차별되게 경산을 제외하고는 방역상황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고, 특히 작년 2월부터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아 지역경제가 침체되어 지방소멸 위기가 더 높아짐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의 조기시행”을 건의했다.이에 정세균 국무총리는 “경북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건의 취지에 적극 동의한다”는 공감을 표하며, “개편안에 조기시행을 적극 검토하라”고 밝혔다.
올해 들어 처음으로 경북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환자(사망자)가 발생함에 따라 밭일, 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 진드기 매개감염병 포스터 이번 확진된 경주시 거주 ○○○씨(여, 만 79세)는 최근 과수원 작업과 밭일 후 발열 의식저하 등의 증세로 D종합병원 응급실 방문(3.26)하여 입원치료를 받다가 사망(3.28) 후 SFTS 양성 판정(4.2)을 받았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6~14일 잠복기를 거쳐 고열(38~40℃),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예방백신이 없고 심하면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로 사망할 수 있다. 지난해 경북에서는 33명(전국 243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7명이 사망하였다.* 2016 ~2020 전국 SFTS 환자 수(1,162명), 사망자 수(195명) 경북 SFTS 환자 수(160명), 사망자 수(32명) ※ 잠정 통계로 변동 가능특히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나물채취 및 야외활동 시 긴 옷을 착용하여 피부노출을 최소화 하고 풀밭 위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귀가 시에는 옷을 세탁하고 목욕을 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김진현 경상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 구토 등 소화기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는 한편“지역사회 내 유관기관이 연계하여 진드기 서식지인 풀밭 제초 작업 등 사전 위험요인 제거에 협력해 줄 것”을 강조했다. 다음은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과 중증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관련 일문일답이다.■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중증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관련 Q&A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어떤 질병입니까? SFT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발열, 소화기 증상과 함께 백혈구·혈소판 감소 소견을 보이고, 일부 사례에서는 중증으로 진행되어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2. SFTS 바이러스는 어떻게 감염됩니까? 주로 야외활동(등산, 봄나물채취 등)에서 반복적으로 진드기에 노출될 경우,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진드기에 물려 감염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일부 의료진이 환자의 혈액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2차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있어 환자와 접촉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3.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있나요? 원인불명의 발열, 소화기증상(식욕저하, 구역, 구토, 설사, 복통)이 주 증상 입니다. 이와 함께 두통, 근육통, 신경증상(의식장애, 경련, 혼수), 림프절 종창, 출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4. 진드기에 물리면 무조건 감염되나요? 진드기에 물린다고 해서 모두 감염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참진드기 중 극히 일부만 SFTS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린다고 해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SFTS에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진드기에 물린 뒤 6-14일(잠복기) 이내에 고열과 함께 구토, 설사 같은 소화기 증상이 동반된다면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진드기의 활동이 왕성한 4월에서 10월 사이에 특히 주의하여야 합니다. 풀숲이나 덤불 등 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장소에 들어갈 경우에는 긴 소매, 긴 바지, 다리를 완전히 덮는 신발을 착용하여 피부 노출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야외활동 후 진드기에 물리지 않았는지 꼭 확인하고, 옷을 꼼꼼히 털고, 외출 후 목욕이나 샤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야외활동 시 기피제를 사용하는 경우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6. 진드기에 물린 후 어떻게 해야 합니까? 진드기의 대부분은 인간과 동물에 부착하면 피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장시간(수일~수주 간) 흡혈합니다. 손으로 무리하게 당기면 진드기의 일부가 피부에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핀셋 등으로 깔끔히 제거하고, 해당 부위를 소독하는 것이 좋으며, 필요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7. 환자와 접촉 시 주의사항이 있습니까? 공기나 비말 등으로 전염되지 않기 때문에 같은 병실에 머무를 때 특별한 제약이 있지 않고, 별도 병실에 격리할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감염환자의 혈액과 체액에 직접 노출되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의료진의 경우 환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시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혈액접촉감염예방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경상북도는 2일 도청에서 소비자에게 품질 좋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농업인에게는 안정적인 판로제공과 소득증대를 위한 도지사 자문기구인 제2기(’21.4 ~ ’23.3) 경상북도 농식품유통혁신위원회(이하 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경상북도 농식품 유통혁신위원회 출범식(사진=경북도)위원회는 마케팅, 유통, 기업인 등 총 70명으로 구성하여 민?관 협치(거버넌스) 창구로 물류, 서비스, 소비, 기업 등 시장환경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가 안목과 경험을 행정에 접목함으로써 관련 정책이 보다 실질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싱크 탱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위원 70명은 2년간 ▷농식품 유통혁신 ▷연구개발 ▷인력양성 ▷건강한 먹거리 생산 등 총 4개의 태스크 포스팀(T/F 팀)으로 나누어 활동하게 되며, 팀 별로 주제를 선정하여 정책개발을 위한 현장 간담회, 농가 방문 등을 통해 현장적용이 가능한 시책과제를 발굴하고, 경북 농식품 유통혁신 중장기 계획수립과 전략 자문 등 추진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 할 계획이다. 제2기 위원장에는 농촌진흥청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농수산물유통공사 사장,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역임 등 유통에 탁월한 역량과 경험을 쌓은 지역 출신인 김재수(64세, 영양, 동국대학교 석좌교수)씨가 위촉 되었다.▲ 경상북도 농식품유통 혁신위원회 출범식 위원장 위촉패 수여(사진=경북도)이날 출범식에는 제1기 위원장 심재일(62세, 청송)씨는 재임기간 동안 지역 농업발전과 농업인의 소득향상에 기여한 공이 커 감사패를 전달하였으며 김재수 위원장을 비롯하여 신임위원에게 위촉패를 수여하였고 4개 T/F 팀은 지난 2년간 연구한 과제와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발표하였다.한편 제1기(’19.4~’21.3) 위원회의 주요성과로 ▷농식품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른 판로확대 방안, 경상북도 우수농산물 표시제 개선방안 강구, 후계농 및 제3자 승계농 육성정책 개발, 지역산업과 연계한 안전먹거리 체계 구축 등 T/F팀별 정책연구과제 수행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슈퍼, 11번가 등 기업(기관)과 농식품 판로확대 기반 마련 ▷제1회 우체국쇼핑 온라인마케팅 대상(과학기술부 장관상), 대한민국대표브랜드대상(산업통상부 장관상), 2020년 농산물마케팅 대상, 제1회 농식품 우수 지방자치단체 경진대회 최우수 수상에 기여 ▷코로나19 극복 농특산물 품앗이 완판운동 1,157억 원 달성에 동참 ▷민선7기 농식품 마케팅성과 5조원 달성에 기여하는 등 도지사 자문기구로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행사에 참석한 이철우 도지사는 김재수 위원장을 비롯한 위촉 위원들에게 “그동안 시?군 순회 등 농촌 현장 곳곳을 다녀보면 좋은 농산물을 생산해도 팔 곳이 마땅찮고, 제 값 받기도 어렵다는 것이 농업인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라며, 오늘 위촉된 여러분들께서는 앞으로 경북 농어업을 이끌어간다는 각오로 2년간 농식품 유통구조 혁신을 위해 애써달라”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2일 LG생활건강에서 보건복지부 산하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를 통해 후원한 2억 원 상당의 생활용품을 도내 57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에 고루 배부하여 지역의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독거어르신 및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4천 5백여 명에게 지원한다고 밝혔다.▲ LG생활건강 물품 후원(사진=경북도) LG생활건강과 함께하는 봄맞이 생활용품 지원사업은 보건복지부 위탁기관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를 통해 도 광역지원기관으로 연계하였고, 지원용품은 샴푸, 린스, 치약 등의 세면용품과 햄, 꿀 등의 식료품이며, 이 날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에서 지원하는 안마봉 32박스도 함께 배부할 계획이다.이에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광역지원기관에서는 안동시 낙동강변 다목적광장에서 방역 수칙 기준을 준수하며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각 시·군 수행기관에 물품을 배부하고, 수행기관별로 물품 지원 대상자를 선별하여 어르신 가정에 전달한다.한편 경북도는 현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광역지원기관인 (사)안동자원봉사센터(이사장 조현상)와 함께 4만 6천여 명의 어르신에게 개인별 욕구에 따른 안부확인, 일상생활지원, 사회참여 및 생활교육 프로그램, 후원 연계 등의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박세은 어르신복지과장은 “코로나19 확산이 계속됨에 따라 민간후원의 발길이 끊긴 지역내 취약 어르신들의 외로움과 경제적 부담을 생활물품 지원을 통해 조금이나마 덜어드릴 수 있기를 바라고, 후원물품을 지원·연계해준 LG생활건강과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에도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지난 1일 평산아카데미에서 제16대 생활개선경상북도연합회 도임원 및 시군연합회장 30여 명을 대상으로 생활개선회 핵심리더교육을 개최했다.▲ 경북도연합회 교육(사진=생활개선회) 이날 교육은‘4차혁명과 농촌환경개선을 선도하는 생활개선회’를 주제로 매주 목요일 4회차에 걸쳐 진행될 예정으로 도연합회를 이끌어갈 지역의 핵심리더로서 SNS기술을 함양하고 농촌환경개선의식을 심어주는 등 다양한 전문역량 습득에 중점을 두고 교육이 진행되었다.1회차(4.1)에는‘코로나와 힐링푸드’라는 주제로 경북농업기술원장의 특강이 있고 농업인 세법교육이 진행되며 2회차(4.8)에는 환경보전의식함양과 농작물 재해보험 이론, 회의진행방법에 대한 교육이 진행되었다.3회차(4.15)에는 본원 전산교육장으로 자리를 옮겨 4차혁명시대 효과적인 SNS활용 기술 함양과 농업경영 및 농산물 홍보기술을 익히고 4회차(4.22)에는 생활개선회 정체성 함양과 농촌여성 공동경영주 등록 교육 등이 진행된다.신용습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4차혁명과 농촌환경개선을 선도할 수 있는 농촌여성리더로서 생활개선회가 지역여성농업인들을 이끌기 위해 연구중심 혁신도정의 선봉장으로의 역할을 충실히 해 줄 것을 당부하였으며, 코로나와 힐링푸드 특강을 통해 우리지역농산물로 코로나를 이겨내고 코로나블루에서 벗어나자”고 말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지난 3월 31일 경주, 고령 등 경북도내 아열대 재배농가 60여 곳이 참여해 ‘경상북도 아열대과수 연구회’를 결성했다고 밝혔다.이날 결성된 ‘경상북도 아열대과수 연구회’는 시군별로 산재해 있는 아열대 재배 농가들을 연결하고 경북지역에 적합한 아열대 작목 재배기술을 선제적으로 연구하고 보급하는데 앞장설 계획이다.▲ 아열대 과수 연구회(사진=경북농업기술원) 또한 재배농가간 기술정보를 교류하고 민ㆍ관이 함께하는 세미나 개최 및 선진지 견학으로 재배기술을 향상시키고 시장 교섭력과 통합브랜드 육성으로 가격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온실가스저감 노력이 현 추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 2080년 무렵에는 남한지역 60% 이상이 아열대기후에 속하게 된다.이러한 기후 변화에 따른 신소득 작목으로 아열대 재배기술을 연구개발, 보급하기 위해 경북농업기술원에서는 2016년부터‘아열대작목 재배 시범사업’을 추진해 재배농가를 육성하고 경북지역에 적합한 재배매뉴얼 개발에 힘써왔다.현재 경북지역 아열대 작목 재배현황은 171농가, 37.5ha이다.최근 소비자가 선호하고 시장성이 있는 만감류(한라봉, 천혜향 등)와 애플망고 등의 경북지역 재배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만감류 등 주소득 작목 재배현황 : 16.3ha(19년) → 19.2ha(20년) → 23.1ha(21년)신용습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경상북도 아열대과수 연구회는 재배 현장의 소통 창구가 되고 재배기술 보급에 동반자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 시군별 현황시군별확진환자(전일대비)경산포항구미경주안동청도의성상주김천칠곡영주봉화1,019522417239224183127117108987472+23+2-+1+1---+1+1--영천예천청송고령영덕성주군위문경울진영양울릉합계696549433324211912333,541----+1------+30 ※ 신고지 기준으로 우선 집계된 현황으로 주민등록주소지 등이 다를 경우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확진환자 조치 내역계병원생활치료대기중사망퇴원소계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포항의료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타시도병원3,54115134960910128-3763,311+30+15-+5+10+3+1△1△3-+3+1+11 *타시도병원 및 생활치료센터(8명) 경북대학교병원(2명),계명대동산병원(1명),칠곡경북대병원(2명),대구의료원(1명),청주의료원(1명), 부산은행연수원(1명) □ 확진환자 발생 원인별구분계12월14일이전발생건수시설종교가족지인해외유입조사중누계3,5411,8651803094474358721821.4.2.(금)+30-+20-+4+2+2+2
경북도와 구미시는 1일 구미시청 상황실에서 인쇄회로기판(PCB) 생산 레이저가공업체인 엘엠디지털㈜, 2차 전지 제조장비 생산업체인 ㈜디에프에스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투자양해각서(사진=경북도) 이날 투자양해각서 체결에는 유제욱 엘엠디지털㈜ 대표, 이동주 ㈜디에프에스 대표,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장세용 구미시장, 김재상 시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엘엠디지털㈜는 구미 3산단에 2021년 ~ 2023년까지 건축면적 6,600㎡(2,000여평)에 500억 원을 투자하여, 인쇄회로기판(PCB) 레이저드릴 홀 가공시설 확충을 통해, 신규 일자리 30명의 고용을 창출한다고 밝혔다.이번 투자로 엘엠디지털㈜는 첨단설비와 효율적인 가공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수준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를 통해 2024년까지 매출액 70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엘엠디지털(주) 유제욱 대표는 “경상북도 구미시와의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이 분야 최고의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으며, 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도 계속 기여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주)디에프에스는 2차전지 제조설비 및 OLED 디스플레이 물류 자동화 장비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1년 개인회사(RNC) 설립이후 2018년 법인전환,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기술우수평가인증에 이어 2020년부터 2차전지 제조장비분야에서 확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다변화 및 매출증대를 달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고 있다.(주)디에프에스는 향후 2차전지 핵심공정인 TAP-WELDING, 파우치, 각형제조설비제조를 위하여 구미국가 5단지에 대지 9,112㎡, 건축면적 6,000㎡ 공장 신축 및 설비투자에 약 100억원을(2021년 70억, 2022년 30억) 투자할 계획이다.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오늘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 기업이 국내외 거래선을 발굴하도록 지원하고, 추가투자 애로요인을 해소함으로써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철우 도지사는 1일 경북도청을 방문한 겐나디 랴브코프(Gennady Ryabkov) 주부산러시아총영사를 면담하고 경상북도-러시아 간 교류협력과 상생발전에 대해 논의했다.▲ 러시아 총영사 방문(사진=경북도) 이 자리에서 랴브코프 총영사는 러시아 정부가 ‘2021 한러 문화교류의 해’사업을 통해 지방정부차원의 문화교류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소개하며, 경상북도가 많은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 러시아는 외교·군사강국인 동시에, 우수한 예술인프라를 지닌 문화강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지사와 랴브코프 총영사는 ‘문화교류사업’외에도 ‘경북형 스마트 팜’의 러시아 진출을 통해 농업기술전수와 관련기업의 수출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며 코로나 종식 이후 양국간 활발한 교류를 재개하기로 하였다. 한편, 경상북도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 연해주와 자매결연을 맺고, 청소년·체육교류사업, 통상사절단 파견, 해외사무소 운영을 통해 북방지역 교류에 앞장서고 있으며, 작년 하반기 러시아에 COVID19 확진추세가 절정일 때 방호복을 기증하여 아픔을 같이 한 바 있다.이보다 앞서 3월 30일(화)에는 주한우즈베키스탄대사관 외교관일행이 경상북도에 1박 2일 일정으로 방문하여 경제인간담회, 산업시찰, 문화관광시설 견학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경상북도-우즈베키스탄 간의 다방면 교류가 추진될 수 있도록 논의하였다.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현 정부에서 추진 중인 新북방정책에 경상북도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고 있으며, 지역 중소기업 진출을 통한 경제·통상활성화를 위해 자매우호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지역과의 실리적인 교류를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1일 수산인의 날 행사 참석을 위해 포항을 방문한 문성혁 해양수산장관에게 포항해수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모 사업자 선정 심사를 빠른 시일내에 마무리하여 대형카페리여객선의 조기 취항으로 울릉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해상이동권이 확보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 했다.▲ 해수부장관 면담(사진=경북도) 경상북도는 포항지방해양수산청(이하 포항해수청)에서 지난 1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포항~울릉항로 대형카페리여객선 공모사업 사업자 선정의 조속한 심사 촉구를 위해 국회, 해양수산부를 방문하는 등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포항해수청에서 추진하는 공모사업은 지난‘20년 2월 포항~울릉항로에 운항중이던 2,000톤급 카페리 여객선 썬플라워호가 선령만료로 운항중단 된 이후 대형여객선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울릉주민의 해상이동권 보장 및 관광객 편의 제공을 위해 총톤수 8천톤 이상, 전장 190m미만의 대형 카페리여객선 공모 사업자를 지난 1월말에 선정하여 1년 이내 항로에 투입할 계획이었다.공모 신청한 2개 선사 중 A선사의 신청서류를 포항해수청에서 선박 미확보의 사유로 반려 하면서 집행정지가처분신청 및 반려처분 취소 소송이 진행되면서 선사와 법적다툼으로 인해 4월 현재까지 공모사업자 선정 심사가 미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울릉지역 주민 B씨는 지난 3월 3일 법원의 가처분 인용 판결에도 불구하고, 신청자격 유무에 대한 법원의 행정소송 1심 판결을 지켜본 후 사업자를 선정하겠다는 포항해수청의 입장에 대하여 울릉주민들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한 적극행정을 추진해 줄 것을 강력히 요구 했다.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9.22.~ 9.28.)
[뉴스] 송원이엔지 박재현 대표, 군위군 고향사랑기부 3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 삼국유사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거동불편 홀몸어르신 주거환경개선
[뉴스] 군위군, 허석 의사 기념비 정비 봉사활동 실시
[뉴스] 군위군 드림스타트, 가족愛(애) 영화데이 운영
[뉴스] 군위군보건소, ‘당뇨병 환자 대상 복약지도 강의 개최’
[동영상뉴스] 군위군 청렴 정책 소통의 장 / 청렴 공감 토론회 성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