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는 지난 8일 경북경제진흥원 회의실에서 이달희 경제부지사 주재로 도 경제관련 부서와 9개 경제유관기관 임직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제7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제7차 비상경제대책회의(사진=경북도) 이날 회의는 지역 경제기관과 함께 최근 심각한 일자리 문제, 급격한 금리상승과 지속되는 고물가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소상공인,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지원 방안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회의에서는 기관별로 고금리에 대응한 금융지원 대책과 내년도 경제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지역의 일자리 문제 진단 및 정책방향과 기관에서 제안한 정책에 대해 논의했다.도는 내년도 신규 일자리 정책으로 교육혁신 플랫폼과 연계한 직업계고 활성화 일자리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기업별 인력수요에 기반한 지역우수인재(유학생) 및 동포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 특화형 비자 시범사업을 통해 우수한 외국인 근로자 확보를 위한 여건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고금리에 대응한 금융기관별 지원방안을 살펴보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는 내년도 중소기업 정책자금 4조 9025억원을 투입해 자동차부품 등 지역 주력산업,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규제자유특구 및 위기지역에 우선 지원한다.또 경북경제진흥원에서는 중소기업 창업?경쟁력 강화 자금, 벤처기업 육성자금, 중소기업 운전자금, 재해기업 긴급경영자금 등에 1조 3827억원을 지원한다.경북 신용보증재단에서는 소상공인의 원리금 상환 및 고금리 부담 완화 증진과 소상공인 연착륙 지원을 위해 내년에 1조 2,600억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한다.한편,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서는 내년도에도 9096억원 규모의 지역 중소기업 대상 자금 지원을 지속하고 지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대상선별 및 운용기준을 개선할 방침이다.이외에도 각 기관에서는 금융부담 경감을 위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금융지원 이차보전, 소상공인 저금리대환 수탁보증대출, 대출금리 감면지원, 지역 공공기관과 상생펀드 조성을 통한 저금리 지원 등을 시행한다.끝으로 정책제안으로는 R&D기술혁신 연구인력 인건비 지원사업, 경상북도 이차보전과 시군 이차보전을 연계한 저금리 지원강화 사업,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기업 금융비용 부담 경감을 위한 자금 지원 확대 등의 제시됐다.도는 이번 회의를 통해 논의된 시군 특례보증에 경북도의 버팀금융 연계 지원을 위해 중복수혜가 가능하도록 시군 조례 내 중복수혜금지 조항 개정을 시군에 협조를 구하는 한편, 고금리 상황에서 유망 중소기업 및 수출기업에 대해 금리혜택 대책을 금융위원회에 적극 건의하기로 했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최근 일자리 문제, 고금리, 고물가 등 어려운 경제여건에 대응해 좋은 일자리 창출과 금융지원 확대 정책에 힘 써달라”며, “오늘 제안된 사항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향후 경제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지난 9일 2022년 국토부 거점육성형 투자선도지구 공모사업에 경주시의 <신경주역세권 해오름 플랫폼 시티 조성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해오름 플랫폼 시티(사진=경북도) 이 사업을 통해 총사업비 5407억원 규모의 광역교통 중심의 융복합 자족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이번 공모사업은국토교통부에서 정부 국정과제인 국토공간의 효율적 성장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이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 지방 중소도시의 철도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선정해 강소도시로 육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다양한 사업 발굴과 서면?현장?종합평가에 대비해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자체평가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공모사업 사전단계에서부터 철저히 준비했다. 또 김석기 국회의원, 주낙영 경주시장 등 지역 정치권과의 공조를 통해 지속해서 사업의 필요성과 실현가능성을 건의를 통해 이번 공모선정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이 공모 사업은 철도역과 주변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개발·정비계획 및 지자체 지원방안, 타 사업 연계방안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지역발전 전략으로 사업의 실현가능성 제고를 위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 KR과 함께 공동 사업자로 참여하는 민관합동개발로 추진할 예정이다.경주시의 <신경주 역세권 해오름 플랫폼 시티조성사업>은 신경주 KTX역 주변지역에 경상권 광역교통의 중심지 해오름 플랫폼 센터(복합환승센터)를 건립하고, 주변 양성자 가속기 확장, SMR 국가산단 조성에 맞추어 연계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또 기업창업지원을 위한 업무기능 및 지식산업센터를 계획하고, 한수원과의 MOU를 통해 협력상생 플랫폼을 조성하며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공공주택과 생활 인프라, 여가문화상업시설을 확충도 추진한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공모사업을 통해 부족한 생활 SOC 구축과 민자 유치를 통해 지역 주민 삶의 질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방강소도시 육성이 정부 국정과제로 지정된 만큼 신경주 KTX철도역 등을 중심으로 성장거점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지역 국회의원, 경주시가 등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지난 8일 대구인터불고호텔 컨벤션 홀에서『제59회 무역의 날』을 맞아 대구경북 행사를 개최했다. ▲ 무역의 날 행사(사진=경북도) 이날 기업인들과 가족, 수출유관기관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무역의 날을 기념해 수출의 탑 및 유공자 포상 등으로 기업을 격려하고 내년 또 한 번 필승의 결의를 다졌다.도는 올해 코로나, 태풍 힌남노,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470억불 수출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보다 6.2% 증가된 수치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역 기업들의 능동적인 대처와 적극적인 해외 시장 공략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이날 도는 수출의 탑 77개를 비롯해 동탑산업훈장 등 27명의 중앙 포상 전수식과 함께 26명의 도지사 표창을 진행했다. 먼저, 수출 5억불탑 수상은 에코프로이엠(대표 박종환), 포스코스틸리온(대표 서유란), 4억불 탑에는 피엔티(대표 김준섭), 1억불 탑은 에코프로이노베이션(대표 김윤태), 거상(대표 문제희)이 수상했다.또 7000만불 탑은 디와이씨(대표 이종훈), 5000만불 탑은 경북통상 등 3개 기업, 3000만불 이하 68개 기업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이어 진행된 수상식에서 김진우 삼광 대표가 동탑산업훈장, 김명호 영진하이텍 대표와 문병대 황조 대표가 대통령표창을, 김호동 중원산업 상무가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특히, 수출의 탑이 지난해에는 2억불이었으나, 올해는 5억불로 증가한 것은 주목할 만 한 점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올해 어려운 여건에도 기업들이 전심전력을 다해 수출전략을 수립하고 도에서도 비상경제상황을 사전에 인식, 적극적인 대처로 기업들을 지원해 좋은 결과가 있었다”며, “앞으로도 구미와 포항 산단의 기업 유치, 농업 6차 산업의 최 첨단화를 통해 지역에 더 많은 투자와 더 좋은 수출 성과가 달성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매년 개최하는 무역의 날은 기업들의 1년 동안 결과에 대해 노고를 치하하고 사기를 진작하며, 신생 수출기업을 찾아 격려하고 이들이 수출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최한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708(+106)1,270,66521,262(+334)1,247,510(+2,373)1,893(+1) * 국내 2,708, 국외 0 * 치명률(12. 10. 0시 기준) - 경북 0.15%(1,892명), 전국 0.11%(31,029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72672658확진자8864861518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5.(월)12.6.(화)12.7.(수)12.8.(목)12.9.(금)12.10.(토)12.11.(일)누계(주)평균(주)검 사3,4306,02215,40111,2166,2656,10013,82662,2608,894확진자1,133(2)2,740(5)3,653(5)2,970(2)2,798(3)2,602(1)2,708(0)18,604(18)2,657.7(2.6)* 직전주 일요일(12.4.) 현황 : 검사 5,133건, 확진자 2,373명(▲ 14.1%)(단위 : 명, %)구 분12.5.12.6.12.7.12.8.12.9.12.10.12.11.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1,1312,7353,6482,9682,7952,6012,70818,5862,655.1연령별60세↑확진자수(%)410(36.3)732(26.8)1,178(32.3)860(29.0)849(30.4)891(34.3)977(36.1)5,897(31.7)842.418세↓확진자수(%)177(15.6)467(17.1)561(15.4)417(14.0)431(15.4)411(15.8)382(14.1)2,846(15.3)406.6외 국 인7(0.6)23(0.8)42(1.2)30(1.0)35(1.3)22(0.8)25(0.9)184(1.0)26.3 □ 시·군별 발생(국내 1,266,786, 해외유입 3,879)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270,665명261,971110,85067,27278,332227,74951,93944,52839,32233,366145,8687,903(+2,708)(+443)(+202)(+189)(+168)(+383)(+110)(+118)(+108)(+70)(+420)(+12)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8,7019,8835,67814,89915,97411,21314,78750,95626,97210,65519,7432,104(+76)(+20)(+9)(+33)(+25)(+48)(+12)(+135)(+49)(+29)(+42)(+7)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602(-196)1,267,95720,928(+19)1,245,137(+2,575)1,892(+8) * 국내 2,601, 국외 1 * 치명률(12. 9. 0시 기준) - 경북 0.15%(1,884명), 전국 0.11%(30,975명) * 오신고로 인한 누계 정정 : -1명(청도)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223163761확진자24581991112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4.(일)12.5.(월)12.6.(화)12.7.(수)12.8.(목)12.9.(금)12.10.(토)누계(주)평균(주)검 사5,1333,4306,02215,40111,2166,2656,10053,5677,652확진자2,373(0)1,133(2)2,740(5)3,653(5)2,970(2)2,798(3)2,602(1)18,269(18)2,609.9(2.6)* 직전주 토요일(12.3.) 현황 : 검사 6,520건, 확진자 2,575명(▲ 1.0%)(단위 : 명, %)구 분12.4.12.5.12.6.12.7.12.8.12.9.12.10.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3731,1312,7353,6482,9682,7952,60118,2512,607.3연령별60세↑확진자수(%)875(36.9)410(36.3)732(26.8)1,178(32.3)860(29.0)849(30.4)891(34.3)5,795(31.8)827.918세↓확진자수(%)352(14.8)177(15.6)467(17.1)561(15.4)417(14.0)431(15.4)411(15.8)2,816(15.4)402.3외 국 인30(1.3)7(0.6)23(0.8)42(1.2)30(1.0)35(1.3)22(0.8)189(1.0)27.0 □ 시·군별 발생(국내 1,264,078, 해외유입 3,879)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267,957명261,528110,64867,08378,164227,36651,82944,41039,21433,296145,4487,891(+2,602)(+426)(+1)(+198)(+126)(+202)(+427)(+88)(+107)(+102)(+76)(+354)(+15)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8,6259,8635,66914,86615,94911,16514,77550,82126,92310,62619,7012,097(+63)(+20)(+16)(+51)(+44)(+15)(+28)(+112)(+54)(+38)(+32)(+7)
경상북도는 경상북도새마을회(회장 이종평) 주관으로 9일 문경 국군체육부대 실내체육관에서 23개 시군 새마을지도자 등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2022 경북 새마을지도자대회」를 개최했다.▲ 새마을지도자 대회(사진=경북도) 이날 행사는 한 해 동안의 새마을운동 추진 성과를 평가하고, 새마을지도자들이 서로 화합하고 소통하면서 최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 흐름에 맞게 새마을운동이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고자 하는 결의를 다지기 위해 마련했다.이날 새마을운동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새마을 지도자들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했다 먼저, 정부포상인 새마을훈장에 새마을지도자의성군협의회 양희완 회장, 새마을포장에 예천군새마을부녀회 강석자 회장, 칠곡군새마을부녀회 장춘화 회장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 대통령표창에는 새마을지도자청송군협의회 윤준환 회장 외 4명, 국무총리표창은 경북새마을회 김민성 이사 외 7명, 행정안전부장관표창은 새마을지도자울진군북면협의회 엄재완 새마을지도자 외 4명이 수상했다. 아울러 새마을운동으로 도정발전에 남다른 기여를 한 공로로 새마을지도자들에게 수여되는 경북 새마을대상은 포항시연일읍새마을부녀회 김경란 회장 외 22명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새마을단체 종합평가 결과 최우수에 경산시새마을회, 청도군새마을회, 새마을지도자김천시협의회, 김천시새마을부녀회, 직장공장새마을운동포항시협의회, 새마을문고령군지부가 수상했다.끝으로 한 해 동안 새마을운동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한 각종 시책 추진상황을 종합평가하는 새마을운동 시군 종합평가 결과, 새마을지도자 역량강화, 새마을 환경살리기 활성화, 특수시책 및 우수사례 분야에 탁월한 성과를 거둔 상주시와 의성군이 대상을 수상했다. 또 최우수상에는 김천시·문경시·성주군·청도군, 우수상에는 안동시·구미시·영주시·예천군·고령군·칠곡군이 각각 수상했다. 한편, 그간 경북 17만 새마을지도자들은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정신을 바탕으로 새마을봉사단을 구성해 생활이 어려운 가구들을 대상으로 도배, 지붕 및 수도 개보수를 지원하는 행복한 보금자리 만들기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또 재활용품 수거 등 환경정화 활동, 김장나누기, 에너지 절약, 불우이웃돕기,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등을 통해 일상 속에서 주민들과 함께 새마을운동도 적극 펼치고 있다. 특히 산불, 태풍 등 재난 발생 시에는 누구보다 먼저 봉사활동에 앞장서는 등 지역의 파수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한민국이 오늘날 이렇게 잘살게 된 것은 새마을운동 덕분이며, 나 자신보다 자식과 후손들을 위해 지역과 나라를 위해 헌신한 새마을지도자 여러분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면서 “새마을운동이 우리 모두의 운동이 돼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도록 여러분이 함께 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도청신도시 활성화, 쾌적한 교육환경 제공 및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하는 교육 공간을 마련해 변화를 선도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인재개발원 이전 건립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 경북도 인재개발원 조감도(사진=경북도) 이를 위해 도에서는 지난 9일 시공사 및 건설사업관리단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실시공간담회를 개최했다.이 자리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내실 있는 인재개발원 이전 건립을 위한 환경, 안전, 민원대응 및 품질관리 대책 수립 등 공사추진에 만전을 기해 나가기로 했다.인재개발원 이전 건립 사업은 2025년 2월 준공 및 개원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총 사업비 844억원을 투자해 연면적 1만3080.23㎡에 지하1층, 지상4층 규모로 도청신도시 내 제2행정타운에 들어설 예정이다.교육, 강연, 회의 및 문화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대강당, 강의실, 분임 토의실, 세미나실, IT교육실 등을 갖춰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태양광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설비와 고효율 LED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지붕·벽체·바닥 단열설비를 확보하는 등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로 건설할 계획이다.경북도 관계자는“인재개발원은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이자 다양한 공적 교육 수요를 담아내는 그릇이다”라며,“지역 주민의 소통 공간 역할은 물론 도청신도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전 건립공사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발생현황 *도 발생 비율 4.58%구 분(단위: 명)신규 확진자(전일대비 증감) 확진환자 현황계격리중격리해제사 망경북2,798(-172)1,265,35620,910(+201)1,242,562(+2,592)1,884(+5) * 국내 2,795, 국외 3 * 치명률(12. 8. 0시 기준) - 경북 0.15%(1,879명), 전국 0.11%(30,908명) □ 감염취약시설 발생현황 (단위 : 개, 명)구 분장기요양시설정신건강시설장애인시설누계(일)요양병원요양원주간보호센터시설수1724103458확진자473713168121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해외유입일 자12.3.(토)12.4.(일)12.5.(월)12.6.(화)12.7.(수)12.8.(목)12.9.(금)누계(주)평균(주)검 사6,5205,1333,4306,02215,40111,2166,26553,9877,712확진자2,575(3)2,373(0)1,133(2)2,740(5)3,653(5)2,970(2)2,798(3)18,242(20)2,606.0(2.9)* 직전주 금요일(12.2.) 현황 : 검사 6,426건, 확진자 2,592명(▲ 8.0%)(단위 : 명, %)구 분12.3.12.4.12.5.12.6.12.7.12.8.12.9.누계(주)평균(주)국내감염 확진자수2,5722,3731,1312,7353,6482,9682,79518,2222,603.1연령별60세↑확진자수(%)899(35.0)875(36.9)410(36.3)732(26.8)1,178(32.3)860(29.0)849(30.4)5,803(31.8)829.018세↓확진자수(%)430(16.7)352(14.8)177(15.6)467(17.1)561(15.4)417(14.0)431(15.4)2,835(15.6)405.0외 국 인21(0.8)30(1.3)7(0.6)23(0.8)42(1.2)30(1.0)35(1.3)188(1.0)26.9 □ 시·군별 발생(국내 1,261,478, 해외유입 3,878) (단위 : 명)총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1,265,356명261,101110,45066,95777,962226,93951,74144,30339,11233,220145,0947,876(+2,798)(+445)(+184)(+133)(+194)(+514)(+124)(+121)(+116)(+74)(+384)(+2)(+21)의성청송영양영덕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울진울릉18,5629,8435,65314,81515,90611,15014,74750,70926,86910,58819,6692,090(+57)(+24)(+10)(+41)(+60)(+1)(+30)(+26)(+98)(+80)(+27)(+30)(+2)
경상북도는 경북관광협회와 함께 8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관광업계 대표, 관광종사자, 시군 관광담당공무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49회 관광의 날」기념식을 가졌다. ▲ 제49회 관광의날 기념식(사진=경북도) 이날 기념식은 세계 관광의 날*의 의미를 되새기고 지역 관광인의 화합과 사기진작을 위해 마련했다. *세계 관광의 날(매년 9. 27.) : 관광 산업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UN 산하 세계 관광기구(UNWTO)가 제정한 국제기념일행사는 관광진흥 유공자에 대한 표창과 공로패 전달, 경북 관광의 새로운 발전과 도약을 위한 ‘세계와 함께하는 관광경북’ 기념 퍼포먼스와 축하공연 등으로 진행했다. 당초 9월 27일 관광의 날에 맞춰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지난 9월 초 발생한 태풍 힌남노 피해의 조기 극복에 힘을 보태고자 행사를 연기했다.이날 관광진흥유공 표창은 신규 관광개발사업을 통해 지역관광활성화에 기여한 안동시 관광진흥과 김소은 주무관 등 5명일 시?군 관광부서 우수 공무원 경상북도지사 표창장을 받았다.관광진흥 유공부분 기관표창에 리첼호텔(대표 안희정), 민간인부분에서는한미여행사 대표이사 유장용 등 17명이 도지사 표창패를 받았다.또 지역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관광업계 임직원 8명에 대한 경북관광협회장의 표창과 관광자원 개발과 관광수용태세 개선에 기여한 공무원 및 유관기관 관계자 4명에 대한 경북관광공사사장의 감사장 수여도 있었다.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메타버스 속 아바타와 VR드로잉 아티스트가 함께하는 관광 경북의 미래를 담은 특별 공연과 경북관광의 재도약을 위한 뜻을 하나로 모아‘관광의 미래 경북 힘으로’를 주제로 한 기념 퍼포먼스도 함께 펼쳤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의 우수한 관광자원을 잘 엮어 세계인이 찾아오는 관광경북을 만들어 가겠다”며, “관광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지역관광의 얼굴인 만큼, 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친절과 미소로 신뢰를 쌓아 다시 찾고 싶은 경북을 만드는 데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경상북도는 지난 7일 오후 경산 경북테크노파크 국제회의실에서 ?2022년 경북형 소프트웨어 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 사업의 성과공유대회를 개최하고, 우수 성과 3개팀을 선정해 시상했다. ▲ 경북형 SW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사업 성과공유대회(사진=경북도) 선정된 팀은 영남대학교 스마트스캔팀, 한국폴리텍대학 포항캠퍼스 라이트하우스팀, 경운대학교 Fortuna팀이다. 대상은 영남대학교 스마트스캔팀에서 개발한‘실러 도포 불량 검사 방법 및 시스템’으로 자동차 글라스에 도포하는 실러의 불량도포 검사 시 하드웨어 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곡선구간 검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최우수상은 한국폴리텍대학 포항캠퍼스 라이트하우스팀의 ‘폐배터리를 활용한 무선 충전 재난 조명프로그램’으로 이차전지 폐배터리를 활용하여, 청각장애인도 재난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장치 구동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제품을 제작했다.우수상은 경운대학교 Fortuna팀의 ‘딥러닝 상황 인식을 이용한 교통법규 위반 인식 SW’로 기존 CCTV를 활용하여, 영상인식 및 상황인식을 위한 딥러닝 기술을 활용, 단일카메라로 다차로에 대한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검출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날 성과 공유대회는 지난 5월부터 기업-대학-참가학생으로 구성된 총 10개팀, 50명의 참여자가 그동안 수행한 프로젝트 성과를 서로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참여팀별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한 PT 발표를 하면, 심사와 함께 결과물의 사업화 가능성에 대한 모의투자 컨설팅도 병행했다.공정하고 정확한 심사를 위해 구성된 분야별 전문가 6인의 심사위원들이 과제 기획력, 추진내용, 성과확산 등 3개 분야 6개 항목을 중점적으로 평가했으며, 수상한 우수 3개팀에는 총상금 300만원(대상 150, 최우수 100, 우수 50)의 인센티브도 제공한다.개발된 소프트웨어는 AI, VR, AR, IOT 기반의 기술로 경북테크노파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며, 각 기술 관련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경북형 소프트웨어 인력양성사업 및 일자리 창출?사업은 소프트웨어 기술이 필수적인 시대, 지역의 소프트웨어 인재를 실무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역량강화를 꾀하고 4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 육성하고자 기획한 사업이다.특히, 올해는 지역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참여팀은 반드시 기업이 실무에서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기업 멘토가 함께 참여하도록 해 기업 맞춤형 실전형 중급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에 주안점을 둬 추진했다.사업에 참여한 영남대 이경문 학생은“프로젝트 참여함으로써, 학교 수업에서 얻을 수 없었던 실무적인 부분을 경험할 수 있었고,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겪었던 시행착오와 노하우로 한층 성장할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이영석 경북도 일자리경제실장은“지역 소프트웨어 산업의 인력 수급 상황을 해결하는 단초를 만들어보고자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앞으로도 지역 소프트웨어 산업의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라며, “사업에 참여하신 많은 인재들이 이 프로젝트를 계기로 지역의 우수 기업과 취업으로까지 연결돼 경북 소프트웨어산업 주역으로 활동해 주시면 더 바랄 것이 없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8일 오후 충북 오송 C&V센터에서 개최된「2022년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관리사업 성과대회」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2022년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관리사업 성과대회(사진=경북도) 이는 ‘20년, ‘21년 우수상에 이어 올해도 최우수상을 달성해 3년 연속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이다.이번 평가는 국고 보조사업을 지원받고 있는 9개 시도와 86개 시·군 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보건복지부는 ▷사업·성과 계획의 적정성 ▷사업 운영의 충실성·독창성 ▷성과달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도는 코로나19 장기 대응의 어려움 속에서도 감염병관리지원단에서 자체 개발·제작한 진드기 매개 감염병 강사용 교육키트와 퀴즈북을 활용해 도민을 대상으로 현장감 있고 차별화된 교육 사업을 실시했다.또 등산로 입구 등지에 진드기 주의 표지판과 만국기를 설치해 진드기 예방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는 등 지역특색을 반영한 독자적 사업을 적극 추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도는 2020년 2월 19일 코로나 첫 확진자 발생 이후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 수는 인구 10만명당 발생률 4만7712명(22.12.5 0시기준)으로 17개 시도(전국 평균 52,928명)에서 가장 낮은 발생률을 기록하고 있다.이는 감염병으로부터 도민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의료계 등 민간 조직과 협업을 통해 방역에 최선을 다한 결과이다.전국 최초로 고위험 취약시설 및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471여개에 선제적 음압시스템을 설치하여 신속한 격리와 24시간 응급처치가 가능하게 하고 스마트폰으로도 대응 훈련이 가능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지역주도 대한민국 과학방역을 선도하고 있다.아울러, 겨울철 재유행의 우려를 불식하고자 60세 이상 고령층과 감염취약시설을 중심으로 3대 특별 시책 (①부서장 솔선수범, 동절기 특별접종기간 운영 ②감염취약시설 추가접종 현장점검 ③동절기 추가접종 평가지표 반영)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박성수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관리사업 최우수기관상 수상은 코로나 장기 대응의 어려움 속에서도 300만 도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도, 시군 및 유관기관이 함께 노력한 결과이다”라며“앞으로도 감염병 예방관리에 철저를 기해 더 안전하고 건강한 경북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8일 대구 인터불고엑스코 호텔에서 대구경북 수출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북미, 중국, CIS, 중동 등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내년도 세계시장 진출 전략 설명회를 개최했다. ▲ 2023세계시장진출전략설명회(사진=경북도) 이번 행사는 <변화 속의 기회, 수출 더하기> 라는 주제로 전 세계 수출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KOTRA)의 해외지역 책임자들의 도움을 받아 마련했다.내년도 세계시장 전망을 살펴보고 권역별 최신 현안 점검을 통해 대구경북 기업의 향후 수출전략을 마련하는 나침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준비했다. 특히, 최근 강대국의 자국 우선주의와 전쟁 등 돌발변수가 빈번하고 각국의 긴축정책으로 실물경제가 침체되는 등 위기와 기회가 혼재된 시장상황 속에서 돌파구를 찾고자 100여 명의 대구경북 기업과 수출유관기관 관계자가 설명회에 참석했다.이날 설명회에 발표자로 참석한 KOTRA 중국지역 본부장은 내년에는 코로나로 타격을 받은 내수시장 회복을 위해 중국 정부에서 경제정상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며 제품의 고급화, 개인화, 현지화 등 중국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미지역 본부장은 미국이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첨단산업 육성정책을 추진하면서 기술에 강점을 보유한 우리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그에 따른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본부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현지시장 재편 가능성에 따른 신규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동지역 본부장은 에너지 가격 상승 흐름에 따라 회복된 재정여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중동 붐이 재개되는 등 해당시장 진출에 호기가 될 것이라고 정리했다.이응원 경북도 외교통상과장은“우리가 기회시장을 면밀히 살피고 현지시장과 산업별로 맞춤형 전략을 추진한다면 새로운 성장기회와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라며 "국가 수출 둔화와 무역수지 적자 기조 속에서도 도는 앞으로도 우리 기업이 성공 기회를 적기에 포착해 수출 성공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지난 6일 문화재청 주관으로 열린 「2022년 문화재 안내판 개선사업 우수사례 시상식」에서 2년 연속으로 문화재청장 기관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 우수기관 표창 수상(사진=경북도) 경북도는 광역지자체 중에서는 최초로 지난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재청장 기관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이번 시상식은 특히 경주시에서 문체부장관 기관표창을, 성주군에서 문체부장관 개인표창을 수상하면서 경북도는 전국 우수사례 8개 중 3개나 차지하는 영광을 누리게 됐다.문화재 안내판 개선사업은 문화재청이 기존의 전문적이고 어려운 용어의 안내판을 개선해 국민 누구나 알 수 있는 쉬운 안내판 제공을 위해 추진하고 있다.이번 평가는 문화재 안내판 개선 우수사례에 대한 포상을 통해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정책효과를 확산하기 위해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해 왔다.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경북은 문화유산의 중심지답게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의 문화재 안내판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간 시군과 함께 꾸준히 노력해 온 성과를 2년 연속 인정받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재 안내판을 통해 경북의 문화유산을 널리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지난 2020년부터 3년째인 바로마켓 경북점(이하 바로마켓)을 운영한 결과 지난해 대비 20%증가한 연매출 32억원을 달성해 지역 농가에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바로마켓 경북점(사진=경북도) 바로마켓은 도시 소비자에게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농업인에게는 안정적인 판로를 열어줘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목적으로 매주 70여 농가에서 직접 재배한 과일?채소?축산물 등 800여개 농산물을 판매하는 직거래장터이다.올해는 지난 4월 2일부터 12월 4일까지 35주간 주말마다 운영했다.주요 성과를 살펴보면 총매출액 32억원, 방문객 수는 9만5055명, 자체앱(APP) 등록 회원수는 1만891명이다.특히, 매출액은 지난해 27억원 대비 20% 증가했고 일평균매출액은 4600만원, 방문객 평균구매액은 3만3684원으로 이는 지난해 대비 각각 24%, 27% 증가했다.이 같은 성과는 저렴한 가격에 품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자로부터 직접 구매할 수 있다는 직거래 장터 고유의 장점 외에도 재구매 고객 유치를 위한 포인트적립 제도, 농할쿠폰 운영, 시군의 날 행사 확대 및 쌀전업농, 양계협회, 환동해산업연구원 등 유관기관?단체들과 연계한 품목별 특판 행사를 지속해서 개최했다.또 어린이들에게 농업에 대한 가치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다채로운 6차 산업체험, 곤충체험 등 다양한 체험과 볼거리를 꾸준히 개발해 제공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올해는 기존의 경북농업자원관리원 외에도 도와 업무협약기관인 롯데GRS에서 운영하는 대형커피전문점‘엔제리너스 아일랜드점’(대구 수성못)에 바로마켓 2호점을 개장했다.이를 통해 기업과 농업의 상생을 도모하고 도시민들에게 한 발짝 다가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고 참여농가가 직접 출연하는 현장 라이브커머스도 진행해 온/오프라인을 통한 소비자와의 소통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였???다.이 밖에도 바로마켓에서는 지역 사회복지시설에 농산물 후원과 사랑의 김장 나눔행사를 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간 상생형 모범사례로 다욱 성장해 나갈 기틀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올 한해 바로마켓 운영에 도움주신 농업인과 소비자분들께 감사드리며 3년째를 맞아 바로마켓이 단순한 농산물직거래 장터를 넘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명소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며, “올해도 운영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내년도에는 한층 더 발전한 바로마켓으로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제조 현장의 로봇 활용 확대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로봇 운용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8일 구미 국가4산업단지에서「로봇직업혁신센터」개소식을 개최했다. ▲ 로봇직업혁신센터 개소(사진=경북도) 이날 개소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구미시,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을 비롯한 유관기관 관계자 및 국내외 로봇기업 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해 로봇운용 인재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센터 개소를 축하했다.이번에 개소되는 로봇직업혁신센터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총 295억원(국비 144억, 지방비 151억)의 사업비를 투자해 연면적 3449㎡, 지상 3층 규모로 건립했다.산업용 로봇 실습실, 로봇자동화 테스트 공간, 협동로봇 실습실 등을 갖추고 산업용로봇, 협동로봇, PLC활용제어, 모바일로봇, 공정설계 시뮬레이션 S/W 등 104대 로봇과 SW 16식의 로봇실습 교육장비가 구축되어 로봇운용 전문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실습중심의 단일 로봇교육 시설로는 국내 최대 규모이며 산업 맞춤형 로봇운용인력 배출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게 될 전망이다. 또 2020년부터 이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내에 임시교육 공간을 구성해 재직자 및 미취업자 우선으로 6축 다관절 로봇, 스카라 로봇, 병렬 로봇 등 실제 장비를 활용하는 실습위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사업이 종료되는 2024년에는 25개 이상의 교육과정, 4개 이상의 자격과정 운영으로 로봇오퍼레이터* 1,840명, 로봇코디네이터** 261명이 양성되어 교육생 이력관리를 통한 맞춤형 취업 연계로 국내외 주요 로봇기업 및 연구기관 등에 인재를 공급해 산업현장 로봇활용 전문 인력 양성의 혁신 거점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 로봇오퍼레이터 : 로봇의 조작, 시스템 운영, 주기적인 유지보수 등을 담당 ** 로봇코디네이터 : 현장수요에 따라 로봇기반 생산라인 기획·설계, 설치 담당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경북은 자동차, 전기전자 등 주력산업 부품 생산에 산업용 로봇이 절대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오늘 개소하는 구미 로봇직업혁신센터를 통해 제조현장에 사용되는 로봇 운용 전문인력을 양성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 모델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8일 울진 호텔덕구온천 회의장에서 도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계자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2022 경북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강화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강화 컨퍼런스(사진=경북도) 이날 대회는 <지역 맞춤형 통합돌봄체계 구축!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를 가지고 경북도가 주최하고 울진군, 울진군지역사회보장협의체, 경북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무국연합회가 주관했다.또 민선8기 이철우 도지사가 추진하고 있는 「내가 중심이 되는 복지」실현을 위해 지역사회가 중심이 돼 협의체를 어떻게 활성화시킬 것인가를 고민하고 협의체 위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자리가 됐다.행사는 협의체 활성화에 기여한 21명에 대한 도지사 표창 수여와 정우철 울진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위원장의 <지역 맞춤형 복지안전망 구축 사례> 특별강연, 정병두 前통영시장애인복지관장의 기조강연 등으로 진행했다.한편,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사회보장을 증진하고 사회보장 기관, 법인, 시설, 단체와 연계?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23개 시군과 330개 읍면동에 두고 있는 민관협력 기구이다.시장?군수와 민간위원장이 공동위원장으로 운영하며, 시군의 복지ㆍ보건ㆍ주거ㆍ고용 등 부서 담당공무원, 종합복지관, 자원봉사센터, 지역자활센터, 의료?정신보건?경찰?소방분야 전문가 및 실무자, 대학교수, 종교단체 관계자 등 9000여명으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구성하고 있다.이 협의체는 지역사회의 민간 복지자원을 조사해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수립, 시행, 평가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또 지역 사회보장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협치, 연계,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적 안전망으로써 복지사각지대를 발굴, 지원해 복지 체감도를 높이고 있다.박세은 경북도 사회복지과장은 “지역사회 내에서 단절된 이웃을 연결해 관계를 회복시키는 복지공동체 실현을 위해 협의체가 민관 협력의 구심점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복지뉴스] 근로·자녀장려금 12월 1일까지 신청
[대구·경북 보도자료] POST-APEC의 중심, 대구경북신공항의 성공 건설로부터
[대구·경북 보도자료] “미래를 여는 지식·문화의 공간”대구도서관, 11월 5일 정식 개관!
[대구·경북 보도자료] 경상북도,‘사랑의 김장 담그기’로 나눔·연대 실천
[대구·경북 보도자료] 경북소방, 대형 임차헬기 배치로 산불대응력 강화!
[대구·경북 보도자료] 장애인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 자활·자립을 위한 희망찬 발걸음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의회, 제321회 정례회 개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