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군위군 ‘유용미생물배양소’가 땅은 살리고, 농산물의 품질은 높이며, 축사 악취제거 및 가축 생산성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는 경북도 친환경 농업의 중심 메카로 자리 잡고 있다.▲ 새해농업인실용교육 도단위 현장강사교육(사진=군위군) 지난 19일 군위군농업기술센터 유용미생물 배양소에서 경상북도·시·군 전문강사 대상으로 한 '2022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도단위 현장강사교육'을 경상북도농업기술원과 군위군농업기술센터가 협력으로 실시하였다.교육은 경북대학교 신재호 교수의 미생물 배양기술 및 활용에 대한 특강과 군위군농업기술센터 황태경지도사의 농업용 미생물 활용방법 뿐 아니라 미생물 활용 현장 컨설팅 등으로 진행됐다.군위군농업기술센터는 2016년 총 사업비 16억3천만 원을 들여 전국 최초로 1년 만에 효령면 성리 일원에 건축연면적 445㎡ 규모의 유용미생물 배양소를 건립했다. 유용미생물 배양소에는 멸균배양기, 저온저장조, 자동포장기 등 생산 장비를 갖췄다. 지금까지 유산균, 효모, 고초균, 광합성균, 방선균 등 13종의 특허균을 생산해 600여톤이 사용되었으며, 농축산물 품질향상 및 수량증대에 효과가 알려지면서 사용농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신회용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가뭄과 폭염, 이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운 요즘 유용미생물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농업 농촌생태계를 보전하고 농업인의 소득을 높이기 위해 미생물 보급사업이 확산되고 있다”면서“금번 교육으로 경상북도 농업미생물 보급사업이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임업. 산림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 했다.▲ 임업 직불제법 국회통과(사진=군위군산림조합) 군위군산림조합(조합장 최규종)은 임업인의 숙원이던 임업직불제를 지난 10여 년 전부터 임업인과 함께 적극 홍보하고 노력한 결과 지난 11월 11일 국회 본회를 통과 했다고 밝혔다.그 동안 산림조합은 조합원과 임업인의 100만 서명운동에 적극 동 하여 정부와 국회의 공감을 갖도록 많은 기여를 했다. 임업 직불제는 임산물 생산업에 종사하는 임업인에 대해 지급하는 임산물 생산업 직접지불제도와 육림업 직접지불제도로 구분 하여 지급한다.▲ 최규종 조합장 최규종 조합장은 ‘지금까지 적극적인 노력의 결과 산림의 공익기능 증진에 대한 기여를 보상받을 수 있게 되어 기쁘다’ 면서 앞으로도 조합의 역할을 다해 갈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이법은 2022년 10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하위법의 제정으로 결정된다.
사)경북군위군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센터장 최장태)는 지난 11월 18일(목) 14:00 ~ 지회 임원, 회원이 참석한 가운데“모두가 편리한 시설 이용을 위한 편의시설 증진교육”을 실시하였다. ▲ 편의시설 증진교육 실시(사진=경북지체장애인협회군위군지회)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이하“장애인등 편의법”이라 함)이 1998.04.11.부로 시행되고 있으나 장애인편의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았으며, 그로 인하여 장애인편의시설이 적절하게 설치가 되지 않고 장애인등 사용자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러한 현 상황을 함께 해쳐나갈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장애인등 편의법 안내 ▲장애인등 편의법의 필요성 ▲건축법 및 편의법 용도에 따른 해당사항 비교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는 등 장애인으로 살아가면서 군위관내 편의시설의 불편함에 대한 내용을 토론하였다.최장태센터장은“편의시설은 장애인만을 위한 시설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고쳐 모두를 위한 시설이라는 점을 깨닫고, 편의시설 설치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공감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경북군위군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는 2022년 분기별로 임원, 편의센터직원 및 조사요원, 군위군민, 그 외 편의시설에 관심있는 분들께 체계적으로 장애인 편의시설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경상북도에서는 11. 18.(목) 코로나19 확진자 국내감염 49명이 신규 발생했다. ▲ 코로나19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군위군 노인복지회관에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경산시에서는 총 20명으로 ▷ 경산 소재 학교 관련 접촉자 17명이 확진 ▷ 11. 17.(수) 확진자(대구시 남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1. 18.(목) 확진자(경산#2,129)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영천시에서는 총 5명으로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1. 12.(금) 확진자(영천#337)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9.(화) 확진자(영천#320)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8.(목) 확진자(영천#357)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2.(금) 확진자(영천#334)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안동시에서는 총 4명으로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 ▷ 11. 18.(목) 확진자(안동#430)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7.(일) 확진자(안동#391)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구미시에서는 총 4명으로 ▷ 11. 10.(수) 확진자(대구 달서구)의 접촉자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11. 17.(수) 확진자(구미#1,804)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1. 16.(화) 확진자(부산 진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경주시에서는 총 3명으로 ▷ 11. 12.(금) 확진자(경주#1,136)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1. 13.(토) 확진자(경주#1,140)의 접촉자 1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됐다.영주시에서는 11. 17.(수) 확진자(영주#369)의 접촉자 3명이 확진됐다.11. 16.(화) 확진자가 다니는 감염취약시설의 종사자 및 입소자 580명과 지인을 전수검사 한 결과 18일 영주에서 3명과 봉화에서 지인 3명이 추가 확진됐다. 해당 시설은 현장 위험도 평가 후 접촉 종사자를 전수 자가 격리 조치, 집중 방역·소독 후 2층과 3층을 코호트 격리했다.칠곡군에서는 11. 17.(수) 확진자(대구시 중구)의 접촉자 3명이 확진됐다.봉화군에서는 11. 17.(수) 확진자(영주#369)의 접촉자 3명이 확진됐다.김천시에서는 총 2명으로 ▷ 11. 17.(수) 확진자(김천#681)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6.(화) 확진자(부산시 진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상주시에서는 총 2명으로 ▷ 11. 17.(수) 확진자(경기도 평택시)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5.(월) 확진자(서울시 송파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경상북도에서는 최근 1주일간 국내 244명(해외유입 제외)이 발생해, 주간 일일평균 34.9명으로, 현재 1963명이 자가 격리 중이다.※ 검사 및 확진자 현황 (누적확진 10,504명) *( )해외유입일 자11.5.11.6.11.7.11.8.11.9.11.10.11.11.11.12.11.13.11.14.11.15.11.16.11.17.11.18.검 사16,37613,1775,8607,78013,25512,79113,64613,0419,8889,5475,6339,10911,13814,360확진자35(2)9460(3)483633413542(1)3492651(1)49확진율*0.20.71.00.60.30.30.30.30.40.40.20.30.50.3자가 격리자2,2362,4892,4802,6532,2202,1782,1111,9241,8921,5321,5081,4891,6141,963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244명, 1일평균 34.9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586명, 1일평균 41.9명 * 확진율 : (당일 확진자 수 / 전일 검사실적)*100지역별 누계 확진자 수는 포항 1,468, 경주 1,164(+3), 김천 683(+2), 안동 432(+4), 구미 1,809(+4), 영주 372(+3), 영천 361(+5), 상주 209(+2), 문경 93, 경산 2,132(+20), 군위 30, 의성 217, 청송 66, 영양 13, 영덕 57, 청도 227, 고령 239, 성주 161, 칠곡 480(+3), 예천 121, 봉화 95(+3), 울진 61, 울릉 14명 순이다.또한 이날 사망자는 1명 발생해 누계 100명이 되었고, 완치자는 56명 늘어 누계 9천951명으로 집계됐다.
의성소방서(서장 전우현)는 제74회 11월 불조심 강조의 달을 맞이하여, 지난 17일 의성전통시장에서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원, 전통시장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화재예방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불조심 강조의달 화재예방 캠페인(사진=의성소방서) 이날 캠페인에서는 ▲다중밀집장소 화재예방 홍보 캠페인 ▲119다매체 신고서비스 홍보물 배부 ▲주택용소방시설 설치 홍보 ▲소방차 길터주기 및 퍼레이드 ▲전통시장 점포점검의 날 운영 ▲전통시장 관계기관 화재안전 협의체 구성 및 간담회 ▲화재위험3대 전기제품·화목보일러 안전사용 홍보 등이 진행하였다.전우현 의성소방서장은 “건조한 기후로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겨울철은 화재예방이 최우선시 되어야한다”며 “특히 겨울철 사용 횟수가 급증하는 3대 난방용품인 전기히터·전기장판·전기열선에 대해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사용하길 당부드린다”고 전했다.난방용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인증(KC마크)을 받은 제품 사용하며, 전기용품은 사용 후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플러그를 뽑아두고 난방용품 전선이 무거운 물체에 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군위군 귀농인연합회(회장 나길태)는 17일 오전 10시부터 부계면 나길태 회장의 집에서 돌봄어르신 및 이웃돕기 김장담그기 봉사활동을 펼쳤다. ▲ 행복한 겨울나기 김장김치 나눔 행사(사진=군위군)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장기화와 추워진 날씨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소외계층에게 따뜻한 정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나길태 회장을 비롯해 귀농인연합회 회원 20여 명이 참여했다.봉사자들은 단계적 일상 회복을 위한 거리두기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각종 재료를 손수 준비해 500여 포기의 김장김치를 정성껏 담갔다.이날 담근 김장김치는 5㎏들이로 포장해 8개 읍면 120여가구의 돌봄 어르신과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나길태 회장은 “이번 김장봉사 행사는 경제적, 정신적 어려움으로 김장김치를 마련하지 못하는 저소득계층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달하는 나눔행사다”라고 밝히며 “우리들의 조그만 보탬으로 어르신들께서 연말을 따뜻하게 보내면 좋겠다”고 말했다.김영만 군위군수는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상황 속에서도 김장 나누기 봉사를 펼쳐 어려운 이웃들이 온정이 가득한 김치를 맛있게 드실 수 있게 해준 귀농인연합회 회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사랑의 김장김치로 우리 이웃이 올겨울을 훈훈하게 보내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내 저소득층의 자립을 돕고 있는 군위지역자활센터(센터장 박현효)는 지난 17일 경북광역자활센터에서 실시하는 2021년 카페사업단 직무교육에 카페사업(커피왕 군위점) 참여주민 5명이 참석 하였다.▲ 카페사업 직무교육 참가(사진=군위지역자활센터)이번 교육은 카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경북지역의 카페 사업단을 대상으로 실시 되었으며, 에스프레소, 라떼, 카페 메뉴 개발 실습 교육이 진행 되었다.
군위군 농업기술센터는 지난 16일부터 다음 달 17일까지 8회에 걸쳐 농산물 가공을 희망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산물 가공 기초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농산물 가공 리더 육성(사진=군위군) 교육내용은 내 사업 방향 잡기, 식품 가공 기본 다지기, 농식품 가공 사업계획 수립,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부가가치 창출 방안 등으로 진행된다. 이후 기초과정 수료자와 농산물 가공 농가를 대상으로 심화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기초 및 심화 과정을 통해 농산물 가공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자가진단 및 현황분석을 통해 사업계획을 수립해본 농업인을 군위군 농산물가공연구회(가칭) 회원으로 구성하고 내년 준공을 앞둔 농산물종합가공센터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개발된 시제품 또는 판매용 제품을 실제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며 군위군 농산물 가공 리더로 육성할 계획이다.김영만 군위군수는 “가공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가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농업인들이 가공 창업의 꿈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건립 중인 농산물종합가공센터가 농가의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창업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군위군(군수 김영만)은 지난 17일 농업기술센터에서 실시한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소스 개발 교육을 성황리에 마쳤다. ▲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소스 개발 교육(사진=군위군) 지난 9월 30일을 시작으로 우리음식연구회원 대상으로 한 교육이 이뤄졌고 8회에 걸쳐 진행된 교육은 지역 농·특산물에 어울리는 소스를 활용한 음식개발 및 표준화 레시피 개발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우리음식연구회원들은 발사믹소스를 이용한 샐러드 탕수육, 흑임자·마늘 등을 이용한 해물·과일 샐러드 등 지역 식재료 및 계절별 농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배우며 알찬 시간을 보냈다.교육 수료식에 참석한 신회용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앞으로도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향토음식을 발굴하여 계승·발전시키고 김수환 추기경의 행복한 바보밥상에 이어 군위를 대표하는 특화식품 및 특화밥상을 개발하는 즐거운 작업에 함께할 것”을 당부했다.
경상북도에서는 11. 17.(수) 코로나19 확진자 국내감염 50명, 해외감염 1명이 신규 발생하였다. ▲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소보면에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경산시에서는 총 11명으로 △ 경산 소재 학교 관련 접촉자 10명이 확진 △ 11. 14.(일) 아시아에서 입국한 1명이 확진되었다.▲ 경산 소재 학교 관련은, 11. 16.(화) 확진자가 다니는 학교의 같은 학년을 검사한 결과 금일 학생 6명과 가족 2명, 지인 2명이 추가 확진되었다. 해당 학교는 나머지 학년과 전 교직원을 전수검사중이며 방역·소독 조치 후 원격수업으로 전환하였다.포항시에서는 총 10명으로 △ 11. 16.(화) 확진자(포항#1,458)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1. 17.(수) 확진자(포항#1,469)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6.(화) 확진자(포항#1,459)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1. 16.(화) 확진자(포항#1,461)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6.(화) 확진자(대구시 달서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1. 17.(수) 확진자(포항#1,468)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무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되었다.경주시에서는 총 9명으로 △ 11. 16.(화) 확진자(경주#1,153)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1. 10.(수) 확진자(경주#1,135)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3.(토) 확진자(경주#1,144)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9.(화) 확진자(경주#1,131)의 접촉자 1명이 자가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1. 5.(금) 확진자(경주#1,116)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7.(수) 확진자(경주#1,161)의 접촉자 2명이 확진되었다.김천시에서는 총 4명으로 △ 11. 16.(화) 확진자(김천#676)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6.(화) 확진자(김천#677)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되었다.성주군에서는 총 4명으로 △ 11. 16.(화) 확진자(성주#160)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1. 11.(목) 확진자(성주#136)의 접촉자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 △ 출국을 위한 선제검사 후 1명이 확진되었다.예천군에서는 총 2명으로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 △ 11. 17.(수) 확진자(예천#120)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되었다.안동시에서는 총 2명으로 △ 11. 16.(화) 확진자(경기도 안산시)의 접촉자1명이 확진 △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에서 1명이 확진되었다.구미시에서는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되었다.문경시에서는 총 2명으로 △ 11. 16.(화) 확진자(서울시 도봉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12.(금) 확진자(문경#89)의 접촉자 1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되었다.청도군에서는 11. 9.(화) 확진자(청도#221)의 접촉자 2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되었다.영주시에서는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에서 1명이 확진되었다.영덕군에서는 11. 15.(월) 확진자(영덕#56)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되었다.경상북도에서는 최근 1주일간 국내 236명(해외유입 제외)이 발생하여, 주간 일일평균 33.7명으로, 현재 1,614명이 자가격리 중이다.※ 검사 및 확진자 현황 (누적확진 10,455명) *( )해외유입일 자11.4.11.5.11.6.11.7.11.8.11.9.11.10.11.11.11.12.11.13.11.14.11.15.11.16.11.17.검 사13,45916,37613,1775,8607,78013,25512,79113,64613,0419,8889,5475,6339,10911,138확진자8435(2)9460(3)483633413542(1)3492651(1)확진율*0.60.20.71.00.60.30.30.30.30.40.40.20.30.5자가격리자2,5872,2362,4892,4802,6532,2202,1782,1111,9241,8921,5321,5081,4891,614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236명, 1일평균 33.7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621명, 1일평균 44.4명 * 확진율 : (당일 확진자 수 / 전일 검사실적)*100지역별 누계 확진자 수는 포항 1,468(+10), 경주 1,161(+9), 김천 681(+4), 안동 428(+2), 구미 1,805(+2), 영주 369(+1), 영천 356, 상주 207, 문경 93(+2), 경산 2,112(+11), 군위 30, 의성 217, 청송 66, 영양 13, 영덕 57(+1), 청도 227(+2), 고령 239, 성주 161(+4), 칠곡 477, 예천 121(+3), 봉화 92, 울진 61, 울릉 14명 순이다.또한 이날 사망자는 1명 발생해 누계 99명이 되었고, 완치자는 61명 늘어 누계 9천895명으로 집계됐다.
군위초등학교(교장 박미애)는 17일 4~5학년 학생과 군위초 피노오케스트라 단원이 함께 여는 ‘행복 시(詩)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행복 시(詩) 콘서트’는 경상북도교육청 군위도서관의 주관으로, 사전 시 낭송 지도를 받은 군위초등학교 학생들의 독송과 합송, 그리고 피노오케스트라 단원의 아름다운 선율까지 더해져 한 폭의 그림 같은 풍성한 무대가 펼쳐졌다.▲ 행복 詩 콘서트 개최(사진=군위초) 축하 메시지로 경상북도 교육청 임종식 교육감은 ‘사랑에 답함’ 낭송시를 영상으로 보내어 ‘행복 시(詩) 콘서트’를 응원했다. 지역 낭송가와, 통기타 밴드, 마지막을 장식한 성악 공연까지 출연하신 모든 분들이 한마음을 모아 자리를 빛낸 멋진 시간이 되었다.‘행복 시(詩) 콘서트’에 참여한 4학년 학생은 “처음에 무대를 준비 할 때는 무척 떨렸는데, 시 낭송을 마치고 나니 가슴이 뭉클하고, 친구들의 낭송과 오케스트라 공연을 감상하니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이었어요.”라고 소감을 밝혔다.박미애 교장은 시 낭송 및 공연을 열심히 준비한 학생들에게 격려의 박수를 보내며, “오케스트라 공연과 시 울림이 어우러진 이번 ‘행복 시(詩) 콘서트’를 통해 학생들이 예술적 감수성을 키우고, 시를 접하며 바람직한 인성 함양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길 바라며, 앞으로도 따뜻한 삶의 힘을 키우는 예술 교육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2021. 11. 16.(화) 군위초등학교(교장: 박미애)에서는 ‘아이에게 슬로리딩/온 책 읽기의 즐거움을 선물하는 방법’이란 주제로 김은아(현 작가/마음문학치료연구소장) 소장님을 모시고 부모 교육을 실시하였다. 슬로리딩이란? 한 권의 책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시간을 들여 천천히 꼼꼼하게 읽는 방법이다.▲ 부모 교육 실시(사진=군위초) 이날 강사님은 다양한 책을 소개 주시면서 책의 내용뿐 아니라 내용과 관련된 배경지식과 그 책을 통한 나눔과 실천의 부분까지 적용해 볼 수 있도록 말씀하셨다. 슬로리딩의 효과는 독서의 참맛을 알게 하고 책을 감상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아까워하지 않고 그 시간과 노력에서 독서의 즐거움을 발견함으로 유능한 독자가 되게 한다고 한다.한편 학부모님들이 먼저 독서에 대한 즐거움을 가지고 관심과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는 계기가 된 뜻깊은 시간이었다.
의흥초등학교(교장 윤혜자)는 11월 16일(화) ‘오늘은 청소day’행사를 실시하였다. 이 행사는 교내외의 환경을 정화와 마을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오늘은 청소day!(사진=의흥초) 의흥초는 오늘 행사를 위해 11월초부터 많은 준비와 노력을 기울였다. ‘깨끗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11월 학생회 회의 주제로 하여, 전교 학생회의에서 학생들이 직접 고민하고 결정한 것이 이 행사이다.학생들은 사전에 행사 당일의 교내 청소구역, 마을 캠페인 동선을 정하고 캠페인 피켓을 꾸미는 등 준비를 하였다. 그런 다음, 행사 당일에는 교내외를 청소하고 직접 마을을 돌아다니며 쓰레기를 주으며 캠페인을 진행하였다.오늘 행사에 참여한 6학년 김OO학생은 “조금 힘들었지만 우리가 열심히 청소해서 깨끗해진 마을을 보니 기분이 좋았고, 지나가는 어른들이 훌륭한 일을 하고 있다고 칭찬해주셔서 무척 보람을 느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의흥초는 이 밖에도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도 자신의 의견이 학교를 움직일 수 있다는 생각에,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내고 능동적으로 활동하는 등 학생자치활동을 통해 진정한 민주시민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앞으로도 의흥초가 학생이 주인이 되는 명품 학교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서울 예술의전당(SAC)의 우수 예술 콘텐츠를 영상으로 만나는 ‘싹 온 스크린(SAC on Screen)’이 지난 10월 ‘춘향탈옥’을 시작으로 11월에는 넌버벌 장르의 ‘스냅’이 군위생활문화센터에서 상영된다.▲ 미스터리 퍼포먼스 '스냅' 포스터(사진=군위군) 싹 온 스크린은 ‘Seoul Arts Center on Screen’의 줄임말로 서울 예술의전당 영상화 사업으로 우수 예술 콘텐츠를 영상을 통해 온 국민이 함께 보고 즐기는 프로젝트다.지난 10월부터 시작된 ‘싹 온 스크린’은 12월까지 군위생활문화센터 1층 행복 숲 갤러리에서 진행되며, 매 달 마지막 주 수요일 하루 2회, 오후 2시와 오후 6시에 상영을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1회당 인원수는 20명으로 제한하며, 센터 내에서는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진행될 예정이다.오는 11월 24일 상영할 ‘스냅(SNAP)’은 직관적인 무대언어와 동화적인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마임, 쉐도우그래피, 미디어아트, 마술 등이 결합된 무언극이다. 상영시간은 약 70분이다.한편, 모든 공영은 무료입장이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 사전예약은 11월 12일부터 11월 23일까지 전화접수(054-383-8702)로 진행되며, 군위군 주민 한정으로 예약할 수 있다. 기타 문의는 (재)군위문화관광재단 홈페이지(군위문화관광재단 (gunwi3964.org)) 참고 또는 군위생활문화센터(054-383-8702)로 문의하면 된다.
군위군 강소농 자율모임체(군위 시골장터) 농업인들이 17일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하여 지역 농산물 판매에 팔을 걷어붙였다. 라이브커머스는 라이브스트리밍(Live streaming)과 이커머스(E-commerce)의 합성어로 온라인 실시간 양방향 소통 판매경로로 확대되고 있는 신 마케팅시장이다. ▲ 신마케팅 시장 라이브커머스(사진=군위군) 군위군농업기술센터 주관으로 지난 7월 1기, 10월 2기 라이브커머스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총 30여 명의 교육생을 배출하였으며, 교육기간 중 라이브커머스 첫 방송을 시작한 데 이어 꾸준히 농산물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강소농 자율모임체(군위 시골장터)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표고버섯, 찹쌀, 하늘마, 햇생강, 완숙토마토 품목이 시중 가격보다 10~2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었다. 품목별로 총 5회에 걸친 방송을 통해 시청자수 1,000여 명, ‘좋아요’1만여 건을 받아내면서 큰 관심과 호응을 이끌어냈다. 신회용 군위군농업기술센터 소장은“앞으로 라이브커머스 교육과정을 확대하여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농업인들이 지역 농산물을 전량 판매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군위군협의회(회장 이우석)는 지난 16일 삼국유사 테마파크 이야기학교 1층 삼국유사강당에서 대행기관장 김영만 군위군수와 자문위원, 군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0기 자문위원 평화공감 워크숍 및 4분기 정기회의」를 개최하였다.▲ 제20기 자문위원 평화공감 워크숍 및 4분기 정기회의(사진=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군위군협의회) 이우석 협의회장은 “제20기 자문위원이 된 지 2달 반이 지난 지금, 민주평통에서 어떤 일을 하며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많은 공부와 고민을 하고 있던 시점에 제20기 자문위원 평화공감 워크숍을 통하여 현재 북한실상에 대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강연을 잘 듣고 4분기 정기회의 때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다양한 정책건의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앞으로 더욱 자문위원으로서 자부심과 사명감을 갖고 우리 지역민들이 서로 화합하고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나라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자문위원님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부탁드린다.”며 인사를 전하였다.탈북강사 이소연 강사는 이제 만나러 갑니다 TV 프로그램을 통해 낯익은 강사로 “북한생활기 365 ”라는 주제로 북한과 남한의 다른 일상생활과정과 우리와 다른 북한의 언어에 관심을 갖고, 평화통일 이후 경제, 사회와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게 될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4분기 정기회의에 참석하신 대행기관장이신 김영만 군수는 격려사를 통해“올 해의 마지막 정기회의로 일 년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는 회의에, 바쁘신가운데에 불구하고 참석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자문위원 여러분들께서 노력해주신 덕분에 지역의 평화통일에 관한 열망과 관심은 더욱 더 커져가고 있고, 앞으로‘수신제가치국평천하’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며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한다 말처럼 가정의 평안과 건강챙기시며 평화통일 한반도를 위해 나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역량을 집중해 줄 것을”당부했다.이날 4분기 정기회의에서는 전기식 국민소통분과위원장의 토론진행으로 한반도 종전선언 실현을 위한 대내외 정책 추진방안을 위해 민주평통 자문위원들의 민주평통의 역할 모색 및 정립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정기회의 정책건의 주제 관련 토론은 자문위원별 작성한 설문지의 내용을 종합, 정리하여 정책건의(안) 내용에 반영하여 의장(대통령)님께 전달될 예정이다. 한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헌법에 설립 근거로 둔 대통령 직속의 헌법기관으로서 통일에 관한 국내외 여론수렴, 국민적 합의 도출, 범민족적 의지와 역량의 결집 등 조국의 민주적 평화통일을 위한 정책의 수립 및 추진코자 1981년에 출범한 범국민적 평화통일정책자문기구이다.
[대구·경북 보도자료] 조경구 의원, 대구시 도시철도 통합 문제점 지적 및 구조 개편 촉구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의회, 확대의장단 회의 개최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소방안전본부, 제63주년 ‘소방의 날 기념식’ 개최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민 ‘단디’ 돌보겠습니다~! 통합지원협의체 출범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 2026년 상반기 정기 조직개편 시행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 11.7조원 규모의 2026년 예산안 편성 지출구조조정 통해 민생·미래산업에 집중 투자!
[대구·경북 보도자료] 치유농업으로 교직원 마음 건강 지킨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