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군위군(군수 김영만)은 지난 6일 농작업 과정별 안전성 향상을 위한 2021년 작목별 맞춤형 안전관리 실천 시범사업의 최종평가회를 실시했다. ▲ 작목별 맞춤형 안전관리 실천 시범사업 최종평가회(사진=군위군) 부계면 ‘동산 친환경 사과작목회’(총 37명)를 대상으로 추진해 온 본 사업은 사업비 5,000만 원을 투입, 농작업 위험요소 분석·개선을 위한 전문가 컨설팅(경북대 하유신 교수),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농업인 안전교육 등을 진행했다. 안전관리 전문 컨설팅은 농작업별 동작분석 및 주요작업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안전농기구 2품목, 안전복 등 안전보호구를 보급했다. 또 농작업 위험요인 개선을 위해 안전체조 실시, 공구 정리정돈 시설 및 농약보관함 설치 점검 등 안전 작업 환경을 갖췄다. 또한, 전문가 안전교육 5회를 실시하여 농업인 안전관리 의식 향상도 유도했다. 매일 농작업 안전관리 기록을 통해 스스로 안전의식을 진단하고 안전보건 활동을 강화하는 실천도 이뤄졌다.사업에 참여한 동산1리 이정포 작목반장은 “사업이 작목반원들의 안전의식 향상에 중점이 맞춰져 있어 올 한해 농사 중 작목반에 큰 사고는 한 건도 일어나지 않은 것 같다”며 사업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신회용 농업기술센터소장은 “사업결과 농작업 안전관리 수준은 향상되고 작업단계별 위험성은 감소되는 소기의 효과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도 안전한 농작업 안전관리를 통한 건강한 농촌마을 만들기에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군위중학교(교장 남준모)에서는 2021학년도 하반기 생명사랑 활동으로 12. 2(목)에 특별한 애플데이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 애플데이 행사(사진=군위중)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지친 마음을 달래고, 자기정화를 위해, 아침 자습 시간 (20분)동안 교직원 및 전교생이 치유음악을 들으면서 자기반성과 자기회고의 시간을 가짐으로써 스스로를 돌아보는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다.많은 교직원과 전교생이 동참해주었고, 짧은 시간이었지만, 군위중 모두에게 내적 성숙과 힐링과 자성의 시간이 되었다. 또한 처음 애플데이 행사를 맞는 학생들은 진짜 사과를 받는 즐거움으로 자기가 쓴 카드를 애플나무에 달면서 행사를 만끽했다. 전교생이 만든 사과나무를 교내와 상담실에 비치하여 학생들이 보다 편하고 자유롭게 Wee클래스를 왕래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가 되었다.
군위군(군수 김영만)은 지난 6일 ㈜부국주택(대표이사 이부용)이 희망2022나눔캠페인에 성금 500만 원을 기부했다고 전했다. ▲ 희망나눔캠페인 성금 기부(사진=군위군) 매년 꾸준한 기부로 나눔을 실천하고 있는 이부용 대표이사는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우리 지역의 이웃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뜻을 밝혔다.김영만 군위군수는 “지역주민을 위해 소중한 성금을 기부해주신 따뜻한 마음에 감사드린다.”며 “코로나19 장기화와 동절기 영향으로 위축된 연말에 지역사회에 훈훈한 온기가 전해지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군위군협의회(회장 이우석)는 12월 3일(수) 오전 10시부터 군위고등학교 시청각실에서 군위고 3학년, 자문위원, 교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1 청소년과 함께하는 평화공감 통일 토크콘서트”를 개최하였다. 이번 통일 토크콘서트는 수능시험 이후 대학과 사회진출을 앞둔 고3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일에 대한 관심과 올바른 통일관 정립 목적으로 개최하게 되었다.▲ 2021년 청소년과 함께하는 평화공감 통일토크 콘서트(사진=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군위군협의회) 한승호 교수는 “청년 통일 공감”이라는 주제로 최근 북한의 변화와 북한과 남한의 차이를 학생들이 온몸으로 느낄 수 있게 해주었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북한사회에 대한 질문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강의를 하셨다.군위고 학생들에게 이제 청년으로서 북한에 관심을 가지고 통일에 대하여 한번 생각해보고,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 볼 것을 권하면서 북한의 궁금한 것들에 대하여 질의 응답하는 시간을 가지며 학생들과 눈높이에 맞는 대화로 통일에 대하여 한 번 더 생각해 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학생들이 평화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친근하고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통일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평화통일공감 이벤트도 진행되었다. 한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헌법기관으로서 국민의 통일의지와 역량을 결집해 민족의 염원인 평화통일을 구체적으로 실천코자 1980년대 초반에 범국민적 평화통일정책자문기구로 설립됐다
경상북도에서는 12. 6.(월) 코로나19 확진자 국내감염 128명, 해외감염 1명이 신규 발생했다.▲ 코로나19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군위군 노인복지회관에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포항시에서는 총 36명으로 ▷ 포항 소재 병원 관련 총 21명(종사자 3명과 환자 18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 ▷ 12. 5.(일) 확진자(포항#1,679)의 가족 1명이 확진 ▷ 포항 소재 어린이집 관련 12. 1.(수) 확진자(포항#1,585)의 접촉자 1명과 가족 2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12. 6.(월) 확진자(포항#1,775)의 동료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포항#1,668)의 동료 1명이 확진 ▷ 11. 28.(일) 확진자(포항#1,533)의 접촉자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가족 1명이 추가 확진 ▷ 11. 28.(일) 확진자(포항#1,534)의 가족 1명이 확진 ▷ 확진자(대구 달서구)의 동료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포항#1,667)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45)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61)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됐다.경산시에서는 총 21명으로 ▷ 경산 소재 병원 관련 3명(환자 1, 확진자 가족 2) 확진 ▷ 경산 소재 미인가 교육시설 관련 8명(학생 4, 교인 2, 가족 2)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산#2,361)의 동료 1명과 그 가족 1명이 확진 ▷ 11. 30.(금) 확진자(경산#2,243)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11. 30.(금) 확진자(경산#2,259)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산#2,326)의 가족 4명이 확진됐다.경주시에서는 총 17명으로 ▷ 아시아에서 입국한 외국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3)의 가족 2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4)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9)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5)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6)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8)의 지인 2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4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경주#1,283)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경주#1,285)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울진#114)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충남 천안)의 가족 1명이 확진됐다.구미시에서는 총 15명으로 ▷ 11.26(금) 확진자(구미#1,892)의 지인 2명이 격리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11.27(토) 확진자(구미#1,898)의 지인 1명이 격리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12. 1.(수) 확진자(구미#1938)의 지인 1명이 격리 중 확진 ▷ 12. 5.(일) 확진자(구미#1987)의 가족 5명이 확진 ▷ 12. 5.(토) 확진자(구미#1994)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5.(토) 확진자(구미#1996)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5.(토) 확진자(구미#1990)의 가족 1명이 확진 ▷ 확진자(대구 달서구)의 동료 2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됐다. 울진군에서는 총 14명으로 ▷ 12. 5.(일) 확진자(울진#100)의 가족 2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울진#110)의 가족 2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울진#104)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울진#114)의 가족 1명과 지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울진#102)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울진#93)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울진#80)의 지인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울진#119)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울진#122)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울진#107)의 지인 1명이 확진됐다.영주시에서는 총 6명으로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영주#438)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영주#439)의 지인 3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영주#441)의 가족 1명이 확진됐다.김천시에서는 총 5명으로 ▷ 11. 30.(화) 확진자(김천#722)의 가족 1명이 격리 중 확진 ▷ 12. 1.(수) 확진자(김천#723)의 지인 1명이 격리 중 확진 ▷ 12. 3.(금) 확진자(김천#731)의 가족 1명이 격리 중 확진 ▷ 12. 5.(일) 확진자(전북 완주)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충북 충주)의 지인 1명이 확진됐다.문경시에서는 총 4명으로 ▷ 11. 30.(화) 확진자(문경#162)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12. 2.(목) 확진자(문경#177)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대구 달서구)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문경#199)의 가족 1명이 확진됐다.안동시에서는 총 3명으로 ▷ 12. 5.(일) 확진자(안동#463)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안동#466)의 가족 2명이 확진됐다.영천시에서는 총 2명으로 ▷ 12. 5.(일) 확진자(대구 북구)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영천#384)의 가족 1명이 확진됐다.상주시에서는 총 2명으로 ▷ 12. 5.(일) 확진자(경기 수원)의 동료 1명이 확진 ▷ 12. 6.(월) 확진자(상주#230)의 가족 1명이 확진됐다.영덕군에서는 ▷ 영덕 소재 병원관련 격리 중인 환자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됐다. 군위군에서는 12. 5.(일) 확진자(서울)의 지인 1명이 확진됐다.봉화군에서는 11. 26.(금) 확진자(봉화#100)의 가족 1명이 격리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경상북도에서는 최근 1주일간 국내 778명(해외유입 제외)이 발생해, 주간 일일평균 111.1명이며, 현재 3517명이 자가 격리 중이다.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누적확진 12,052명) *( )해외유입일 자11.23.11.24.11.25.11.26.11.27.11.28.11.29.11.30.12.1.12.2.12.3.12.4.12.5.12.6.검 사11,52414,63417,74718,34717,69711,10610,44015,03222,22721,15516,29219,36311,30711,853확진자6598(1)11695(1)10368(1)68971068290(3)99(1)181(1)129(1)확진율*0.60.70.70.50.60.60.70.60.50.40.60.51.61.1자가 격리자2,5332,7342,9782,9753,0162,9003,0622,6532,8383,2053,2633,1993,1633,517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778명, 1일평균 111.1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1,388명, 1일평균 99.1명 * 확진율 : (당일 확진자 수 / 전일 검사실적)*100지역별 누계 확진자 수는 포항 1,777(+36), 경주 1,287(+17), 김천 745(+5), 안동 470(+3), 구미 2,011(+15), 영주 447(+6), 영천 385(+2), 상주 231(+2), 문경 199(+4), 경산 2,385(+21), 군위 57(+1), 의성 223, 청송 68, 영양 17, 영덕 152(+2), 청도 240, 고령 246, 성주 215, 칠곡 519, 예천 127, 봉화 114(+1), 울진 123(+14), 울릉 14명 순이다.또한 이날 사망자는 2명 발생해 누계 115명이 되었고, 완치자는 120명 늘어 누계 1만798명으로 집계됐다.
군위농협 서부지점(조합장 최형준, 지점장 김성준) 직원 강하라 주임은 보이스피싱 사고를 막아 군위경찰서(서장 최용석)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고 1일 날 밝혔다.▲ 감사패 전달(사진=군위농협) 군위농협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오전 고객A씨가 서부지점을 찾아와 정기예금 3,000만원을 중도해지 해 현금으로 달라고 다급히 요청했다. A씨는 “자기 딸이 친구에게 보증을 섰는데 그게 잘못되어서 지금 사채업자에게 납치되었으니, 현금을 준비하라”는 전화를 받고 황급히 서부지점을 방문한 것이다.직원 강주임은 고객A씨의 불안한 표정과 끝까지 수표나 계좌이체가 아닌 현금 인출을 요구하는 점이 수상히 여겨 금융사기예방진단표를 작성 중에 보이스피싱임이 드러났다.지난 6월과 11월에도 군위농협은 보이스피싱을 막아 고객의 소중한 자산을 지킨바 있다.군위농협 최형준 조합장은 “직원들의 평소 세심한 관찰력과 관심 덕분에 조합원 및 고객들의 소중한 자산을 지킬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믿고 신뢰할 수 있는 군위농협이 되겠다”고 밝혔다.
군위농협 고향주부모임(회장 박정옥)은 지난 12월2일 군위농협 경제사업장에서 회원 및 농협관계자와 함께 사랑의 김장김치 나눔 행사를 가졌다.▲ 행복나눔! 사랑의 김장축제(사진=군위농협) 박정옥 회장 및 회원들은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하루 전부터 모여서 배추를 절이고, 김장을 하면서 훈훈한 이웃사랑을 실천하였다. 그렇게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회원들은 김장을 하면서 화기애애하게 웃으며 즐거움을 감출 수 없었다.최형준 조합장은 “해마다 한번도 거르지 않고 지역을 위해 봉사활동에 나서는 고향주부모임 회원들께 감사를 드리며, 군위농협은 앞으로도 지역사회에 공헌한다는 취지로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곳을 발굴하여 지원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전하였다.
군위농협(조합장 최형준)은 쌀 가격 하락에 따른 벼 재배농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선재적으로 신속하게 자체수매를 본점 유통센터에서 3일간(12월1일~3일) 실시하였다.▲ 벼 자체수매 실시(사진=군위농협)이번 수매물량은 본지점 180여 농가를 대상으로 40kg 기준 23,000포이며, 800kg 톤백으로는 1,170여 톤백의 물량을 매입하였다. 수매단가는 일품 1등(40kg/1포) 기준 62,000원이며 전체 수매실적은 14억여원을 달성하였다.사전에 집행부와 임원들이 이사회에서 벼 재배농가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고통을 함께 나눈다는 취지로 추가 예산편성을 하였다. 그 결과 만장일치로 전품종, 전등급 40kg 1포당 1,000원씩 자체보조금을 지급하기로 의결하였다. 그렇게 의결된 사항으로 집행될 추가비용은 약 23백여만원이다.▲ 최형준 조합장 최형준 조합장은 “쌀은 우리의 생명이며, 농업의 미래이자 근간이므로 그 어느것과도 대체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이번 자체수매를 통하여 농가소득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가격하락 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벼 재배농가와 아픔을 함께 하겠다”고 약속하였다.한편, 군위농협은 지난 2018년부터 금년까지 4년간 벼 자체수매를 이어와 지역민 및 조합원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고매초등학교는 12월 2일(목) 전교생이 의성군 다인면에 위치한 경상북도교육청의성안전체험관을 찾아 약 3시간 동안의 안전교육을 이수하였다. 이번 행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안전 수칙을 익혀 나와 가족, 주변 사람들을 지키자’는 기치 아래 추진되었다.▲ 경상북도교육청의성안전체험관 교육 이수(사진=고매초) 이번 교육은 교통안전교육, 재난안전교육, 생활안전교육 세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강사 선생님들의 친절한 설명에 따라 학생들이 직접 체험해 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교통안전교육관에서는 화물차 운전석에 탑승하여 사각지대를 확인해 보았고, 버스에 갇혔을 때의 대응 방법과 사고 시 대피 방법을 익히기도 하였다. 자동차 전복 실험을 통해 안전벨트를 꼭 매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이어서 재난안전교육과 생활안전교육을 통해 지진이나 화재 발생 시 대처 및 대피 방법을 배웠고, 연기가 자욱한 실내 통로를 통과하는 체험도 하였다. 4D 영상관에서 화재 대피와 풍수해 대피 영상을 시청하며 교육을 마무리하였다.교육을 모두 이수한 한 학생은 “연기로 가득 찬 어두운 통로를 통과할 때는 연습 상황인 것을 알면서도 겁이 났다. 그래도 이렇게 한번 경험해 보니 실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대피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우보면 여성자원봉사대(회장 김석파 외 4명)는 지난 3일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및 독거노인 가구를 위해 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나눔 봉사활동을 펼쳤다.▲ 이웃사랑 실천 김장 나눔(사진=군위군) 행사를 준비한 김석파 회장은 “코로나로 외출이 힘든 어르신들께 겨울 동안 드실 수 있는 김장김치를 드릴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김시춘 우보면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외출이 자유롭지 않았던 취약계층에게 식사 도움을 준 봉사대원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앞으로도 소외된 이웃들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다원코리아 전기웅 부대표는 지난 3일 군청을 방문하여 지역의 교육발전과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발전기금 300만 원을 기탁했다.▲ 교육발전기금 삼백만원 기탁(사진=군위군) 전기웅 부대표는 기탁식에서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일수록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지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기탁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사)군위군교육발전위원회 이사장 김영만 군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군위를 사랑하고 학생들을 위하는 마음에 대해 감사드린다. 군위군교육발전위원회는 기탁해주신 분들의 소중한 마음을 이어받아 지역인재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다원코리아는 군위농공단지에 입주한 자동측정 및 제어장치 제조업체로서 공공폐수처리장 노후 개장제어장치 교체, 하수처리시설 감시제어 시스템 교체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경상북도에서는 12. 5.(일) 코로나19 확진자 국내감염 180명, 해외감염 1명이 신규 발생했다.▲ 코로나19 지역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군위읍에서 방역활동을 펼치고 있다.포항시에서는 총 81명으로 ▷ 12. 3.(금) 포항 소재 정신병원의 종사자가 확진되어 추가 검사 결과 종사자 1명과 입원환자 64명, 가족 2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46)의 가족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3명이 확진 ▷ 11. 28.(일) 확진자(포항#1,538)의 지인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11. 30.(화) 확진자(포항#1,557)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18)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48)의 가족 2명이 확진▷ 12. 4.(토) 확진자(포항#1,649)의 가족 1명과 지인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50)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55)의 가족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됐다.경북도는 포항 소재 정신병원 집단감염과 관련해 즉각 코로나19 대응팀을 파견해 현장위험도 및 접촉자, 시설 등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고 동일 집단격리 조치했다. 경산시에서는 총 45명으로 ▷ 경산 소재 병원관련 종사자 4명과 입원환자 2명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부산 동래구)의 가족 2명이 확진 ▷ 11. 30.(금) 확진자(경산#2,242)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경산 소재 미인가교육시설에서 12. 4.(토) 확진자가 발생해 추가 검사결과 교직원 9명과 학생이 26명 확진됐다. 원격수업 전환 후 학생들을 자가 격리 조치하였으며, 기숙사는 폐쇄했다. 울진군에서는 총 12명으로 ▷ 12. 4.(토) 확진자(울진#97)의 가족 2명과 지인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울진#98)의 가족 3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울진#102)의 가족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울진#105)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울진#87)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울진#91)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울진#100)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됐다.구미시에서는 총 10명으로 ▷ 확진자와 접촉으로 자가 격리 중이던 3명이 격리 해제 검사에서 확진 ▷ 12. 4.(토) 확진자(대전 동구)의 동료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상주#228)의 가족 3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대구 달서구)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22)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됐다. 경주시에서는 총 9명으로 ▷ 12. 1.(수) 터키에서 입국한 내국인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경주#1,260)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4.(토) 경기도 확진자와 동선이 겹치는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7)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경주#1,269)의 가족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4명이 확진됐다.문경시에서는 총 9명으로 ▷ 문경소재 병원관련 환자 2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 ▷ 문경소재 병원 관련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문경#190)의 가족 1명이 확진 ▷ 11. 22.(월) 확진자(충남 아산)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확진 ▷ 12. 4.(토) 확진자(상주#228)의 가족 3명이 확진됐다.안동시에서는 총 5명으로 ▷ 12. 2.(목) 확진자(안동#452)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안동#466)의 가족 2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됐다.영주시에서는 총 4명으로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 ▷ 기숙사 입소를 위한 선제검사에서 1명이 확진 ▷ 12. 5.(일) 확진자(영주#438)의 가족 1명이 확진됐다.성주군에서는 ▷ 12. 4.(토) 확진자(대구 수성구)의 동료 3명이 확진됐다.김천시에서는 ▷ 11. 26.(금) 확진자(김천#696)와 동선 겹침으로 자가 격리 중 2명이 확진됐다.영덕군에서는 11. 29.(월) 확진자(영덕#119)의 지인 1명이 확진됐다.경상북도에서는 최근 1주일간 국내 718명(해외유입 제외)이 발생해, 주간 일일평균 102.6명이며, 현재 3163명이 자가 격리 중이다.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누적확진 11,923명) *( )해외유입일 자11.22.11.23.11.24.11.25.11.26.11.27.11.28.11.29.11.30.12.1.12.2.12.3.12.4.12.5.검 사6,39011,52414,63417,74718,34717,69711,10610,44015,03222,22721,15516,29219,36311,307확진자516598(1)11695(1)10368(1)68971068290(3)98(1)181(1)확진율*0.80.60.70.70.50.60.60.70.60.50.40.60.51.6자가 격리자2,4982,5332,7342,9782,9753,0162,9003,0622,6532,8383,2053,2633,1993,163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718명, 1일평균 102.6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1,311명, 1일평균 93.6명 * 확진율 : (당일 확진자 수 / 전일 검사실적)*100지역별 누계 확진자 수는 포항 1,741(+81), 경주 1,270(+9), 김천 740(+2), 안동 467(+5), 구미 1,996(+10), 영주 441(+4), 영천 383, 상주 229, 문경 195(+9), 경산 2,364(+45), 군위 56, 의성 223, 청송 68, 영양 17, 영덕 150(+1), 청도 240, 고령 246, 성주 215(+3), 칠곡 519, 예천 127, 봉화 113, 울진 109(+12), 울릉 14명 순이다.또한 이날 사망자는 1명 발생해 누계 113명이 되었고, 완치자는 66명 늘어 누계 1만678명으로 집계됐다.
경상북도에서는 12. 4.(토) 코로나19 확진자 국내감염 98명, 해외감염 1명이 신규 발생하였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군위자원봉사센터 주관으로 관내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포항시에서는 총 35명으로 △ 12. 3.(금) 확진자(포항#1,640)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1.(수) 확진자(포항#1,593)의 가족 1명과 지인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24)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22)의 가족 3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21)의 가족 5명과 지인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17)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33)의 지인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9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15)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포항#1,599)의 지인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18)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포항#1,607)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2. 1.(수) 확진자(포항#1,568)의 동료 3명이 확진 △ 11. 30.(화) 확진자(포항#1,557)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포항#1,661)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2. 1.(수) 확진자(포항#1,585)의 접촉자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되었다.경산시에서는 총 13명으로 △ 11. 24.(수) 확진자(경산#2,186)의 접촉자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3명이 확진 △ 11. 27.(토) 확진자(대구시)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1. 30.(화) 확진자(대구시 달성군)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경산#2,301)의 접촉자 5명이 확진 △ 12. 4.(토) 확진자(경산#2,311)의 가족 1명이 확진 △ 11. 27.(토) 확진자(경산#2,208)의 가족 1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되었다.울진군에서는 총 12명으로 △ 12. 3.(금) 확진자(울진#85)의 가족 2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울진#83)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1.(수) 확진자(울진#70)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1.(수) 확진자(울진#71)의 지인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3명이 확진 △ 11. 30.(화) 확진자(울진#67)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울진#73)의 접촉자 3명이 확진되었다.구미시에서는 총 10명으로 △ 11. 26.(금) 터키에서 입국한 1명이 확진 △ △ 12. 1.(수) 확진자(구미#1,938)의 가족 2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 △ 12. 3.(금) 확진자(구미#1,975)의 가족 1명과 지인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대구시 동구)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구미#1,971)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세종시)의 가족 2명이 확진되었다.안동시에서는 총 8명으로 △ 12. 3.(금) 확진자(안동#453)의 가족 2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3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안동#454)의 지인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서울시 종로구)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부산 수영구)의 가족 1명이 확진되었다.김천시에서는 총 3명으로 △ 12. 3.(금) 확진자(경기도 안산시)의 가족 5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되었다.경주시에서는 총 3명으로 △ 12. 3.(금) 확진자(경주#1,255)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경산#2,303)의 동료 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되었다.성주군에서는 총 3명으로 △ 11. 23.(화) 확진자(성주#167)의 지인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21)의 가족 1명과 지인 1명이 확진되었다.영주시에서는 영주 소재 학원 관련 가족 2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되었다.상주시에서는 총 2명으로 △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 상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되었다.문경시에서는 총 2명으로 △ 문경소재 병원관련 환자 1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 △ 문경소재 병원 관련 가족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되었다.영덕군에서는 총 2명으로 △ 영덕 소재 병원 관련 1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 △ 영덕 소재 학원 관련 1명이 자갂리 중 확진되었다.예천군에서는 12. 4.(토) 확진자(안동 #461)의 가족 1명이 확진되었다.경상북도에서는 최근 1주일간 국내 605명(해외유입 제외)이 발생하여, 주간 일일평균 86.4명이며, 현재 3,199명이 자가격리 중이다.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누적확진 11,742명) *( )해외유입일 자11.21.11.22.11.23.11.24.11.25.11.26.11.27.11.28.11.29.11.30.12.1.12.2.12.3.12.4.검 사8,0246,39011,52414,63417,74718,34717,69711,10610,44015,03222,22721,15516,29219,363확진자39516598(1)11695(1)10368(1)68971068290(3)98(1)확진율*0.50.80.60.70.70.50.60.60.70.60.50.40.60.5자가격리자2,4102,4982,5332,7342,9782,9753,0162,9003,0622,6532,8383,2053,2633,199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605명, 1일평균 86.4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1,170명, 1일평균 83.6명 * 확진율 : (당일 확진자 수 / 전일 검사실적)*100지역별 누계 확진자 수는 포항 1,660(+35), 경주 1,261(+3), 김천 738(+6), 안동 462(+8), 구미 1,986(+10), 영주 437(+2), 영천 383, 상주 229(+2), 문경 186(+2), 경산 2,319(+13), 군위 56, 의성 223, 청송 68, 영양 17, 영덕 149(+2), 청도 240, 고령 246, 성주 212(+3), 칠곡 519, 예천 127(+1), 봉화 113, 울진 97(+12), 울릉 14명 순이다.또한 이날 사망자는 1명 발생해 누계 112명이 되었고, 완치자는 91명 늘어 누계 1만612명으로 집계됐다.
경상북도에서는 12. 3.(금) 코로나19 확진자 국내감염 87명, 해외감염 3명이 신규 발생했다.▲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부계면 새마을 남녀지도자 회원들이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포항시에서는 총 20명으로 ▷ 12. 1.(수) 확진자(포항#1,558)의 동료 1명이 확진 ▷ 11. 28.(일) 확진자(포항#1,533)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12. 2.(목) 확진자(포항#1,606)의 동료 1명이 확진 ▷ 포항 소재 교회 관련 동료 2명과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6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포항#1,611)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포항#1,608)의 가족 3명이 확진 ▷ 11. 25.(목) 확진자(포항#1,489)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12. 2.(목) 확진자(포항#1,599)의 접촉자 2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포항#1,607)의 동료 1명이 확진됐다.경산시에서는 총 15명으로 ▷ 11. 24.(수) 확진자(경산#2,180)의 접촉자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11. 23.(화) 확진자(경산#2,165)의 접촉자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 ▷ 11. 29.(월) 확진자(경산#2,228)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경산 소재 S교회 관련 교인 4명과 지인 1명이 확진 ▷ 12. 1.(수) 아메리카에서 입국한 1명이 확진 ▷ 11. 28.(일) 확진자(포항#1,548)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3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경산#2,301)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3.(금) 확진자(경산#2,303)의 가족 1명이 확진됐다.울진군에서는 총 12명으로 ▷ 12. 2.(목) 확진자(울진#73)의 접촉자 11명이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됐다.12. 2.(목) 확진자(울진#73)의 근무지 주변 지인과 동선이 겹치는 접촉자를 검사한 결과 금일 11명이 추가 확진됐다.경주시에서는 총 11명으로 ▷ 11. 27.(토) 확진자(경주#1,219)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1.(수) 아시아에서 입국한 2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경주#1,244)의 지인 1명이 확진 ▷ 무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경주#1,242)의 가족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경주#1,246)의 동료 1명과 지인 1명이 확진 ▷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 후 1명이 확진 ▷ 11. 26.(금) 확진자(경주#1,218)의 가족 1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됐다.구미시에서는 총 10명으로 ▷ 구미 소재 태국 지인 관련 지인 1명이 자가 격리 중 가족 1명이 확진 ▷ 11. 25.(목) 확진자(구미#1,877)의 가족 3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4명이 확진 ▷ 구미 낚시 여행 관련 가족 1명이 확진됐다.영덕군에서는 총 7명으로 ▷ 영덕 소재 병원 관련 환자 2명이 시설격리 중 확진 ▷ 12. 1.(수) 확진자(영덕#131)의 접촉자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영덕#140)의 가족 1명 확진 ▷ 무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영덕#139)의 동료 1명이 확진 ▷ 12. 2.(목) 확진자(영덕#123)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김천시에서는 총 3명으로 ▷ 김천 소재 마을주민 관련 접촉자 1명이 자가 격리 중 확진 ▷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 ▷ 12. 1.(수) 확진자(경기 수원)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안동시에서는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2명이 확진됐다.청송군에서는 확진자(대구)의 동료 2명이 확진됐다.청도군에서는 12. 2.(목) 확진자(부산)의 가족 2명이 확진됐다.영주시에서는 유증상으로 선별진료소 검사 후 1명이 확진됐다.영천시에서는 11. 23.(화) 확진자(영천#367)의 가족 1명이 자가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확진됐다.상주시에서는 확진자(경기 안양)의 지인 1명이 확진됐다.문경시에서는 문경소재 병원관련 환자 1명이 확진됐다.예천군에서는 11. 27.(토) 확진자(서울 중구)의 접촉자 1명이 확진됐다.봉화군에서는 11. 27.(일) 확진자(봉화#104)의 지인 1명이 확진됐다.경상북도에서는 최근 1주일간 국내 610명(해외유입 제외)이 발생해, 주간 일일평균 87.1명이며, 현재 3,263명이 자가 격리 중이다. ※ 검사 및 확진자 현황 (누적확진 11,643명) *( )해외유입일 자11.20.11.21.11.22.11.23.11.24.11.25.11.26.11.27.11.28.11.29.11.30.12.1.12.2.12.3.검 사14,7438,0246,39011,52414,63417,74718,34717,69711,10610,44015,03222,22721,15516,292확진자26(1)39516598(1)11695(1)10368(1)68971068290(3)확진율*0.20.50.80.60.70.70.50.60.60.70.60.50.40.6자가 격리자2,3182,4102,4982,5332,7342,9782,9753,0162,9003,0622,6532,8383,2053,263 ※ 최근 1주간 국내발생 610명, 1일평균 87.1명 / 최근 2주간 국내발생 1,097명, 1일평균 78.4명 * 확진율 : (당일 확진자 수 / 전일 검사실적)*100지역별 누계 확진자 수는 포항 1,625(+20), 경주 1,258(+11), 김천 732(+3), 안동 454(+2), 구미 1,976(+10), 영주 435(+1), 영천 383(+1), 상주 227(+1), 문경 184(+1), 경산 2,306(+15), 군위 56, 의성 223, 청송 68(+2), 영양 17, 영덕 147(+7), 청도 240(+2), 고령 246, 성주 209, 칠곡 519, 예천 126(+1), 봉화 113(+1), 울진 85(+12), 울릉 14명 순이다.또한 이날 사망자는 1명 발생해 누계 111명이 되었고, 완치자는 43명 늘어 누계 1만521명으로 집계됐다.
군위교육지원청(교육장 김장미)은 2021년 12월 2일(목) 군위교육지원청 3층 대회의실에서 군위교육지원청 전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12월 소통·공감의 날 행사를 실시하였다.▲ 12월‘소통·공감의 날’개최(사진=군위교육지원청) 이날 행사에서 김장미 교육장은 “위드코로나 일상 속 학교 교육현장을 지원하는 청 직원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올 한해 마지막 한 달 남은 시점에서 각자 맡은 업무의 예산이 목적에 맞게 잘 집행되었는지 살펴보고 내년 인사이동에 따른 업무 인계인수에도 최선을 다해 달라.”고 전했다. 또한 이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직원 정서 함양 및 청렴 마인드 향상을 위한 맞춤형 직무 연수를 실시하였다. 정연옥 강사를 초대하여 화분에 담긴 아름다운 풍경(분경) 만들기 시간을 통해 업무에 지친 심신을 재충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에 김장미 교육장은 “청 직원들 각자 심신의 건강을 잘 지켜 다가오는 새해도 잘 맞이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국민의힘 김희국 국회의원(군위?의성?청송?영덕)은 내년도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건립 등 지역구 관련 9개 사업에 261억원의 예산이 증액되었다고 밝혔다.▲ 김희국 의원 주요 증액 내역을 살펴보면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건립 16억5천만원 ▲의성군 봉안당 신축 6억2천5백만원 ▲죽장-달산 국지도건설 2억원 ▲강구대교 국지도건설 6억원 ▲축산항-도곡 국지도건설 9억원 ▲도담-영천 복선전철 111억원 ▲포항-삼척 철도건설 30억원 ▲포항-안동1-1(2공구) 국도건설 50억원 ▲포항-안동2-1 국도건설 30억5천만원 등이다.특히,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와 의성군 봉안당 신축, 죽장-달산 국지도 건설사업은 당초 정부안에 미반영되어 있던 사업으로, 국회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신규로 반영되었다.김 의원의 총선 공약사업이기도 한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는 영덕군 병곡면 일원에 해양생물 종복원 연구시설, 구조치료 시설, 전시?교육시설 등을 건립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 372억원을 투입하게 되며, 이번에 확보한 16.5억원으로 ‘22년 기본 및 실시설계에 들어갈 예정이다.의성군 봉안당 건립사업은 의성읍 중리리 일원에 지상2층, 연면적 1,193㎡ 규모의 봉안당(납골당)을 건립하기 위한 사업으로, 정부 예산안에 미반영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나, 국회 심사과정에서 6.25억원을 신규로 확보하여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이와 관련 김 의원은 “총선 공약사업과 지역 숙원사업 예산확보로 지역 주민들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예산확보를 위해 함께 노력한 경북도 및 지역구 공직자 분들의 노고에도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대구·경북 보도자료] 조경구 의원, 대구시 도시철도 통합 문제점 지적 및 구조 개편 촉구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의회, 확대의장단 회의 개최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소방안전본부, 제63주년 ‘소방의 날 기념식’ 개최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민 ‘단디’ 돌보겠습니다~! 통합지원협의체 출범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 2026년 상반기 정기 조직개편 시행
[대구·경북 보도자료] 대구시, 11.7조원 규모의 2026년 예산안 편성 지출구조조정 통해 민생·미래산업에 집중 투자!
[대구·경북 보도자료] 치유농업으로 교직원 마음 건강 지킨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