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제 목 담당부서 ① 경북도, 어린이집 휴원 연장에 따른 긴급돌봄 적극 지원 등원 아동을 위한 학부모 걱정 없는 긴급보육 지속 실시 가족돌봄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장려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등 가정 양육 부모돌봄 지원아이세상지원과 ② 경북도, 코로나19 편승한 공직자 기강 문란행위 고강도 단속! 복무기강 문란행위에 대해 강도 높은 특별 감찰활동 실시 코로나19 대응 적극행정 면책, 물품 구매 시 일상감사 면제감사관 ③ 경북도,‘코로나19’대응 농산물도매시장 철벽 방어! 고강도 방역으로 농산물 수급 안정, 먹거리 안전 확보에 최선농식품유통과 ④ 육군본부, 코로나-19 극복 기부 행렬 동참 힘내라 경북! 어려움 극복 위해 육군 전장병 자발적 모금안전정책과 ⑤ 경북도, 대구지역 코로나19 환자 이송을 위해 구급차 20대 투입 대구 두류정수장 집결, 환자 이송 임무 투입, 확진자 158명 이송소방본부 ⑥ 겨울철 따뜻한 날씨로 복숭아 병해충 방제시기 앞당겨야 개화 시기가 빨라져 동계 약제 살포시기 당겨야... 청도 기준 3월 상·중순 방제 당부 농업기술원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3월 8일(일)자 코로나19 대응 정례 브리핑 자료를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내용이 많은 관계로 전문을 첨부파일로 제공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상북도「코로나19」발생 현황 현 황 □ 시군별 현황 시군별확진환자(전일대비)경산청도봉화구미칠곡안동포항의성영천성주경주김천473 136 53 52 47 44 43 41 36 18 17 16 +21 +1 +1 - -+5 +1 - +1 -- - 상주군위고령예천영주문경영덕청송영양울진울릉합계15 6 6 6 4 4 2 1 1 - - 1,021- - -+1 -- -----+31※ 신고지 기준으로 우선 집계된 현황으로 주민등록주소지 등이 다를 경우 추후 변경될 수 있음□ 확진환자 조치 내역 계병원생활치료센터배정 중사망퇴원소계포항의료원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대남병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안동병원타시도병원*1,021 561 144 178 130 0 19 4 0 1 85 262 129 15 54 +31 +5 +6 △2 △2 - +1 - - - +2 +36 △15 +2 +3 * 기타 병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33, 국립중앙의료원 9, 충남대병원 6 등 31개 병원 □ 확진환자 발생 원인별구분계신천지대남병원푸른요양원순례자밀알조사 중3.8.(일)31 9 - - - -22 누계1,021 468 116 51 29 24 333 대남병원 관련 구분계정신병동환자일반병동환자종사자퇴원사망3.8.(일)11660 -1236 8 * 종사자 중 대구 1명은 통계에서 제외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3월 7일(토)자 코로나19 대응 질의답변 브리핑 자료를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다음은 ? 코로나19 대응 질의 답변 브리핑 전문이다. 코로나19 언론 브리핑 2020. 03. 07브리핑룸 질문 : 좀 전 브리핑 중에 주소지가 태백인 해성병원 사망자 분은 사망 후 검체 채취에서 결과가 나온 걸로 되어 있는데, 이전에 해성병원에 푸른요양원 환자들 때문에 검체 조사를 했을 때는 병원에서 추가로 나온 분이 없었는데, 이 경우와 대남병원의 사례처럼 여러 차례 검사 후 확진이 나오는 걸로 봐서는 집단시설 감염을 막기 위해서라도 해성병원에 대한 재검 필요성 검토는? 보건정책과장 : 연일 사회복지시설, 집단시설로 인해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봉화 푸른요양원에서 무려 5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는데, 이번에 사망자는 주소지가 태백입니다. 여성이고 90세인데 이분이 2월 11일부터 가까운 봉화 해성병원에 입원 중이었습니다. 입원 중 사망으로 태백 장성병원으로 이송을 마친 상태에서 가족들이 해성병원과 푸른요양원 확진 관련 보도를 보고, 검사 요구에 의해 검진 후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푸른요양원에 대해서는 완전 전수검사를 마쳤고, 봉화 해성병원에 93명에 대한 전수검사도 마쳤습니다. 다행히 3월 6일, 어제자로 모두 음성 판정이 나왔습니다. 앞으로도 집단시설, 밀집시설, 또 의료기관 감염 등을 봐서 철두철미한 검진과 이행하겠지만, 감염의 우려가 있는 집단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있고, 앞으로도 관계되는 접촉자 분들에 대해선 모두 전수조사를 실시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질문 : 아까 지사님이 설명하신 청도 대남병원 관련해서 질문 드리는데, 이분이 정신병동에 있는 간병인인가요? 보건정책과장 : 네, 맞습니다. 질문 : 거기 관련해서 다시 한 번 브리핑 부탁드리고, 지금 검사가 군립요양병원에 사망 후 양성판정 받으신 분도 여러 차례 검사 후 뒤늦게 사망 후 양성 판정을 받았고, 이번에 간병인도 아까 지사님이 말씀하신 건 다섯 번 검사 후 여섯 번째 양성 판정이 나왔는데, 이런 경우가 없다고 하던데 왜 이런 건지? 보건정책과장 : 네, 먼저 중국인 간병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중국인 간병인은 청도 대남병원에 일반병원과 정신병동에 있었습니다. 이분은 일방병동의 간병인으로 활동을 해 왔었고, 계속 음성이었습니다. 그래서 좀 전 말씀드린 바와 같이 계속 간병인을 했던 분이기 때문에 인근 국립부곡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할 때 같이 가서 계속 간병활동을 해왔었습니다. 계속 검사를 했지만 음성이었기 때문에 활동을 했었고, 3월 1일 쯤 발열, 감기 증세로 의료진에게 얘기를 해서 검사를 하게 되었는데 5차 검사까지는 음성이 나오다가 6차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습니다.이런 사례가 지난 번 사망자에게도 있었습니다. 바이러스라는 것이 의해 사망을 해도 바이러스는 존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진에서도 사망을 했지만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부분이고,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검사가 불가피 했으며, 앞으로도 이런 의사환자 발생 시에는 지속적인 검사를 해서 원인 규명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질문 : 왜 두 차례나 음성이 나오다가 양성이 나오는 경우가 생기는지? 간병인이 대남병원에 작년 8월부터 근무를 했는데 그동안 중국을 방문에 대한 설명 부탁. 보건정책과장 : 네, 이분이 작년 12월 29일부터 올해 1월 8일까지로 중국방문 기간이 있었지만 거기에 대한 검사 결과는 없었습니다. 질문 내용에 대한 이유는 역학조사가 더 이루어져야 알겠습니다만 현재까지 역학조사상에서는 뚜렷한 원인은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분을 검사 할 당시로 봐서는 아마 유증상자로 판단이 되기 때문에 그런 것이고 균이라는 것이 없다가도 바로 생길 수 있는 부분입니다만, 일단 유증상은 발열입니다. 그리고 기침이나 가래 등이 있으면 의사에 의해서 검사를 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4~6차례 음성이 나오다가 양성이 나오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더 심층적인 역학조사가 필요한 부분으로 보고 있습니다. 질문 : 대남병원에 중국인 간병인이 총 몇 명? 보건정책과장 : 2명 있었습니다. 질문 : 2명 중 1명은 확진이 아닌가? 보건정책과장 : 네, 아닙니다. 질문 : 확진이 아닌 1명도 같은 일반병동에서 근무 했는지? 보건정책과장 : 네, 근무했던 분인데 이분은 음성입니다. 질문 : 양성판정을 받은 간병인이 1월 8일까지 중국을 갔다 왔는데, 대남병원 감염 경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부분에 대해서 조사를 하고 있는지? 보건정책과장 : 여기에 대해서도 충분한 역학조사를 거쳤습니다만, 그 당시 우리 역학조사관이 직접 나갔고 중앙에 질본 역학조사관 12명이 와서 심층역학조사를 했지만 아직까지는 정확한 원인 규명이 발표되진 않고 있습니다. 질문 : 대남병원의 슈퍼전파자로 보시고 있는 건지? 보건정책과장 : 그에 대해선 아직까지 역학조사 결과가 나온 게 없기 때문에 좀 더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 : 금방 질문 나온 대남병원 간병인 관련입니다. 국립부곡병원 이송 환자들은 정신병동환자인데 왜 이분이 일반병동 간병인이 거기로 갔는지? 이분이 2019년 8월 22일 대남병원에서 근무를 하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그 이전의 행적은? 11월 29일부터 1월 8일까지 중국을 방문했다고 했는데 중국 어느 지역인지? 보건정책과장 : 이분이 국립부곡병원으로 간 이유는 본인이 원해서 가게 되었고, 이분은 음성으로 자가격리 대상이었습니다. 8월 22일 이전과 중국을 방문한 지역에 대해선 조사가 안 되었기 확인 후 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 : 8월 22일 채용 전에는 뭘 했는지? 보건정책과장 : 그에 대한 부분도 정확하게 조사가 된 부분이 없어서 확인 후 별도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 : 자가격리 대상인 간병인이 국립부곡병원에 가서 간병을 한다는 것은 이상하지 않은지? 간병인이 필요해서 갔다고 하지만 자가격리를 하고 있어야 하는데, 거기를 갔기 때문에 확진을 받은 것은 좀 이상한데. 보건정책과장 : 청도대남병원에 대해서는 범정부특별대책지원단이 와서 모든 걸 지휘·관리 한 부분으로 가게 된 동기는 정확히 알고 있진 못해서 그 부분에 대해선 차후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질문 : 지금 자가격리 대상자 관리가 제대로 관리가 안 되어 고발 사건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렇게 자가격리자들이 밖에 다니면 3차, 4차 감염 우려가 얘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부터 자가격리자 앱 서비스가 시작되는데, 본인들이 이동을 할 때 핸드폰을 놔두거나 하면 앱의 필요성이 없어집니다. 이런 문제가 있기 때문에 도에서 시·군에서 강하게 얘길 해야 하고, 지금 자가격리 하는 걸 보면 시·군에서는 인력이 없어 1·2회 정도 밖에 확인을 못한다고 하는데, 그렇게 해선 자가격리 관리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시·군 공무원 1인당 자가격리자 1명 씩, 1일 1 멘토로 해서 관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보건정책과장 : 좋은 의견입니다. 지금 현재 매뉴얼에 의해 자가격리자에 대해선 담당공무원을 1대1로 지정해서 시행 중입니다. 매뉴얼 상은 2회가 되어 있지만 3~4회를 하고 있고, 시·군의 의사들도 참여를 해서 일주일 3~4회 정도는 의사가 직접 모니터링을 하는 것도 함께 실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자가격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스스로 한다고 하지만 이런 부분에 대해선 저희들이 강력하게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1대1 모니터링 중이지만, 전 행정력을 집중해서 모니터링을 더 강화하고 자가격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3월 7일(토)자 코로나19 대응 정례 브리핑 자료를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내용이 많은 관계로 전문을 첨부파일로 제공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코로나19 방역활동으로 과로사 한 공무원 빈소 찾아 유가족 위로 -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6일 저녁 코로나19 방역활동으로 과로사 한 성주군청 공무원의 빈소를 찾아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전했다. 고인이 된 A팀장은 성주군청 안전건설과에 근무하면서 지난 2월 17일부터 코로나19 비상대응 및 방역활동을 위해 휴일도 없이 비상근무를 해오다 3월 2일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져 그동안 사경을 헤매왔으며 3월 6일 새벽 4시경에 끝내 숨졌다. 고인은 23년여 공직생활 동안 공직자로서의 책임감과 성실함으로 산적한 현안업무 해결에 몸을 아끼지 않았고 평소 동료 직원들로부터 신망이 두터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별다른 지병이 없이 건강했던 고인이 갑작스럽게 죽음에 이르자 성주군청 동료 직원들은 놀라움과 안타까운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이철우 도지사도 유가족인 부인과 어린 세자녀(11세, 8세, 3세)의 손을 잡고 한 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한창 아버지가 필요한 때에 갑작스럽게 아버지를 떠나보내게 된 어린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에 이 지사는 한참 동안 빈소를 지켰다. 이철우 지사는 “고인의 빈소와 유가족들을 보니 슬픔을 참을 수가 없었다. 지역과 나라를 위해 헌신하다 격무로 인해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한 고인을 우리 전 공직자들은 결코 잊지 않을 것이다. 고인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코로나19를 조기에 극복하는데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북도「코로나19」발생 현황 현 황 ?□ 시군별 현황 시군별확진환자(전일대비)경산청도구미봉화칠곡포항의성안동영천성주경주김천452 135 52 52 47 42 41 39 35 18 17 16 +48 +1 +2 +3 +1 +5 - +1 +1 - +1 +1 상주군위고령예천영주문경영덕청송영양울진울릉합계15 6 6 5 4 4 2 1 1 0 0 990- - - - - - - -1 - - - +63※ 신고지 기준으로 우선 집계된 현황으로 주민등록주소지 등이 다를 경우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확진환자 조치 내역 구분계포항의료원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대남병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안동병원타시도병원*생활치료배정 중사망퇴원경북(전일대비증감)990138 180 132 0 18 4 0 1 83 226 144 13 51 +63-9 +36 -2 0 3 0 0 0 -3 +101 -76 0 +13 * 기타 병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33, 국립중앙의료원 9, 충남대병원 6 등 29개 병원 □ 확진환자 발생 원인별 구분계신천지대남병원푸른요양원순례자밀알조사 중3.7.(토)6318 0 3 0 0 42 누계990444 116 51 29 24 326 대남병원 관련 구분계정신병동환자일반병동환자종사자퇴원사망3.7.(토)11660 -1236 8 * 종사자 중 대구 1명은 통계에서 제외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3월 6일(금)자 코로나19 대응 질의답변 브리핑 자료를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다음은 ? 코로나19 대응 질의 답변 브리핑 전문이다. 코로나19 언론 브리핑 2020. 03. 06브리핑룸 질문 : 지금 현재 경북 전체 중에서 경산지역에 전체 확진자의 43.1%가 몰려있는데 특히 대학교도 많이 몰려있고 여기 집단감염을 막을 수 있는 경산 전체적인 대책이 필요 할 거 같고. 봉화군 푸른요양원 같은 경우 대책을 말씀 하셨는데 대남병원처럼 되지 않도록 현재 막을 수 있는 방안 그리고 현재 울진과 울릉 같은 경우에 전혀 감염자가 없는데 거기에 전혀 전파가 안 되도록 대책을 갖고 계신지? 도지사 : 경산은 우리 경북에 차지하는 비율도 40%지만 신천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65%입니다. 그래서 특히 젊은 분들이 많이 있는데 그래서 이분들을 차단을 어떻게 하느냐. 그분들 검체가 곧 다 끝납니다. 당분간 조금 늘어나겠지만 그 이후에 대책을 철저히 강구하도록 하고. 그래서 경산에 경북도 전염병 대책본부를 중앙에서 왔는 본부를 경산에 내일부터 가동을 합니다. 오늘 준비해서 내일 가동해서 경산지역 위주로 철저히 하고 경산지역에 마스크도 다른데 보다 많이 배부가 되도록 노력 중에 있고. 푸른요양원은 대남병원과 좀 다릅니다. 대남병원은 병원이기 때문에 거기서 코호트 격리 해서 치료를 했는데 여기는 병원이 아니고 요양시설이기 때문에 전원을 병원으로 이송합니다. 대남병원처럼 그 자체서 치료를 하는 게 아니고 감염자 모두를 이송, 병원에 입원시키도록 하고. 울진, 울릉지역 물론 자체적으로 이동을 차단시키고 또 신천지라든지 감염자가 거기 접촉자 들이 울릉, 울진 지역에 오는 걸 방어하겠지만 봉쇄라든지 이런 건 어려우니까 최대한 방역이라든지 방어하는 그런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고, 군 자체에서도 노력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질문 : 봉화 푸른요양병원이 한꺼번에 확진이 쏟아졌는데 이렇게 보면 감염 됐던 시기가 한참 지났다고 볼 수 있는데, 언제부터 이게 감염이 시작됐다고 추정하는지. 그리고 최초 감염 경로가 지금까지 나온 바로는 어떻게 되는지? 도지사 : 요양원에 할머니 두 분이 일단 해성병원에 입원을 했습니다. 해성병원에 입원했던게 3월 2인인가? 해성병원에 입원해서 그 분들 검체를 하니까 양성으로 나왔고. 그 이후에 할머니 두 분이 쓰는 방. 두 분이 한 방에 있었는데 그 분들이 양성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전원을 검체를 하니까 49명이나 나왔는데 언제 어떻게 감염이 됐는지 역학조사관이 어제 가서 계속 조사를 했지만 아직까지 원인을 못 밝히고 있는데, 추측으로는 종사자들이 출퇴근을 하기 때문에 내부에 있는 입소자 분들은 내부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청도 대남병원과 같은 사정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원인은 아직 못 밝히고 있지만 언제 어떻게 감염되었는지 종사자들이 출입을 통해서 감염이 되지 않았을가? 하는 추측이지 아직 역학조사를 해도 나타나지 않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대남병원도 아직까지 원인을 못 밝히고 있습니다. 질문 : 지금 보호자들 걱정이 큰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언제까지 이송을 완료 하시는 건지. 도지사 : 오늘 중에는 무조건 100% 다 합니다, 질문 : 지금 검사가 처음에는 음성으로 나오다가 다섯 차례까지 했다가 다섯번째 양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청도 그 할머니, 사망하신. 이런 경우 검사가 신뢰성이 있는건지? 보건정책과장 : 어제 사망하게 되신 청도 군립요양병원에 한 분이 사망을 하셨는데 사망하신 다음에 검체를 하게 되었습니다. 계시는 동안은 음성으로 있었기 때문에 검체를 하지 않은 상황이었고요. 그렇지만 의사가 판단하기에 청도대남병원과 같은 건물을 사용했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원인이 필요하다하고 역학조사관이 판단을 하고 검사를 했습니다. 그래서 4차까지 음성이 나왔습니다. 5차에 양성이 나오고, 6차 때 양성이 나오고. 2회의 양성이 나와서 확진자로 분류 하고 사망을 하셔서 현재 장례절차를 협의 중에 있습니다. 전문가 역학조사관에 따르면 이런 분들은 연세도 많으시고 아무래도 노출되어 있었을 확률이 있습니다. 가검물을 채취할 때 코에 있는 상기도와 목 안에 있는 하기도 두 개를 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연세가 많으신 분들은 하기도 부분에서 가래라든지 좀 뱉도록 해야 하는데 그런 가검물 자체가 정확하게 안 나왔을 수도 있고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의료진들은 나올 확률이 있다고 보고 계속 하게 되었는거고요.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4차례, 5차례 까지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상기도 한 번, 하기도 한 번 두 개 건수를 검사를 하는 걸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목 안까지 넣어서 가급적 검체를 하는데 가검물이 질적으로 볼 때 검사 나올 수 있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가검물을 채취하기 위해서 몇 차례 됐다고 보고. 그때 그때 했을 때는 환자 상황에 따라서 애로 사항도 있습니다. 연세가 좀 많으시기 때문에. 질문 : 봉화 푸른요양원에 대해서 더 추가로 질문 드리겠는데요. 갑자기 집단 감염이 일어난 측면도 있지만 건물 하나에 음성, 양성 환자가 뒤섞여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의료진도 부족하고 방호복 등 의료용품도 현저히 부족해서 혼란을 겪고 있다는데 지금 현재 상태가 어떤지 건물 안의 환자들 상황, 의료진 상황, 앞으로 대책을 세워 나갈건지? 보건정책과장 : 지금 봉화에 있는 푸른요양원은 봉화군 좀 떨어진 곳에 위치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상황인데 현재 117명의 입소자와 종사가 근무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까지 49명이 확정된 상태고, 19명은 검사를 의뢰한 상태고, 여기에 있는 분들에 대해서는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49명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분들에 대한 결과나 나왔기 때문에 두 분에 대해선 김천과 안동의료원에 벌써 이송을 한 상태고, 나머지분에 대해선 현재 역학조사관이 현장에 가셔서 중증과 경증을 분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부분 평균 연령이 88세입니다. 연령이 많기 때문에 중증으로 분류 될 확률이 높습니다, 오늘 총리주재 영상회의 때 도지사께서 건의를 하셨고 또 복지부에서도 받아들이기로 해서 한 20명 정도 까지는 국립중앙의료원으로 모셔서 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에 대한 문제가 바로 요양보호사가 문제가 있습니다. 이중에 49명 중에 10명이 요양보호사가 양성환자를 받았습니다. 집단 시설이 발생할 때는 같이 근무하고 했던 그 환자에 대한 관리라든지 증상이나 이런 걸 잘 알고 요양보호사를 3내지 4명 당 1명으로 해서 할애를 해서 이분들 하고 같이 양성자니까 같이 가서 진료를 하고. 지금 현재 음성자에 있는 사람들은 봉화군에서 자연휴양림으로 현재 20여 분 정도 격리를 시킨 상태고 나머지는 그 안에서 격리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도에서는 최대한 오늘 중으로는 경증환자는 3개 의료원에 전담병원으로 이송을 하고 중증환자는 긴급하게 응급 엠뷸런스를 동원해서 서울에 있는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안전하게 모실 계획입니다. 질문 : 정부 추경안이 나왔는데 대구·경북 예산이 6천억 원으로 전체 예산의 5% 밖에 배정이 안됐다고 알고 있는데요. 지사님께서 저번에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경북 예산이 기대에 못 미칠시 실망 하실거라고 말씀 하셨는데, 대응을 어떻게 하실지? 지금 추경이 내려오면 경북에 어려운 영세 상인들이 많은데 그나마 그래도 그게 내려오면 조금 나아지지 않을가 기대를 하고 있는데요, 추경 내려오면 어떻게 쓰일지 그 쓰임새에 대해서 말씀 부탁드립니다. 도지사 : 이 추경에 대해서는 6천억이라 하는 건 대구·경북 별도 예산이고 마스크 배분하고 똑같습니다. 마스크를 대구·경북에 별도 100만장을 주고 나머지는 농협이라든지 하나로마트라든지 우체국에서 판매 하듯이 우리가 별도 6천억을 받고 나머지는 다른 똑같은 전국적으로 지원하는 영세상인 지원, 중소기업 지원이라든지 이런 품목에 다같이 나누어서 하는 품목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푸대접 받았다고는 할 수 없고 6천억을 별도로 지원받았다. 마스크 별도지원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우리 경북에 예산이 얼마나 아직 국회에서 자료가 들어가야 공식적으로 파악을 할 수 있는데, 국회 제출되면 아직까지 자료를 정확하게 볼 수 없습니다. 자료를 정확하게 분석해서 국회가서 또 충분히 설득하도록 하고. 대구·경북 추경을 소홀히 하면 대구경북 지역민들이 많이 실망할거라고 대통령께 말씀드렸기 때문에 이분들도 잘 좀 하리라 생각하고. 저도 이번에 가 보지를 못했습니다. 못 가봤기 때문에 그래도 전화를 여러번 드렸고 했기 때문에 챙기리라고 생각합니다. 챙겨 보겠습니다. 질문 : 아까 사망자 관련해서 추가 질문 드리겠습니다. 아까 사망 후 검체라고 하셨는데요. 여러 차례 검사를 했는데 음성, 음성, 양성, 양성 나왔다 했는데 통상적으로 바이러스가 사후에는 증식이나 활동을 안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은데 이게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하고, 이분이 1차나 2차에서 양성이 나왔다면 치료가 되어서 사망을 하지 않았을 수도 있는지? 도지사 : 여러 차례 검사했다는 것은 여러 차례 검체를 할 수도 있지만 검체 했던 걸 가지고 경계 선상에 있다든지 그 자체가 확인을 하기 어렵다 그래서 한 번 더 확진을 해보는 겁니다. 저도 현장에 가 보니까 기계에 넣어서 마흔 몇 번을 확대하는데 그것을 한 번 더 해보고 또 경계 선상에 있으면 ‘양성인지 음성인지 모르겠다’ 하면 또 다시 검체 했던 가검물을 가지고 해 보는 거지…. 보건정책과장 : 바이러스는 사망 전이든 후든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 판단에 의해 이상 환자에 대해 검체를 하도록 되어 있으며, 결과가 안 나오는 부분에 대해서는 검사 결과가 경계치에 있는 경우 의사의 최종 확진이 필요하며, 발열이 계속 나는 상황에서는 연속적으로 검사가 필요합니다. 사망자에 대해서는 청도군립요양병원에 대해서는 폐쇄되어있던 대남병원 정신병동과 같은 통로로 연결 된 건물입니다. 그래서 의사진에서 끝까지 추적을 위해 검사 의뢰를 통해 확진을 받은 것입니다. 질문 : 검사가 양성이었으면 사망 안 하셨을 수도 있었던 건지? 보건정책과장 : 이분은 사망 후 의뢰를 했기 때문에 음성 환자만을 청도군립병원에서 격리 중이었습니다. 양성환자가 없었고 발열이 나는 의심증상이 보여 검사 의뢰를 한 사항입니다. 질문 : 최근에 경산 지역에서 갑자기 확진자가 증가한 이유는? 기존의 신천지가 많고 대구 생활권이라는 말씀은 하셨습니다. 대구는 증가폭이 감소하는 추센데 경산은 반대로 늘어나는 상황이라서 그런 이유는 설명 부탁드리며, 경산시에서 집회금지 철회 명령을 내렸는데, 지금 전체적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하고 있는 상황인데 경산시에서 그런 명령을 내린 부분은 의문 스러운 부분인데 거기에 대한 설명 부탁. 보건정책과장 : 첫 번째 질문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 도내 양성환자가 927명입니다. 대분류를 해보면 4가지로 할 수 있습니다. 첫째 경산·영천·포항·구미·경주·안동를 중심으로 하는 신천지 관련 환자가 있고, 두 번째는 116명의 대남병원이 있습니다. 대남병원은 거의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세 번째는 칠곡 밀알의 집, 어제부터 확대되고 있는 봉화 푸른요양원 집단시설 발생이 있습니다. 그리고, 의성 중심, 안동을 일부로 하는 성지순례 부분 이렇게 대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나머지는 숫자는 많지만 기타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분들도 어느 정도는 신천지와 관련이 있다고 보지만 역학조사에서 윤곽이 정확하게 드러나고 있진 않지만 저희들은 기타로 분류하면서도 계속해서 신천지와 연관관계를 조사 중입니다. 경산시가 계속 늘어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시다시피 신천지 교회 관련 명단을 확보, 일대일 전화 모니터링 과정에서 한꺼번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이 있고, 확진자는 이번 주 주말까지는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 검사의뢰 건수가 일 1천7백명에서 1천8명까지로 1천5백 명 이상입니다. 대상자가 많은 이상 검사에 따른 확진자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고, 정부 발표에서도 이번 주말을 고비로 보고, 우리 경북에서도 신천지 관련은 이번 주말이 되면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나지 않겠나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집회 관련은 좀 더 확인 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 푸른요양원 병원 입원 환자들에게 확진 받은 요양보호사를 같이 보내서 돌보도록 한다고 했는데, 지금 확진자가 확진 환자를 돌보는 사례가 있습니까? 보건정책과장 : 그런 뜻은 아닙니다. 요양보호사가 가는 이유는 이분들의 평균 연령이 88세에 가깝고 일반 의료원이나 국립중앙의료원을 갔을 때 환자에 대한 히스토리를 다 모릅니다. 그래서 계속적인 환자관리를 더 잘 하기 위해서며, 대부분이 치매, 고혈압, 당뇨, 천식, 호흡기 질환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 고령으로 인해 갑자기 중증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분들이 음성이라면 같이 가자고 못하지만, 양성환자에게 음성환자를 데리고 갈 순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분들이 양성환자고 계속 관리를 해왔던 분들이고 요양원측에서도 동행했을 때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되었습니다. 그리고 봉화군, 도, 중앙에서는 요양보호사가 부족해서 요양보호사협회를 통해 모집을 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에 갔을 때는 요양보호사 지원이 되지만, 자체에선 요양보호사 지원이 어렵기 때문에 우리 의료원에도 요양보호사를 했던 불들이 많아서 이분들을 자원봉사로 모집을 해서 진료과정의 불편의 최소화 할 계획입니다. 질문 : 요양보호사가 10명입니까? 11명입니까? 보건정책과장 : 요양보호사는 9명이고 간호조무사가 1명입니다. 그래서 총 10명입니다. 질문 : 확진인데 같이 가서 생활을 하면서 돌보겠다 이런 건지? 보건정책과장 : 네, 도와준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분들이 직접 간호사처럼 요양보호사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쉽게 환자를 돌보는데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질문 : 본인 동의는 받았는지? 보건정책과장 : 네, 동의를 받았습니다.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동행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동의를 받은 후 진행을 합니다. 질문 : 복지시설 예방 코호트 격리 관련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지금 우려가 되는 부분이 몇 가지 있는데, 코로나19 확진 유증사가 아닌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다른 질병으로 인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 입소자에 대한 계획과 근무자들이 7일간 근무 후 교대를 하게 되는데 교대근무 시 전파 우려에 대한 대책은? 보건정책과장 : 네, 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 581개소에 대해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코호트 격리를 합니다만 2주간 안에서 유증상자는 충분히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이 유증상자에 대해선 23개 시·군에 전담병원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전담병원에 예비병상을 남겨두었다가 양성이 나오면 신속히 해당 전담병원으로 이송 후 진료를 받을겁니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의료인력이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유증상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7일간에 대한 건 통상 격리기간이 2주기 때문에 그렇게 했는데, 원래 1주로 하려다가 2주로 늘린 것은 좀 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섭니다. 그래서 의료인력이 2주간 있을 경우 너무 힘들기 때문에 24시간 근무하는 조건으로 1/2씩 근무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분들이 1주를 하고 나오면 자가격리를 하게 되며 일일 모니터링을 합니다. 그래서 이상이 있을 경우 선별진료소를 거쳐 유증상자와 똑같은 절차를 거쳐 진행을 하게 됩니다. 질문 : 다른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오늘 새벽에 성주군청 직원 1명이 목숨을 잃었는데요, 아까 지사님께서 브리핑을 하면서 비상근무 공무원들에 대한 건강과 안전에 대한 조치를 강화하신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하시겠다는 건지 구체적으로 말씀 부탁. 보건정책과장 : 네, 성주군청 동료 공무원의 사망 소식은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지금 도에서는 전부서가 코로나19 대응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주무부서는 있습니다만, 현재도 향우회별로 시·군 생활치료센터에 직원이 파견을 나가 있습니다. 한 직원이 집중적으로 투입이 될 경우 무리가 오게 되기 때문에 동일 업무를 2~3명이 보면서 교대로 1명은 쉬고 2명은 근무를 하면서 업무에 임하고 있습니다. 전직원이 합심해서 하고 있지만 집중적인 업무로 무리가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 목 담당부서 ① 코로나19 극복... 이어지는 기부 행렬 조계종 4대 교구본사(직지사,은해사,불국사,고운사) 스님?신도회 뜻 모아 경상북도여성단체협의회, 경북옥외광고협회 각 성금 1천만원 한국청년회의소, 지역기업 ‘청아’, 경상북도청년CEO협회 각 손소독제 기부대변인 ② 경북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등 일정 연기 자체실시시험 4개, 위탁시험 3개 등 총 7개 시험 연기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수험생 및 도민 안전 확보와 지역사회 확산 차단인사과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는 3월 6일(금)자 코로나19 대응 정례 브리핑 자료를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내용이 많은 관계로 전문을 첨부파일로 제공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상북도「코로나19」발생 현황 현 황 ?□ 시군별 현황 시군별확진환자(전일대비)경산청도구미봉화칠곡의성안동포항영천성주경주김천40413450494641383734181615+57+3+2+44+3+1+1+5+2+1+1+2상주군위고령예천영주문경청송영덕영양울진울릉 1566544221-- ----------- ※ 신고지 기준으로 우선 집계된 현황으로 주민등록주소지 등이 다를 경우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확진환자 조치 내역 구분계포항의료원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대남병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안동병원타시도병원*생활치료배정 중사망퇴원경북(전일대비증감)927147 144 134 - 15 4 - 1 86 125 220 13 38 +122-1+2 +19 - 1 - - - -10+111 -16+3 +13 * 기타 병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36, 국립중앙의료원 9, 충남대병원 6 등 30개 병원 □ 확진환자 발생 원인별 구분계신천지대남병원푸른요양원순례자밀알조사 중3.6.(금)12236-44--42누계927420116482924290 대남병원 관련 구분계정신병동환자일반병동환자종사자퇴원사망3.6.(금)11663 -1332 8 * 종사자 중 대구 1명은 통계에서 제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 5일(목) 오후 도 지정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인 안동 국학진흥원 인문정신연수원을 방문했다. 이 지사는 도 자치행정국장으로부터 생활치료센터 운영계획 및 의료지원 준비상황 등을 보고 받고, 환자들이 사용할 시설을 점검하며 관계자들도 격려했다. 국학진흥원 인문정신연수원에는 5일 현재 16명의 경증환자가 입소했으며, 도는 5개반 40명의 지원반을 투입해 생활치료센터 운영에 최선을 다 할 방침이다.
- 코로나19 대응 공무원의 긴급하고 적극적인 의사결정 지원 - 경상북도는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선제 대응을 위해 맞춤형 적극행정 지원을 통한 조기종식에 행정조직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적극행정 제도를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현 상황에 맞게 조직체계를 구축하고 아울러 코로나19 대응 업무를 수행 중인 공무원의 긴급하고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도와 코로나19 조기종식에 전방위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적극행정 전담부서와 관련부서간의 긴밀한 업무협력 체제를 유지해 나간다. 적극행정 전담부서는 지원위원회 운용, 감사부서는 사전컨설팅 지원과 징계요구 등 면책, 인사부서는 징계면제 지원과 우수공무원 인사상 우대, 법제부서는 소송 등 지원, 회계부서는 방역관련 계약지원, 예산부서는 방역관련 예산·예비비 등 지원, 민생부서는 소상공인 지원 등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사전 컨설팅 지원은 코로나19 대응관련 규제나 불명확한 규정 등으로 적극적인 업무추진이 곤란한 경우 감사기관이 컨설팅 해주고 그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면 책임을 면제해주도록 한다. 감사부서의 장이 자문한 사항과 공무원이 불명확한 법령 등으로 인해 업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경우는, 적극행정 지원위원회가 처리방향을 제시한다. 적극행정 면책제도는 코로나19 대응관련 적극행정 추진 결과에 대해 고의·중과실이 없는 경우 징계 요구 또는 문책 요구, 징계의결 등 책임을 면책하고 반면, 소극행정에 대해서는 징계를 강화한다. 소송 지원으로는 코로나19 대응관련 형사 고소·고발 등을 당해 기소 전 수사단계에 있는 경우나 민사상 책임과 관련된 소송 수행에서 법률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코로나19 조기종식에 획기적이고 최선을 다한 공무원에 대해 적극행정 우수공무원으로 선발하여 포상, 인사상 특혜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김장호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국가적인 재난인 코로나19의 조기종식을 위해 코로나 대응 업무를 수행 중인 공무원의 긴급하고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도와 선제적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해 나겠다”고 밝혔다.
제 목 담당부서 ① 코로나19 극복위한 기부 릴레이는 계속... 힘내라 경북! 경북 9개 수협, 한국수산업경영인 경북연합회 각 3천만원, 7백만원 산림조합중앙회 및 지역 23개 산림조합 3천만원, 동진기업(주) 5천만원대변인 ② 경북도, 2020 생활밀착 지역개발사업 본격추진!! 주거 취약지역 도내 19개소에 3~4년간 477억 투자도시재생과 ③ 논에 타작물 재배하면 지원금을 드립니다~ 올해 2,342ha, 76억원 확보... ha당 평균 3,265천원 지원 6.30일까지 해당 농지소재지 읍·면·동 사무소에서 신청 친환경농업과 ④ 경북도, 맞춤형 적극행정으로 코로나19 조기 종식에 올인 코로나19 대응 공무원의 긴급하고 적극적인 의사결정 지원법무혁신담당관 ⑤ 경북도, 모두가 만족하는 시행령 제정 위해 머리 맞대 경북도, 포항지진 특별법 시행령 제정령(안) 부서별 검토의견 수렴 포항지진 피해 극복을 위한 업무보고 및 추가 지원방안 논의 자연재난과 ⑥ 전남 여성단체, 코로나19 극복위해‘집밥 힘’보탠다! 직접 만든 도시락 매일 300개씩,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게 전달...여성가족행복과 ⑦‘코로나 19 막아라’청년농업인 발벗고 나서!! 경상북도 청년농업인 드론 방제단 등 지역 청년농업인 방역소독 지원 과제활동 생산 농산물 판매 수익금 기부금으로 전달, 4-H정신 실천농업기술원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 대응 경상북도 정례브리핑2020. 3. 5(목). 0시 기준 □ 3월 5일(목) 코로나19 대응 관련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현황△발생현황 △완치(퇴원) 현황△조치사항 및 병상현황△생활치료센터 현황△신천지 조사/검사 및 조치 현황△특이동향 정책△경산, 감염병 특별관리지역 추가 지정 코로나19 범정부 특별대책 경북지원단 설치△복지시설 예방적 코호트 격리, 방역물품 지원△기부금품 현황 발생현황 □ 확진환자 발생 현황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ㅇ 3월5일(목) 오전 0시 기준, 경상북도 코로나19 확진환자는 전일 대비 80명이 증가되어, 누적 805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대구광역시 : 4,326명 (+320명) ㅇ 오전 11시 기준으로는 827명입니다. ㅇ 시?군별로 보면, 경산에서 59명이 확진됐습니다. 누적 347명으로 대구에 이어 가장 많습니다. 경산에서 연일 환자가 속출하고 있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ㅇ 경상북도의 신규 확진환자(80명)는 전국 438명 대비 18%이며, 누적 확진환자(805명)는 전국 5,766명 대비 14%입니다. ㅇ 그리고 안타깝게도 사망자가 3명 나왔습니다. 경산 거주 60세 남성이 어제 오후 사망하였고, 통계에는 잡혀 있지 않지만 오늘 오전에 청도 거주 84세 여성과, 성주 거주 81세 남성이 안동의료원에서 사망하였습니다. ㅇ 이로써 브리핑 시점 현재 도내 사망자는 12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코로나19 환자증감 현황 ? 경상북도(3.5. 0시기준)>구분확진환자현황접촉자계격리 중해제사망계격리 중해제3.4(수) 0시 기준725 712 4 9 6,8865,9159713.5(목) 0시 기준80577025107,3226,351971증 감+80 +58 +21 +1 +436+436 - <코로나19 확진환자 발생 추이>기준일신규확진누적확진전국(A)경북(B)비율(B/A)전국(C)경북(D)비율(D/C)3.54388018%5,76680514%3.45168917%5,32872514%3.3600508%4,81263613%3.26869113%4,21258614%3.1595569%3,52649514%2.29909506%2,93143915%2.28.427409%2,02238919%2.27.4496615%1,59534922%2.26.2535120%1,14628325%2.25.1304635%89323226%2.242072814%76318624%2.23.2102512%55615828%2.22.19010756%34613338%2.21.741723%1562617%2.20.36617%82911%2.19.15320%4637%2.18.1 0%3100% < 코로나19 확진환자 현황 ? 경상북도 시군별> 시군별확진환자경산청도구미칠곡의성안동영천포항성주경주상주김천34713148434037323217151513+59-+4-+2--+2+4---군위고령예천봉화영주문경청송영덕영양울진울릉 665544221-- -+2+2+4-+1----- * 증가 수는 전일 오전 0시 대비 금일 오전 0시 ㅇ (경북 확진자 3명 사망) ▲ 현 황인적사항지역기저질환확진일자입원일자사망일자○○○(60세, 남성)경산고혈압,당뇨,고지혈증3.3(화)3.1(일)※ 지병으로 입원(뇌경색증세)3.4(수)△△△(84세, 여성)청도심부전,뇌경색 등2.21(금)2.21(금)3.5(목)◇◇◇(81세, 남성)성주없음3.4(수)3.4(수)3.5(목) 완치(퇴원) 현황 □ 다음은 완치(퇴원) 현황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ㅇ 3월 4일 22명(일반2, 대남병원20)의 완치자가 나왔습니다.※ (완치자 26명) 2.26(1명) → 3.3(3명) → 3.4(22명) ㅇ (601번 환자, 483번 환자) 포항에 27세 여성, 28세 남성 환자가 완치되어 퇴원했습니다. 두 분 모두 지난 2월22일 확진을 받아 24일 포항의료원에 입원한지 9일 만에 어제 퇴원했습니다. ㅇ (대남병원 완치 이송 현황) 국립정신건강센터와 대남병원에서 치료중인 환자 62명에 대한 진단검사 결과, 20명이 음성으로 확인되어 국립 부곡병원으로 이송합니다. <코로나19 완치(퇴원)자 현황>2020.3.5. 현재연번환자번호성별나이거주지확진일입원일(A)퇴원일(B)입원기관치료기간(B-A)1#37남48영천2.192.192.26경북대병원7일2#39여61영천2.182.183.3동국대 경주병원14일3#482남27포항2.222.233.3포항의료원9일4#276남56청도2.222.223.3국립중앙의료원10일5#601여27포항2.222.243.4포항의료원9일6#483남28포항2.222.243.4포항의료원9일7~26 대남병원 정신환자※국립부곡병원으로 이송예정 ㅇ 대남병원은 잔류환자 31명중 어제 15명을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이송하였고, 오늘 나머지 16명을 국립부곡병원으로 이송할 예정입니다. 이로써 오늘 대남병원 환자 전원 소산이 완료됩니다. < 대남병원 확진 정신환자 현황 (3.5 이송계획 반영) >합계확진환자사망대남병원국립부곡병원이송국가지정격리병원*국립정신건강센터10270253040* 국립중앙의료원, 충남대병원, 서울의료원, 전남대병원 등 총 18개소 조치사항 및 병상현황 □ 조치사항 및 병상 현황입니다. ㅇ 어제 안동의료원에 30명, 김천의료원에 13명 등 58명을 추가로 입원 조치하는 등 현재 도내 423명이 입원해 있으며 236명이 격리 상태로 대기중입니다. <코로나19 확진환자 입원 및 병상 현황>환자구분계포항의료원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대남병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안동병원타시도병원*생활치료배정 중사망퇴원경북805148 142 115 - 14 4 - 1 96 14 236 10 25 +80 +2 +13 +30 △31+1 - - - +12 +14 +17 +1 +21 대구24321- 15090 +38+1-△1 +38- 준비중병상3138913824 15389 * 타시도 병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44, 국립중앙의료원 9, 충남대병원 6 등 29개 병원 *** 전일 대비???* 타시도 병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44, 국립중앙의료원 9, 충남대병원 6 등 29개 병원 *** 전일 대비생활치료센터 현황 □ 다음은 생활치료센터 현황입니다. ㅇ 도내 생활치료센터는 총 38개소 1,637실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국가지정 생활치료센터 : 5개소 756실- 도 지정 생활치료센터 : 33개소 881실 ㅇ 국가지정 생활치료센터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현재 도내에 5개소(756실) 지정되어 있으며 440명이 입소했습니다.오늘 서울대병원 인재원에 경북 환자들이 입소할 예정입니다. 천주교 한티 피정의 집에는 대구 환자들이 입소할 예정입니다. <경북도內 국가지정 생활치료센터 현황>구분시설명위치입실가능수입실일자입실여부비고경북대구 1센터삼성인재개발원영덕2103.3205 경북대구 2센터농협경주교육원경주2353.3235 경북대구 3센터서울대병원 인재원문경993.5 예정 경북환자용추가지정천주교 한티 피정의 집칠곡1003.5 예정 추가지정대구은행 연수원칠곡1123.6 예정 ㅇ 도 지정 생활치료센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도에는 경상북도가 직접 관리하는 3개소* 204실과 시?군이 관리하는 30개소 677실 등 총 33개소 881실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 (안동)인문정신수련원, (경주)화랑마을, (안동)경상북도 소방학교 ㅇ 어제 안동 청소년수련원에 14명이 입소하였고, 나머지 생활치료센터도 신속하게 준비하여 환자들을 입소시키겠습니다. ㅇ 경산 「경북학숙」은 어제 제가 직접 현장을 실사해 본 결과, 아파트, 학교 등과 인접하고 있어서 지정해제 하겠습니다. ㅇ 경산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구경북연수원」(61실)을 추가 지정하여 운영토록 하고, 경산에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국가지정 및 도지정 생활치료센터에 경증환자를 입소시키겠습니다. <경상북도 지정 생활치료센터 현황>연번관리주체시설명규모비고계도3/시군3033개 시설881 1경상북도(안동)인문정신연수원63 2경상북도(경주)화랑마을62 3경상북도(안동)경상북도 소방학교 79 4포항시비학산자연휴양림30 5경주시토함산자연휴양림22 6김천시 수도산자연휴양림35 7구미시선산청소년수련원60 8안동시하아그린파크청소년수련원303.4. 14명 입실9안동시 계명산자연휴양림19 10영주시풍기우정교육센터32 11영천시운주산승마휴양림26 12상주시성주봉휴양림19 13경산시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연수원61 14군위군군위청소년수련원15 15군위군장곡휴양림19 16군위군삼국유사테마파크20 17의성군금봉자연휴양림24 18의성군의성옥빛골문화촌10 19청송군청송자연휴양림14 20영양군흥림산자연휴양림17 21영덕군향토웰빙문화테마마을17 22영덕군바다숲향기마을11 23영덕군고래불국민야영장29 24청도군청도신화랑풍류마을30 25고령군부례관광지12 26고령군미숭산자연휴양림12 27고령군유스호스텔17 28성주군독용산성자연휴양림19 29칠곡군송정자연휴양림21 30예천군삼강문화단지곤충펜션10 31예천군예천천문우주센터10 32봉화군문수산자연휴양림16 33울진군구수곡자연휴양림20 신천지 조사/검사 및 조치 현황 □ 다음은 신천지 신도 조사 및 검사 현황입니다. ㅇ 먼저 신천지 신도 전수조사 현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대상: 6,549명(신도 5,269명 + 예비신도 1,280명)▲ 조사완료: 6,212명(신도 5,177명(98%) + 예비신도 1,035명(81%))┗ 유증상자: 1,373명▲ 검체검사 실시: 4,380명┗ 확진 300명, 음성 3,487명, 결과대기 593명 ㅇ 현재까지 6,212명(94.8%)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습니다. ㅇ 연락이 닿지 않는 신도는 2명으로 한 명은 수배중이며 한 명은 해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신천지 신도 조사 및 검사 현황 (3월4일 현재) >조사대상조사완료검체검사 실시6,5496,212(94.8%)4,380(+792)신도예비신도신도예비신도확진음성결과대기5,2691,2805,177(98.2%)1,035(80.8%)300(+38)3,487(+691)593(+63)* ( ) 전일 대비 증감 특이동향 □ 다음은 특이동향 몇 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ㅇ 봉화 푸른요양원에서 36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 어제 브리핑에서 집단감염이 우려된다는 말씀을 드렸는데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입소자 26명과 종사자 10명이 확진됐습니다. - 푸른요양원은 116명 전원(입소자 56명, 종사자 60명)에 대해 검체 채취하고 시설을 격리했습니다. - 또한 이 중에서 2명이 해성병원 입원 상태여서 해성병원 전체를 폐쇄하고 입원환자와 의료진 전체 검체를 채취했습니다. ㅇ (봉화 푸른요양원 입소자 등 추가 확진) ※ 3.5(목) 10:00 현재 ▲ 시설현황 (시설명) 푸른요양원(봉화 춘양면 소재)(인 원) 116명(입소자 56, 종사자 60) ▲ 확 진 자 : 36명(입소자 26, 종사자 10) ▲ 감염경로 : 확인 중 ▲ 조치사항- (푸른요양원) 3.3(화)~3.4(수) 116명 전원 검체 채취 및 시설 격리 - (해성병원) 푸른요양원 입소자들이 해성병원 입원중 확진판정 받음에 따라 3.4(수) 응급실 포함 병원 전체 폐쇄 현재 입원환자 및 전 의료진 검체 채취 ※ 봉화 해성병원 : 107명(환자 44, 의료진 57, 요양보호사 6)ㅇ 경산 행복요양원에서 어제 95세 여성이 확진됐습니다. - 경산 행복요양원은 총 53명(입소자 28, 종사자 19, 주간보호이용자 6)이 생활하는 시설입니다. - 요양원 전체를 폐쇄했고 인원 전체에 대해 검체 채취해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ㅇ (경산 행복요양원 입소자 확진) ※ 3.4(수) 확진▲ 시설현황 : 53명(입소자 28, 종사자 19, 주간보호이용자 6) (행복요양원) 45명(입소자 28, 종사자 17)(행복재가장기요양기관) 8명(종사자 2, 주간보호이용자 6) ▲ 확 진 자 : ○○○(95세, 여성, 행복요양원 입소자)▲ 감염경로 : 확인 중 ▲ 조치사항- (접촉자) 3.4(수) 43명(입소자 27, 종사자 10, 주간보호이용자 6) 검체 채취 3.5(목) 나머지 9명(종사자 9) 검체 채취 예정 - (요양원) 3.4(수) 시설 전체 폐쇄 후 방역 실시 입소자 27명 전원 및 종사자 3명 시설 내 격리 조치나머지 13명은 자가격리 조치 ㅇ 경산 참좋은재가센터에서 2명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 참좋은재가센터는 총 30명(주간보호이용자 18, 종사자 12)이 생활하는 시설이며, 이번에 확진된 2명은 81세, 87세 여성으로 주간보호이용자입니다. ㅇ (경산 참좋은재가센터 이용자 2명 확진)▲ 시설현황- (시설명) 참좋은재가센터(경산 중방동 소재)- (인 원) 30명(주간보호이용자 18, 종사자 12) ▲ 확 진 자 : ○○○(87세, 여성, 주간이용자(2.26.이용)) ※ 3.3.(화) 확진 △△△(81세, 여성, 주간이용자(2.27.이용)) ※ 3.3.(화) 확진▲ 감염경로 : 확인 중 ▲ 조치사항- (접촉자) 3.4(수) 종사자 12명 검체 채취 주간보호이용자 16명 접촉 여부 파악 후 조치 계획 - (재가센터) 3.4(수)~3.8(일) 폐쇄 및 방역 실시 ㅇ 구미 하나은행 지점에서 추가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 구미 하나은행은 인동지점에서 2월26일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공단동지점에서 2월29일에 1명, 3월3일에 1명, 그리고 어제 또다시 3명의 추가 확진자 나와 총 6명으로 늘어났습니다. ㅇ (구미 하나은행 지점 직원 추가 확진) ▲ 최초 확진자 : ○○○(26세, 여성, 하나은행 구미인동지점) ※ 2.26(수) 확진▲ 발생현황 : 총6명(공단동지점 5명, 인동지점 1명) - 2.26(수) : 1명(인동지점 1)- 2.29(토) : 1명(공단동지점 1(LG디스플레이출장소)) 추가 → 총2명- 3. 3(화) : 1명(공단동지점 1(LG디스플레이출장소)) 추가 → 총3명- 3. 4(수) : 3명(공단동지점 3(본부 2, 삼성출장소 1)) 추가 → 총6명▲ 조치사항- (하나은행) 2.29(일)~3.16(월) LG디스플레이출장소, 삼성출장소 폐쇄, 공단동본부 정상영업 - (LG디스플레이, 삼성) 복지동 및 공장 폐쇄 계획 없음 ㅇ 道 농업기술원 기간제근로자가 확진됐습니다. - 확진자는 28세 남성으로 스마트팜 빅데이터 조사요원입니다. - 축구동아리회원(1차양성, 2차음성)과의 접촉으로 감염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 확진자와 동일업무를 한 기간제근로자 1명을 검체 채취하고 자가격리 했고, 접촉자 12명에 대해 자가격리 조치하였습니다. - 농업기술원은 지난 2월22일 청사 전체 방역을 실시한 바 있고 3월4일 확진자가 근무한 별도 사무실을 폐쇄하고 방역 조치했습니다. ㅇ (도 농업기술원 기간제근로자 확진) ※ 1차검사확진(3.3.) 2차검사확진(3.4)▲ 확 진 자 : ○○○(28세, 남성, 도 농업기술원 기간제근로자※)※ 스마트팜 빅데이터 조사요원, 근로계약기간(’19.10.1.~’20.5.30.) ▲ 감염경로 : 축구동아리회원(1차양성, 2차음성) 접촉으로 감염 추정▲ 조치사항- (밀접접촉자) 확진자와 동일업무 기간제근로자 1명 2.24(월)~3.1(일) 자가격리 후 3.2(월) 출근3.3.(화) 자가격리 조치 및 3.4.(수) 검체 채취 - (접촉자) 3.4.(수) 12명(공무직 1, 기간제근로자 11) 자가격리 조치- (농업기술원) 2.22(토) 청사 전체 방역 실시3.4(수) 확진자가 근무한 별도 사무실 폐쇄 및 방역 ㅇ 안동 군부대 육군 장교가 3월3일 확진됐습니다. - 확진자는 25세 육군 중위로, 2월21일 다른 확진자가 다녀간 노래방을 방문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밀접접촉자 24명을 검사했으나 전원 음성 판정을 받았으며, 군은 부대내 방역을 실시하고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 경기 용인에 거주하는 확진자의 여자친구는 앞서 2월27일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ㅇ (안동 군부대 육군 장교 확진) ※ 3.3(화) 확진▲ 확 진 자 : ○○○(25세, 남성, 육군 중위)▲ 감염경로 : 2.21(금) 다른 확진자가 다녀간 노래방 방문 후 감염 추정※ 여자친구(25세, 여성, 경기 용인시 거주) ※ 2.27(목) 확진 ▲ 조치사항- (확진자) 여자친구 확진 판정으로 2.27(목)부터 부대 내 격리 조치- (밀접 접촉자) 밀접접촉자 24명 검사 결과 전원 음성 판정- (군부대) 3.3(화) 방역 실시, 부대 내 외부인 출입 통제 □ 다음은 주요 정책 사항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경산, 감염병 특별관리지역 추가 지정 코로나19 범정부 특별대책 경북지원단 설치 □ 경산시가 오늘 중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됐고‘코로나19 범정부 특별대책 경북지원단’을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ㅇ 3월3일 대통령께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을 경북 전역으로 확대할 것을 건의한 바 있습니다. ㅇ 정부는 오늘 아침 중수본회의에서 오늘중 경산시부터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기로 했습니다. ㅇ 또한 청도에 있던 범정부 특별대책 지원단을 경산으로 옮겨 「코로나19 범정부 특별대책 경북지원단」을 설치하기로 하였습니다. ㅇ 정부의 특별 지원을 통해 경산에 발 빠르고 선제적인 대응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겠습니다. 복지시설 예방적 코호트 격리 실시 및 방역물품 지원 □ 사회복지 생활시설에 대해 예방적 코호트 격리를 실시하겠습니다. ㅇ 봉화 푸른요양원에서 36명의 확진자가 나오는 대규모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했고, 경산에서도 사회복지 시설에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ㅇ 사회복지시설 집단감염은 인명피해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道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46조에 의거 특단의 조치를 취해, 3월 9일부터 3월 22일까지 사회복지시설 중 생활시설 581개소에 대해 예방적 코호트 격리를 실시하겠습니다. ㅇ 시설 코호트 격리시 종사자는 7일간 외출과 퇴근이 금지되고 시설 내에서 기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접촉을 전면 차단하는 형태입니다. ㅇ 시설 종사자에게는 추가 수당을 지원할 것입니다. □ 또한 이 581개소 생활시설에 방역물품을 지원합니다. ㅇ 道와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는 위 581개 생활시설에 후원금 5억원을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ㅇ 각 시설에서는 상품권으로 방역소독기, 자동 손세정기, 마스크, 응급처치 약품, 개인 위생용품 등 방역 및 소독 관련 용품을 구입하도록 하겠습니다. ※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가맹점 등에서 사용 가능 < 구입 물품내역 > 물품명방역소독기자동 손세정기방역?방한 겸용 면마스크권장품목 기부금품 현황 □ 기부금품 현황입니다. ㅇ 어제도 많은 분들께서 경상북도를 돕기 위해 기부금품을 보내주셨습니다. 어제 8건이 접수됐으며 기부금 8500만원과 마스크, 손소독제 등 다양한 기부품이 들어왔습니다. ㅇ 특히 정호용 전 국방부장관께서 5백만원의 기부금을 보내주셨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ㅇ 꼭 필요한 의료현장과 취약계층 등에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이상으로 3월 5일 코로나19 대응 경북도 정례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기부금품 현황 구 분기 부 자기 부 금(백만원)기 부 품품 명수 량계 85 1경북상공회의소60 2㈜ 고려비엔피10 3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10 4정호용(전국방장관)5 5필리핀 OKTA 손 소독제2,150개6서울시청 마스크46,600매손 소독제10,000개7벨르제이 손 소독제5,000개8상해시정부 마스크150,000매□ 이상으로 3월 5일 코로나19 대응 경북도 정례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 3.5(목) 00:00 기준 > 경상북도「코로나19」발생 현황 현 황 □ 시군별 현황(단위 : 명) 구 분계포항경주김천안동구미영주영천상주문경경산군위의성영덕청송영양청도고령성주칠곡예천봉화3/5(목)(전일대비증 감)80532 15 13 37 48 4 32 15 4 347 6 40 2 2 1 131 6 17 43 5 5 +80+2 - - - +4 - - - +1 +59 - +2 - - - - +2 +4 - +2 +4 ※ 신고지 기준으로 우선 집계된 현황으로 주민등록주소지 등이 다를 경우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확진환자 조치 내역(단위 : 명) 구분계포항의료원김천의료원안동의료원대남병원동국대경주상주적십자영주적십자안동병원타시도병원*생활치료배정 중사망퇴원3/5(목)(전일대비증 감)805 148 142 115 0 14 4 0 1 96 14 236 10 25 +80 +2 +13 +30 -31+1 - - - +12 +14 +17 +1 +21 * 기타 병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44, 국립중앙의료원 9, 충남대병원 6 등 29개 병원 □ 확진환자 발생 원인별 (단위 : 명) 구분계대남병원신천지순례자밀알조사 중3.5.(목)80 52 28누 계805 116 376 29 24 260 대남병원 관련 (단위 : 명) 구 분계정신병동환자일반병동환자종사자퇴원사망확진자 누계11675 1 13 20 7 * 종사자 중 대구 1명은 통계에서 제외
[뉴스] 군위군가족센터, '해비치 행복나눔한마당' 통해 다문화가족·지역주민 146명과 소통의 장 열어
[뉴스] 제3기 군위군청공무원노동조합 출범식 개최
[뉴스] 한국전기관리(주) , 교육발전기금 이백만원 기탁
[뉴스] 군위읍 새마을회, ‘사랑의 김장 나누기’행사로 따뜻한 나눔 실천
[뉴스] 군위군 1388청소년지원단, 위기청소년 지원 위해 총회 및 푸드런 진행
[뉴스] 군위군 환경실천연합회, 자연과 미래를 지키는 환경정화·폐건전지 수거활동
[뉴스] 군위군 종합분석센터 개소식 , 농업경쟁력 강화 기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