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넷 통합검색
군위군청 군위관광 군위군의회
경상북도는 코로나19 학교급식용 친환경농산물 판매와 농특산물 완판운동 등 온·오프라인 농특산물 팔아주기 사업으로 그간 총 8만여명이 참여해 21억 5천만원의 판매실적을 올렸다고 밝혔다. 오프라인 행사로 매주 금요일 공급되는 농특산물 팔아주기 운동은 초기에는 경북도청과 경북교육청, 농협경북지역본부 대상으로 추진했으나 회를 거듭 할수록 대구시청, 제2작전사령부 50사단,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 한국농어촌공사 경북본부, 시군 등 1만9천여명이 참여하여 코로나19 극복에 큰 힘이 되고 있다. 이번주 금요일 세 번째로 공급되는 농특산물 팔아주기 운동 판매액은 6,555건 81,577천원으로 이중 학교급식용 친환경농산물 4,082건 57,036천원, 농특산물 완판운동 2,473건 24,541천원으로 집계되었다. 19일부터 시작한 경북 농특산물 쇼핑몰‘사이소’의 면역력 강화식품 특별판매전, 학교급식용 친환경농산물 꾸러미(10종) 판매는 4월말까지 10~50% 특별할인행사를 진행한다. 또한 행사기간 중 쇼핑몰 판매액의 일부를 코로나19 성금으로 기부하기로 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코로나19로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 농가들의 경영안정이 절실히 필요한 이때 농특산물 팔아주기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사이소’ 쇼핑몰을 통해 소비자들은 농특산물도 구입하고 착한 기부도 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행사에 많은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겨울철 따뜻한 기온과 적절한 강우로 월동작물의 생육이 빠르게 진행되었고 봄철 기온변화가 클 것이라는 기상전망에 따라, 농작물 저온피해 예방에 나섰다.▲ 과수나무가 개화기에 저온 피해를 입으면 생산량과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다 도내에 봄철 농작물 저온피해는 최근 5년(‘15~’19)간 3회 발생했다. ‘19년에는 3~4월 저온으로 인해 2,259ha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 중 대부분은 개화기 과수 꽃눈 피해로 2,108ha에 달했다. * 피해규모 : 농작물 2,259.1ha - 과수 2,108ha(사과 1,134, 배 458, 복숭아 271 등), 전작 151.1ha(감자)이에 도는 과수 등 농작물 저온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기상정보 및 작물별 피해 예방기술 제공 등 농업인 지도ㆍ홍보를 강화한다. 또 19일 시군 담당자 영상회의를 개최해 각 기관별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도는 자연재해로 인한 농업인의 경영불안 해소 및 농가 소득안정 도모를 위해 농작물 재해보험가입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19년부터는 농가부담감소 및 보험가입 확대를 위해 지방비 부담을 30%에서 35%로 늘려 농가에서는 보험료의 15%만 납부하면 농작물재해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농가는 이상저온 등으로 농업재해 발생 시 신속히 해당 읍ㆍ면사무소에 신고하고, 재해보험에 가입한 농가는 지역농협에도 신고해야 한다. 또한 피해를 입었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과수원 등은 꽃따기 중단, 열매 솎는 시기 늦추기, 인공수분 등을 실시하고 시설채소(참외 등)는 보온시설(보온덮개 등) 철거시기를 늦추어 피해 예방 및 관리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조환철 경북도 친환경농업과장은“기상정보를 주의 깊게 청취하고 작물별 관리요령에 따라 사전 조치를 철저히 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며 “이상기온에 따른 농작물 저온피해가 상시화 되는 추세이니 농작물 재해보험을 적극 가입해달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코로나19 확산으로 4월~6월 농번기 인력난에 시달리는 농가의 원활한 인력 수급을 위하여 농촌인력지원센터를 운영한다. 농촌인력지원센터는 인력 수요가 많은 농가와 유휴인력을 연결해 고령화, 부녀화된 농촌의 고질적인 일손 문제를 해결한다. 올해는 지난 해 보다 3개 시·군(영천, 의성, 예천)을 확대해 13개 시·군에서 운영된다. ※ 운영 시군 : 포항, 김천, 안동, 영천, 상주, 경산, 의성, 영양, 영덕, 청도, 예천, 울진, 울릉 최근 도내 여러 시·군에서 코로나19가 장기화 됨에 따라 외국인 계절 근로자의 입국이 지연되는 등 농촌 일손문제가 커지고 있다. 이에 도는 본격적인 농번기가 시작되기 전 농촌인력지원센터를 활용하여 한발 앞선 대책을 마련, 농촌 일손부족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코로나19로 다수 발생할 일시적 실업자(건설현장 근로자 및 자영업자, 택시운송사업자)와 일반 희망자를 사전에 확보하고 신청 받은 농가에 연결한다. 도는 언론 및 시?군 홈페이지, SNS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일손부족 농가와 일자리를 희망하는 도민이라면 누구나 시?군에 설치된 13개 농촌인력지원센터를 통해 상담과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농촌의 만성적 문제인 농촌일손 부족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농촌인력지원센터를 적극 활용하여 가용인력을 최대 확보하여 운영할 것”이라며 “인력이 필요한 농민들과 일자리를 희망하는 많은 분들이 농촌인력센터에 큰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2020년 농촌인력지원센터 운영현황 명 칭센터 주소전화번호주 농작업 내용운영주체포항시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황병삼)포항시 북구 흥해읍 신흥로(개소: ‘17. 3월)054) 261-7709- 사과 적과 및 수확 등- 시금치 수확 등포항시과수연합회김천시도농일자리지원센터(대표:신성우)김천시 자산로(개소: ‘11. 3월)054) 431-9015- 자두 적과, 수확 등- 포도알속기, 적과 등김천시도농일자리지원센터안동시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이재원)안동시 옥동1길(개소: ‘19. 1월) 054) 841-1179- 사과 적과 및 수확 등- 마늘, 양파 수확 등안동시근로자종합복지관상주시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이무상)상주시 양촌3길(개소: ‘16. 7월)054) 531-0734- 오이,감자,양파 수확- 사과, 배 적과 및 수확상주시조합공동사업법인영천시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김병운)영천시 역전로(개소: ‘20. 1월)054) 336-1725- 과수 적과, 포도순치기- 마늘, 양파, 고추수확시 직영운영경산시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성낙현)경산시 원효로(개소: ‘18. 1월) 053) 819-3807복숭아, 자두, 시설작물 수확 등마늘, 양파 수확 등농협중앙회경산시지부의성군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김주수)의성군 구봉길(개소: ‘20. 2월) 054) 834-5700- 과수 적과, 마늘 수확- 고추, 자두, 복숭아 수확시 직영운영영양빛깔찬일자리지원센터(대표:김장래)영양군 재일로(개소: ‘12.. 8월)054) 683-0038고추, 배추 정식 및 수확 등사과 적과 등영양고추유통공사영덕군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이성락)영덕군 중앙길(개소: ‘15. 2월)054) 732-8044복숭아, 사과 적과 및 수확 등농협중앙회 영덕군지부청도군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박영훈)청도군 중앙로(개소: ‘18. 1월)054) 373-1939감, 복숭아, 포도 적과 및 수확 등청도농업협동조합예천군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최상헌)예천군 월포리(개소: ‘20. 4월)054) 652-3252- 고추, 마늘 수확- 사과 적과 및 수확생명공동체생활협동조합울진군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김경열)울진군 울진읍(개소: ‘19. 1월)054) 783-1555고추, 배추 등 정식사과, 배추 등 수확농협중앙회울진군지부울릉군농촌인력지원센터(대표:박기봉)울릉군 도동1길(개소: ‘19. 1월)054) 791-8960산채나물 수확 등농협은행(주) 울릉군지부
군위군(군수 김영만)은 봄철 벼농사 제초제 감축을 통한 농촌 생태계 복원과 친환경 쌀 재배를 위해 우렁이농법 벼 재배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 9천만원의 예산으로 409농가 490ha의 농지에 우렁이 20톤을 공급할 예정이다.벼농사의 경우 화학비료 사용의 지속적 감축과 품종개량, 볍씨 소독 등으로 대부분의 농가들이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농사를 짓고 있다. 다만, 일부 농가들의 경우 봄 모내기전 제초제 사용으로 논습지의 미생물, 유충 감소 등 논 습지 생태계 교란과 친환경농업 실천에 저해가 되고 있다. 군은 우렁이 농법으로 벼 재배 초기 제초제 사용량 줄여 어린모의 성장을 돕고, 미생물, 유충 등의 증가로 논 습지의 먹이사슬 순환이 연결되어 생태계 복원과 친환경 농산물 생산으로 농가 소득 증대에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한편, 2020년부터 농식품부의 “왕우렁이 관리지침”에 따라 왕우렁이의 생태계 교란 방지를 위해 왕우렁이 탈출 방지망 설치지원 및 왕우렁이 수거 일제점검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동렬 농정과장은 농촌 생태계 복원과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통한 농가소득증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친환경농법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군위교육지원청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에 빠진 지역 농가를 돕기 위해 군위군의 우수 농특산물 팔아주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군위교육지원청 전 직원은 제철을 맞았으나 판매량 급감으로 애를 먹고 있는 지역 생산 농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군위딸기 팔아주기’운동에 적극 동참해 딸기 120박스를 구매했다. 정안석 교육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군 딸기 재배농가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딸기 팔아주기 운동을 시작했다”며 이러한 행사를 통해 지역 농가의 어려움이 조금이나마 해소되고 지역경제도 살리는 좋은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군위군(군수 김영만)은 코로나19로 인하여 농산물 판매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농산물 팔아주기 운동에 참여하였음을 23일 밝혔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경북을 찾아오는 방문객이 크게 줄어 농가의 농·특산물의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학교 개학 연기에 의한 급식 식재료의 유통 및 판매도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군은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된 농특산물의 판로를 활성화하고자 도에서 주관하는 ‘농특산물 팔아주기 품앗이 완판운동 행사’에 적극 동참하였다. 군위군 내에서 생산되는 봄철 대표적인 음식인 미나리를 판매 품목으로 신청하였으며 이번 행사에서 판매된 군위 미나리는 1kg짜리 221단이며 금액은 1,768,000원 정도이다. 또한, 친환경 급식 식재료인 무기농 가시오이 1.5kg 200개를 공공기관과 유관기관으로부터 주문받아 구매자들에게 23일(월) 배부 완료하였다. 군위군수는 “코로나19로 인한 농산물 소비 감소 및 판매 부진으로 농업인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이에 농업인들을 돕기 위한 지속적인 농특산물 소비촉진 운동에 적극 동참하겠다”라고 밝혔다.
경북도농업기술원은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약제방제 연시교육을 24일 영주시농업기술센터 과수시험장에서 유튜브 라이브방송으로 진행한다.▲ 사과 새가지가 나오기 전, 배 꽃피기 전에 예방약제 살포로 적기 방제 당부? <사진출처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과수화상병이란 주로 사과, 배 등의 장미과 식물에서 줄기나 잎이 검은색으로 말라 죽어가는 현상으로 불에 그슬린 것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2015년 경기도에 최초 발생된 후 2019년까지 4개도 11개시군에 발생하였고, 특히 경북인접 지역인 충주와 제천에서 138농가 86.6ha(‘2019) 다수 발생함으로써 경북으로의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과수화상병은 일단 감염되면 치료약이 없고 전염력이 강하여 매몰 처리하며 그 과수원은 3년간 유사한 기주식물을 재배하지 못한다. 따라서 감염 예방이 최우선 과제이고 예방을 위한 화상병 약제방제는 경북 22개 시군에서 개화전 방제 1회를 필수적으로 하고 화상병 확산방지를 위한 특별관리구역(영주, 문경 ,예천 ,봉화)에서는 개화기 방제 2회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약제방제 연시교육은 적정시기(사과-발아기와 녹색기, 배-발아기와 전엽기)에 방제를 강조하고 직접 약제살포를 함으로써 화상병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날 약제방제에는 농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피드 스프레이어(SS기)를 시연을 하고, 경북농업기술원에서 보급한 무인헬기와 드론을 이용한 방제시연도 이루어진다. 또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방식으로 유튜브 생중계하며 교육참가자 100여 명이 유튜브에 접속해 방제교육을 시청하고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최기연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경북은 전국에서 과수 재배면적이 가장 많고 현재까지 과수화상병 청청지역이므로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약제방제가 가장 중요하고 농가에서도 적정시기에 약제방제를 하여 화상병 확산방지를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야아한다”고 강조했다.세부 일정 및 계획은 22일자 경북도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gunwi.net/gunwi/board.php?bo_table=report&wr_id=521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최근 상주, 칠곡 등 오이 재배지에서 바이러스 발생이 늘고 있어 시설하우스 오이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오이 바이러스 병해 사진지난 몇 년간 국내 오이, 참외 등 시설재배 농가에서는 9종의 바이러스가 발생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그 중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ZYMV),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CABY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MV)가 문제가 되고 있다. 오이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기형이 되거나 생육이 불량해지고 얼룩이 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고 심하면 죽는 경우도 있어 수확량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아직 식물바이러스병에 대한 치료약이 없어 병에 걸린 식물체는 뽑아서 제거해 다른 포기로 전염을 억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초기 발견이 늦어지면 밭 전체로 확산이 되어 피해가 커지게 되므로 바이러스병은 초기에 발견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오이 바이러스 병해 사진 오이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해는 주로 진딧물에 의해 전염되고 순치기 등의 작업 과정 등을 통해서도 옮겨갈 수 있으므로 진딧물 방제약제를 철저히 살포하여 전염을 억제하도록 해야 한다. 만약 의심되는 포기가 있으면 즉시 잎을 채취해 농업기술원이나 농업기술센터에서 진단을 받도록 하고 진단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의심되는 포기는 별도로 표시를 해 놓은 다음 맨 마지막에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김종수 농업환경연구과장은 “맛 좋고 품질 좋은 오이를 생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바이러스병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얼룩무늬 등의 증상을 잘 살펴보고 미리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군위군(군수 김영만)은 볍씨 파종전에 2020년산 군위군 공공비축미곡 매입 품종인 1모작용 일품벼, 2모작용 해담벼가 파종되도록 농가 홍보를 적극 실시하고 있다. 2018년부터 정부의 공공비축미곡 품종검정제가 추진됨에 따라, 매입품종이 아닌 품종을 출하한 경우에는 다음 연도부터 5년동안 공공비축미곡 매입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군은 2020년도 공공비축미곡 매입에 참여를 희망하는 농가는 볍씨 파종전에 2020년 매입품종(일품벼, 해담벼)을 반드시 확인하여, 공공비축미곡 매입 품종이 아닌 벼를 출하하여 5년간 매입대상에서 제외되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김동렬 농정과장은 1모작 품종인 일품벼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공공비축미곡 매입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2모작용 품종인 해담벼는 2020년 첫 도입되는 품종으로 내병성, 내도복성이 강하고 수확량과 밥맛이 우수하다며, 공공비축미곡의 품질향상을 위해 농가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본격적인 영농철에 접어들었지만 대구?경북지역에 코로나19 확산됨에 따라 농업인들과의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위해 긴급 비대면 농촌지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비대면 농촌지도사업은 봄철 영농시기를 맞아 각종 농업인 방문이나 문의 등 농업인들과 빈번한 접촉이 예상됨에 따라 페이스북, 유튜브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상호 비접촉 농촌지도사업이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이를 위해 본격적으로 영농철이 접어드는 3월부터 매주 2~3회씩 비대면 지도자료를 페이스북, 유튜브, 문자메시지를 통해 농업인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비대면 지도자료에는 병해충 발생상황과 농작물 생육, 농업정책 및 가격동향 등 다양한 정보를 농업인이 이해하기 쉽고, 보기 쉬운 카드 뉴스로 제작해 제공되고 있다. 영농시기에 따라 복숭아 꽃눈?꽃 제거작업, 포도 샤인머스켓 재배기술 등 주요 농작업 뿐만 아니라 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신품종 소개, 봄철 농기계 안전 등 다양한 정보를 동영상으로 제작 유튜브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이용방법 - 스마트폰에서 유튜브앱() 클릭 후 ‘경상북도농업방송’ 검색 - PC에서 이용 방법 : https://www.youtube.com/channel/UCmOU8kMkFea5UoWKeRIqtxg앞으로 이루어지는 영농 작업별 벼 파종준비, 화상병 동계방제 요령, 마늘?양파 병해충방제, 과수 개화기 저온피해 방지대책 등 영농정보 뿐만 아니라 농식품 가공창업, 우수청년농업인 사업장 소개 등 다양한 모바일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최기연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본격적인 영농철이지만 코로나19로 농업인 대면 영농지도에 어려움이 많지만 최대한 농업인을 접촉하지 않는 비대면 지도사업을 적극 전개해 농업인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작물의 생육이 빨라지고 개화시기가 앞당겨지면서 봄철 갑작스런 저온에 따른 농작물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재배관리를 통한 저온피해 예방을 당부했다.▲ 이상저온 농작물 피해 예방 참고사진(배꽃 피해사진) 기상청 1개월 기상전망에 따르면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으나 기온의 변화가 크겠고, 북쪽의 찬 공기 영향을 받아 일시적으로 기온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리는 낮 기온이 낮고 오후 6시 기온이 10℃, 오후 9시 기온이 4℃ 이하로 하늘이 맑고 바람이 없을 때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봄철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구분사과배포도복숭아개화기 저온피해 온도(℃)-2.2-1.9-0.6-1.1 올해 과수 개화 시기는 평년대비 최대 9일, 전년 대비 최대 5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측되며 꽃이 피는 시기에 늦서리나 저온이 오게 되면 꽃잎이 열리지 않거나 꽃이 피더라도 수정이 잘 되지 않아 열매를 맺지 못하는 등 큰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개화기에 온도가 영하로 떨어질 것이 예상되면 과수농가는 방상팬을 활용하여 과원 내 바람을 순환하는 송풍법이나 물을 흩어 뿌리는 살수법으로 저온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이상저온 농작물 피해 예방 참고사진(배꽃-암술, 수술)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날 과원 온도가 1~2℃가 되면 미세살수장치로 일출 때 까지 물을 뿌려주어 물이 얼음이 될 때 방출되는 열(80cal/g)을 이용하여 저온피해를 예방하며 얼음으로 덮인 가지 표면은 0℃를 유지시켜준다. 하지만 물이 부족하여 살수가 중단되면 나무 온도가 기온보다 낮아져 피해가 커질 수 있으므로 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 노지에서 자라는 마늘, 양파는 웃자란 상태에서 저온피해를 입을 경우 식물체 2차감염과 해충피해 증가가 우려되므로 질소비료 양을 줄여 웃자라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 겨울철 잦은 비와 고온으로 습해와 병해충이 조기에 발생될 것이 예상되므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병해충 예찰 및 방제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김수연 경북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따뜻한 날이 지속되어 꽃이 빨리 피고 생육이 좋아지는 만큼, 예상치 못한 이상저온이 왔을 때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농가는 저온피해 예방과 사후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군위군농업기술센터(소장 윤현태)는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농가맞춤형 토양관리를 위한 토양검정사업을 연중 무료로 시행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토양검정은 땅의 영양상태를 필지별로 정밀 분석해 작물별 적정 시비량과 토양개량 방법 등을 농업인에게 기술 지도하는 서비스로,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 생산과 과학영농 실천에 도움을 준다. 토양 검정을 통해 토양의 양분 상태와 산성화 정도를 알 수 있으며, 적정 비료 시비량을 확인하여 양분 결핍, 과다를 방지할 수 있다. 토양검정을 원하는 농업인은 토양시료를 채취해 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를 방문하여 제출하면 된다. 토양검정 후 비료사용처방서 발급까지 약 2~3주 정도가 소요되며 처방서는 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 토양환경정보 시스템 '흙토람'을 이용하면 토양검정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토양시료 채취방법은 작물 심기 전 비료나 퇴비 등을 주지 않고 5~6개 지점의 토양 표면 이물질 등을 1cm가량 제거한 후 논, 밭은 15cm, 과수는 30cm 깊이에서 500g정도 채취해야 한다. 군위군농업기술센터는 “무료 토양검정서비스로 불필요한 비료 사용을 줄이고 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고품질의 농산물 생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북도가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농업기계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하며 미리 점검하고 정비해 안전사고 예방을 당부했다. 겨우내 보관한 농업기계를 사용하기 전에는 항상 안전장치 및 등화 장치를 정비하고, 농로, 논·밭 출입로 등을 점검하여 무너지거나 사고의 위험이 있는 곳은 미리 보수해야 한다. 각종 오일은 상태를 점검해 필요시 교환하고 교환 후에는 5분 정도 가동해 각부에 오일이 공급되게 한다. 냉각수는 완전히 채워서 냉각수 없이 운전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타이어 압력이 표준에 맞는지 확인하고 배터리는 연결하여 엔진을 작동시켜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농업기계 안전사고는 4월 ~ 6월에 주로 많이 발생했으며 만일의 사고를 대비하여 2인 1조로 농작업을 다니며 긴급상황 발생시 사용할 연락처 확인과 동시에 응급처치 지식을 몸에 익히는 등 평소 농기계 안전사용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농업기계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올바른 조작방법을 숙지하고 자신을 과신하지 않고 신중하게 운전할 것 ▲점검 정비가 필요한 때는 반드시 엔진을 끄고 평지에서 점검할 것 ▲바쁘더라도 1시간 작업에 10분간의 휴식시간을 가지고 하루에 8시간을 넘기지 말 것 ▲ 경사지나 커브길 운전시 저속운전을 하면서 주클러치 및 기어변속을 하지말 것 ▲높이가 있는 포장이나 논두렁에 진입시 직각으로 진입하거나 디딤판 등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진입한다.그리고 ▲출발이나 작업시 주위에 사람이 있는지 수시로 확인할 것 ▲트레일러에는 사람을 태우지 않아야 하며 농업기계의 승차정원은 1명이라는 걸 명심할 것 ▲안전프레임을 꼭 장착하고 운전 및 작업할 것 ▲주행시에는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방어운전을 하고 야간에는 꼭 등화장치를 작동시키고 흙 등 이물질이 묻었을 때는 제거한 후 운행한다. 마지막으로 제일 기본이면서 가장 중요한 음주운전을 하지 않을 것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이상택 농업기술원 기획교육과장은“농업기계 사전 점검을 통해 사고 예방과 더불어 경영비도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사용 방법을 숙지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최근 겨울철 따뜻한 날씨로 복숭아 꽃이 피는 시기가 빨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월동기 병해충 방제를 서둘러야 한다고 당부했다. ▲ 복숭아 잎오갈병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간 평균기온이 작년에 비해 2.3℃ 정도 높았고(경북 청도 기준), 향후 3월 ~ 4월경 온도가 높게 지속될 것이라고 예보되고 있다. 특히 겨울철 고온 지속으로 인해 올해 과수의 발아기와 개화기는 전년 대비 4 ~ 7일 정도 빨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적기에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3월에서 4월 개화기까지 복숭아의 약제방제는 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하는데 이는 월동기(개화 전까지) 복숭아나무에 발생하는 병해충 밀도를 낮추어 생육기 방제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석회유황합제의 살포 시기는 개화 3~4주전으로 깍지벌레류, 잎오갈병 등 주요 병해충에 살균 및 살충효과가 있고 병원균이나 해충조직을 부식시켜 밀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주의할 점은 살포 시 희석배수를 비중계를 이용하여 보메 5도액에 맞춰야 한다.▲ 복숭아 깍지벌레 부화기 세균구멍병, 탄저병 등의 보호살균제로 효과가 우수한 석회보르도액의 살포 시기는 적뢰기(꽃봉오리가 맺히는 시기)와 첫 꽃이 피기 전에 살포하고 희석배수는 6-6식을 사용하여야 하며 복숭아, 자두 등 핵과류의 생육기에는 약해 때문에 사용할 수 없으니 주의하여야 한다.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의 살포간격은 15일에서 20일 정도로 유지해 주는 것이 좋으므로 개화시를 기준으로 15일 ~ 20일 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해 주어야 한다. 특히 개화시기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석회유황합제 살포는 청도를 기준으로 3월 상·중순으로 당겨서 살포하여야 한다. 김임수 청도복숭아연구소장은 “최근 겨울철 이상고온으로 병해충의 발생시기와 복숭아 개화기도 4~7일정도 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방제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해 줄 것”을 당부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경북지역 주요 특화작물에 대한 농약 안전사용서를 발간해 배포했다. 이번 책자는 감, 고추, 마늘, 복숭아, 오미자, 자두, 포도 7종의 주요 작물의 병해충에 대한 내용과 함께 등록된 약제들을 농약 작용 기작별로 정리하여 수록하였으며 시군 농업기술센터 및 농업인 등에 배포하여 재배농가 홍보와 교육에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2019년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는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는 재배작물에 등록된 농약의 경우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해 적용하고 미등록 약제는 잔류허용기준을 0.01㎎/㎏ 이하로 적용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농업인들은 농약사용시 재배작물에 등록된 농약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사용해야 하므로 병해충 방제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도는 올바른 농약 사용을 안내하고 도내 농산물에 대한 안전과 신뢰를 높이고자 ?경북 주요작물 농약 안전사용서?를 발간하게 됐다. 최기연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이번에 발간된 책자가 농업인과 관련 종사자들이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상북도는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농지소재지 읍?면?동사무소에서 ‘친환경농업 직접지불제’및‘유기농업 지속 직불제’사업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직불금 신청 농업인의 불편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직불금 신청 기간을 기존 1개월에서 2개월로 연장했다. 친환경농업직불금은 친환경농업 확산과 환경 보전의 공익적 기능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농업 실천 농업인을 대상으로 초기소득 감소분과 생산비 차이를 보전하는 제도로써, 올해부터 개편된 농업농촌공익기능증진직불 중 선택형 직불 사업의 하나이다. 지원자격 및 요건은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아 인증기관의 이행점검결과 적격으로 통보받은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농업인 및 농업법인이다. 지원대상 농산물 및 농지는「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 제2호에 따른 ‘친환경농산물’일체로 올해 사업기간(1월~10월) 중 친환경농업을 충실히 이행하고 인증기관의 이행점검 결과 적격으로 통보받은 농지이다. ha당 지급단가는 논의 경우 유기재배 700천원, 무농약 500천원이며, 밭의 경우 과수는 유기재배 1,400천원, 무농약 1,200천원이며 채소?특작은 유기재배 1,300천원, 무농약 1,100천원이다. 또한, 유기지속지불제의 논은 350천원, 밭은 과수 700천원, 채소?특작 650천원이다. 친환경농산물을 계속 생산하는 경우 최초 지급연도부터 필지별로 유기와 무농약은 3~5년간 지급(불연속 경우 3~5회)하고 유기지속의 경우 기한 없이 지속적으로 지급하며 농가(경영체)당 지급한도 면적은 0.1~5ha이다. 그리고, 직불제 사업기간이 기존 당해연도 1~12월에서 전년 11월 ~ 이듬해 10월 말까지로 개선됨에 따라 올해는 한시적으로 1 ~ 10월까지 10개월 적용이 된다. 한편, 경북도는 유기재배에 따른 소득감소분과 생산비 차이를 보전하여 유기농 실천 농가의 소득 유지는 물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유기지속직불제’에 대하여 국고에서 유기직불제의 50%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으나, 도 자체사업으로 지방비(도·시군비) 50%를 추가 지원한다. 지난해 도내 친환경농업직불금은 2,126농가(1,354ha)에 11억 9,270만원이 지급되었는데, 유기직불금이 325농가(175ha) 1억 8,806만원, 무농약직불금은 1,009농가(563ha) 4억 5,652만원, 유기지속직불금은 792농가(616ha), 5억 4,812만원이 지급됐으며, 이중 2억 8,095만원이 도비 자체사업으로 지원되었다. 조환철 경북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사업기간이 연장된 만큼 대상 농업인은 반드시 기간 내에 빠짐없이 신청하기 바라며 친환경농업 실천 이행사항을 준수하여 부적합으로 지급 제외되지 않도록 철저를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포토뉴스] 집중호우로 불어난 군위 위천
[포토뉴스] 군위군미술협회 특별기획 「군위테마전」
[알립니다] 군위군, 주간행사계획(7.21.~ 7.27.)
[뉴스] 군위군 배춘식 부군수, ‘집중호우 취약지역 현장점검에 구슬땀’
[뉴스] 군위군미술협회, 특별기획 「군위테마전」 개최
[뉴스] 군위읍 남녀새마을협의회, 초복맞이 사랑의 계란 나눔
[뉴스] 군위군 산성면 무암1리 경로당 리모델링 공사 준공식 개최
TOP